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ACCP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HACCP(해썹)은 식품, 축산물, 사료 등의 제조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생물학적, 화학적, 물리적 위해요소를 과학적으로 분석하고 예방하는 시스템이다. 이는 소비자에게 안전한 제품을 공급하기 위한 사전 예방적 식품안전관리체계로, 위해 요소 분석과 중요 관리점 설정을 핵심으로 한다. HACCP은 식품의 안전성을 높이기 위해 12단계 절차와 7원칙을 따르며, 식품의약품안전처와 농림축산식품부에서 각각 식품 및 축산물, 사료를 관리한다. HACCP는 미국 NASA와 필스버리 컴퍼니의 협력으로 개발되었으며, 국제 표준인 ISO 22000에도 포함되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품질 경영 - ISO 9000
ISO 9000은 국제 표준화 기구(ISO)가 제정한 품질 경영 시스템의 기본 원칙과 용어에 관한 국제 규격으로, 품질의 정의, 핵심 개념, 프로세스 접근 방식 등을 제시하며 조직이 품질 경영 시스템을 구축하고 개선하는 데 필요한 틀을 제공하는 품질 경영 시스템 표준인 ISO 9001을 비롯한 다양한 규격으로 구성되어 있다. - 품질 경영 - 전사적 품질 경영
전사적 품질 경영은 조직 구성원 전체가 참여하여 제품과 서비스의 품질을 지속적으로 개선하는 경영 방식으로, 1980년대 미국에서 일본의 품질 경영 기법을 벤치마킹하며 발전하여 전사적인 노력과 고객 중심 가치를 강조한다. - 식품 안전 - 식중독
식중독은 부적절한 식품 취급, 조리, 보관으로 인해 세균, 바이러스, 기생충, 자연독, 화학 물질 등에 의해 발생하는 질병으로, 구토, 설사, 복통, 발열 등의 증상을 유발하며 심각한 경우 사망에 이를 수 있어 철저한 위생 관리가 필요하고, 전 세계적으로 사회적, 경제적 손실을 초래하므로 예방을 위한 지속적인 노력과 교육이 요구된다. - 식품 안전 - 저온 살균법
저온 살균법은 액체 식품을 낮은 온도에서 가열하여 미생물을 제거, 보존성을 높이는 방법으로, 와인 산패 방지에서 시작되어 우유 등 다양한 식품에 적용되며, 온도와 시간에 따라 여러 방식으로 나뉜다.
HACCP | |
---|---|
개요 | |
명칭 | 위해 요소 분석 중요 관리점 (HACCP, Hazard Analysis and Critical Control Point) |
설명 | 식품 안전을 위한 체계적인 예방 접근 방식 |
용어 | |
관련 용어 | 식인성 질병 우수 제조 관리 기준 (GMP) 위해 요소 분석 중요 관리점 (HACCP) 위해 요소 분석 및 위험 기반 예방 관리 (HARPC) 중요 관리점 |
중요 요소 | |
중요 요소 | FAT TOM pH 수분 활성 (aw) |
세균성 병원체 | |
세균성 병원체 | 클로스트리디움 보툴리눔 대장균 리스테리아 살모넬라 비브리오 콜레라 크로노박터 spp |
바이러스성 병원체 | |
바이러스성 병원체 | 엔테로바이러스 A형 간염 노로바이러스 로타바이러스 |
기생충성 병원체 | |
기생충성 병원체 | 크립토스포리디움 이질아메바 지아르디아 트리키넬라 |
2. 정의
해썹(HACCP)은 식품, 축산물, 사료 등을 만드는 과정에서 생길 수 있는 생물학적, 화학적, 물리적 위해 요인들을 과학적으로 분석하고, 이러한 요인들이 생기지 않도록 사전에 차단하여 안전하고 깨끗한 제품을 소비자에게 공급하기 위한 체계적인 규정이다.[1] 즉, 위해 방지를 위한 사전 예방적 식품안전관리체계이다.
한국의 HACCP은 식품, 축산물, 사료의 세 종류로 나뉘어 관리되며, 식품과 축산물은 식품의약품안전처에서, 사료는 농림축산식품부에서 담당하고 있다.
