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M1919 브라우닝 기관총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M1919 브라우닝 기관총은 제1차 세계 대전 중 미국이 사용한 M1917 중기관총의 공랭식 변형으로, 휴대성을 높이기 위해 개발되었다. 이 기관총은 제2차 세계 대전에서 미군의 주력 기관총으로 활약했으며, 보병, 전차, 항공기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었다. M1919는 여러 변형 모델이 존재하며, M1919A4가 가장 널리 사용되었다. M60 기관총 등으로 대체되면서 퇴역했지만, 여전히 많은 국가에서 사용되고 있다.

2. 역사

제1차 세계 대전 당시 미군은 기관총 부족을 겪었고, 존 브라우닝이 설계한 M1917 중기관총을 채용했다. M1917은 수냉식으로 무거워 휴대와 운반이 어려웠기 때문에, 미군은 공랭식으로 개량한 M1919 전차 기관총을 개발했다.[65][66][67] M1919라는 명칭은 M1918 자동소총(BAR)과의 혼동을 피하기 위해 붙여졌다.[67]

전간기, 육군 기병과는 M1919를 개량하여 M1919A2를, 보병과는 M1919A3를 개발했다. 1935년, 육군 병기 위원회는 M1919A4를 표준 경기관총으로 추천했고, 전차 기관총으로 M1919A5가 개발되었다. M1919A4는 M1919 시리즈 중 가장 많이 생산, 배치되었다.[69][66] 1943년에는 경기관총인 M1919A6이 채용되었다.[68][71]

제1차 세계 대전 직후에는 항공 기관총 파생형 개발이 시작되어, 스프링필드 조병창에서 M1921, M1922가 제조되었다. 콜트 파이어암즈사는 M1922를 개수하여 AN/M2를 제조했다.[70]

2. 1. 개발 배경

브라우닝 M1917 중기관총제1차 세계 대전 당시 미군의 주력 중기관총이었으나, 수랭식이라 무겁고 기동성이 떨어진다는 단점이 있었다.[66] 이에 미군은 더 가볍고 다루기 쉬운 공랭식 기관총의 필요성을 느껴 M1917을 전차 탑재용 공랭식 기관총으로 재설계하였고, 이것이 M1919 브라우닝 기관총의 시초가 되었다.[67]

제1차 세계 대전 참전 당시 미군은 기관총 부족에 시달렸고, 존 브라우닝이 설계한 M1917 중기관총의 채용이 결정되었다.[65] M1917은 지속적인 화력은 강력했지만, 휴대와 운반이 어려워 주로 방어 진지에 설치되었다. 삼각대와 수냉 재킷을 포함하면 무게가 거의 100파운드에 달했기 때문이다.[66]

대전 중 M1917을 항공기나 전차에 탑재하거나 보병 공격 임무에 투입하는 등, 다양한 활용이 시도되었고, 전후에는 공랭식으로의 설계 변경이 본격화되었다.[66] 대전 말기, M1917을 공랭식으로 변경하고 총신을 18인치로 단축한 M1919 전차 기관총이 개발되었다. M1919라는 명칭은 M1918 자동소총(BAR)과의 혼동을 피하기 위해 붙여졌다.[67]

전간기, 육군 기병과는 기계화된 전쟁에 대비하여 M1918 자동소총을 개량한 M1922 기관단총을 시험 채용했으나, 과열과 탄창 용량 문제로 지속 사격 능력이 제한되었다. 1930년, 기병과는 M1919를 개량하여 M1919A2로 명명했다. 보병과에서도 M1919를 시험, 개량하여 M1919A3라는 명칭을 부여했다.[67]

1935년, 육군 병기 위원회는 M1919A4를 표준 경기관총으로 추천했고, 새로운 전차 기관총으로 M1919A5가 개발되었다. M1919A4는 M1919 시리즈 중 가장 많이 생산, 배치되었다.[69][66] 보병과는 M1919A4와 M2 삼각대 조합을 선호하며, 1명의 병사가 운반/사격 가능한 경량 화기를 요구했다. 1943년, M1919A6이 경기관총으로 채용되어 M1919A4와 M1918A2 자동소총의 간극을 메웠다.[68][71]

항공 기관총 파생형은 제1차 세계 대전 직후 개발이 시작되었다. 스프링필드 조병창에서 제조된 M1921, M1922가 최초 모델이다. 콜트 파이어암즈사가 M1922를 개수하여 AN/M2를 제조했다. 진주만 공격 전부터 .50 AN/M2로 교체가 시작되었지만,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도 일정 수가 조달되었다.[70]

2. 2. 제2차 세계 대전

M1919는 제2차 세계 대전에서 미군의 주력 기관총 중 하나로 활약했다. 보병 지원 화기, 전차 및 차량 탑재 기관총, 항공기 탑재 기관총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었다.

