ESP 기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ESP 기타는 1975년 일본 도쿄에서 설립된 Electric Sound Product(ESP)에서 시작된 악기 브랜드이다. 최고급 기타 제조와 수리를 목표로 펜더, 깁슨 등과 경쟁하며 품질을 강조했다. 1980년대 미국 진출 이후, 메탈리카, 슬레이어 등 메탈 밴드들의 후원을 받으며 인지도를 높였다. ESP는 Navigator, LTD, E-II, Edwards, GrassRoots 등 다양한 브랜드와 라인업을 갖추고 있으며, 아티스트 시그니처 모델 제작으로도 유명하다. 2024년 설립자 시부야 히사타케가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75년 설립된 제조 기업 - 오클리
오클리는 1975년 짐 재너드가 설립한 미국의 스포츠 및 라이프 스타일 제품 회사로, 선글라스, 고글 등을 생산하며 스포츠 선수들을 후원한다. - 1975년 설립된 제조 기업 - 소니 에너지 디바이스 주식회사
소니 에너지 디바이스 주식회사는 1975년 소니 에버레디로 설립되어 배터리 사업을 시작, 리튬 이온 전지 개발로 휴대용 전자기기 시장에 기여했으나, 2017년 배터리 사업을 양도하고 2019년 "SONY" 브랜드 배터리 판매를 종료한 회사이다. - 기타 제조 회사 - 리켄배커
리켄배커는 1931년 미국 로스앤젤레스에서 설립되어 전기 하와이안 기타 "프라잉 팬"으로 시작해 일렉트릭 기타와 베이스 기타, 어쿠스틱 기타 등으로 제품군을 확장하며 1960년대 비틀즈의 사용으로 큰 인기를 얻은 악기 제조 회사이다. - 기타 제조 회사 - 아이바네즈
아이바네즈는 1908년 호시노 쇼텐에서 시작되어 "아이바네즈 살바도르"라는 이름으로 어쿠스틱 기타를 제작한 일본의 악기 제조 회사로, 이후 다양한 악기를 생산하며 세계적인 브랜드로 성장했고 유명 기타리스트들의 시그니처 모델로 인기를 얻고 있다. - 1975년 설립된 기업 - 갤러리아백화점
갤러리아백화점은 1975년 한양스토어 여의도점으로 시작하여 1985년 한화그룹에 인수되었으며, 현재 명품관, 타임월드점, 광교점, 센터시티점, 진주점, 고메이494 한남 등을 운영하고 있다. - 1975년 설립된 기업 - HD현대미포
HD현대미포는 1975년 현대중공업 내 선박 수리업체로 설립되어 세계적인 수리 조선소로 평가받았으나, 경쟁 심화로 중소형 선박 건조 및 해외 진출로 사업을 전환하여 중형 선박 건조 분야에서 경쟁력을 인정받고 베트남에서 해외 수리 조선 사업도 진행하고 있다.
| ESP 기타 - [회사]에 관한 문서 | |
|---|---|
| 기본 정보 | |
| 회사 명칭 | ESP 기타 회사 (ESP Guitar Company, Limited) |
![]() | |
| 설립일 | 1975년 |
| 창립자 | 시부야 히사타케 (Hisatake Shibuya) (1937-2024) |
| 본사 위치 | 도쿄도 지요다구, 일본 |
| 주요 인물 | 마사노리 야마다 (대표) 매트 마시아다로 (CEO) |
| 서비스 지역 | 전 세계 |
| 산업 분야 | 악기 |
| 제품 | 전기 기타, 베이스 기타 |
| 소유주 | 시부야 히사타케 |
| 웹사이트 | Espguitars.com (글로벌) Espguitars.co.jp (일본) |
| 본사 우편번호 | 101-0054 |
| 본사 주소 | 東京都千代田区神田錦町1-14-2 (도쿄도 치요다구 간다니시키초 1-14-2) |
| 자본금 | 7,500만 엔 |
| 매출액 | 58억 엔 (ESP 그룹 18개사 총계 130억 엔) |
| 종업원 수 | 400명 (ESP 그룹 총 직원 수 1,300명) |
| 자회사 | |
| 관련 인물 | |
2. 역사
ESP는 1975년 시부야 히사타케가 일본 도쿄에서 '''Electric Sound Product'''라는 이름으로 설립한 회사이다.[12] 최고급 전기 기타 제조와 전문 리페어 샵을 목표로 했으며, 당시 일본의 다른 기타 제조사들과는 달리 저가형 기타 대신 최고 품질의 기타를 만들어 펜더, 깁슨과 경쟁했다.
1980년대에는 미국 뉴욕에 진출하여 롤링 스톤스의 로니 우드, 키스의 빈니 빈센트와 브루스 쿨릭 등 유명 아티스트들의 커스텀 기타를 제작하며 성장했다.[12] 크레이머 기타 등에는 OEM 방식으로 기타 부품을 공급했다.
