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사회인류학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사회인류학은 인간 사회와 문화를 연구하는 학문으로, 문화인류학과 비교하여 사회 관계의 특정 시스템과 사회 생활의 조직적 기반에 분석적 우선 순위를 둔다. 관습, 경제, 정치 조직, 법, 사회 갈등 해결, 혈연, 가족 구조, 성별 사회학, 종교 등을 포함한 다양한 주제를 탐구하며, 세계화, 젠더 연구, 사이버 공간 등 현대 사회의 문제에도 관심을 가진다. 연구 방법론으로는 장기적인 질적 연구, 참여 관찰을 강조한다. 사회인류학은 경제학, 정치학, 사회학과 구별되며, 윤리적, 반성적 측면을 고려하며 연구가 진행된다. 19세기 고전학, 민족지학 등에서 기원했으며, 말리노프스키와 래드클리프-브라운 등의 학자들을 통해 발전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사회인류학 - 리미널리티
    리미널리티는 통과의례에서 유래하여 사회과학적 개념으로 발전되었으며, 개인이나 사회가 기존 상태에서 새로운 상태로 넘어가는 과도기적 단계를 의미하며 정체성 해체와 새로운 관점 획득의 가능성을 내포한다.
  • 사회인류학 - 참여 관찰
    참여 관찰은 사회과학 연구 방법으로, 연구자가 대상 집단에 참여하여 관찰 및 자료를 수집하는 질적 연구 방법이지만, 연구자의 주관성 개입, 일반화의 어려움 등 한계를 지니므로 윤리적 고려가 필수적이며, 멤버 체크와 삼각측량을 통해 신뢰성을 확보해야 한다.
  • 입력지원 - 인류학
    인류학은 인간의 생물학적, 문화적, 사회적 측면을 종합적으로 연구하는 학문으로, 형질인류학, 문화인류학, 고고학, 언어인류학 등의 분야로 나뉘어 인간의 진화, 문화적 다양성, 사회 조직, 언어의 기원과 발전을 탐구하며, 학제 간 연구를 통해 인간과 사회에 대한 포괄적인 이해를 추구한다.
  • 입력지원 - 양궁
    양궁은 활과 화살로 표적을 맞히는 스포츠로, 선사 시대부터 무기로 사용되다가 1538년 영국에서 스포츠로 발전하여 올림픽 정식 종목으로 채택되었으며, 대한민국에서는 1950년대 말부터 시작되어 국제 대회에서 경기가 열린다.
  • 사회 및 사회과학 - 지리학
    지리학은 지구와 천체의 특징, 현상, 그리고 공간적 요소를 체계적으로 연구하는 학문으로, 고대부터 현재까지 이어진다.
  • 사회 및 사회과학 - 인류학
    인류학은 인간의 생물학적, 문화적, 사회적 측면을 종합적으로 연구하는 학문으로, 형질인류학, 문화인류학, 고고학, 언어인류학 등의 분야로 나뉘어 인간의 진화, 문화적 다양성, 사회 조직, 언어의 기원과 발전을 탐구하며, 학제 간 연구를 통해 인간과 사회에 대한 포괄적인 이해를 추구한다.
사회인류학
사회인류학
주요 분야
하위 분야법률 인류학
경제 인류학
정치 인류학
종교 인류학
의료 인류학
도시 인류학
기술 인류학
사회인류학의 특징
연구 방법참여 관찰
민족지
중심 주제사회 구조
사회 조직
사회 제도
문화
상징
의례
사회인류학의 역사
기원19세기 말
주요 학자에밀 뒤르켐
브로니스와프 말리노프스키
알프레드 레지널드 래드클리프브라운
마르셀 모스
사회인류학 vs 문화인류학
차이점사회인류학은 사회 구조와 조직에 초점을 맞춤
문화인류학은 문화적 신념, 가치, 관행에 초점을 맞춤
두 분야는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으며, 상호 영향을 줌
사회인류학의 영향
학문적 기여사회, 문화, 인간 행동에 대한 이해 증진
실천적 응용공공 정책
국제 개발
의료
교육
관련 학문
사회학사회 구조와 조직 연구
문화 연구문화 현상 연구
철학사회적, 도덕적 가치에 대한 고찰
심리학인간 행동 연구
저명한 사회인류학자
주요 학자클로드 레비스트로스
메리 더글러스
어니스트 겔너
마이클 푸코
피에르 부르디외
게오르그 짐멜
참고 자료
관련 문서문화인류학
인류학
사회학
민족지
참여 관찰
관련 학술지사회인류학

