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마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군마는 전쟁에서 사용되는 말로, 인류 역사 초기에 유라시아 스텝 지대에서 기원했다. 말의 가축화 이후 전차, 안장, 등자 등의 발명으로 전투 효율성이 향상되었고, 스텝 기병은 강력한 군사력으로 부상했다. 고대 인도, 중국, 일본 등에서도 군마는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특히 기병술과 훈련법이 발달했다. 중세 시대에는 기사가 등장하며 중장기병이 활약했고, 이슬람과 몽골 제국은 기병을 중심으로 한 군사력을 통해 영토를 확장했다. 근세에는 화약 무기의 발달로 기병의 역할이 변화했지만, 경기병은 정찰 및 기동력 면에서 중요성을 유지했다. 현대에는 기계화 부대의 발전으로 군마의 역할이 축소되었지만, 의장, 치안 유지, 험준한 지형에서의 작전 등 제한적인 용도로 활용되고 있다. 또한 승마 스포츠는 군마 훈련 기술에서 발전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군마 - 궁기병
궁기병은 말을 타고 활을 쏘는 병과로, 청동기 시대 전차를 대체하며 철기 시대에 발전하여 고대 유목민족의 주력 병과로 활약하며 다양한 제국에서 활용되었으나, 화기 발전으로 쇠퇴 후 현대에 스포츠 및 전통예술로 부활했다. - 군마 - 데스트리어
데스트리어는 중세 시대에 전투나 토너먼트용으로 사육된 튼튼하고 민첩한 군마를 지칭하는 용어로, 특정 품종이 아닌 특수한 목적을 위해 길러진 말들을 의미하며, 어원은 '오른쪽 말'을 뜻하는 속 라틴어에서 유래했다. - 인간과 말 - 기병
기병은 말을 타고 전투를 수행하는 병과로, 빠른 기동성과 충격력을 바탕으로 전쟁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으며, 등자 발명 이후 기병 돌격이 가능해지면서 전투의 핵심적인 역할을 담당했고, 현대에는 전차와 헬리콥터 등이 역할을 대신하지만 일부 국가에서는 기병 부대를 유지하고 있다. - 인간과 말 - 카우보이
카우보이는 미국 서부 개척 시대의 소를 몰고 관리하는 목동을 지칭하는 용어로, 스페인어에서 유래되었으며 독립, 개인주의, 그리고 서부 개척 정신의 상징으로 여겨진다. - 군용동물 - 낙타 기병
낙타 기병은 낙타를 군사적으로 활용하는 병종으로, 고대부터 현대까지 다양한 문명에서 사용되었으며 사막 지형에서의 기동성을 활용한 게릴라전에 능했다. - 군용동물 - 전투 코끼리
전투 코끼리는 고대 인도에서 시작되어 다양한 문화권에서 군사적으로 활용된 코끼리로, 알렉산드로스 대왕, 피로스 왕, 한니발 등의 지휘관들이 활용했으며 화약 무기 발달 후에도 사용되어 제2차 세계 대전까지 이어졌다.
군마 | |
---|---|
전쟁에서의 말 | |
![]() | |
개요 | |
사용 시기 | 기원전 4000년경 ~ 현대 |
사용 목적 | 수송 기병 포병 정찰 보급 사기 진작 |
역사 | |
초기 사용 | 고대 중동에서 전차 견인 기원전 9세기부터 기병으로 사용 |
중세 | 중기병의 등장과 함께 중요성 증가 전쟁마 품종 개량 |
근대 | 기병의 역할 축소, 수송 및 포병 지원 제1차 세계 대전에서 광범위하게 사용 |
현대 | 군사적 역할 감소, 의장대 및 특수 부대에서 사용 |
역할 | |
기병 | 빠른 기동력과 충격력을 이용한 공격 정찰 및 추격 |
수송 | 보급품 및 장비 운반 부상병 후송 |
포병 | 야포 및 중포 견인 탄약 운반 |
심리전 | 적에게 공포심을 유발 아군의 사기 진작 |
품종 | |
전쟁마 | 힘과 지구력이 뛰어난 품종으로 개량 |
주요 품종 | 페르슈롱 클라이즈데일 샤이어 |
훈련 | |
기본 훈련 | 승마 기술 무기 사용법 대형 유지 |
특수 훈련 | 포연 및 폭발음에 대한 적응 근접 전투 기술 |
장비 | |
갑옷 | 말과 기병을 보호 찰갑, 경번갑, 판금갑 등 |
안장 | 기병의 안정적인 자세 유지 다양한 형태의 안장 사용 |
무기 | 기병도, 창, 활 등 |
문화적 영향 | |