1993년 본사를 로스앤젤레스로 이전했고, 1996년에는 자회사 LTD를 설립하여 ESP의 고급 기타를 보다 합리적인 가격에 제공했다. 2002년에는 펜더의 Jackson Guitars 인수로 인해 많은 아티스트들이 ESP로 엔도서를 변경하면서 음악 산업에서 가장 빠르게 성장하는 회사로 등극했다.[14]
THE ALFEE의 타카미자와 토시히코가 변형 기타를 발주하는 메이커로도 알려져 있으며, 의류 브랜드 PEACE MAKER, 만화 도라에몽, 기동전사 건담 등 다양한 미디어와 협업하여 독특한 디자인의 기타를 선보이기도 했다.
2. 1. 초기 (1975-1980년대)
ESP는 1975년 일본 도쿄에서 시부야 히사타케가 설립한 Electric Sound Product라는 가게에서 시작되었다.[12] 최고급 전기 기타 제조와 전문 리페어 샵을 목표로 설립된 ESP는 당시 일본의 다른 기타 제조사들과 다르게 저가형 기타로 시장을 공략하지 않았다. 대신 최고 품질의 기타를 만들어 펜더나 깁슨 같은 전통적인 기타 제조회사를 경쟁 상대로 삼았다. 당시 ESP의 고급 라인업이었던 Navigator 기타 중에는 펜더나 깁슨의 레플리카 모델임에도 가격은 그것들의 커스텀샵 제품보다 비쌌다.일본 악기 제조를 거쳐 후지겐에서 그레코의 설계를 담당하던 시이노 히데아키가 시부야 나오타케[7], moon 창업자인 Moony K Omote 등과 함께 기타 메이커로 1975년에 창업했다.[8]
병원을 개조한 시부야의 숍에 모리조노 카츠토시, 이시마 히데키, 타카나카 마사요시, 오무라 켄지, 토쿠타케 히로후미, 츠치야 마사미 등이 방문하는 등 경영은 순조로웠고, 1977년에 시이노와 Moony가 퇴직하고 시부야가 대표를 이어받았다.
1981년에 미국에 진출하여[9], 기타 메이커인 Kramer 등에 바디나 넥을 OEM으로 공급했다. 1980년대 일본 헤비 메탈 붐으로 실적이 급증하여, Char는 시그니처 모델을 인정했고, 라우드니스, 액션 등 다수의 그룹이 기타를 애용했다.
2. 2. 미국 진출 및 성장 (1981-1990년대)
1981년 3월, ESP는 미국 뉴욕에 리페어 샵을 설립한다.[12] 1980년대 중반, ESP는 로니 우드(롤링 스톤스), 빈니 빈센트와 브루스 쿨릭(키스), 페이지 해밀턴(헬멧), 버논 리드(리빙 컬러) 등 뉴욕의 아티스트들을 위해 커스텀 기타를 주문 제작하기 시작했다. 같은 시기에 ESP는 크레이머 기타의 바디와 넥을 제작했으며, 로빈 기타, 쉑터 기타 리서치, 디마지오의 OEM도 맡았다.1985년, 조지 린치는 도쿄 투어 중 ESP를 방문하여 커스텀 기타 제작을 의뢰했고, 그 결과 그의 유명한 ESP Kamikaze가 탄생했다. ESP는 조지 린치의 Kamikaze를 첫 번째 시그니처 모델로 출시했다. 이후 ESP는 M1 Standard, MI Custom, Horizon Custom, Surveyor 베이스를 출시했다.
1990년부터 1992년까지 ESP는 시그니처 시리즈와 표준 제품 라인을 확장했다. 1993년에는 본사를 로스앤젤레스 할리우드의 선셋 대로로 이전했다. 1995년, ESP는 고품질 제품을 더 저렴한 가격으로 생산하기 위해 LTD 시리즈를 출시했다.
아이바네즈와 마찬가지로 ESP는 스트랫과 텔레를 포함한 유명 미국 기타의 고품질 복제품을 제작하는 것으로 시작했다. 또한 깁슨 익스플로러와 같은 모델도 제작했는데, 깁슨은 이로 인해 ESP에 소송을 제기했고, ESP는 미국 모델과 덜 유사하도록 라인을 재설계했다.
2. 3. 현대 (2000년대 이후)
2002년, ESP는 음악 산업에서 가장 빠르게 성장하는 회사 중 하나로 선정되었다. 이는 펜더가 Jackson Guitars를 인수하면서 ESP와 Jackson 사이의 오랜 경쟁 구도를 깨뜨린 결과였다. Jackson 인수로 인해 많은 아티스트들이 Jackson에서 ESP로 엔도서를 변경했다.[14] Jackson에서 ESP로 옮겨간 아티스트 중에는 데이브 머스테인(메가데스, 현재 깁슨 기타 사용), 아담 다르스키(Behemoth), 알렉시 라이호와 로페 라트발라(Children of Bodom), 제프 해니먼(슬레이어), 갈더와 실레노즈(Dimmu Borgir) 등이 있다.ESP는 세미 할로우 바디의 Paramount Series를 시작으로 Xtone 라인을 출시했다. 2005년에는 창립 30주년을 기념하여 제임스 헷필드의 "Truckster"를 시그니처 시리즈에 출시했다. 2006년에는 윈터 NAMM 2006에서 최신 시그니처 시리즈와 스탠다드 시리즈 모델 22개를 선보였다. 스탠다드 시리즈에는 ESP LTD EC-500, ESP LTD B-500과 같은 모델이 포함되었다. ESP 부스에서 최신 ESP 모델을 선보이고 사인회를 개최한 시그니처 아티스트에는 데이브 머스테인, 조지 린치, 스테판 카펜터(Deftones), 마이클 윌턴, 페이지 해밀턴이 있었다.