2. 문화인류학과의 비교

문화인류학은 주로 사람들의 지식, 관습, 제도 등 문화가 개인의 경험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포괄적인 관점을 제공하는 민족지 연구에 중점을 둔다. 반면 사회인류학은 가정 생활, 경제, , 정치, 종교 등 사회 관계의 특정 시스템을 분리하고, 사회 생활의 조직적 기반에 분석적 우선 순위를 두며, 문화 현상은 부차적인 것으로 간주한다.[3]

현대 사회인류학은 세계화, 민족 폭력, 젠더 연구, 초국가주의, 지역 경험, 사이버 공간의 새로운 문화, 환경 문제 등 다양한 주제를 다룬다.[4][5] 질리언 테트(Gillian Tett), 카렌 호(Karen Ho)와 같은 인류학자들은 2007년-2010년 금융 위기에 대해 경제·정치이론에 기반한 설명 대신 대안적인 설명을 제시하기도 했다.[6]

영국, 프랑스, 미국의 사회문화 인류학 간의 차이는 이론과 방법 모두에서 대화와 차용이 증가함에 따라 줄어들었다. 많은 인류학 연구소에서 사회인류학과 문화인류학을 통합하는 경향을 보이며, 이에 따라 기관 명칭이 학문 분야의 내용을 완전히 반영하지 못하는 경우도 있다. 사회 및 문화 인류학 연구소[7]처럼 구성 변화를 반영하여 이름을 변경하거나, 켄트 대학교의 사회인류학과[8] 같이 단순히 인류학으로 변경된 경우도 있지만, 대부분은 설립 당시의 이름을 유지한다.

2. 1. 질적 연구 방법론

사회인류학은 경제학, 정치학, 사회학에서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설문조사, 설문지, 단기 현장 방문과 같은 양적 분석보다, 참여 관찰을 강조하는 장기 질적 연구를 선호한다.[21] 질적 연구는 집중 현장 연구를 포함하며, 언어 능력에 기반한 미시 연구를 통해 관련성과 통찰력을 제공한다.[22] 많은 사회인류학자들이 지역 경제, 인구통계학, 인간 생태학, 인지 또는 건강 및 질병과 같은 주제를 연구할 때 정량적 방법을 사용하기도 한다.

2. 2. 인지인류학과의 비교 및 접점

인지인류학은 사람들이 세상의 사건과 사물을 어떻게 표상하고 생각하는지를 연구하며, 인간의 사고 과정과 문화의 물질적, 관념적 측면을 연결한다.[10] 사회인류학과 인지인류학은 인지 발달 분야에서 교차하며, 사회를 구성하는 과정을 이해하기 위한 공동 연구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신경과학 연구는 행동 성향(문화적 모델, 스키마 등의 외재화; 인지인류학 참조)이 개인의 뇌 발달, 신경 배선 및 신경 화학적 항상성에 나타나는 생물학적 및 문화적 요인의 산물임을 보여준다.[16] 신경과학에서는 어떤 맥락에서든 관찰된 인간의 행동은 생물학적 및 문화적 상호 작용의 긴 사슬에서 마지막 사건으로 본다.[17][18] 뇌 해부학은 신경가소성의 영향을 받으며, 신경 시스템 형성은 상황적(문화적), 역사적 의존성(이전 경험) 메커니즘에 의존한다.[19] 사회학, 인류학, 인지 과학적 관점을 연결하면 공유된 문화적 지식[20]을 평가하고, 암묵적인 사회적 규범과 신념의 기저에 있는 과정을 이해하며, 사회를 구성하는 개인적 가치 형성 과정을 연구할 수 있다.

3. 사회인류학의 초점과 실제

사회인류학은 경제학이나 정치학과는 달리 그 범위가 전체론적이며, 전 세계 사회와 문화의 다양성을 비교 연구하고, 이를 통해 유럽-미국 중심적 가정을 재검토한다는 점에서 차별성을 가진다. 사회학과 비교했을 때, 사회인류학은 장기간의 참여 관찰과 언어 능력에 기반한 주요 방법론[21]과 미시 연구를 통해 관련성과 통찰력을 제공하는 데 주력한다. 또한 사회 현상뿐만 아니라 문화, 예술, 개성, 인지까지 연구 범위를 확장한다.[22] 지역 경제, 인구통계학, 인간 생태학, 인지, 건강 및 질병과 같은 주제를 연구할 때는 정량적 방법을 사용하기도 한다.

