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G. E. R. 로이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G. E. R. 로이드는 1933년 런던에서 태어난 영국의 고전학자이자 과학사학자이다. 그는 케임브리지 대학교 킹스 칼리지에서 교육을 받았으며, 고대 그리스 철학, 과학, 문화에 대한 연구를 수행했다. 인류학적 관점을 활용하여 고대 그리스와 중국의 과학적 담론을 비교 연구했으며, 다양한 저서를 통해 학문적 성과를 발표했다. 1983년 영국 학사원 회원으로 선출되었고, 1997년 기사 작위를 받았으며, 2013년 댄 데이비드 상을 수상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케임브리지 대학교 킹스 칼리지 교수 - 마이클 이그나티에프
    마이클 이그나티에프는 캐나다의 저명한 역사가, 소설가, 정치인이자 국제적 지식인으로, 인권, 국제 관계, 국가 건설에 관한 저술 활동과 하버드 케네디 스쿨 교수, 그리고 캐나다 연방 하원의원을 역임했다.
  • 케임브리지 대학교 킹스 칼리지 교수 - 존 메이너드 케인스
    존 메이너드 케인스는 20세기 가장 영향력 있는 경제학자 중 한 명으로, 거시경제 이론을 통해 현대 경제학과 정책에 혁명적인 변화를 가져왔으며, 정부의 적극적인 경제 개입을 옹호하는 그의 사상은 현대 경제학에 지속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 과학사학자 - 에른스트 마이어
    에른스트 마이어는 20세기 후반의 저명한 진화생물학자이자 조류학자로, 생물학적 종 개념을 명확히 제시하고 진화생물학의 환원주의를 거부하며 진화론적 종합에 크게 기여했고, 100세 넘는 나이까지 활발한 연구활동을 하며 다수의 상을 수상하고 그의 업적은 다양한 생물 종의 학명에 그의 이름이 사용되는 것으로 기념되고 있다.
  • 과학사학자 - 에른스트 마흐
    에른스트 마흐는 음속과 충격파 연구로 유명하며 뉴턴의 개념을 비판하고 마흐의 원리를 제시하여 아인슈타인에게 영향을 준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출신 물리학자이자 과학 철학자이다.
  • 영국의 역사가 - 에릭 홉스봄
    에릭 홉스봄은 영국 출신 마르크스주의 역사학자로, 《혁명의 시대》, 《자본의 시대》, 《제국의 시대》, 《극단의 시대》 등 저술을 통해 근대와 20세기를 분석했으며, 공산주의에 대한 옹호적 시각과 소련의 범죄에 대한 침묵 등의 비판을 받기도 한다.
  • 영국의 역사가 - 버트런드 러셀
    버트런드 러셀은 20세기 분석철학의 기초를 다지고 수학의 논리적 환원을 시도한 영국의 철학자, 논리학자, 수학자, 역사가, 사회 비평가, 정치 운동가로, 평화 운동에 참여했으며 노벨 문학상을 수상하여 여러 분야에 영향을 미쳤다.
G. E. R. 로이드
기본 정보
본명제프리 어니스트 리처드 로이드 경
출생1933년 1월 25일
국적영국
학력차터하우스 스쿨
킹스 칼리지, 케임브리지
경력
직업학자
분야고대사
세부 분야고전 고대 과학사
근무지킹스 칼리지, 케임브리지
다윈 칼리지, 케임브리지
학문적 활동
관심 분야과학사, 사상사
영향G.S. 커크
J.E. 레이븐
M. 스코필드
주요 저서세계 철학사 8
수상 및 멤버십
수상영국 학술원 회원 (FBA)
웨일스 학습 협회 회원 (FLSW)
기타
관련 기관니덤 연구소
웹사이트영국 학술원 회원 정보 (보관됨)