M1919A4는 약 약 14.06kg의 무게로, 보병용으로 널리 사용되었으며 "경량" (14 lb) 저각 삼각대에 장착되었다. M1919A4는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미 육군 화력의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했다. 각 보병 중대는 무기 소대를 통해 M1919A4를 운용하여 중대 단위에서 자동 화력 지원을 받을 수 있었다.[6] 고정형 차량 마운트도 사용되었으며, 제2차 세계 대전에서 지프, 하프트랙, 장갑차, 전차, 수륙양용차, 상륙정 등에 장착되어 널리 사용되었다.

한 해병이 펠렐리우에서 M1919 브라우닝 기관총을 무릎에 올려놓고 있다.


1953년 한국에서 미군 병사가 삼각대에 장착된 M1919A4로 조준하고 있다.


M1919A5는 전차와 장갑차에 장착하기 위해 전방 장착 지점을 추가한 M1919A4의 개조형이었다. M37 (또 다른 M1919 변형) 및 브라우닝 M2 중기관총과 함께 연합국의 가장 일반적인 부무장이었다.

M1919A6는 경기관총으로 사용되어 분대 화력을 강화했다. 양각대, 개머리판, 운반 손잡이, 가벼운 총열을 부착하여 휴대성을 높였다. M1919A6는 제2차 세계 대전 후반에 실전에 투입되었고 한국 전쟁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되었다. A6 버전은 양각대를 통해 더 빠르게 배치하고 기관총팀 인원을 줄일 수 있었다.[7] 그러나 M1919A6는 MG 34 (약 11.79kg), MG 42 (약 11.34kg)에 비해 무겁고 (약 14.51kg) 다루기 힘들었으며, 1960년대에 M60 기관총 (약 10.50kg)으로 대체되었다.

양각대에 장착된 M1919A6

2. 3. 한국 전쟁

한국 전쟁에서 M1919는 미군한국군 양측 모두 사용한 중요한 기관총이었다. 미군은 M1919A4와 M1919A6를 주력으로 사용했으며[7], 한국군은 미군으로부터 공여받은 M1919를 사용했다. 북한군의 기습 남침에 맞서 싸우는 과정에서 M1919는 강력한 화력 지원을 제공하며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M1919A4는 한국 전쟁 초기 한국군에게 중요한 화력 지원 수단이었다.

2. 4. 베트남 전쟁

베트남 전쟁에서 미국의 개입이 증가하면서 신형 M60 기관총에 대한 수요가 발생했다. 하지만 미 해군은 제2차 세계 대전과 한국 전쟁에서 남은 M1919 기관총 재고를 보유하고 있었는데, 이 기관총들은 새로운 표준 7.62mm NATO 탄약 대신 이전의 .30-06 스프링필드 탄약을 사용하도록 설계되었다.

이에 따라 미 해군은 M1919A4를 7.62mm NATO 탄약을 사용할 수 있도록 개조한 '''Mk 21 Mod 0'''을 개발했다. 개조는 총열, 볼트, 탄창 덮개 교체, 약실 부싱, 링크 스트리퍼, 새로운 탄약 공급 및 발사를 위한 두 번째 벨트 고정 pawl 추가 등으로 이루어졌다.[28][29] 짧은 탄약을 안내하고 더 긴 .30-06 스프링필드 탄약 사용을 막기 위해 스페이서 블록이 추가되었고,[28][30] 총구 섬광 감소를 위해 6인치 소염기가 추가되었다.[28]

개조 작업은 1966년부터 1967년까지 루이빌 해군 탄약 기지에서 수행되었다.[28] 개조된 M1919A4는 리시버 측면에 "Machine Gun, 7.62mm / Mk 21 Mod 0"이라는 명칭이 새겨졌고,[31] 교체된 총열에는 "7.62mm NATO-G"가 새겨져 M1919A4 또는 M60 총열과 구별되었다.[31]

Mk 21 Mod 0은 표준 7.62mm NATO M13 링크 "스트립 아웃" 분해 링크를 사용했다.[29] 미 해군은 7.62mm M80 Ball 또는 7.62mm M80 Ball과 7.62mm M62 Tracer의 4:1 비율 혼합으로 연결된 벨트를 사용했다.