HACCP은 식품 속의 위해 요소(생물학적, 화학적, 물리적)를 과학적으로 분석하여 제거하거나 안전한 수준으로 줄일 수 있는 방법을 항상 관리하고 기록하는 것이다.[1]
예를 들어, 햄버그를 구울 때, 다진 고기 속의 감염증이나 식중독을 일으키는 병원체가 햄버그 중심 온도가 몇 도에서 얼마 동안 가열되면 안전해지는지를 과학적으로 분석한다. 그리고 그 결과에 따라 결정된 관리 방법을 실행하고, 결과를 기록한다. 이를 통해 무작위 표본 검사만으로는 달성할 수 없었던 높은 수준의 식품 안전을 효율적으로 확보하고, 기록으로 증명할 수 있다. 이러한 미생물학적 안전성을 평가하는 계산은 예측 미생물학 분야에서 연구한다.[1]
일본에서는 HACCP을 "품질과 안전을 위해"라고 표현하지만, 이는 잘못된 것이다. 과거 미국에서도 이와 비슷한 오류가 있었고, 품질도 HACCP으로 관리하려는 시도가 있었지만, 결과적으로 대기업에서도 관리가 어려워졌다. 따라서 HACCP은 안전에 특화된 것임을 알 수 있다.[1]
3. HACCP 관리
4. HACCP의 적용 절차
HACCP 시스템은 7가지 원칙과 12단계 절차에 따라 적용된다. 12단계 절차는 7원칙을 실행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법들을 제시한다.
HACCP 적용 절차는 다음과 같다.
단계 | 내용 | 관련 원칙 |
---|---|---|
1 | HACCP 팀 편성 | |
2 | 식품 설명 및 기술 확인 | |
3 | 제품 사용 방법 확인 | |
4 | 제조 공정 흐름도 작성 | |
5 | 제조 공정 흐름도 현장 검증 | |
6 | 위해요소 분석 | 원칙 1 |
7 | 중요 관리점(CCP) 설정 | 원칙 2 |
8 | CCP 관리 기준 설정 | 원칙 3 |
9 | CCP 측정 방법 확립 | 원칙 4 |
10 | 개선 조치 확립 | 원칙 5 |
11 | 검증 방법 확립 | 원칙 6 |
12 | 기록 및 보관 시스템 확립 | 원칙 7 |
경영자의 적극적인 참여와 HACCP에 관한 모든 권한을 위임받은 코디네이터(HACCP 팀 리더)를 선임하는 것 또한 매우 중요하다.[2]
4. 1. HACCP 7원칙
HACCP는 12단계로 구성되며, 그 중 핵심은 7가지 원칙이다.# '''위해요소 분석 (원칙 1):''' 식품 안전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생물학적, 화학적, 물리적 위해 요소를 분석한다. 잠재적 위해 요소를 찾고, 발생 원인을 밝히며, FAO, CODEX, NACMCF의 기준에 따라 심각성과 발생 가능성을 평가한다. 예방 조치 및 관리 방법을 설정하고 위해 요소 목록표를 작성한다.
# '''중요 관리점(CCP) 설정 (원칙 2):''' 식품의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해 중점적으로 관리해야 하는 단계, 과정 또는 공정을 설정한다. 이곳에서 위해 요소를 예방, 제거하거나 허용 수준 이하로 감소시킬 수 있다.
# '''CCP 관리 기준 설정 (원칙 3):''' 중요 관리점에서 위해 요소가 허용 범위 안에 있는지 판단하는 기준(한계 기준)을 설정한다.
# '''CCP 측정 방법 확립 (원칙 4):''' 중요 관리점에서 설정된 한계 기준이 잘 지켜지고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관찰하거나 측정하는 방법을 정한다.
# '''개선 조치 확립 (원칙 5):''' 측정 결과 한계 기준을 벗어났을 때 취해야 할 조치를 미리 정해둔다.
# '''HACCP 시스템 검증 방법 확립 (원칙 6):''' HACCP 시스템이 적절하게 작동하는지 평가하는 유효성 평가와 계획대로 실행되고 있는지 평가하는 실행 준수성 평가를 모두 포함한다. 검증 절차에는 HACCP 계획 검토, CCP 기록, 중요 한계, 미생물 샘플링 및 분석 등이 포함될 수 있다.