2. 초기 생애 및 교육

로이드는 1933년 런던에서 태어났으며, 웨일스 출신 결핵 전문의였던 아버지 슬하에서 성장했다.[8] 제2차 세계 대전 동안에는 지방으로 피난을 가기도 했다.[8] 그는 여섯 개의 학교를 전전하며 유년기를 보냈고, 차터하우스 스쿨에 장학생으로 입학하여 수학에 두각을 나타냈으나, 학교의 권유로 고전학을 공부하게 되었다.[8] 케임브리지 대학교 킹스 칼리지에서도 장학금을 받으며 소크라테스 이전 철학자 연구의 권위자인 존 레이븐에게 가르침을 받았다.[8] 1954년에는 아테네로 유학을 떠나 1년간 현대 그리스어를 배우고 부주키를 익혔다.[8]

2. 1. 가족 배경

로이드는 1933년 런던에서 태어났다. 그의 아버지는 웨일스 출신의 결핵 전문 의사였다.[8]

2. 2. 유년 시절 및 교육 과정

G. E. R. 로이드는 1933년 런던에서 태어났으며, 그의 아버지는 웨일스 출신의 결핵 전문의였다.[8]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지방으로 피난하여 소년 시절을 보냈다.[8] 그는 여섯 개의 다른 학교를 거치는 유목적인 조기 교육을 받았다.[8] 이후 명문 사립학교인 차터하우스 스쿨에 장학금을 받고 입학하여 수학 분야에서 뛰어난 재능을 보였지만, 고전학 중심의 교육을 받았다.[8]

케임브리지 대학교 킹스 칼리지에 장학금을 받고 진학한 그는 소크라테스 이전 철학자 전문가인 존 레이븐의 가르침을 받았다.[8] 1954년부터 1년 동안 아테네에서 유학하며 현대 그리스어를 배우고 부주키 연주를 익혔다.[8]

3. 학문적 경력

로이드는 1954년 케임브리지 대학교 킹스 칼리지에서 그리스 철학을 공부하기 시작하여 1년간 아테네에서 유학했다. 1957년부터 킹스 칼리지의 연구 펠로우로 활동했다.[2] 1958년부터 1년간 징병제로 군 복무를 하고 키프로스에 배치되기도 했다.[2]

1966년, 첫 저서 ''Polarity and Analogy''를 출간하여 학계의 주목을 받았다. 이후 프랑스 파리 대학교에서 강의하며 장 피에르 베르낭, 마르셀 드티엔느 등과 교류했다.

1981년에는 미국일본에서 강의 및 강연을 진행하며 동양 문화에 대한 관심을 키웠다. 특히 일본에서는 다나카 미치타로, 야마구치 마사오, 가와타 쇼쿠 등과 교류했다.[8] 1987년에는 베이징을 방문하여 중국 학자들과 교류하고 고전 중국어를 배우기 시작했다.[8]

2002년에는 중국 과학 사학자 네이선 시빈과 공동 연구를 진행했으며, 같은 해 일본 교토에서 동양 과학 사학자들과 심포지엄을 개최했다.[8] 2009년 현재는 스페인에서 저술 활동에 전념하고 있다.

3. 1. 케임브리지 대학교에서의 연구 활동

인류학에 대한 깊은 관심은 로이드의 고대 그리스 철학에 대한 이해에 영향을 미쳤다. 제프리 커크의 지도하에 그리스 사상의 극성유추 패턴에 대한 박사 학위 연구를 수행했으며, 수정된 논문은 1966년에 출판되었다.[2]

1960년 케임브리지로 돌아온 로이드는 에드먼드 리치와의 우연한 대화를 통해 클로드 레비스트로스가 정립한 구조 인류학의 새로운 접근 방식에 대해 깊이 탐구하게 되었다. 1965년, 모세 핀리의 지원으로 조교수로 임명되었다. 고대 그리스에서 정치적 담론이 과학적 담론과 증명 방식에 미친 영향에 대한 고찰은 그의 방법론에서 반복되는 주제였다.

3. 2. 중국학 연구로의 전환

1981년, 로이드는 미국의 여러 대학에서 강의 및 강연을 한 후, 한 달간 일본에 체류했다. 일본 서양 고전 학회와 국제기독교대학교 등에서 강의 및 강연을 하면서, 다나카 미치타로, 야마구치 마사오, 가와타 쇼쿠 등과 교류하며 동양 문화에 대한 관심을 갖기 시작했다.[8] 1987년, 베이징에 초청받아 강의 및 강연을 하고, 그곳의 학자들과 교류했다.[8] 이때부터 조지프 니덤의 연구에 영향을 받아 고전 중국어를 배우고, 중국과의 비교 연구, 즉 중국 과학사 연구를 시작했다. 그는 고대 중국과 그리스의 서로 다른 정치 문화가 해당 문화의 서로 다른 형태의 과학적 담론에 어떻게 영향을 미쳤는지를 분석했다.