2015년 3월, ESP는 미국에서 타카미네 기타의 유통을 시작했다.
시부야 히사타케는 2024년 9월 말 87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3. 주요 제품
ESP는 대상 시장(예: 아시아, 미국, 유럽)과 브랜드(ESP, LTD, Xtone)에 따라 다양한 모델을 마케팅 시리즈로 구성하고 있다.
'''커스텀 시리즈'''
ESP는 고객의 사양에 맞춰 커스텀 기타와 베이스를 제작하며, 그 품질은 오리지널 시리즈를 능가한다. 이 제품들은 ESP USA에서 주문할 수 있지만 일본에서 제작된다. 커스텀 기타는 일반적으로 Navigator와 가격이 비슷하거나 더 높으며, 시장 최고급으로 간주된다. 제작되는 기타는 기존 기타 및 베이스 라인을 기반으로 할 필요가 없어 주문에 유연성이 있다.
'''아티스트 시리즈'''
ESP 아티스트 또는 시그니처 시리즈 기타는 아티스트의 개인 기타 및 베이스를 대량 생산한 버전이다. 이 모델들의 품질은 Navigator/Custom Shop과 ESP 오리지널 시리즈 사이에 있다. Edwards, Grassroots, LTD 아티스트 모델은 해당 기타 및 베이스 라인의 고급 부문에 속한다.
3. 1. 오리지널 모델
ESP 오리지널 시리즈는 Edwards, Grassroots 및 Navigator 시리즈의 세 가지 다른 라인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모델과 일부 ESP 스탠다드 시리즈 모델을 기반으로 한다. ESP Edwards 시리즈는 ESP 스탠다드 시리즈에 가까운 품질의 중고가 기타를 생산하는 반면, ESP Grass Roots 시리즈는 시장의 가치를 중시하는 부문에 맞춰 LTD의 400 시리즈와 유사하게 생산된다. ESP Navigator 시리즈는 깁슨과 펜더 기타와 베이스의 복제품을 매우 높은 수준으로 생산하는 라인이다.ESP USA는 ESP 스탠다드 라인(2014년에 E-II로 대체됨)과 로우엔드 LTD 및 Xtone 시리즈를 생산한다. ESP USA의 스탠다드 시리즈는 일반적으로 액티브 픽업과 같은 특징을 가진 메탈 연주자를 지원한다.
LTD Elite라는 또 다른 기타 라인은 ESP 스탠다드 라인이 점차적으로 폐지됨에 따라 해외 시장을 위해 2013년에 도입되었다. LTD Elite 기타는 일본에서 제조되었으며, 2013년 수출 시장에서 ESP 스탠다드 대체 브랜드인 E-II와 함께 초기에 제공되었으며, 2014년 E-II로 단계적으로 폐지하기 위해 ESP 스탠다드의 제한된 범위가 미국에서 판매되었다. ESP 스탠다드 라인은 이 시점에서 완전히 단종되었다. E-II 기타는 처음에 여러 Edwards 디자인과 유사했지만, 2015년에는 Edwards에서 사용할 수 없는 많은 새로운 모델과 마감이 출시되었다. 2016년, E-II는 연주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깁슨의 액세스 힐과 유사한 조각된 넥 조인트를 가진 이클립스 기타를 포함하여 많은 새로운 모델과 최초 모델을 출시한다. ESP에 따르면 E-II는 이름 외에는 두 제품 간의 차이 없이 ESP 스탠다드의 직접적인 후속 제품이다.
대표적인 모델로는 HORIZON과 FOREST 등이 있다.