3. 1. 전문 분야

사회인류학 내 전문 분야는 연구 대상의 변화와 새로운 지적 패러다임의 등장에 따라 변화한다. 음악학과 의학인류학은 잘 정립된 전문 분야의 예시이다.[23]

최근 및 현재의 전문 분야는 다음과 같다.

  • 인지 발달 - 신경가소성과 공유 의도성 접근 방식에 대한 신경과학 연구, 확장된 마음 논제: 인지 발달에서의 생태 학습에 대한 인류학적 분석[24][16]
  • 새로운 기술에 대한 사회적, 윤리적 이해 - 인류학자들이 일상생활, 문화 재생산 및 인류 진화를 분석하는 방식[25]
  • 혈족 - 혈족을 모델로 한 "가족"과 다른 새로운 사회성의 출현 형태[26]
  • 포스트 사회주의 위기 - 국가 사회주의의 몰락으로 인한 지속적인 사회적 여파[27]
  • 재기하는 종교성의 정치[28]
  • 감사 문화 - 감사 문화와 책임에 대한 분석[29]

3. 2. 윤리적 고려 사항

사회인류학은 윤리적 및 반성적 측면을 모두 가지고 있다. 연구자들은 학자들이 연구 대상을 어떻게 만들어내는지, 그리고 인류학자 자신들이 연구하는 사회의 변화 과정에 어떻게 기여할 수 있는지 인식해야 한다. 호손 효과는 연구 대상이 자신들이 관찰되고 연구되고 있다는 사실에 반응하여 행동을 바꿀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예시이다.

4. 사회인류학의 역사

사회인류학은 19세기 고전학, 민족지학, 민족학, 민속학, 언어학, 사회학 등 여러 학문 분야에서 역사적 기원을 갖는다.[30] 19세기 후반 에드워드 버넷 타일러제임스 조지 프레이저의 연구에서 직접적인 전신이 나타났으며, 1890년부터 1920년까지 방법론과 이론 모두에서 중대한 변화를 겪었다. 이러한 변화에는 독창적인 현지 조사, 자연 환경에서의 장기적인 사회 행동에 대한 전체론적 연구 강조, 프랑스와 독일 사회 이론의 도입 등이 있었다.[30]

브로니슬라프 말리노프스키는 현지어를 사용하고 지역 주민들의 일상생활에 몰입하는 장기 현지 조사를 강조하여 영국 사회인류학에 큰 영향을 주었다.[30] 프란츠 보아스문화 상대주의 개념을 도입하여 문화는 세계에 대한 서로 다른 생각에 기초하며, 따라서 그 고유의 기준과 가치에 따라서만 제대로 이해될 수 있다고 주장했다.[31]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사회인류학은 영국런던 정치경제대학교에서 브로니슬라프 말리노프스키의 과정 중심적 현지 조사와 알프레드 래드클리프브라운의 구조 기능주의적 프로그램을 통해 발전했다.[36][37][38] 알프레드 래드클리프브라운은 사회 제도가 사회 시스템의 균형을 유지하는 방식에 초점을 맞춘 구조 기능주의 접근 방식을 개발했다.[37][38]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사회문화인류학은 미국식 문화인류학과 유럽식 사회인류학으로 분리되었다. 유럽 사회인류학은 구조 기능주의를 비판하고, 클로드 레비스트로스의 구조주의와 맥스 글럭만의 사상을 받아들여 갈등, 변화, 도시인류학 및 네트워크 연구를 포용하며 다양화되었다.[39][40] 1960년대와 1970년대 후반, 에드먼드 리치와 그의 제자들은 프랑스 구조주의를 도입했다.