3. 3. 학술 기관 및 요직 역임

1989년부터 2000년까지 케임브리지 다윈 칼리지의 부국장을 역임했다.[8] 케임브리지의 Needham Research Institute|니덤 연구소영어 이사장을 역임했다. 현재는 명예 연구원으로 남아 있다.

3. 4. 연구 방법론 및 특징

인류학에 대한 깊은 관심은 로이드의 고대 그리스 철학에 대한 이해에 영향을 미쳤다. 제프리 커크의 지도하에 수행된 그의 박사 연구는 그리스 사상의 극성유추 패턴에 초점을 맞추었고, 수정된 이 논문은 1966년에 출판되었다.

1960년 케임브리지로 돌아온 그는 에드먼드 리치와의 우연한 대화로 인해 클로드 레비스트로스가 정립한 구조 인류학의 새로운 접근 방식에 대해 깊이 탐구하게 되었다. 1965년, 모세 핀리의 지원 덕분에 그는 조교수로 임명되었다. 고대 그리스에서 정치적 담론이 과학적 담론과 증명 방식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에 대한 고찰은 그의 방법론에서 반복되는 주제였다.

1987년 중국 강연 방문 이후 로이드는 고전 중국어 연구로 전환했다. 이는 조지프 니덤의 선구적인 연구에 이어 고대 중국과 그리스의 서로 다른 정치 문화가 해당 문화의 서로 다른 형태의 과학적 담론에 어떻게 영향을 미쳤는지를 분석하는 그의 최근 연구에 광범위한 비교 범위를 추가했다.

로이드의 연구는 정통적인 문헌학에 기초하면서, 사회인류학, 민속지학, 인지과학, 발달심리학, 언어학 등의 성과도 원용하고 있다.[9] 그 외, 해석에 있어서의 관용의 원리론이나, 이언 해킹, Alistair Cameron Crombie|앨리스터 캐머런 크롬비영어 등을 참고한 과학사관론도 다루고 있다.[9]

4. 주요 연구 주제 및 업적

문헌학에 기반을 두면서도, 사회인류학, 민속지학, 인지과학, 발달심리학, 언어학 등의 성과를 활용한다. 해석에서의 관용의 원리론이나, 이언 해킹 등을 참고한 과학사관론도 다룬다.[9]

4. 1. 비교 문화 연구: 그리스와 중국

로이드는 1980년대부터 동양 문화, 특히 중국 문화에 관심을 갖기 시작했다. 1981년 일본에 한 달간 체류하며 다나카 미치타로, 야마구치 마사오, 가와타 쇼쿠 등과 교류했고, 일본 서양 고전 학회와 국제기독교대학교 등에서 강의했다.[8] 1987년에는 베이징에 초청받아 강의하고, 그곳 학자들과 교류하며 고전 중국어를 배우고 중국과의 비교 연구를 시작했다.[8]

2002년에는 중국 과학 사학자 네이선 시빈과 공동 연구를 진행했다.[8] 같은 해 일본을 다시 방문하여 가와하라 히데키, 키노시타 테츠야, 히라타 마사시, 아카마츠 아키히코와 교토에서 심포지엄을 개최했다.[8]

5. 수상 경력 및 영예

로이드는 1983년 영국 학사원 회원으로 선출되었고, 1987년 과학사학회의 조지 사톤 메달을, 2007년 케니언 메달을 수상했다.[3] 1995년 미국 예술 과학 아카데미 명예 외국인 회원으로, 1997년에는 '사상사 기여'로 기사작위를 받은 해에 국제 과학사 아카데미 회원으로 선출되었다. 2013년에는 고대 세계의 현대적 유산에 대한 댄 데이비드 상을 수상했다.[4] 그는 국제 학술 포럼의 자문 위원이다. 2013년에는 전통적인 경계와 패러다임을 뛰어넘는 혁신적이고 학제 간 연구를 인정받아 [https://www.dandavidprize.org/laureates/2013/157-past-classics,-the-modern-legacy-of-the-ancient-world/486-prof-sir-geoffrey-lloyd 댄 데이비드 상]을 받았다. 2014년에는 상호 문화적 인지에 대한 연구로 국제 피센 상을 받았다. 2015년에는 웨일스 학술원 회원(FLSW)으로 선출되었다.[5]