3. 1. 1. HORIZON
ESP의 대표적인 모델 중 하나인 딘키 계열 바디의 일렉트릭 기타이다. 과거에 다양한 타입의 모델이 다수 존재했지만, 현재 라인업은 최고 등급인 HORIZON-CTM(커스텀)과 알더 바디의 스루 넥 구조에 플로이드 로즈가 탑재된 HORIZON-I, 마호가니 바디에 논 트레몰로 브릿지인 HORIZON-II, HORIZON-I의 발전형으로, 지금까지의 HORIZON과는 바디 형태가 다른 HORIZON-III의 4가지이다. 발음상 "호라이즌" 또는 "호라이존"으로 불린다. 주로 사용하는 뮤지션은 SUGIZO(LUNA SEA・X JAPAN), 카오루(DIR EN GREY), 레이(the GazettE) 등이다.3. 1. 2. FOREST
ESP의 일렉트릭 베이스로 유명한 모델이다. 초기에 테츠야(L'Arc〜en〜Ciel)가 사용한 것으로 잘 알려져 있다. 4현 모델로 시작하여, 현재는 5현 모델도 발표하고 있지만, 과거에는 6현 사양의 모델도 존재했다. 또한, 이 FOREST의 기타 버전으로, 당시 오더 메이드 기타로 아이지(PIERROT)가 미디어에서 사용하여 인기를 얻은 "FOREST-G"가 발매되었지만, 아이지 모델의 시판과 관련된 사정으로 인해 단기간에 제조 중단되었다. 그러나, 이후 사용자들의 반응에 응하여 바디 셰이프를 어레인지하고 플로이드 로즈를 탑재한 FOREST-GT와, 전작과 같은 폼에 논 트레몰로 사양의 FOREST-G가 발매되었다.3. 2. 시그네처 기타
1987년에는 메탈리카의 기타리스트 커크 해밋이 ESP에서 자신의 기타를 주문제작했다. 이 기타는 1989년에 커크 해밋 시그니처 기타 https://web.archive.org/web/20120414124950/http://www.espguitars.com/guitars/signature/kh-2.html ESP KH-2로 발매된다. 현재까지 ESP는 메탈리카의 정식 엔도서로 활동 중이다.[15]
1990년에서 1992년 사이 수많은 아티스트들의 엔도서가 되면서 ESP는 자사의 기본 라인업에 버금가는 수준으로 시그니처 라인업을 확장시켰다.[16] 커스텀 악기 제작을 전문으로 하는 ESP에는 이 외에도 수많은 시그네처 기타들이 있다.[16]

ESP 아티스트 또는 시그니처 시리즈 기타는 아티스트의 개인 기타 및 베이스의 대량 생산 버전이다. ESP 아티스트/시그니처 모델의 품질은 Navigator/Custom Shop과 ESP 오리지널 시리즈 사이에 있다.
3. 3. E-II (ESP Standard)
ESP는 일본에서 생산되던 ESP Original series의 각 모델과 동일하게 일본에서 Standard series를 만들었다. Standard series는 70%의 수제작 공정과 30%의 자동화 공정을 통해 제작되었다. 이 시리즈는 주로 미국과 유럽 등 글로벌 시장을 대상으로 판매되었으며, 일본 내에서는 유통되지 않았다.[1]2009년부터 일본 사이타마에 새로 건립된 공장에서 제작된 Standard Series는 ESP 커스텀의 95%에 가까운 품질을 보여주었으며, 기타와 베이스를 합쳐 연간 8,000여 대 정도만 제작되었다.[1]
일본 내수용으로 유통되던 Original 시리즈보다 저렴한 가격 덕분에, 오히려 일본 구매자들이 미국 등 해외에서 역수입하는 상황이 벌어지기도 했다.[1] 이러한 상황을 고려하여 ESP는 2014년에 Standard Series를 단종시키고, 2014년 2월부터는 Standard Series를 E-II라는 새로운 브랜드로 대체하여 제작 및 판매하고 있다. E-II는 일본 내수 시장에서도 판매된다.[1]
한때 Standard 시리즈와 E-II 라인의 일부 물량은 1차 목재 가공을 중국 헤이룽장성에 위치한 ESP 중국 공장에서 진행하고, 도색과 조립 과정을 일본에서 마무리하여 'MADE IN JAPAN'으로 유통하기도 했다.[1] 그러나 이는 도쿄 공장이 문을 열기 전, Standard 라인을 담당하던 사이타마 공장의 공급 부족으로 인해 발생한 일시적인 현상이었다.[1] 2015년부터는 도쿄 공장에서 모든 과정을 담당하여 생산 및 유통하고 있다.[1] 이와 관련한 논란이 있었지만, 사실상 같은 목재를 사용하고 블랭크 상태의 목재에서 대략적인 외형만 가공하는 기본적인 1차 가공만 중국에서 진행했기 때문에, 실질적으로는 90% 이상 일본에서 제작한 것과 다름없다.[1] 현재 중국 ESP 공장은 그래스루츠 라인만 담당하고 있다.[1]
E-II는 ESP Standard의 명칭 변경으로 시작했지만, 이후 LTD 엘리트 라인을 변경하며 다운그레이드되었다. 그러나 후에 ESP Standard의 일부 인기 모델을 가져와 Standard와 동급 라인을 구축하기도 했다.[1] 다만, Standard 라인에서 가져온 기타의 일부 원가 절감을 한 흔적을 볼 수 있다. 예를 들어, ESP Standard M-II Urban Camo 모델의 경우, 헤드스톡은 더 공격적인 리버스 헤드로 변경되었지만 헤드와 넥의 바인딩이 삭제되는 등, 오리지널 및 커스텀 라인과의 차별점을 두어 이전 Standard 만큼의 품질을 만족시키지 못하는 경우도 있다.[1]
ESP에 따르면 E-II는 이름 외에는 ESP Standard와 차이가 없는 직접적인 후속 제품이다.[6]
3. 4. ESP Custom Series
ESP는 고객의 사양에 맞춰 커스텀 기타와 베이스를 제작하며, 이러한 커스텀 기타의 품질은 오리지널 시리즈의 품질을 능가한다. 이러한 제품은 ESP USA에서 주문할 수 있지만 일본에서 제작된다. 일반적으로 커스텀 기타는 소비자의 선택에 따라 Navigator보다 가격이 비슷하거나 더 높으며 시장의 최고급을 충족하는 것으로 간주된다. 제작되는 기타는 기존 기타 및 베이스 라인을 기반으로 할 필요가 없으므로 주문에 유연성이 있다.3. 5. ESP Artist Series
ESP 아티스트 시리즈 또는 시그니처 시리즈 기타는 아티스트의 개인 기타 및 베이스를 대량 생산한 버전이다. ESP 아티스트/시그니처 모델의 품질은 Navigator/Custom Shop과 ESP 오리지널 시리즈 사이에 위치한다.Edwards, Grassroots 및 LTD 아티스트 모델은 해당 기타 및 베이스 라인의 고급 부문에 속한다.
