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대수는 여러 가지 동치인 정의가 존재하는 대수 구조로, 괄호를 통한 정의, 미분 등급 대수를 통한 정의, 오퍼라드를 통한 정의 등 다양한 방식으로 정의된다. L∞-대수는 변형 이론, 끈 이론, 게이지 이론, 양자화 등 다양한 분야에 응용되며, 특히 아르틴 스택의 도출된 변형 연구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L∞-대수의 예시로는 미분 등급 리 대수, 리 n-대수, 거스틴해버 대수 등이 있다.
2. 정의
호모토피 리 대수에는 여러 가지 정의가 있으며, 이들은 서로 동치이다. 이 정의들은 각각 다른 관점에서 L∞-대수의 구조를 설명한다. 가장 일반적인 정의는 대칭 다중 선형 사상(고차 괄호)을 사용하는 것이지만, 형식 기하학의 언어를 사용한 더 간결한 기하학적 정의도 존재한다. 또한 오퍼라드 이론을 사용한 추상적인 정의도 가능하다.[7]
2. 1. 괄호를 통한 정의
표수 0인 체 K 위의 초벡터 공간 V에 대해, L∞-대수는 일련의 등급 반대칭 n항 연산(괄호)들로 정의된다. 이 연산들은 일반화된 야코비 항등식을 만족시켜야 한다.
K 위의 L∞-대수 A는 다음과 같은 연산들이 주어진, K 위의 ℤ-등급 벡터 공간이다.
:
각 에 대하여, 등급 반대칭 n항 연산 . 그 등급은 이다. 즉, 2항 괄호의 등급은 0이며, 1항 괄호는 등급 −1의 미분을 이룬다.
이는 다음과 같은 야코비 항등식을 만족시켜야 한다.
:
4. 예시
L_\infty-대수는 매우 복잡한 구조를 가지고 있어서, 간단한 경우를 설명하는 것조차 쉽지 않다. 하지만, 미분 등급 리 대수에서 파생되는 간단한 경우와 유한 차원 예제에서 파생되는 경우가 존재한다. 2항 L∞-대수0이 아닌 기저 벡터 공간이 두 개인 L_\infty-대수는 차수가 0과 1인 경우, 0과 n인 경우 등으로 나눌 수 있으며, 이 경우 고차 괄호는 리 대수 코호몰로지의 고차 코사이클과 관련된다.[3] 유한 차원 예제L_\infty-대수의 구조는 복잡하지만, 유한 차원 예제를 통해 그 특성을 파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등급 벡터 공간 V = V_0 \oplus V_1에서 V_0는 벡터 w로, V_1은 벡터 v_1, v_2로 기저가 주어질 때, 다음 규칙에 의해 L_\infty-대수 구조를 정의할 수 있다.[4]
l_1(v_1) = l_1(v_2) = w
l_2(v_1\otimes v_2) = v_1, l_2(v_1\otimes w) = w
l_n(v_2\otimes w^{\otimes n-1}) = C_nw (n \geq 3)
여기서 C_n = (-1)^{n-1}(n-3)C_{n-1}, C_3 = 1이며, 처음 몇 개의 상수는 다음과 같다.
C_3
C_4
C_5
C_6
1
-1
-2
12
l_1(w)의 등급이 -1이어야 하므로, l_1(w) = 0이다. 이 외에도 초 리 대수에 대한 유사한 예시들이 존재한다.[5][6] 또한, 기본 벡터 공간이 2차원인 등급 벡터 공간에 대한 L_\infty 구조는 완전히 분류되었다.[7]
4. 1. 미분 등급 리 대수
L∞-대수 \mathfrak g에서, 2항 이하 괄호만 0이 아닌 경우, 이는 미분 등급 리 대수를 이룬다. 이 경우,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a]_1 = \mathrm da
:[a,b]_2 = [a,b]
:[a,b,\dotsc,]_k = 0\qquad(k\ge3)
이 때, (\mathfrak g,\mathrm d,[-,-])가 만족시켜야 하는 항등식들은 미분 등급 리 대수의 정의와 일치한다. 즉, 3항 이상의 괄호들이 모두 0이라면, 2항 괄호의 야코비 항등식이 정확히 성립한다.
추가로 [-]_1 = \mathrm d = 0일 경우, 이는 등급 리 초대수를 이루며, 모든 등급이 짝수라면 이는 등급 리 대수를 이룬다.
L_\infty-대수의 예시는 미분 등급 리 대수를 L_\infty-대수 범주에 임베딩하여 얻을 수 있다. 이 때, l_1은 미분을, l_2는 리 대수 구조를 제공하며, 나머지 사상 l_k는 0으로 정의한다.
4. 2. 리 n-대수
생성원의 등급이 \{0, 1, \dotsc, n\}에 속하는 L∞-대수를 리 n-대수라고 한다. 이 경우, 다음이 성립한다.
:n \ge \deg [a_1,\dotsc,a_k]_k \ge k-2
따라서,
:[-,\dotsc,-]_k = 0 \qquad(k> n+2)
이다.
예를 들어, n=1인 경우, 오직 1항 · 2항 · 3항 연산만이 자명하지 않다.
특히, n=0인 경우, 1항 연산 또한 등급에 의하여 0이 되므로, 이 개념은 리 대수의 개념과 동치이다.