# '''기록 및 보관 시스템 확립 (원칙 7):''' HACCP 관리 결과를 문서화하고 기록하여 지속적으로 관리한다. 여기에는 유해 요소 분석, 서면 HACCP 계획, 중요 관리점, 중요 한계, 검증 활동 및 가공 편차 처리에 대한 모니터링 기록 등이 포함된다.
4. 2. HACCP 12단계
HACCP는 12단계로 구성되며, 이 12단계는 다시 7가지 원칙으로 나뉜다.1. HACCP 팀 편성: HACCP 팀장은 영업자나 공장장이 권장되며, 최고 경영자를 포함하여 경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2. 식품 설명 및 기술 확인: 식품의 안정성, 유효기한, 포장, 유통 형태 등을 확인한다.
3. 제품 사용 방법 확인
4. 제조 공정 흐름도 작성
5. 제조 공정 흐름도 현장 검증
6. 위해 요인 분석 (원칙 1): 물리적, 화학적, 생물학적 요인들을 분석한다. 위해요소 분석 절차는 다음과 같다.
1) 잠재적 위해요소 도출
2) 발생 원인 규명
3) FAO, CODEX, NACMCF 기준에 따른 심각성 및 발생 가능성 평가
4) 예방 조치 및 관리 방법 설정
5) 위해요소 목록표 작성
7. 중점 관리점(CCP) 설정 (원칙 2): 식품의 위해요소를 예방·제거하거나 허용 수준 이하로 감소시켜 식품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중요한 단계·과정 또는 공정을 의미한다.
8. CCP 관리 기준 설정 (원칙 3): 중요 관리점에서 위해요소 관리가 허용 범위 이내로 이루어지는지 판단하는 기준 또는 기준치(허용 한계, CL)를 설정한다.
9. CCP 측정 방법 확립 (원칙 4): 중요 관리점에 설정된 한계 기준을 적절히 관리하는지 확인하기 위한 일련의 계획된 관찰이나 측정 행위(모니터링)를 의미한다.
10. 개선 조치 확립 (원칙 5): 모니터링 결과 중요 관리점의 한계 기준을 이탈할 경우에 취하는 조치를 의미한다.
11. 검증 방법 확립 (원칙 6): HACCP 시스템이 실제로 적절한지 평가하는 유효성 평가와 HACCP 계획대로 실행되는지 평가하는 실행 준수성 평가를 모두 포함한다.
12. 기록 및 보관 시스템 확립 (원칙 7): 문서화와 기록 유지를 통해 지속적인 HACCP 관리를 실행한다.
경영자의 헌신과 코디네이터(HACCP 팀 리더) 선임은 HACCP 12단계에 명시되지 않지만, 매우 중요하다.[2]
5. HACCP 인증(지정) 신청
식품, 축산물 HACCP 인증과 사료 HACCP 지정은 한국식품안전관리인증원에서 담당한다. 한국식품안전관리인증원(http://haccp.or.kr)에서 신청할 수 있다.