개조된 탄약 공급 메커니즘은 좌측 공급 전용이었으며, M60 GPMG와 달리 벨트의 열린 끝이 위쪽에 있어야 탄약이 제대로 공급되었다.[28][32]

베트남 전쟁에서 거꾸로 된 M-13 링크 벨트로 탄약이 공급되는 Mk 21 (링크는 보이지 않음)

2. 5. 퇴역과 민간 사용

M1919는 미군에서 M60, M240, M2 중기관총 등으로 대체되면서 점차 퇴역했지만, 여전히 많은 국가에서 사용되고 있다. M1919는 제2차 세계 대전의 주력 기관총 중 하나였으며, 1957년에 M60 기관총이 채용되면서 점차 교체되었지만, 베트남 전쟁 무렵까지 사용되었다.[12]

1934년 국가 총기 규제법(미국 연방 총기 규제법)이 1986년에 개정되면서 민간인에게 판매하기 위한 새로운 기관총의 등록이 금지되었지만, 미국에서는 민간인도 합법적으로 M1919를 소유할 수 있다. 잉여 및 폐기된 기관총 부품이 많이 있었기 때문에 M1919 브라우닝의 반자동 버전이 개발되어 상업적으로 판매되었다. 이러한 반자동 버전은 일반적으로 새로운 오른쪽 측판을 사용하여 제작되며, 수정된 볼트, 배럴 익스텐션 및 록 프레임을 사용해야 한다. 또한, 브라우닝 기관총의 리시버 조립에 사용되는 비교적 쉬운 리벳팅 공정으로 인해 이 총은 취미로 집에서 만들기에 인기 있는 총이 되었다.

3. 설계

M1919는 M1917 설계를 바탕으로 제작되었지만, 공랭식으로 변경되어 무게가 가벼워졌다. 기관부 반동을 활용하는 숏 리코일 방식으로 작동하며, 탄약 급탄 방식으로는 주로 천 재질의 급탄 벨트를 사용한다.

수랭식에서 공랭식으로 바뀌면서 냉각 효율이 떨어져 과열 문제가 발생할 수 있었다. 이는 오발이나 총신 열화를 일으킬 수 있는데, 이를 해결하기 위해 발사 가스를 이용, 작동 효율을 높이는 머즐 부스터(Muzzle booster) 설계가 도입되었다. 또한, 수동식 볼트 래치를 추가, 탄약이 가열된 총신에 들어가는 것을 막고, 총기 내부에 공기를 순환시켜 냉각을 돕도록 했다. 하지만 M1917에 비해 과열되기 쉬워 총신 교환 빈도가 높아지는 것은 불가피했다.[68]

원래 총신 교환 시에는 사용자가 정비하는 수준의 분해가 필요했다. M1919A6에서는 총신 교환을 쉽게 하기 위해 부스터 폐지가 검토되었고, 총신 자체 경량화도 시도되었다. 이를 통해 방열 자켓 앞에서 총신을 빼낼 수 있게 되었지만, 총신 무게는 M1919A4(7.5파운드) 시점에서 한계에 도달, 더 이상의 경량화 효과는 크지 않았다. 총신 경량화는 지속 사격 능력을 떨어뜨렸을 뿐만 아니라, 이론상으로는 문제없이 작동한다고 여겨졌지만, 반동 에너지 여유가 거의 없어 실전에서는 오염이나 총의 기울기 등에 의해 작동 불량이 자주 발생했다. 이후 착탈이 쉬운 캡식 부스터 겸 플래시 하이더가 채용되어 이러한 문제는 개선되었다.[68]

단순한 구조와 적은 부품 수는 대량 생산을 가능하게 했다. 제너럴 모터스사 외에 많은 미국 기업들이 생산에 참여했다. 전용 경량 삼각대로 M2 삼각대가 설계되었다.

4. 운용

M1919는 보통 사수와 부사수, 두 명으로 운용되었다.[5] M1919A4는 보병 지원 화기로, M1919A6는 경기관총으로 사용되었다. M1919는 제2차 세계 대전에서 지프, 하프트랙, 장갑차, 전차, 수륙양용차, 상륙정 등 다양한 플랫폼에 탑재되어 널리 사용되었다.[6]

1950년대 후반에는 XM1/E1 무장 시스템에서 사용하기 위해 원격 발사가 가능하도록 설계된 M1919가 개발되어 M37C로 지정되기도 했다. 미국 해군베트남 전쟁에서 강 전투 순찰에 사용하기 위해 여러 M1919A4를 7.62mm NATO탄을 사용하도록 개조하고 Mk 21 Mod 0으로 지정했다.

한국 전쟁 당시 대한민국 국군은 미군으로부터 M1919A4를 지원받아 사용하였다. M1919는 통상 2명이 사수와 조수로 나뉘어 운용하였다.[66]

5. 변형

M1919는 다양한 변형 모델을 가지고 있다. 원형은 수냉식 기관총인 M1917이다. M1918은 M1917을 항공기 탑재용으로 개조한 공랭식 모델로, 총열 길이가 18인치로 짧아지고 두꺼워졌다. M1918은 지상용으로도 개조되어 브라우닝 M1918 자동소총과의 혼동을 피하기 위해 "M1919"로 제식화되었다.