4. 취급 브랜드
ESP Japan 소속의 Navigator, EDWARDS, GrassRoots와 ESP USA 소속의 LTD, 그리고 1990년에 합병된 Schecter가 있다. Schecter는 ESP와 독자적으로 운영되고 있다.[1] 국외 시장에서는 ESP Original, LTD, E-II만 전개하고 있다.[1]
- '''Navigator'''는 펜더, 깁슨의 전통적인 모델을 복각한 모델 중심의 브랜드이다.
- '''LTD'''는 해외 아티스트, 헤비 메탈 계열 시그니처 모델의 보급형 제품을 중심으로 하며, 공격적인 바디 형태를 가진 브랜드이다.
- '''EDWARDS'''는 국내 아티스트의 시그니처 모델을 포함하여, 다양한 라인업을 갖춘 ESP의 보급형 브랜드이다.
- '''GrassRoots'''는 ESP 내에서 가장 낮은 가격대의 보급형 브랜드이다.
- '''Killer Guitars'''는 라우드니스(Loudness)의 다카사키 아키라나 비주얼계 시그니처 모델을 중심으로 한 별도 법인이다.
- '''세이모어 던컨'''은 픽업 제조사로 알려진 세이모어 던컨의 이름을 딴 기타 브랜드이다. 과거 일본 시장용으로만 생산되었으나, 현재는 판매하지 않는다.
- '''ZEP-II'''는 1980년대에서 1990년대 초 ESP / Navigator 산하에서 전개하던 브랜드였으나, 후에 EDWARDS로 브랜드명을 변경하고 사라졌다.
- '''O.Z.Y'''는 THE ALFEE의 다카미자와 토시히코의 개인 브랜드이다. 고급 모델부터 가성비 모델까지 다카미자와 모델 기타를 취급하며, 명칭은 그의 애칭인 "오지(왕자)"에서 유래했다.
4. 1. ESP
ESP는 ESP의 메인 브랜드이다. 최상위 등급의 커스텀샵 모델인 Original 시리즈, 주문제작 방식의 Custom, 아티스트 모델들로 구성된 Signature 라인업으로 구성되어 있다.[1] 국외 시장에서는 ESP Original, LTD, E-II만 전개하고 있다.[1]4. 2. ESP USA
글로벌 시장의 커스텀 기타 수요를 충족하기 위해 새롭게 개장하였으며, 기존 라인업에 사양과 옵션을 변경하는 형태의 세미 커스텀 방식으로 운영되고 있다.4. 3. E-II
E-II는 LTD와 마찬가지로 국외에서도 전개되며, LTD와 ESP의 중간 랭크에 위치한다.[1] ESP Standard와 LTD Elite (일본 내수용 Edwards의 글로벌 시장용 리브랜딩 제품)를 통합하여 만든 ESP의 주력 라인업이다.[1] 국외 시장에서는 ESP Original, LTD, E-II만 전개하고 있다.[1]4. 4. Navigator
초창기인 1970~1980년대의 ESP 악기는 현재의 모던하고 샤프한 기타 형태가 아닌 펜더와 깁슨의 클래식한 기타의 레플리카였다. ESP의 설립 초기부터 존재했던 네비게이터는 이러한 레플리카 악기를 생산하는 자회사이다. ESP 그룹 내에서 최상위 모델인 Original 시리즈와 동급이지만 빈티지 컨셉 악기를 제작한다고 생각하면 이해하기 쉽다.[1]4. 5. LTD
1996년, ESP는 더 저렴한 가격으로 기타를 제공하기 위해 자회사인 LTD를 설립했다. LTD 기타는 ESP 일반 라인업보다 저렴한 하드웨어를 사용하지만, 최고급 모델은 ESP 일반 라인업에 버금가는 성능을 제공한다. LTD 제품은 전 세계에 공급되며, 한국과 인도네시아에서 OEM 방식으로 제조된다.LTD 라인업은 1000번대(디럭스, 시그니처 600번대), 400번대, 200번대 등 다양한 수요층을 위한 제품군으로 구성되어 있다. 1000번대는 프로 연주자들도 공연에서 자주 사용할 정도로 높은 품질을 자랑하며, 400번대는 1000번대를 기반으로 고급 사양을 제외하여 합리적인 가격으로 ESP 브랜드의 고품질 기타를 경험할 수 있도록 한다. 400번대 미만 모델은 그래스루츠와 비슷하거나 그 이하의 저렴한 가격대로, ESP 기타의 외형을 원하는 초보자나 락 기타를 수집하는 사람들의 기대를 충족시킨다.