6. 역사
HACCP는 1960년대 초 미국에서 우주식품의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해 개발되었다. 미국 항공 우주국(NASA), 필스버리 컴퍼니(Pillsbury Company), 미국 육군 연구소가 협력하여 이 시스템을 만들었다.[5]
매사추세츠주 나틱에 있는 미국 육군 연구 개발 및 엔지니어링 센터의 허버트 홀랜더, 메리 클리카, 하메드 엘-비시, 텍사스주 휴스턴에 있는 린든 B. 존슨 우주 센터의 폴 A. 라찬스, 그리고 필스버리의 수석 과학자 하워드 E. 바우만이 HACCP 개발에 핵심적인 역할을 했다.[5]
당시 우주로 보내는 식품은 매우 엄격한 미생물학적 기준을 충족해야 했다. 병원균 (E. coli, 살모넬라, 클로스트리디움 보툴리눔)을 제한하는 것이 중요했다.[5] 기존의 최종 제품 검사 방식으로는 식품 안전성을 확보하기 어려웠기 때문에 새로운 접근 방식이 필요했고, NASA의 엔지니어링 관리에서 사용하던 핵심 제어 지점(CCP) 개념이 도입되었다. CCP는 탄약 산업에서 무기 및 엔지니어링 시스템의 신뢰성을 테스트하기 위해 사용하던 고장 모드 및 영향 분석(FMEA)에서 유래했다.[5]
필스버리의 하워드 E. 바우만은 우주 프로그램에서의 경험을 바탕으로 HACCP를 회사에 도입하도록 적극적으로 옹호했다. 얼마 지나지 않아 필스버리는 유리 조각이 유아 식품에 사용되는 파리나에서 발견되는 식품 안전 문제에 직면했고, 바우만의 주도로 HACCP가 상업용 식품 생산에 적용되기 시작했다.[5]
1971년 전국 식품 보호 컨퍼런스에서 CCP 검토 및 안전한 식품 생산에 대한 우수 제조 관리 기준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졌다. 1970-71년에는 저산성 통조림 식품으로 인한 보툴리즘 발병 사례가 여러 건 발생했고, 미국 식품의약국(FDA)은 필스버리에게 FDA 검사원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을 구성하고 수행하도록 요청했다. 이 프로그램은 1972년 9월에 처음으로 열렸으며, HACCP라는 약어가 처음 사용되었다.[5]
처음에 HACCP는 세 가지 원칙으로 시작되었지만, 필스버리는 1975년에 두 가지 원칙을 추가했다. 미국 국립 과학 아카데미(NAS)는 FDA 검사 기관이 HACCP 시스템 준수 감사로 전환해야 한다고 제안하며 이를 뒷받침했다.
1986년부터 1990년까지 National Sea Products와 어업 해양부는 HACCP 원칙을 기반으로 한 세계 최초의 의무적인 식품 검사 프로그램을 개발했다. 이들은 모든 저서 어류 트롤선 및 생산 시설을 위한 총체적 품질 관리 프로그램과 HACCP 계획을 공동으로 개발하고 구현했다.[7]
1987년 식품 미생물 기준에 관한 전국 자문 위원회(NACMCF)가 HACCP 시스템과 적용 지침을 정의하는 역할을 담당했다. NACMCF는 코덱스 알리멘타리우스 식품 위생 위원회와 협력하여 1992년부터 보고서를 발표하고 1997년에 7가지 HACCP 원칙을 표준으로 확립했다.[5]
미국 품질 협회는 1996년에 HACCP 감사자에 대한 최초의 인증을 제공하기 시작했다.[8] 처음에는 공인 품질 감사자-HACCP로 알려졌지만, 2004년에는 공인 HACCP 감사자(CHA)로 변경되었다.[9]
HACCP는 현재 식품 산업의 모든 영역(육류, 가금류, 해산물, 유제품 등)으로 확장되었으며, '농장에서 식탁까지'라는 개념으로 널리 퍼져나가고 있다.[5]
6. 1. 한국 HACCP 제도
한국은 일본 후생노동성의 '종합 위생 관리 제조 과정' 인증 제도를 통해 HACCP의 개념을 도입했지만, 몇 가지 차이점이 있다.대한민국에서는 농림축산식품부 주관으로 식품 제조 과정 관리 고도화에 관한 임시 조치법을 제정하여 HACCP 도입을 지원하고 있다. 이 법은 식품 제조 과정의 고도화를 위한 시설 정비에 금융 및 세제 지원을 제공하며, 1998년 5년 한시법으로 시작하여 2003년, 2008년에 각각 5년씩 연장되었다. 2013년에는 10년 연장과 함께 한시법에서 실효법으로 전환되어, 더 이상의 연장은 없을 예정이다.[39]
미국과 유럽 연합(EU)으로 수출하는 수산식품 및 육류는 해당 국가의 법규에 따라 HACCP 적용이 의무화되어 있다.[19]
한편, 일본의 도도부현(지방자치단체)들은 중소기업의 HACCP 인증 취득을 돕기 위해 독자적인 인증 제도를 운영하기도 한다.