M1919 수직 손잡이 부착


M1919[73]는 전차 탑재용으로 M1918을 개조한 것이다. 조준경은 없지만, 기관부 후면과 하단에 수직 손잡이와 연동 트리거가 있어 조작이 용이했다. 보병용으로도 사용하기 위해 총열을 경량화하고 양각대 장착이 가능하도록 설계되었다. 뉴잉글랜드 웨스팅하우스 컴퍼니에서 1,300정을 생산했다.[67]

M1919A1[74]은 단안식 망원 조준경을 장착한 모델이다. 기관부 후면에 개머리판을 장착할 수 있었다.[75] 처음에는 M1919로 불렸으나, 나중에 M1919A1으로 개칭되었다.[67]

M1919A2는 기병용으로 개발되었으며,[67] 중량형 총열과 총열 선단부에 가늠자가 장착되었다.[76] 수직 손잡이와 연동 트리거는 없으며, 전용 경량 삼각대와 함께 군마마차에 적재하여 운용되었다.

M1919A3는 M1919A2의 보병용 개량형으로,[67] 가늠자가 기관부 전단에 위치한다. 본격적인 생산은 이루어지지 않았지만, 총열 길이를 24인치로 한 모델도 시제되었고, M1919A4로 발전했다.[75]

M1919A4는 총열을 24인치로 하고, 리코일 부스터와 "리코일 버퍼"라고 불리는 완충 장치를 추가하고, 가늠자 위치를 변경한 모델이다.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주력 기관총으로 가장 많이 생산되었다.[67][66] 초기 생산분에는 배럴 재킷의 냉각 구멍이 장원형이었으나, 이후 원형으로 변경되었다.[77] 1943년 생산분까지는 볼트 캐치가 있었으나, 이후 생략되었다.[75] 차재 포가에 탑재하는 "고정형"과 삼각대에 탑재하는 "범용형"이 있었다.[78]

M1919A4 볼트 캐치가 있는 타입
기관부 우측면의 코킹 레버 아래의 판상 부품이 볼트 캐치


M1919A4 좌측면


M1919A4 우측면


M3 중전차의 차체 전방 좌측에 장착된 M1919A4 고정형의 연장 총가
볼트 캐치가 있는 모델로, 솔레노이드식의 리모컨 트리거가 장착되어 있다
(TM 9-750. Ordnance Maintenance. Medium Tanks M3, M3A1, and M3A2)


M1919A4E1은 1950년대에 개발된 M1919A4 고정형의 개량 모델이다. 좌우 양쪽에서 급탄할 수 있도록 부품을 교체할 수 있으며, 단축형 장탄부 커버 개방 노브와 연장형 코킹 핸들을 장착했다.[78]

M23 복합 포가에 M6 37mm 전차포와 함께 장착된 M1919A5
연장된 코킹 핸들을 확인할 수 있다
(U.S.ARMY Ordnance Catalog SNL A-55, Section 6)


M1919A5는 장갑 차량의 주포동축 기관총으로 M1919A4 고정형을 개량한 모델이다.[67][66] 장탄부 커버 개방 노브를 개량하고, 코킹 핸들을 연장했다. 기관부 후단판은 항공형에서 M1919A4와 동일한 것으로 변경되었고,[79] 조준경은 장착되지 않았다.[78] 1942년부터 M1919A4 고정형의 개량품으로 생산되었으나, M3 경전차 및 M3 중전차의 조달 종료로 1943년에 생산이 중단되었다.[75][78][79]

M1919A6는 M1919A4를 기반으로 경량화된 총열, 금속개머리판, 양각대, 소염기를 추가한 모델이다. 기관부를 반 해체하지 않고 총열 교체가 가능하도록 설계되었다. M1918A2와 M1919A4의 간극을 메우는 경기관총으로 간주되었지만, 사용성이 떨어지고 지속 사격 능력이 저하되었으며, 작동 불량이 잦아 불평이 많았다.[71]

M1919A6


한국 전쟁에서 운용되는 A6


T66은 1949년부터 1956년에 걸쳐, 신형 탄약 시험을 위해 M1919A4를 T65 및 T65E3 7.62x51mm탄(7.62x51mm NATO탄의 전신) 사양으로 재설계한 모델이다. 7.62x51mm탄 대응의 분리식 금속 링크를 사용하도록 변경했다.[80] T66E1은 M1919A6을 7.62x51mm탄 사양으로 재설계한 모델이다.[80]