LTD 베이스 기타는 주로 초보자를 위한 악기이다. 제조는 베트남, 중국, 인도네시아 등 여러 지역에서 이루어졌으며, 2000년대 초반에는 중간급 모델이 한국에서 제조되기도 했다. 이러한 모델의 품질은 LTD 시리즈에 대한 지속적인 수요를 이끌었다.[2]
4. 6. GrassRoots
ESP 그룹에서 가장 저가 라인업을 구성하는 악기를 생산한다. 중국에서 생산되며 전 세계에 판매되고 있다.[1] GrassRoots 라인은 한국에서 제조되며 Sub-400 시리즈 LTD와 동등하거나 그 이상으로, 보급형 라인으로 간주될 수 있다.[1]4. 7. EDWARDS
ESP 그룹에서 중-고 레벨의 악기를 생산하는 자회사이다. 원래는 일본 내수용으로 ESP Standard 포지션의 악기를 생산했었다. ESP Standard는 일본 공장에서 생산되는 모델이다.[1] 현재 일반적인 스트랫, 레스폴 등 전통적인 스타일의 트레디셔널 시리즈는 해외에도 수출되고 있으며, 일본 아티스트 시그니처나, E-II 시리즈와 포지션이 겹치지 않는 일부 모델들이 일본 내수용으로 유통되고 있다.[1]Edwards 기타는 고급 ESP 기타와 유사한 하드웨어를 갖추고 있지만 수작업으로 제작되지는 않는다. 품질 면에서 미국 라인(예: ESP 스탠다드 & LTD)과 비교했을 때 Edwards 라인은 일반적으로 고급 LTD와 ESP 스탠다드 사이에 위치한다.[1]
1980년대에서 1990년대 초 ESP / Navigator 아래에서 전개하던 ZEP-II 브랜드가 있었으나, 후에 EDWARDS로 브랜드명을 변경하고 소멸했다.[1]
4. 8. Schecter
쉑터는 원래 1976년 데이비드 쉑터(David Schecter)에 의해 설립된 커스텀 기타 회사였다. 하지만 1987년 ESP의 오너였던 시부야 히사타케에게 인수되면서 ESP의 자회사가 되었다. 하지만 ESP와는 독자적인 체제로 현재까지 운영되고 있다.[17] 1997년 쉑터는 대한민국 인천에 있는 월드공장에서 양산형 기타인 Diamond series를 생산한다.5. 기타 사업
ESP 그룹은 악기 제작 및 유통 외에도 아티스트 및 기타 장인 발굴과 양성을 위한 교육 시설을 운영하고 있으며, 엔터테인먼트 분야에도 사업을 전개하고 있다.
5. 1. 교육 사업
학교법인 ESP 학원[18], ESP/MI Japan, ESP 기타 크래프트 아카데미, 뮤지션스 인스티튜트 등은 음악적 재능을 가진 인물을 발굴·육성하는 엔터테인먼트 교육 사업과 기타, 바이올린, 피아노 등의 악기를 제조하고 조율하는 것을 가르치는 장인 육성 사업을 한다. 일본과 미국을 중심으로 일본, 미국, 중국, 대만, 한국의 학생들을 모집하고 있다.[18]5. 2. 트라이사이클 그룹
음악적 재능이 있는 인재를 발굴, 교육하고 데뷔와 매니지먼트까지 제공하는 ESP 그룹의 엔터테인먼트 회사이다. 음반 업계 중심이 아닌 아티스트 중심으로 회사를 운영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19]6. 주요 플레이어
ESP는 수백 명에 달하는 뮤지션들을 후원하고 있다.[4] ESP 기타 웹사이트의 아티스트 섹션에서 전체 목록을 확인할 수 있다.