6. 1. 1. 종합 위생 관리 제조 과정
후생노동성의 인증 제도인 "종합 위생 관리 제조 과정"(통칭 마루소)은 HACCP의 사고방식을 도입한 제도이다. 그러나 본래 HACCP에서는 개별 라인별 유해 분석을 통해 유해 요소를 결정하지만, 종합 위생 관리 제조 과정에서는 미리 정해진 유해 목록만을 유해 요소로 간주한다(다른 공장이나 라인에서 이미 HACCP 계획이 확립된 제품에 대해서는 그것을 바탕으로 HACCP 계획을 세우는 방법이 있다. 단, 이것은 스스로 유해 요인 분석을 할 수 있을 때까지의 잠정적인 것이다).또한 본래 HACCP에서 다루는 것은 안전성이지만, 후생노동성은 종합 위생 관리 제조 과정에서 다루는 항목에 "품질"까지 포함하고 있으며, HACCP를 실시하기 전 단계인 "선행 요건 프로그램(prerequisite program; PP)" 및 "우수 제조 기준(GMP)"까지 포함하고 있어 복잡한 시스템이 만들어져 있다.
이러한 복잡함 때문에 시간과 예산이 소요되어 대기업에서도 실천이 어려우며, 과거 유제품 제조사로 종합 위생 관리 제조 과정의 인증을 받은 유키지루시 유업이 대규모 황색포도상구균의 엔테로톡신(구토 등 위장 증상을 일으키는 독소) 식중독 사건(유키지루시 집단 식중독 사건)을 발생시켰다. 이러한 점으로 인해 종합 위생 관리 제조 과정은 그대로 HACCP라고 부를 수 없다.
기업 측에서도 종합 위생 관리 제조 과정은 인증이기 때문에 "HACCP를 취득한다"라는 표현을 자주 사용하지만, HACCP는 인증을 취득하는 것이 아니라 HACCP를 실천하는 행위이다. 그리고 인증 취득에만 몰두하는 것은 때로는 "소비자의 안전을 지킨다"라는 식품 안전의 본질을 잃어버릴 위험성도 있다.
6. 1. 2. HACCP 지원법
식품 제조 과정 관리 고도화에 관한 임시 조치법은 해썹 도입을 통해 식품 제조 과정 관리를 고도화하고, 필요한 시설 정비에 대한 금융 및 세제 지원을 규정한 농림축산식품부 소관 법률이다. 1998년에 5년간의 한시법으로 제정되었으며, 2003년, 2008년에 각각 5년씩 연장되었다.[39]2013년에는 법률을 10년 연장하면서 한시법에서 실효법으로 변경하여 더 이상 연장하지 않도록 했다. 이 법령 등을 활용하려면 지정 인증 기관(각 업계 단체 등)의 회원이어야 한다. 또한, 2013년 연장 시에는 일반적 위생 관리 정비에도 활용 범위를 넓히기 위해, 국내의 일반적 위생 관리에 해당하는 고도화 기반 사항 및 고도화 기반 사항 확인 항목으로 정리하였다.[39]
6. 1. 3. 대미 수출 관련
미국과 유럽 연합(EU)으로 수출하는 수산식품과 육류는 해당 국가의 법규에 따라 HACCP 적용이 의무화되어 있다. 수출 시에는 후생노동성(각지의 후생국, 지방 자치체) 또는 일본수산회 등 인정 단체의 인정을 받아야 한다.[19]대미 육류 관련 인정 공장은 난큐슈 축산흥업(주)(난치쿠), 산쿄미트(주), (주)미야치쿠, (주)군마현 식육 도매 시장, (주)JA 식육 가고시마 남삿 공장 5곳뿐이다. 미국 식품의약국(FDA) 관계자는 "육", "소" 등의 한자를 숙지하고 있었지만, 일본이 소해면상뇌증(BSE) 발생국이기 때문에 수출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BSE 문제 참조).[24]
수출 수산물 관련해서도 HACCP가 필요하며, 리스트 탑재를 통해 인정 시설로 지정된다. EU는 특히 위생 관리에 엄격하여, EU 검사관이 수출 원산지 해외의 생산 공장에 방문하면 긴장감이 감돈다고 한다.[20]
6. 1. 4. 지방 자치 단체 독자 인증