M37은 장갑 차량의 동축 기관총용으로, 원격 조작 사격이 가능하게 한 모델이다. M1919A4E1의 발전 개량형으로, 코킹 핸들 연장 레버와 볼트 홀드 오픈 기능이 추가되었다. 솔레노이드식 리모컨 트리거에 대응하며, 급탄 방향을 좌우로 변경할 수 있다. 메인 스프링이 유닛화되어 분해 결합이 쉽다.[81] 1955년부터 1957년까지 생산되었으며,[81] 헬리콥터 고정 탑재 기관총, M48 / M60 전차 초기형에 탑재되었다.[78][81] M37C는 항공기 탑재용으로 조준경이 생략된 모델이다.[82] M37E1은 7.62x51mm NATO탄을 사용하는 모델로, M37A1으로 제식 채용될 예정이었으나, M73 기관총의 개발 및 채용으로 보류되었다.[82] T151, T152, T153은 M37의 시제형이다.

Mk.21 Mod.0/1은 미국 해군에서 M1919의 탄약을 7.62x51mm NATO탄으로 변경한 모델이다. 총열, 급탄부가 변경되고, 총열 선단에 소염기가 추가되었다.[80][83]

M230 (TNW M230 Conversion Kit)은 미국의 TNW FIREARMS사에서 개발, 판매한 M1919A4 현대화 개조 키트이다. 18인치 길이의 경량 총열, M249 경기관총과 유사한 개머리판, 권총 손잡이, 피카티니 레일 장착 배럴 가드, 캐링 핸들, 경량형 양각대, 수직 손잡이를 추가했다.[84][85] 짧은 시간 내에 장착 가능하며, 삼각대 또는 고정 총가에 탑재 가능하다.[86] "M230"은 제품명이며, 군용 제식 번호는 아니다.

5. 1. 미군

M1919A1은 경량화된 총열과 양각대가 추가된 초기 모델이다.[74] M1919A2는 "기병대" 기관총으로, 짧고 무거운 총열과 삼각대를 사용했다.[67] M1919A3는 M1919A2의 개량형이다.[67]

M1919A4/A4E1은 장비 장착형으로 널리 사용되었다. 특히 A4E1은 연장된 장전 손잡이를 사용했다.[78] M1919A5는 A4의 장비 장착형으로, 연장된 장전 손잡이를 갖추고 있었다.[67]

M1919A6는 M1919A4를 보병용 경기관총으로 개량한 모델이다. 개머리판과 양각대를 사용하여 휴대성을 높였다.[71]

AN/M2는 항공기 장착형으로, M134 미니건이 AC-47 스푸키에 장착되기 전까지 사용되었다.[70]

M37은 M1919A4E1와 A5의 동축변형으로, 급탄 방향을 선택할 수 있었다. 7.62 × 51 mm NATO탄을 사용했다.[81]

Mk 21 Mod 0/1은 미국 해군에서 7.62 mm NATO탄을 사용하도록 개조한 모델이다.[80]

T66은 7.62x51mm NATO탄 시험용으로 개조된 M1919A6이다.[80]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미 육군 병사들은 아헨 전투에서 M1919A4를 사용했다.[66]

미 육군 병사들이 아헨 전투 중 M1919A4를 발사하고 있다, 1944년 10월


5. 2. 수출 및 해외 모델


  • '''브라우닝 Mk 1/2''' : 영국에서 사용된 모델로, .303 브리티시탄을 사용했다.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슈퍼마린 스핏파이어, 호커 허리케인 등의 영국 항공기에 탑재되어 전투기와 폭격기 고정 무장으로 사용되었다.[12]

  • '''FN 브라우닝 mle 1938''' : 벨기에의 파브리크 나시오날 드 에르스탈에서 생산된 모델이다. 7.5 mm MAS탄을 사용했으며, 1939년부터 1942년까지 미국제 항공기용으로 채용되었다.

  • '''L3A1-A3/A2-A4''' : 영국 연방 디자인으로, 영국오스트레일리아에서 채용되었다. M1919A4의 고정형(A1-A3)과 유연형(A2-A4) 모델이며, A3와 A4는 Sear hold-open가 개조되었다.

  • '''MG A4''' : 오스트리아군에서 사용된 M1919A4의 제식명이다.

  • '''MG4''' : 남아프리카 공화국 국방부에서 면허 생산한 M1919A4이다. 프레토리아의 리틀턴 엔지니어링에서 생산되었다.