1989년, 유럽 사회인류학자 협회(EASA)가 설립되어 유럽의 인류학 발전을 도모하고 있다.[1]

4. 1. 신제국주의 시대와 인간 동물원

1870년대부터 시작된 신제국주의 시대에 동물원, 특히 소위 "민족학 전시" 또는 "흑인 마을"은 방치된 "실험실"이 되었다. 아메리카, 아프리카, 아시아의 "야만인"들이 종종 알몸으로 우리에 갇혀 전시되었는데, 이는 "인간 동물원"이라고 불린다. 1906년, 콩고 피그미족인 오타 벤가는 미국 인류학자 매디슨 그랜트에 의해 브롱크스 동물원 우리에 갇히게 되었고, 오랑우탄과 "백인종" 사이의 "잃어버린 고리"로 표시되었다. 이러한 전시회는 과학적 인종차별주의의 타당성을 설명하고 증명하려는 시도였다. 1931년 파리의 식민지 박람회에서는 뉴칼레도니아 출신의 카나크족이 "원주민 마을"에 전시되었고, 6개월 동안 2,400만 명의 관람객을 기록하며 이러한 "인간 동물원"의 인기를 보여주었다.[31]

4. 2. 타일러와 프레이저

에드워드 버넷 타일러


에드워드 버넷 타일러(1832–1917)와 제임스 프레이저(1854–1941)는 일반적으로 영국의 현대 사회 인류학의 선구자로 여겨진다. 타일러는 멕시코로 현장 조사를 실시했지만, 그와 프레이저 모두 비교 연구를 위한 자료 대부분을 광범위한 독서(주로 고전 문헌 (고대 그리스로마의 문학과 역사), 초기 유럽 민속학자들의 연구, 선교사, 여행가, 당대 민족학자들의 보고서)를 통해 얻었으며, 현장 연구를 통해 얻은 것은 아니었다.[32]

타일러는 단일 계통설과 '인류의 균일성'을 강력하게 주장했다.[32] 그는 문화 확산설 이론의 기반을 마련했는데, 서로 다른 집단이 유사한 문화 형태나 기술을 갖게 되는 세 가지 방법을 "독자적인 발명, 먼 지역의 조상으로부터의 상속, 한 종족에서 다른 종족으로의 전승"으로 설명했다.[33]

타일러는 문화에 대한 초기이자 영향력 있는 인류학적 개념 중 하나를 "지식, 신념, 예술, 도덕, 법률, 관습, 그리고 인간이 사회 구성원으로서 습득한 다른 모든 능력과 습관을 포함하는 복합적인 전체"로 정의했다.[34] 그러나 스토킹이 지적했듯이, 타일러는 주로 특정 문화 요소의 분포를 묘사하고 지도화하는 데 관심이 있었고, 더 큰 기능에는 관심이 없었다. 그는 후대 인류학자들이 제안한 비방향적이고 다계통적인 문화 변화의 개념보다는 일반적으로 빅토리아 시대의 진보 개념을 받아들인 것으로 보인다. 타일러는 또한 인간의 종교적 신념의 기원에 대해 이론화하여 애니미즘을 가장 초기 단계로 제시하고, "종교"에는 많은 구성 요소가 있으며, 그중 가장 중요한 것은 초자연적 존재에 대한 신념(도덕 체계, 우주론 등과는 대조적으로)이라고 생각했다.

스코틀랜드 학자인 프레이저는 종교 연구, 신화학, 마법에 관심을 가졌다. 그의 비교 연구(특히 여러 판본으로 출판된 『황금 가지』)는 전 세계적으로 종교적 신념과 상징의 유사성을 분석했다. 그러나 타일러와 프레이저 모두 현장 연구에 특별히 관심이 없었고, 문화 요소와 제도가 어떻게 서로 연결되는지에 대해서도 관심이 없었다. 『황금 가지』는 초판 이후 후속 판본에서 크게 축약되었다.

4. 3. 말리노프스키와 영국 학파

20세기 초, 많은 인류학자들은 문화 요소의 범주화에 불만을 품고, 역사적 재구성을 점점 더 추측적인 것으로 보았다. 몇몇 젊은 학자들의 영향으로, 영국 인류학자들은 사회가 현재 어떻게 유지되는지 분석하는 데 중점을 둔 새로운 접근 방식을 발전시켰다. 이는 통시적 또는 역사적 분석이 아닌 동시적 분석을 강조하고, 장기간(1년에서 수년)의 몰입 현지 조사를 강조하는 방식이었다.[35]