0이 아닌 밑이 되는 벡터 공간이 두 개인 L_\infty-대수는 차수가 0과 1인 경우, 0과 n인 경우 등으로 나눌 수 있으며, 이 경우 고차 괄호는 리 대수 코호몰로지의 고차 코사이클과 관련된다.[3] 차수가 0과 1인 경우두 개의 0이 아닌 밑이 되는 벡터 공간 V_0, V_1을 갖는 L_\infty-대수는 다음과 같은 선형 사상을 갖는다.[3]pg 28
d\colon V_1 \to V_0
쌍선형 사상 l_2\colon V_i\times V_j \to V_{i+j} (여기서 0\leq i + j \leq 1)
삼선형 사상 l_3\colon V_0\times V_0\times V_0 \to V_1
이들은 일련의 항등식을 만족하며, 특히 l_2\colon V_0 \times V_0 \to V_0는 호모토피까지의 리 대수 구조를 갖는다. 이는 l_3의 미분으로 주어지는데, 다음 항등식에 의해 고차 리 괄호임을 알 수 있다.
:dl_3(a,b,c) = -a,b],c] +
4. 5. 유한 차원 예제
L_\infty-대수는 매우 복잡한 구조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간단한 경우를 설명하는 것조차도 대부분의 경우 쉽지 않다. 다행히, 미분 등급 리 대수에서 파생되는 간단한 경우와 유한 차원 예제에서 파생되는 경우가 있다.
리-2 대수의 간단한 예시는 L_\infty-대수로서 V_0= (\R^3,\times)로 주어진다. 여기서 \times는 벡터의 외적이고 V_1=\R는 자명한 표현이다. 그러면, 다음과 같은 고차 브래킷 l_3가 존재한다. 이는 벡터의 내적으로 주어진다.
:l_3(a,b,c) = a\cdot (b\times c).
이 L_\infty-대수의 미분은 기본 선형대수를 사용하여 항상 0임을 확인할 수 있다.[3]
L_\infty-대수의 특성을 연구하기 위한 간단한 예시를 제시하는 것은 복잡한 문제이다. 예를 들어,[4] 등급 벡터 공간 V = V_0 \oplus V_1이 주어지고, 여기서 V_0는 벡터 w로, V_1은 벡터 v_1, v_2로 기저가 주어질 때, 다음 규칙에 의해 L_\infty-대수 구조가 주어진다.
:\begin{align}
& l_1(v_1) = l_1(v_2) = w \\
& l_2(v_1\otimes v_2) = v_1, l_2(v_1\otimes w) = w \\
& l_n(v_2\otimes w^{\otimes n-1}) = C_nw \text{ for } n \geq 3
\end{align},
여기서 C_n = (-1)^{n-1}(n-3)C_{n-1}, C_3 = 1이다. 처음 몇 개의 상수는 다음과 같다.
C_3
C_4
C_5
C_6
1
-1
-2
12
l_1(w)의 등급이 -1이어야 하므로, 공리로부터 l_1(w) = 0임을 알 수 있다. 초[5]리 대수에 대한 다른 유사한 예시들이 있다.[6] 또한, 기본 벡터 공간이 2차원인 등급 벡터 공간에 대한 L_\infty 구조는 완전히 분류되었다.[7]
5. 응용
L∞영어-대수는 변형 이론, 끈 이론, 게이지 이론, 양자화 등 다양한 분야에 응용된다. 특히, 변형 이론에서는 아르틴 스택의 도출된 변형을 연구하는 데 사용되며, 끈 이론 및 게이지 이론에서는 장의 분류와 S-행렬 연구에 응용된다.[1] 또한, 변형 양자화와도 관련이 있다.[1]
5. 1. 변형 이론
L∞영어-대수는 변형 이론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특히 아르틴 스택(Artin stack)의 도출된 변형(derived deformation)을 연구하는 데 사용된다.
5. 2. 끈 이론 및 게이지 이론
끈 이론과 게이지 이론에서 L∞영어-대수는 장(field)의 분류, S-행렬(S-matrix) 연구 등에 응용된다.[1]
5. 3. 양자화
L∞영어-대수는 변형 양자화와 관련하여 연구되기도 한다.[1]
참조
[1]
웹사이트
Derived Algebraic Geometry X: Formal Moduli Problems
http://people.math.h[...] [2]
논문
Derived deformations of schemes
http://www.intlpress[...] [3]
논문
Higher-Dimensional Algebra VI: Lie 2-Algebras
2010-01-24
[4]
논문
A finite dimensional L_\infty algebra example in gauge theory
https://projecteucli[...]
2005
[5]
논문
Examples of infinity and Lie algebras and their versal deformations
http://www.impan.pl/[...] [6]
논문
Strongly homotopy Lie algebras of one even and two odd dimensions
https://linkinghub.e[...] [7]
간행물
L_\infty Structures on Spaces of Low Dimension
https://repository.l[...]
2004-04-14
[8]
저널
Introduction to sh Lie algebras for physicists
[9]
저널
Strongly homotopy Lie algebras
https://archive.org/[...]
1994-06-15
[10]
저널
Examples of Homotopy Lie Algebras
https://archive.org/[...]
2009-09-1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