중소기업이 HACCP 인증을 쉽게 취득할 수 있도록 일본의 도도부현(지방자치단체) 차원에서 독자적인 인증 제도를 마련하는 경우가 있다.예를 들어 이바라키현에서는 "이바라키 HACCP" 인증 제도를 운영하고 있다.[40]
7. 국제 표준
ISO 22000에는 7가지 HACCP 원칙이 포함되어 있다. 이 기술 표준은 필수 프로그램(GMP & SSOP),[10] HACCP 및 품질 관리 시스템을 통합한 완벽한 식품 안전 및 품질 관리 시스템으로, 조직의 전사적 품질 관리 시스템을 함께 구성한다.[11]
세계 식품 안전 이니셔티브(GFSI)의 인정을 받은 다른 제도, 예를 들어 안전 품질 식품 연구소의 SQF 코드는 우수 제조 관리 기준의 기본적인 전제 조건과 함께 식품 안전(레벨 2) 및 식품 품질(레벨 3) 계획 및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유지하는 기반으로서 HACCP 방법론에 의존한다.[12]
ISO 22000은 표준으로, 식품 안전과 관련된 문제에 대해 HACCP를 보완하도록 설계되었다. 여러 회사, 특히 대기업들이 ISO 22000을 이미 구현했거나 구현하려는 단계에 있지만, 이를 주저하는 기업도 많다. 그 주된 이유는 정보 부족과 새로운 표준이 관료적인 측면에서 너무 까다롭다는 우려 때문이다.[30] ISO 22000은 코덱스 알리멘타리우스 식품 위생 일반 원칙, CXC 1-1969[31]를 참조하며, 여기에는 HACCP 원칙과 12단계의 HACCP 적용 단계가 포함된다. 이는 ISO와 유엔 산업 개발 기구(UNIDO)의 공동 출판물[32]에 설명되어 있으며, 식품 안전 관리 시스템의 구현의 잠재적 이점을 인식하는 모든 조직(중소기업 포함)을 지원하기 위한 지침을 제공한다.
ISO 22000은 국제 표준으로, 코덱스 HACCP 시스템의 개념을 도입한 민간의 경영 시스템 인증 제도이다. 종합 위생 관리 제조 과정이 유제품, 어육 연제품 등 일부 제품으로 한정되어 있는 반면, ISO 22000은 제품에 관계없이 식품 안전을 관리하기 위한 경영 시스템이 구축되었음을 인증받고자 하는 곳이라면 어떤 업종이든 심사를 받을 수 있다. 식품 제조업뿐만 아니라, 레스토랑 등 이른바 푸드 서비스업, 농축수산물을 취급하는 1차 산업 종사자도 신청이 가능하다.
8. 관련 용어
; 유해 요소(Hazard)
: 생물학적, 화학적 또는 물리적 요인으로, 통제되지 않으면 질병이나 부상을 일으킬 수 있는 인자를 나타낸다. 어떤 유해 요소가 존재하며, 그로 인한 사고의 발생 가능성과 사고 발생 시의 심각성을 분석하는 것을 유해 요소 분석(Hazard analysis)이라고 한다.
; 중요 관리점(Critical control point)
: 유해 요소를 연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통제할 수 있는 지점으로, 만약 여기서 통제하지 않으면 제품에 건강에 대한 유해 요소가 남을 수 있는 지점을 나타낸다.
; GMP (Good manufacturing practice; 우수 제조 관리 기준)
: HACCP의 전 단계인 전제 조건 프로그램의 중심이 되는 기준이다. 종업원 교육, 공장과 부지, 위생 작업(일반적인 위생 관리), 위생 시설과 관리(물의 공급, 하수 처리, 화장실, 손 씻는 시설, 쓰레기 폐기 등), 설비와 기구, 프로세스와 통제(원료와 성분, 제조 작업), 창고 보관과 유통, 결함 단속 기준이 포함된다. 농장용으로는 GAP (Good agricultural practice; 우수 농업 관리 기준)라는 것이 존재한다. 미국에서의 GMP는 법으로 규정되어 있으며, 연방 규정집의 타이틀 21CFR 파트 110[41]에 기재되어 있다.