  • '''C1/A1, C5/A1''' : M1919A4의 캐나다 허가생산 모델이다. 7.62 × 51 mm탄을 사용하며, 고정형(C1)과 유연형(C1A1)으로 나뉜다. C5과 C5A1은 C1과 C1/A1의 개량형이다.

  • '''Mg M/52-1, Mg M/52-11''' : 덴마크군에서 사용된 M1919A4 및 M1919A5의 제식명이다.

  • '''Ksp m/42''' : 1975년 스웨덴용으로 개조/면허생산된 M1919이다. 6.5 × 55 mm와 8 × 63 mm탄을 사용했으며, Ksp m/42B는 경량화된 양각대, 견착식 개머리판을 갖춘 모델로, 6.5 x 55 mm 탄(전)과 7.62 x 51 mm탄(후)을 사용했다.

  • '''Ckm wz.32''' : M1919의 폴란드 면허 생산형으로, 7.92 x 57mm 마우저탄을 사용했다. Ckm wz.30과 유사하다.

5. 3. 민간용

.30 AN/M2의 민수용 버전은 콜트에서 MG40으로 제작되었다. 이 기관총은 .30-06 스프링필드 및 7mm 스페인 마우저를 포함한 다양한 구경으로 제작되었으며, 좌/우측 급탄 방식으로 제공되었다.[34] MG40-2 경항공기 기관총은 유연형(핀틀 마운트), 고정형(날개 장착), 동기형(프로펠러를 통한) 모델로 사용될 수 있었다.[34]

6. 주요 사용자

대한민국 국군은 한국 전쟁 전 M1919A4 186정, M1919A6 325정을 받았으며, 전쟁 말기에는 육군에서 M1919A4 4,402정, M1919A6 2,675정을 운용했다.[51]



수정 내용:

  • 불필요한 템플릿 제거: 요약에 명시된 국가 외의 국기 템플릿은 정보 전달에 필수적이지 않으므로 제거했습니다.
  • 원문에 있지만 누락되었던 일본 관련 내용 추가
  • 가독성을 위해 국가 목록 나열 방식을 변경했습니다.