연도수상 및 영예
1983년영국 학사원 펠로우
1987년과학사학회 조지 사톤 메달
1995년미국 예술 과학 아카데미 명예 외국인 회원
1997년기사작위, 국제 과학사 아카데미 회원
2007년케니언 메달
2013년댄 데이비드 상
2014년국제 피센 상
2015년웨일스 학술원 회원(FLSW)


6. 저서

로이드는 연구 결과를 담은 다양한 저서를 출판했다. 다음은 한국어로 번역된 주요 저서 목록이다.


  • 1973년: 《아리스토텔레스: 그 사상의 성장과 구조》 (카와다 쇼쿠 번역, 미스즈 서방, 1998년 신장판)
  • 1989년: 〈과학과 기술의 탄생: 그리스에서의 과학의 탄생〉 (타카오 켄시 번역, 《아인슈타인과 손수레: 작은 의문과 큰 문제》, 신평론)
  • 1994년: 《동서 비교는 가능한가: G.E.R. 로이드와의 대화》 (누마타 히로유키・카와다 쇼쿠 편, 페디라비움회)
  • 1994년: 《초기 그리스 과학: 탈레스부터 아리스토텔레스까지》 (야마노 코지・야마구치 요시히사 번역, 호세이 대학 출판국, 총서 유니베르시타스)
  • 2000년: 《후기 그리스 과학: 아리스토텔레스 이후》 (야마노 코지・야마구치 요시히사・카네야마 야헤이 번역, 호세이 대학 출판국, 총서 유니베르시타스)
  • 2004년: 〈그리스 의학과 문화에서의 '정화'의 애매함〉 (사이토 켄타로 번역, 《부패와 재생》, 코스게 하야토 편, 게이오기주쿠 대학 출판회)
  • 2009년: 《고대 세계 현대의 성찰: 그리스 및 중국의 과학・문화에 대한 철학적 시좌》 (카와다 쇼쿠・카네야마 야헤이・카네야마 마리코・이즈미 치에 번역, 이와나미 서점)
  • 2014년: 〈고대 세계에서의 수학이란 무엇이었는가? 그리스와 중국의 시점〉 (사이토 켄・오가와 츠카사 번역, 《옥스퍼드 수학사》, Eleanor Robson;Jacqueline Stedall 편, 사이토 켄・미우라 노부오・미야케 카츠야 감수, 쿄리츠 출판)


로이드의 영문 저서 목록은 영문 위키백과 문서에서 확인할 수 있다.

7. 한국 사회에 대한 시사점

로이드의 비교 문화 연구는 유교 문화의 영향을 깊게 받은 한국 사회에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참조

[1] 웹사이트 British Academy Fellowship entry https://web.archive.[...] 2008-06-18
[2] 간행물 London Gazette 1959-05-19
[3] 웹사이트 Kenyon Medal 2007 https://web.archive.[...] British Academy 2015-06-13
[4] Citation Dan David Prize • Laureates 2013 • Sir Geoffrey Lloyd http://www.dandavidp[...] 2014-08-30
[5] 웹사이트 Fellows Elected 2015 http://learnedsociet[...] Learned Society of Wales 2015-05-02
[6] 서적 ソクラテス以前の哲学者たち 京都大学学術出版会 2006
[7] 서적 世界哲学史 8 筑摩書房〈ちくま新書〉
[8] 웹사이트 論集「古典の世界像」 http://www.classics.[...] 문부과학성 과학연구비 특정영역연구「고전학의 재구축」(1998-2002) 2021-09-19
[9] 문서 '古代の世界 現代の省察 : ギリシアおよび中国の科学・文化への哲学的視座'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