루나 시의 창립자인 J가 디자인한 베이스 기타는 ESP가 제조한 가장 영향력 있는 모델 중 하나로, 5만 대 이상 판매되었다.[5] 같은 밴드의 스기조 또한 그의 디자인 아이디어를 통해 이 브랜드에 크게 기여했다.[6]
6. 1. 미국
ESP는 1980년대 스래시 메탈의 선두 주자가 된 기타리스트들을 위해 기타를 제작하고 후원하면서 명성을 얻었다. 잭슨, Dean Guitars와 같은 다른 기타 제조업체들과 함께 메탈리카, 슬레이어, 앤스랙스, 메가데스 밴드와 협력했다.[4] 이러한 후원 덕분에 ESP는 헤비메탈 기타의 가장 인기 있는 공급 업체 중 하나가 되었다.[4]ESP 기타를 사용하는 대표적인 아티스트는 다음과 같다.
- 제임스 헷필드(메탈리카)
- 커크 해밋(메탈리카)
- 톰 아라야(슬레이어)
- 제프 하네만(슬레이어)
- 게리 홀트(엑소더스, 슬레이어)
- 리 알타스(히즌, 엑소더스)
- 조지 린치
- 스티브 칸
- 데이브 세이보(스키드 로우)
- 스테판 카펜터(데프톤즈)
- 윌리 애들러(램 오브 갓)
- 웨인 스태틱(스태틱-X)
- 댄 제이콥스(아트레유)
- 에릭 멜빈(NOFX)
- 앨런 애시비(오브 마이스 앤 멘)
- 배리 스파크스(잉베이 말름스틴, 마이클 쉥커, 블랙모어스 나이트, 테드 뉴전트, 도켄, B'z 등)
6. 2. 유럽
칠드런 오브 보덤의 알렉시 라이호, 로페 라트바라, 헨카 블랙스미스, 인 플레임스의 예스퍼 스트롬블라드, 파이어윈드의 가스 G, 롤링 스톤스의 론 우드, 람슈타인의 리하르트 Z. 크루스페, 감마 레이의 카이 한센, 블릿 포 마이 발렌타인의 패지, 나이트위시의 엠푸 부오리넨, 디센딩의 콘스탄틴 등이 ESP 기타를 사용한다.6. 3. 남미
키코 루레이로 (메가데스)는 앙그라 시절에 ESP 기타를 사용했다.[4]6. 4. 일본
ESP는 1980년대 스래시 메탈의 선두 주자가 된 기타리스트들을 위해 기타를 제작하고 후원하면서 명성을 얻었다. 잭슨과 Dean Guitars와 같은 다른 기타 제조업체들과 함께 메탈리카, 슬레이어, 앤스랙스, 메가데스 밴드와 협력하여 헤비 메탈 기타의 인기 있는 공급 업체 중 하나가 되었다.[4]루나 시의 창립자인 J가 디자인한 베이스 기타는 ESP가 제조한 가장 영향력 있는 모델 중 하나로, 5만 대 이상 판매되었다.[5] 같은 밴드의 스기조 또한 그의 디자인 아이디어를 통해 이 브랜드에 크게 기여했다.[6]
ESP 기타는 많은 일본의 유명 기타리스트들이 사용하고 있다. 다음은 ESP 기타를 사용하는 대표적인 일본 아티스트들이다.
| 아티스트 | 밴드 및 활동 |
|---|---|
| THE ALFEE | |
| Char | |
| SUGIZO | LUNA SEA/X JAPAN |
| tetsuya | L'Arc〜en〜Ciel |
| Anchang | SEX MACHINEGUNS |
| Aiji | |
| 요코야마 켄 | Hi-STANDARD |
| HAWAIIAN6 | |
| MAKOTO | BRAHMAN |
| PANTHER | |
| 무라이 켄지로 | |
| 타카사키 아키라 | LOUDNESS |
| 사쿠라다 마사토 | |
| Syu | Galneryus |
| 오무라 타카요시 | |
| Dir en grey | |
| 아키 | 시드 |
| Kagrra, | |
| the GazettE | |
| 나이트메어 | |
| 바바 이쿠조 | Dragon Ash |
| HIGH and MIGHTY COLOR | |
| Mana | |
| 나카지마 타쿠이 | |
| D | |
| 세가미 준 | Crush 40 |
| 사가 | 아리스 나인. |
| 9mm Parabellum Bullet | |
| 이이즈카 마사아키 | GRANRODEO |
| YUKI | DUSTAR-3/Acid Black Cherry |
| YOUR SONG IS GOOD | |
| Versailles | |
| Leda | DELUHI・UNDIVIDE |
| 타쿠미 | sukekiyo |
| misono | |
| 레이가・이브 | ViViD |
| 옥 | |
| 혼다 야스아키 | |
| 마츠자와 히로아키 | MAKE-UP |
| 마츠모토 타카히로 | B'z |
| 시마 토시오 | TOKIO |
| Mr.Bucket | (.Bellino) |
| 아이미 | Poppin'Party (BanG Dream!) |
| 오오츠카 사에 | Poppin'Party (BanG Dream!) |
| 니시모토 리미 | Poppin'Party (BanG Dream!) |
| 쿠도 하루카 | Roselia (BanG Dream!) |
| 나카지마 유키 | Roselia (BanG Dream!) |
| 린-Lin- | Lilith (록 밴드)/Affective Synergy |
| Y.K.C | Coldrain |
| 캬안 유타카 | 골든 봄버 |
| 아타 | KNOCK OUT MONKEY |
| shun | THE SHEGLAPES |
| 사카가와 비녀마루 | 카부키 록스 |
6. 5. 아시아
ESP는 1980년대 스래시 메탈의 선두 주자가 된 기타리스트들을 위해 기타를 제작하고 후원하면서 명성을 얻었으며, 잭슨과 Dean Guitars와 같은 다른 기타 제조업체들과 함께 메탈리카, 슬레이어, 앤스랙스, 메가데스 밴드와 협력했다.[4] 이러한 후원 덕분에 ESP는 헤비 메탈 기타의 가장 인기 있는 공급 업체 중 하나가 되었다.[4]루나 시의 창립자인 J가 디자인한 베이스 기타는 ESP가 제조한 가장 영향력 있는 모델 중 하나로, 5만 대 이상 판매되었다.[5] 같은 밴드의 스기조 또한 그의 디자인 아이디어를 통해 이 브랜드에 크게 기여했다.[6]
7. 자회사 및 관련 단체
ESP 그룹은 일본과 미국에 여러 자회사를 두고 있다.