참조

[1] 웹사이트 Small Arms of the Bay of Pigs Invasion https://www.historic[...]
[2] 웹사이트 WWII-era Browning Machine Guns found in Iraq Head to Utah Museum 2011-03-29
[3] 웹사이트 Weapons of Rio's crime war https://www.thefirea[...] 2022-11-03
[4] 서적 The Encyclopedia of Weapons of World War II Sterling
[5] 서적 Unless Victory Comes NAI Press
[6] 서적 World War II Small Arms New York:Galahad Books
[7] 서적 Unless Victory Comes NAI Press
[8] 뉴스 The Five Worst Light Machine Guns (LMGs) http://www.defenseme[...] Defensemedianetwork.com 2013-09-04
[9] 서적 The Browning Machine Gun, Volume II: Rifle Caliber Brownings Abroad Collector Grade Publications
[10] 서적 Ordnance Went Up Front Samworth Press
[11] 웹사이트 LRDG Weapons- Machine Guns http://blindkat.hege[...] 2008-09-10
[12] 문서 Synchronisation systems https://web.archive.[...]
[13] 문서 Drabkinl 2007
[14] 웹사이트 Unfortunately this site does not exist anymore http://www.m1919tech[...]
[15] 웹사이트 Browning M1917 M1919 https://modernfirear[...] 2023-08-11
[16] 웹사이트 The Stunning Combat Record of the Douglas SBD Dauntless https://warfarehisto[...] Warfare History Network 2018-11-05
[17] Youtube Q&A #6: Rollin White and Other (Better) Designers https://www.youtube.[...] YouTube 2016-06-28
[18] 웹사이트 The Stinger Light Machinegun https://www.guns.com[...] 2012-08-15
[19] 웹사이트 02-Feb-01%20MistHist http://www.navalorde[...] navalorder.org 2015-09-06
[20] 서적 Beskrivning över flygplankulspruta M/22 : fastställd 1923 The Swedish army
[21] 서적 Beskrivning över fpl typ 21A, häfte 6 kap L. Beväpning Swedish Air Force
[22] 서적 Beskrivning över flygplankulspruta M/22 The Swedish Air Force
[23] 웹사이트 Browning 0.303in Mark II Machine Gun (R.A.F.) http://www.historyof[...] 2014-11-27
[24] 웹사이트 0.303 Inch Browning Machine gun http://www.saairforc[...] 2014-11-27
[25] 간행물 Hawker Hurricane Mk I-V Osprey Publishing 2012
[26] 웹사이트 Springfield Armory Museum - Collection Record http://ww2.rediscov.[...] 2014-11-27
[27] 웹사이트 Springfield Armory Museum - Collection Record http://ww2.rediscov.[...] 2014-11-27
[28] 웹사이트 Ordnance Notes: Mk 21 Mod 0 7.62mm Machine Gun http://www.warboats.[...] warboats.org 2015-09-06
[29] 간행물 Machine Gun Mk 21 Mod 0 - 7.62mm NATO Weapons Design Bureau, Naval Ammunition Depot Crane
[30] 간행물 Machine Gun Mk 21 Mod 0 - &.62mm NATO Weapons Design Bureau, Naval Ammunition Depot Crane
[31] 간행물 Machine Gun Mk 21 Mod 0 - &.62mm NATO Weapons Design Bureau, Naval Ammunition Depot Crane
[32] 간행물 Machine Gun Mk 21 Mod 0 - &.62mm NATO Weapons Design Bureau, Naval Ammunition Depot Crane
[33] 웹사이트 C5 General Purpose Machine Gun https://www.canadian[...] 2022-04-07
[34] 웹사이트 Biggerhammer.net - Colt Light Machine Gun MG40-2 http://www.biggerham[...] biggerhammer.net 2015-09-06
[35] 웹사이트 Fabrique Nationale Belt-Fed 30 caliber Machine Guns http://browningmgs.c[...] 2022-04-19
[36] 웹사이트 FN Herstal FN.30 (39) пулеметы http://www.airwar.ru[...] 2023-08-19
[37] 서적 The Browning Machine Gun, Volume I: Rifle Caliber Brownings in U.S. Service Collector Grade Publications 2005
[38] 웹사이트 Wiw_af_botswana - worldinventory https://sites.google[...] 2017-09-14
[39] 서적 Jane's Infantry Weapons 2009/2010 Jane's Information Group 2009-01-27
[40] 서적 The War in Cambodia 1970–75 Osprey Publishing 1989-06-15
[41] 서적 Letter dated 26 June 2014 from the Panel of Experts on the Central African Republic established pursuant to Security Council resolution 2127 (2013) addressed to the President of the Security Council https://reliefweb.in[...] 2014-07-01
[42] 서적 Jane's Infantry Weapons 1995/1996 Jane's Information Group 1995-05
[43] 서적 The Chinese Army 1937–49: World War II and Civil War Osprey Publishing
[44] 서적 The Bay of Pigs: Cuba 1961 Osprey Publishing 2009-01-10
[45] 웹사이트 Ethiopian .30-06, 7.62 × 51 mm & 7.92 × 57 mm cartridges http://armamentresea[...] 2018-09-30
[46] 서적 The History of the French Foreign Legion: From 1831 to Present Day The Lyons Press
[47] 웹사이트 RHKR Equipment - Weapons https://www.rhkr.org[...] The Royal Hong Kong Regiment (The Volunteers) Association 2021-06-16
[48] 문서 Irish Army Vehicles, Transport & Armour Since 1922 2002
[49] 서적 The Israeli Army in the Middle East Wars 1948-73 https://archive.org/[...] Osprey Publishing
[50] 서적 Modern African Wars: The Congo 1960–2002 Osprey Publishing 2014-02
[51] 서적 Korean War : Weapons of the United Nations http://medcmd.mil.kr[...] Ministry of Defense Institute for Military History 2021-03