문학 및 예술 | 용맹과 충성의 상징으로 묘사 신화, 전설, 역사 속 영웅과 함께 등장 |
전쟁 기념물 | 전쟁에서 희생된 말을 기리는 기념물 건립 말의 용맹과 헌신을 기림 |
군마 (軍馬) | |
정의 | 전쟁에 사용되는 말 |
역사 | 고대부터 현대까지 전쟁의 중요한 요소 수송, 전투, 정찰 등 다양한 역할 수행 |
일본 | 메이지 시대 이후 군마 양성 적극 추진 제2차 세계 대전까지 군마 사용 |
한국 | 삼국 시대부터 군마 사용 조선 시대에는 갑사 등 기병 운용 |
2. 역사
군마의 역사는 기원전 4000년경 유라시아에서 시작되었으며, 전차, 안장, 등자 등의 발명으로 전투 효율성이 크게 향상되었다.[22]
말이 전쟁에 사용된 최초의 고고학적 증거는 기원전 4000년에서 3000년 사이 유라시아의 스텝 지대(오늘날 우크라이나, 헝가리, 루마니아)에서 발견된다.[22] 이 지역 사람들은 말 가축화 이후 기마 약탈자들의 위협으로부터 보호받기 위해 요새화된 마을에 함께 살기 시작했다. 기마 약탈자들은 정착민들보다 빠르게 공격하고 도망칠 수 있었고, 동유럽의 기마 유목민들은 다른 부족과 집단을 정복하며 인도유럽어족을 퍼뜨렸다.[29]
조직적인 전쟁에서 말의 사용은 기록된 역사 초기에 나타난다. 기원전 2500년경 수메르의 우르 표준기 "전쟁 패널"에는 말(또는 당나귀나 노새)이 네 바퀴 마차를 끄는 모습이 묘사되어 있다.[21]
아라비안, 바브, 아할테케의 조상과 같은 경량의 동양마들은 속도, 지구력, 민첩성이 필요한 전투에 사용되었다. 이 말들은 12hand에서 15hand 미만의 키에 약 362.87kg 에서 약 453.59kg 정도의 무게를 가졌다. 기수들은 가벼운 마구와 활, 창, 투창, 소총 등 가벼운 무기를 휴대하여 신속하게 이동했다. 이들은 초기 전차전, 약탈, 경기병에 사용되었다.
고대 이집트인, 몽골인, 아랍인, 아메리카 원주민 등 많은 문화권에서 비교적 가벼운 말을 사용했다. 근동에서는 작고 가벼운 동물들이 전차를 끄는 데 사용되었고, 유럽 중세 시대에는 경량 전투마가 룬시로 알려졌다.
군마는 수송 능력과 속도라는 두 가지 목적을 위해 발전했다. 말은 사람보다 많은 물자를 빠르게 수송할 수 있었지만, 현대에는 자동차와 같은 기계의 등장으로 쇠퇴했다.
12세기 인도에서는 라토르 왕조가 마르와리마(Marwari horse)를 탄생시켰다. 이들은 사막 환경에 강하고 전투 코끼리에 맞서 싸우도록 훈련되었으며, 라지푸트족의 흥망성쇠와 관련이 깊다.[107] 라자스탄 주와 구자라트 주가 원산지인 마르와리종과 카치아와리종은 귀 끝이 안쪽으로 말린 독특한 외형을 가졌다. 인도는 2008년 기준 말 75만 마리, 당나귀 65만 마리, 노새 18만 마리를 사육하는 말 생산국이다.[108]
일중전쟁부터 태평양 전쟁까지 50만~70만 마리의 말이 동원되었으나, 종전 후 GHQ에 의해 마정계획이 종료되면서 대량으로 식용 처리되었다.[110]
2. 1. 고대
고대에는 전차를 끄는 데 말이 주로 사용되었으며, 기원전 4000~3000년경 유라시아에서 군마가 쓰였다는 증거가 있다.[30] 기원전 2000년경에는 전차가 발달했고, 전투의 효율성을 위해 안장, 등자 등이 발명되었다.
현대 러시아와 카자흐스탄에 있는 (안드로노보 문화)(신타슈타-페트로프카 문화) 유적에서 발견된 말과 전차 유적 매장은 전차 사용에 대한 초기 증거 중 하나이며, 기원전 약 2000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30] 근동에서 전차전이 있었던 것으로 보이는 가장 오래된 기록은 기원전 18세기의 구 헷타이트 아니타 문서로, 살라티와라 공성전에서 40개의 말 팀을 언급하고 있다. 헷타이트는 전차 전투 능력으로 고대 세계 전역에서 잘 알려졌다. 기원전 약 1600년경부터는 복합궁의 개발과 함께 유라시아 대부분 지역에서 전차가 전쟁에 광범위하게 사용되었다.[20]
힉소스 침략자들은 기원전 16세기에 고대 이집트에 전차를 가져왔고, 이집트인들은 그때부터 전차를 사용하기 시작했다. 고대 세계에서 전투마 취급과 관련된 가장 오래된 보존된 문서는 기원전 약 1350년경의 헷타이트 교본인 키쿨리이며, 전차마의 조련을 설명하고 있다.