브로니슬라프 말리노프스키, 폴란드 인류학자이자 런던정경대학교의 민족지학자


캠브리지 대학교는 1898년 알프레드 코트 해든이 조직하고 의사이자 인류학자인 윌리엄 리버스를 비롯하여 언어학자, 식물학자 등이 포함된 다학제적 원정대를 토레스 해협 제도로 파견했다. 이 원정의 결과는 민족지학적 기술에 대한 새로운 기준을 설정했다.[35]

15년 후, 폴란드 인류학 학생인 브로니슬라프 말리노프스키(1884~1942)는 기존 방식대로 문화적 항목 목록을 수집하는 짧은 기간의 현지 조사를 시작하려던 중 1차 세계 대전의 발발로 뉴기니에 발이 묶였다.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국민이자 영국 제국 식민지에 거주하고 있었던 그는 수년 동안 뉴기니에 갇히게 되었다.[35]

말리노프스키는 그 시간을 영국 인류학자들이 해왔던 것보다 훨씬 더 집중적인 현지 조사를 수행하는 데 사용했으며, 그의 고전적인 민족지학 연구인 "서태평양의 아르고나우타이"(1922)는 참여 관찰을 통해 "원주민의 관점"을 얻는 현지 조사에 대한 표준적인 접근 방식을 옹호했다. 이론적으로 그는 사회 제도가 개인의 욕구를 충족시키는 기능을 어떻게 하는지 조사하는 기능주의적 해석을 옹호했다.[35]

4. 4. 1920년대~1940년대

현대 사회인류학은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영국의 런던 정치경제대학교(London School of Economics and Political Science)에서 창립되었다.[36] 브로니슬라프 말리노프스키(Bronisław Malinowski)가 1915년부터 1918년까지 멜라네시아(Melanesia)의 트로브리안드 제도(Trobriand Islands)에서 수행한 과정 중심적 현지 조사(fieldwork)[36]와 알프레드 래드클리프브라운(Alfred Radcliffe-Brown)의 구조 기능주의적 프로그램[37][38]이 영향을 주었다.

알프레드 래드클리프브라운(A. R. Radcliffe-Brown)


알프레드 래드클리프브라운(A. R. Radcliffe-Brown)은 1922년에 ''안다만 섬 주민들(The Andaman Islanders)''을 출판하였다. 그는 안다만 제도(Andaman Islands)에서 현지 조사를 수행하였고, 에밀 뒤르켐(Émile Durkheim)과 마르셀 모스(Marcel Mauss)의 저서를 읽은 후, 의식과 신화의 의미와 목적에 면밀히 주의를 기울인 자신의 연구 결과를 출판했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그는 사회의 제도가 사회 시스템의 균형을 맞추거나 창출하여 조화롭게 기능하도록 유지하는 방식에 초점을 맞춘 구조 기능주의(structural functionalism) 접근 방식을 개발했다.

말리노프스키와 래드클리프브라운의 영향력은 그들이 적극적으로 학생들을 교육하고 자신의 프로그램적 야망을 더욱 발전시키는 제도를 적극적으로 구축했기 때문이다. 특히 래드클리프브라운의 경우 영국 제국 및 연방 전역의 대학에서 강의를 하면서 "사회인류학"에 대한 자신의 의제를 널리 전파했다. 1930년대 후반부터 전후 시대까지 일련의 단행본과 편집된 책들이 영국 사회인류학(BSA)의 패러다임을 확립했다. 유명한 민족지 연구로는 에드워드 에반스프리차드(Edward Evan Evans-Pritchard)의 ''누에르족(The Nuer)''과 마이어 포르테스(Meyer Fortes)의 ''탈렌시족의 씨족 동태(The Dynamics of Clanship Among the Tallensi)''가 있으며, 잘 알려진 편집된 책으로는 ''아프리카 친족 및 결혼 제도(African Systems of Kinship and Marriage)''와 ''아프리카 정치 제도(African Political Systems)''가 있다.