; 전제 조건 프로그램 (PP; 일반적 위생 관리 프로그램, ISO22000 관련에서는 PRP(사전 요건 프로그램)로 표기, 다른 표현으로는 SSOP:en:Sanitation Standard Operating Procedures도 있음)
: HACCP를 수행하기 위한 기반이 되는 기본적인 관리 프로그램이다. GMP에 근거한 교육 훈련, 청정화·위생화 작업 프로그램, 리콜 프로그램, 추적 관리, 품질 관리 등이 관리 항목에 포함된다. HACCP 프로그램을 구축하기 전 PP를 구축하면 HACCP에서 관리해야 할 부분이 줄어들어, 더욱 효율적인 HACCP 프로그램을 구축할 수 있다. HACCP와 달리 엄격한 관리가 필요 없는 부분(안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부분)은 여기서 관리된다. HACCP는 라인별로 계획을 세우고, 적은 관리점(필수 관리점)으로 효율적으로 관리해야 하는 반면, PP는 공장 전체에서 동일한 프로그램을 사용하고, 관리하는 점이 매우 많다. 따라서 HACCP와 PP는 분리하여 계획하는 것이 좋다.
; 허용 한계 (Critical limit)
: 유해 요소를 안전한 수준까지 낮추거나 제거하기 위해 반드시 통제해야 하는 최대 또는 최소값.
; 시정 조치 (또는 조치) (Corrective action)
: 허용 한계를 벗어난 상태로 제품을 제조한 경우(일탈), 해당 제품의 처리(폐기, 재검사, 다른 제품으로 변경 등)를 수행하는 동시에 재발 방지 수단을 강구하는 것. '조치'는 일시적인 대책이라는 의미가 있으므로, 최근 일본에서는 "시정 조치"라는 표현이 주류가 되고 있다.
; HACCP 계획
: 전제 조건 프로그램과 HACCP 절차를 조합하여 구축된 계획.
; HACCP 시스템
: HACCP 계획이 운용되고 있는 것.
; FDA (식품의약국)
: 미국의 식품과 의약품을 감독하는 정부 기관. 식품 분야에서는 식육·식육가공품과 난류를 제외한 식품을 관할하고 있다(껍질이 있는 계란은 FDA 관할).
; USDA FSIS (미국 농무부 식품 안전 검사국)
: 식품 관련으로는 식육·식육가공품과 난류를 관할하고 있다.
; 저산성 통조림
: 약산성(pH가 4.6 이상) - 중성 부근의 산도가 낮은 통조림. 이 pH의 식품은 밀봉된 상태로 포장되면 보툴리누스균이 증식하여 식중독을 일으킬 수 있다. 따라서 121°C에서 약 3분간 가열하여 보툴리누스균을 불활성화해야 한다. 통조림의 HACCP 규제가 실시된 이후, 미국에서는 상업적으로 제조된 통조림으로 인한 보툴리누스 식중독은 발생하지 않았다(단, 수제 통조림에서의 보툴리누스 중독은 매년 발생하고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History of HACCP
https://www.thermowo[...]
2024-03-08
[2]
웹아카이브
MIL-STD-105 official record
https://web.archive.[...]
2004-10-18
[3]
웹사이트
International HACCP Alliance
https://web.archive.[...]
2007-10-12
[4]
논문
FAO/WHO guidance to governments on the application of HACCP in small and/or less-developed food businesses
http://www.fao.org/3[...]
2007-10-14
[5]
뉴스
Happy 50th Birthday to HACCP: Retrospective and Prospective
http://www.foodsafet[...]
2015-01-11
[6]
웹아카이브
FDA.gov Regulations on acidified and low-acid canned foods.
https://web.archive.[...]
2009-12-27
[7]
서적
Fish Inspection, Quality Control, and HACCP: A Global Focus
CRC Press
1998
[8]
간행물
ASQ Certification: A Brief History
2010-01
[9]
웹아카이브
American Society for Quality Certified HACCP Auditor brochure.
https://web.archive.[...]
2020-03-09
[10]
문서
ISO 22000 FSMS 2005
[11]
서적
The Certified HACCP Auditor Handbook
https://books.google[...]