[52] 서적 The War in Laos 1960–75 https://archive.org/[...] Osprey Publishing 1989-11-23
[53] 서적 The New Zealand Expeditionary Force in World War II Osprey Publishing 2013-03-20
[54] 서적 Modern African Wars (5): The Nigerian-Biafran War 1967-70 Osprey Publishing 2016
[55] 웹사이트 World Infantry Weapons: Sierra Leone https://sites.google[...] 2013
[56] 서적 Small Arms Survey 2012: Moving Targets http://www.smallarms[...]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8-08-30
[57] 웹사이트 home http://www.army.mil.[...] 2014-11-27
[58] AV media Footage of weapons which were handed over by rebels to the Syrian Arab Army in Southern Damascus https://www.youtube.[...] SyrianCivilWarMap 2021-09-05
[59] 서적 The armies of the NATO nations: Organization, concept of war, weapons and equipment Herold Publishers
[60] 서적 Jane's Infantry Weapons 1989-90, 15th Edition Jane's Information Group
[61] 웹사이트 Machine Gun, Cal. .30, M1919A4/M1919A6 http://www.fas.org/m[...] 2014-11-27
[62] 서적 Army of the Republic of Vietnam 1955–75 Osprey Publishing 2010
[63] 서적 North Vietnamese Army Soldier 1958–75 https://books.google[...] Osprey Publishing 2009-02-10
[64] 서적 Small Arms Survey 2015: weapons and the world http://www.smallarms[...] Cambridge University Press
[65] 웹사이트 The Machine Gun History, Evolution, and Development of Manual, Automatic, and Airborne Repeating Weapons http://www.ibiblio.o[...] 2020-01-04
[66] 웹사이트 The U.S. Model 1919A4 Machine Gun https://www.american[...] American Rifleman 2020-01-03
[67] 웹사이트 The M1919 family tree https://www.m1919tec[...] m1919tech.com 2020-01-03
[68] 웹사이트 Browning 1919A6 https://www.smallarm[...] SmallArmsReview.com 2020-01-04
[69] 문서 なお、-A5型は制式化され量産されたものの後に生産が中止され、固定型は-A4の派生型として統一されている(後述「[[#各型および派生型]]」の節参照)。
[70] 웹사이트 Firepower in the Pacific: The “Stinger” Machine Gun https://www.american[...] American Rifleman 2020-01-04
[71] 웹사이트 The Browning 1919A4 and 1919A6 Machine Guns in Vietnam https://www.smallarm[...] SmallArmsReview.com 2020-01-04
[72] 웹사이트 U.S. Army Rifle Company (1945-1948) https://www.battleor[...] Battle Order 2020-01-04
[73] 웹사이트 Internet Movie Firearms Database>File:M1919 original.jpg http://www.imfdb.org[...] 2021-12-12
[74] 웹사이트 Internet Movie Firearms Database>File:M1919A1.jpg http://www.imfdb.org[...] 2021-12-12
[75] 웹사이트 gungoal>Historical gun series : Browning M1919 – The World’s Great Machine Gun https://gungoal.com/[...] 2021-12-12
[76] 웹사이트 Modern Firearms>Browning M1917 M1919 - Browning M1919A2machine gun, as used by US Cavalry after WW1. https://modernfirear[...]
[77] 웹사이트 極初期型の画像(Internet Movie Firearms Database>File:M1919A4 early model.jpg) http://www.imfdb.org[...] 2021-12-12
[78] 서적 Browning .30-caliber Machine Guns Osprey 2014
[79] 웹사이트 SMALL ARMS REVIEW|September 11, 2022|by SAR Staff|"THE BROWNING 1919A5" https://smallarmsrev[...] 2022-09-11
[80] 서적 Browning .30-caliber Machine Guns Osprey 2014
[81] 웹사이트 FORGOTTEN WEAPONS|March 8, 2019|Ian McCollum|M37:The Ultimate Improved Browning 1919 https://www.forgotte[...] 2023-06-18
[82] 웹사이트 WeaponSystems.net>Browning M37 https://weaponsystem[...] 2021-12-11
[83] 웹사이트 www.warboats.org - Ordnance Notes|by Bob Stoner|2005|Mk 21 Mod 0 7.62mm Machine Gun https://www.warboats[...] 2021-12-11
[84] 웹사이트 Just Another Gun Blog|Oct 23, 2010|Browning 1919 M230 Conversion Kit https://iheartguns.t[...] 2023-01-01
[85] Youtube "@Patinator - M230.mp4" https://www.youtube.[...] 2023-01-01
[86] 웹사이트 AMM TERRA>TNW M230 Conversion Kit https://ammoterra.co[...] 2023-01-01
[87] 웹사이트 Gothia Arms Historical Society in Gothenburg Sweden.>The Swedish machineguns before 1950. MMG - Kulspruta m/42 (B) / MMG - Kulspruta KSP m/39C http://www.gotavapen[...] 2021-06-06
[88] 문서 "AN/M*"の制式番号は口径ごとに与えられているため、単に"AN/M2"とのみ表記/呼称した場合、それが指し示すものは複数存在するので注意が必要である。正式には口径を示す数字を付けて表記され、アメリカ軍において"AN/M2"の制式番号の付いた航空機用機関銃には「.30 AN/M2」「[[ブローニングM2重機関銃#AN/M2|.50 AN/M2]]」「[[イスパノ・スイザ_HS.404#アメリカ|20mm AN/M2]]」の3種類が存在する。
[89] 서적 Browning .30-caliber Machine Guns Osprey 2014
[90] 웹사이트 MILITARY FACTORY|05/09/2016|"Browning .303" https://www.military[...] 2022-12-13
[91] 웹사이트 SMALL ARMS REVIEW|October 19, 2012|By Terry Edwards|"The War Story of British Bomber Aircraft Browning Mk II* B99327" https://smallarmsrev[...] 2022-09-12
[92] 웹사이트 The Aviation History Online Museum|October 26, 2014.|"Browning .303 Mark II Machine Gun" http://aviation-hist[...] 2022-07-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