4. 5. 제2차 세계 대전 이후의 동향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사회문화인류학은 미국식 문화인류학과 유럽식 사회인류학으로 분리되었다. 유럽 사회인류학은 구조 기능주의를 비판하고, 클로드 레비스트로스의 구조주의와 맥스 글럭만의 사상을 받아들여 갈등, 변화, 도시인류학 및 네트워크 연구를 포용하며 다양화되었다.[39][40]

맨체스터 학파는 로드스-리빙스톤 연구소의 많은 동료들과 맨체스터 대학교의 학생들과 함께 마르크스주의 이론을 도입하고, 갈등과 갈등 해결을 강조하며, 개인들이 사회 구조적 가능성을 협상하고 활용하는 방식에 주목함으로써 영국 사회인류학회(BSA)를 새로운 방향으로 이끌었다. 이 기간 동안 글럭만은 미국 인류학자 폴 보하난과 인류학적 법 연구 내의 민족지학적 방법론에 대한 논쟁에도 참여했다. 그는 민족지 자료에 사용된 토착 용어는 독자를 위해 영미권 법률 용어로 번역되어야 한다고 믿었다. 영국 및 연방 사회인류학회는 1946년에 설립되었다.[41]

1960년대와 1970년대 후반, 에드먼드 리치와 그의 제자 메리 더글러스, 누르 야만 등은 클로드 레비스트로스의 방식으로 프랑스 구조주의를 도입했다.

4. 6. 1980년대부터 현재까지

유럽 사회인류학자 협회(EASA)는 1989년 14개 유럽 국가 출신 창립 회원들의 회의에서 웬너그렌 인류학 연구 재단의 지원을 받아 학술 단체로 설립되었다.[1] 본 협회는 격년제 학술대회 개최와 학술지 ''Social Anthropology/Anthropologies Social'' 발행을 통해 유럽의 인류학 발전을 도모하고 있다.[1] 다양한 대학의 사회인류학과는 연구 분야의 여러 측면에 중점을 두는 경향이 있으며, 전 세계 여러 대학에서 찾아볼 수 있다.[1] 사회인류학 분야는 구조와 역동성과 같은 하위 분야에서 창립자들이 예상치 못한 방식으로 확장되었다.[1]

5. 사회인류학과 관련된 인물


  • 안드레 베테이유(Andre Beteille)
  • 알렉산다르 보스코비치(Aleksandar Boskovic)
  • 에드먼드 스노우 카펜터(Edmund Snow Carpenter)
  • 필립 데스콜라(Philippe Descola)
  • 메리 더글러스(Mary Douglas)
  • 토마스 힐란드 에릭센(Thomas Hylland Eriksen)
  • 이.이. 에반스-프리처드(E. E. Evans-Pritchard)
  • 레이먼드 퍼스(Raymond Firth)
  • 로즈메리 퍼스(Rosemary Firth)
  • 마이어 포르테스(Meyer Fortes)
  • 어니스트 겔너(Ernest Gellner)
  • 스티븐 D. 글레이저(Stephen D. Glazier)
  • 잭 구디(Jack Goody)
  • 데이비드 그레이버(David Graeber)
  • 돈 칼브(Don Kalb)
  • 아담 쿠퍼(Adam Kuper)
  • 에드먼드 리치(Edmund Leach)
  • 머레이 리프(Murray Leaf)
  • 클로드 레비스트로스(Claude Lévi-Strauss)
  • 데이비드 맥도걸(David MacDougall)
  • 주디스 맥도걸(Judith MacDougall)
  • 앨런 맥퍼런(Alan Macfarlane)
  • 브로니스와프 말리노프스키(Bronisław Malinowski)
  • 지그프리트 프리드리히 나델(Siegfried Frederick Nadel)
  • 에이.에이치.제이. 프린스(A.H.J. Prins)
  • 알프레드 래드클리프-브라운(Alfred Radcliffe-Brown)
  • 후안 마우리시오 레놀드(Juan Mauricio Renold)
  • 오드리 리처즈(Audrey Richards)
  • 빅터 터너(Victor Turner)
  • 마셜 살린스(Marshall Sahlins)
  • 마릴린 스래던(Marilyn Strathern)
  • 헤베 베수리(Hebe Vessuri)
  • 수전 비스바나탄(Susan Visvanathan)
  • 더글러스 R. 화이트(Douglas R. White)
  • 에릭 울프(Eric Wolf)
  • 로버트 레이턴