일본에는 학교법인 ESP 학원, ESP 뮤직 스쿨, ESP 기타 크래프트 아카데미, UTB 아카데미 재팬, 전문학교 뮤지션즈 인스티튜트 도쿄, 재팬 엔터테인먼트 아카데미, 트라이 스쿨, BIG BOSS 등이 있다.
미국에는 ESP 기타 컴퍼니 (미국 지사), 쉐크터, 뮤지션스 인스티튜트, LA 뮤직 아카데미, 시어터 오브 아츠, 엘레강스 인터내셔널, International Dance Academy Hollywood, 유나이티드 텔레비전 브로드캐스팅 시스템 등이 있다.
7. 1. 일본
학교법인 ESP 학원, ESP 뮤직 스쿨, ESP 기타 크래프트 아카데미, UTB 아카데미 재팬, 전문학교 뮤지션즈 인스티튜트 도쿄, 재팬 엔터테인먼트 아카데미, 트라이 스쿨, BIG BOSS7. 2. 미국
- ESP 기타 컴퍼니 (미국 지사)
- 쉐크터
- 뮤지션스 인스티튜트
- LA 뮤직 아카데미
- 시어터 오브 아츠
- 엘레강스 인터내셔널
- International Dance Academy Hollywood
- 유나이티드 텔레비전 브로드캐스팅 시스템
참조
[1]
서적
Guitar Encyclopedia
https://books.google[...]
Simon and Schuster
2014-09-02
[2]
웹사이트
ESP AND TAKAMINE ANNOUNCE PARTNERSHIP IN THE USA
http://www.espguitar[...]
2018-03-22
[3]
웹사이트
ESP Guitars Commemorates Hisatake Shibuya (1937-2024)
https://www.espguita[...]
2024-11-14
[4]
웹사이트
Artists - The ESP Guitar Company
http://www.espguitar[...]
2018-03-22
[5]
웹사이트
J、楽器メーカーESPと契約終了、そして2019年「新たな挑戦の始まり」
https://www.barks.jp[...]
2021-06-21
[6]
웹사이트
ESP - From Japan With Love
https://www.jame-wor[...]
2021-06-21
[7]
문서
河合楽器製作所、ヤマハ|日本楽器製造、元フェルナンデス (楽器メーカー)|フェルナンデス常務取締役
[8]
서적
僕らが作ったギターの名器
文春新書
2010
[9]
웹사이트
夢は叶えるもの。私たちESPグループはそう考えます。
https://espguitars.c[...]
ESP
2020-11-02
[10]
웹사이트
Win an ESP bass guitar signed by Chthonic’s Doris Yeh!
http://www.terrorize[...]
테ロライザー・マガジン
2019-11-24
[11]
웹사이트
ESP의 사업분야
http://www.espguitar[...]
[12]
웹사이트
《ESP GROUP 会社概要》
http://www.espguitar[...]
ESP Japan
2005
[13]
문서
ESP 시그네처 라인만은 이 시기 동안에도 꾸준하게 일본에서 미국으로 수출되었다.
[14]
문서
Jackson 기타와 ESP 기타는 디자인과 연주감이 여러모로 비슷했기 때문이라고 한다. ESP 모델 중에 Jackson의 베스트 셀러인 Jackson Soloist의 카피 모델이 있었다는 점도 엔도서 변경의 큰 이유가 되었을 것이다.
[15]
웹사이트
ESP-USA 엔도서 리스트
http://www.espguitar[...]
2012-05-12
[16]
웹사이트
《Signature Series Guitars of ESP》
http://www.espguitar[...]
2012-04-27
[17]
간행물
A Guitar History
Guitar World
2006-09
[18]
웹사이트
ESP Musical Academy
http://www.esp.ac.jp[...]
[19]
웹사이트
Tricycle Ent. 공식 홈피
http://www.tricycl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