ASQ Quality Press
2014-01
[12]
웹사이트
SQF Code, Ed. 7.2
https://web.archive.[...]
SQF Institute
2015-04-22
[13]
웹사이트
Welcome to TQ Vision
http://tqvision.com/
2007-10-09
[14]
웹사이트
International Certifications
https://web.archive.[...]
2007-10-09
[15]
웹사이트
Brewing Specific HACCP plans & training
http://www.americanh[...]
AmericanHACCP
[16]
웹사이트
HACCP Auditor Certification – CHA
https://web.archive.[...]
2007-10-09
[17]
웹사이트
Chartered Institute of Environmental Health (CIEH)
https://web.archive.[...]
2009-03-25
[18]
웹사이트
Qualifications Curriculum Authority
https://web.archive.[...]
2009-03-25
[19]
웹사이트
Seafood Exports from India
https://mpeda.gov.in[...]
[20]
웹사이트
Top exporters from India
https://mpeda.gov.in[...]
[21]
웹사이트
(draft) Guide to minimize microbial food safety hazards of fresh-cut fruits and vegetables
https://web.archive.[...]
2007-10-14
[22]
웹사이트
Guidance for Industry: Juice HACCP Hazards and Controls Guidance, First Edition
http://www.cfsan.fda[...]
2007-10-14
[23]
웹사이트
Managing Food Safety: A HACCP Principles Guide for Operators of Food Establishments at the Retail Level (Draft)
https://web.archive.[...]
2007-10-14
[24]
웹사이트
FSIS Microbiological Hazard Identification Guide For Meat And Poultry Components of Products Produced By Very Small Plants
http://www.fsis.usda[...]
2007-10-14
[25]
웹사이트
Guidance for school food authorities: developing a school food safety program based on the process approach to HACCP principles
http://www.fns.usda.[...]
2007-10-14
[26]
논문
Application of HACCP to drinking water supply
1994-11-03
[27]
보고서
Guidelines for Drinking-water Quality
https://www.who.int/[...]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28]
보고서
Generic Framework and Methods for Integrated Risk Management in Water Safety Plans
http://www.techneau.[...]
Techneau
2007-06
[29]
웹아카이브
Water Quality Management
https://web.archive.[...]
2015-04-27
[30]
간행물
A Comparative Presentation of Implementation of ISO 22000 Versus HACCP and FMEA in a Small Size Greek Factory Producing Smoked Trout: A Case Study
http://pdfserve.info[...]
2009
[31]
웹사이트
General Principles of Food Hygiene, CXC 1-1969
http://www.fao.org/f[...]
Codex Alimentarius
2021-09-15
[32]
서적
ISO 22000:2018 Food Safety Management Systems - A Practical Guide
https://www.iso.org/[...]
ISO & UNIDO
2021-09-28
[33]
웹사이트
HACCP(ハサップ)
https://www.mhlw.go.[...]
厚生労働省
2018-10-15
[34]
웹사이트
食品の安全性に関する用語集
https://www.fsc.go.j[...]
食品安全委員会
2005-09-06
[35]
웹사이트
第 15 回産業動物臨床・家畜共済委員会の会議概要
http://nichiju.lin.g[...]
産業動物臨床部会常設委員会
2012-08-08
[36]
논문
食品安全性・衛生性確保とHACCP
https://doi.org/10.2[...]
日本食生活学会
2018-11-18
[37]
논문
食品工場における新しい微生物管理,危害分析・重要管理点方式について
栄研化学株式会社
1975
[38]
웹사이트
ハザード分析:一般(7.4.1)/ISO22000
http://isolesson.com[...]
ISOの窓
2007-02-07
[39]
웹사이트
高度化基盤事項確認項目
https://www.maff.go.[...]
農林水産省
2017-12-24
[40]
웹사이트
いばらきハサップ
http://www.shoku.pre[...]
茨城県
2010-08-10
[41]
웹사이트
PART 110 CURRENT GOOD MANUFACTURING PRACTICE IN MANUFACTURING, PACKING, OR HOLDING HUMAN FOOD
https://www.accessda[...]
U.S.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2018-11-0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