참조

[1] 논문 Cultural Anthropology or Social Anthropology? A Transatlantic Argument http://cairn-int.inf[...] 2012
[2] 웹사이트 Benchmark Statement Anthropology (UK) http://www.qaa.ac.uk[...] QAA (UK) 2012-01-09
[3] 블로그 Anthropology for beginners: Social and cultural anthropology http://sumananthroma[...] 2010-06-11
[4] 웹사이트 The Department of Anthropology at Harvard University http://www.fas.harva[...] Fas.harvard.edu 2011-03-27
[5] 서적 An Introduction to Social Anthropology: Other People's Worlds Macmillan Press Ltd 1999
[6] 논문 Disciplining Investment Bankers, Disciplining the Economy: Wall Street’s Institutional Culture of Crisis and the Downsizing of American Corporations 2009
[7] 웹사이트 Institute of Social and Cultural Anthropology http://www.isca.ox.a[...]
[8] 웹사이트 School of Anthropology and Conservation http://www.kent.ac.u[...]
[9] 서적 Research Methods in Anthropology Alta Mira Press 2006
[10] 서적 The Development of Cognitive Anthropology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5
[11] 서적 Primitive Culture J.P. Putnam's Sons 1920
[12] 논문 Cultural consonance and psychological distress: Examining the associations in multiple cultural domains 2007
[13] 서적 Culture in mind: Cognition, culture, and the problem of meaning Oxford University Press 1998
[14] 논문 Activation makes words more accessible, but not necessarily more retrievable 1984
[15] 논문 Frequency and the conference of referential validity 1977
[16] 논문 Culture, neurobiology, and human behavior: new perspectives in anthropology 2017
[17] 서적 The tell-tale brain: a neuroscientist’s quest for what makes us human W.W.Norton 2011
[18] 서적 Neurophilosophy at w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7
[19] 서적 Cerebral plasticity: new perspectives MIT Press 2011
[20] 논문 Bridging sociology with anthropology and cognitive science perspectives to assess shared cultural knowledge 2020
[21] 서적 Contemporary Studies in Anthropology: a reading Mittal Publications 2010
[22] 논문 Who Studies Humanity? The Scope of Anthropology 1985
[23] 논문 Monoclonal Antibodies to Migraine: Witnesses to modern biomedicine, an AZ Queen Mary, University of London 2014
[24] 논문 The extended mind 1998
[25] 논문 Social anthropology of technology 1992
[26] 서적 Argonauts of West Africa: Unauthorized Migration and Kinship Dynamics in a Changing Europ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023
[27] 백과사전 Postsocialism http://doi.org/10.29[...] The Open Encyclopedia of Anthropology 2021
[28] 논문 New Technologies—Old Anthropologies? 2017
[29] 서적 Audit Cultures: Anthropological Studies in Accountability, Ethics and the Academy Routledge 2000
[30] 서적 Anthropology and Anthropologists: The Modern British School https://books.google[...] Routledge and Kegan Paul 1973
[31] 서적 An Introduction to Social Anthropology: Other People's Worlds Palgrave 1999
[32] 논문 Matthew Arnold, E. B. Tylor, and the Uses of Invention http://www.aaanet.or[...] 1963
[33] 서적 Researches into the early history of mankind the development of civilization John Murray 1865
[34] 서적 Primitive culture: researches into the development of mythology, philosophy, religion, art, and custom John Murray 1871
[35] 서적 A diary in the strict sense of the term Harcourt, Brace & World 1967
[36] 서적 Argonauts of the Western Pacific: An account of native enterprise and adventure in the Archipelagoes of Melanesian New Guinea Routledge and Kegan Paul 1922
[37] 서적 The Expansive Moment: The Rise of Social Anthropology in Britain and Africa, 1918-1970 http://www3.cambridg[...]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5
[38] 서적 One Discipline, Four Ways: British, German, French, and American anthropology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005
[39] 서적 Comparative Studies: Introduction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66
[40] 서적 A History of Anthropological Theory Broadview Press 2008
[41] 웹사이트 Welcome to Association of Social Anthropologists of the UK and Commonwealth http://www.theasa.or[...] 2011-03-27
[42] 논문 The American Historical Review 1997-12
[43] 웹사이트 After-dinner talk by Andre Beteille http://www.dspace.ca[...] 2006-05-05
[44] 웹사이트 Interview of Mary Douglas http://www.dspace.ca[...] 2006-03-07
[45] 웹사이트 Interview with Rosemary Firth http://www.dspace.ca[...] 2004-06-29
[46] 웹사이트 Lectures on Political and Economic Anthropology http://www.dspace.ca[...] 2006-02-2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