미노아 문명에도 전차가 있었는데, 크레타의 크노소스의 저장 목록에 기록되어 있으며,[31] 기원전 약 1450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32] 전차는 중국에서도 상나라(기원전 약 1600~1050년)까지 거슬러 올라가 매장에서 발견된다. 중국에서 전차 사용의 절정은 춘추 시대(기원전 770~476년)였지만, 기원전 2세기까지 계속 사용되었다.[33]
고대 그리스와 로마에서 전차의 전술적 역할에 대한 설명은 드물다. 기원전 약 1250년경에 사용된 미케네식 관행을 언급하고 있는 것으로 보이는 일리아드는 전투에서 전사를 실어 나르는 데 전차를 사용하는 것을 묘사하고 있지 실제 전투에는 사용하지 않는다.[31][34] 나중에 기원전 55년과 54년에 브리튼을 침략한 율리우스 카이사르는 브리튼 전차병들이 창을 던진 다음 전차를 버리고 도보로 싸우는 것을 언급했다.[35][36]
전쟁에서 말을 탄 가장 초기의 예 중 일부는 기원전 8세기 아시리아 통치자 아술나시르팔 2세와 살마네세르 3세 시대의 기마궁술병 또는 창 투척병이었다.[18] 그러나 이들은 말 등에 멀리 앉아 있어 빠르게 이동하기에는 불안정한 자세였고, 말은 지상에 있는 조련사가 잡고 있어 궁수는 활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었다. 따라서 이들은 진정한 기병이라기보다는 일종의 기병보병이었다. 아시리아인들은 북쪽 유목민, 예를 들어 기원전 8세기에 소아시아에 진입하여 사르곤 2세 통치 시대(기원전 약 721년)에 우라르투의 일부를 점령한 김메리아인의 침략에 대응하여 기병을 발전시켰다. 스키타이와 같은 기마 전사들도 기원전 7세기에 이 지역에 영향을 미쳤다. 기원전 669년 아슈르바니팔 통치 시대까지 아시리아인들은 오늘날에도 여전히 볼 수 있는 고전적인 승마 자세로 말에 앉는 법을 익혔고, 진정한 경기병이라고 할 수 있었다. 고대 그리스는 경기병 정찰병과 중기병을 모두 사용했지만,[18] 아마도 말을 유지하는 비용 때문에 광범위하게 사용하지는 않았을 것이다.[31]
중기병은 고대 페르시아인에 의해 개발된 것으로 여겨지지만,[18] 다른 사람들은 사르마티아인이라고 주장한다.[37] 다리우스 1세(기원전 558~486년) 시대가 되자 페르시아 군사 전술에는 완전히 무장한 말과 기수가 필요했고, 추가적인 무게를 지탱할 수 있도록 더 무겁고 근육질이 많은 말을 선발 번식했다. 카타프락토스는 페르시아 시대부터 중세까지 사용된 독특한 전술, 갑옷, 무기를 사용하는 중장갑 기병의 한 유형이었다.
고대 그리스에서 필리포스 2세는 대규모 기병 돌격을 가능하게 하는 전술을 개발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38] 가장 유명한 그리스 중기병 부대는 알렉산드로스 대왕의 동료 기병이었다.[39] 기원전 4세기 전국 시대(기원전 403~221년) 중국의 전국 시대는 라이벌 국가들에 맞서 기병을 사용하기 시작했다.[40] 북쪽과 서쪽의 유목민 침략자들과 싸우기 위해 한나라(기원전 202년~서기 220년) 중국은 효과적인 기마 부대를 개발했다. 로마 공화정 시대에는 로마인이 기병을 광범위하게 사용하지 않았지만, 로마 제국 시대가 되자 중기병을 사용했다.[41] 그러나 로마 군대의 중추는 보병이었다.[42]

화약이 발명된 후, 말의 또 다른 주요 용도는 견인 동물로서 중포병 또는 대포를 끄는 것이었다. 말이 끄는 포를 보병 포병이 운용하는 야전포병 외에도, 많은 군대에는 포병 각 사수에게 말을 제공하는 포병 중대가 있었다. 마상포병 부대는 일반적으로 여섯 마리의 말이 끄는 가벼운 포를 사용했다. "9파운드포"는 여덟 마리의 말이 끌었고, 더 무거운 포는 열두 마리의 말이 필요했다. 장교, 외과의 및 기타 지원 인원을 위한 개별 승마용 말과 포와 보급 마차를 끄는 말을 포함하여 6문의 포병 중대에는 160~200마리의 말이 필요할 수 있었다. 마상포병은 일반적으로 기병 사단의 지휘를 받았지만, 워털루 전투와 같은 일부 전투에서는 마상포병이 신속 대응 부대로 사용되어 공격을 격퇴하고 보병을 지원했다. 민첩성이 중요했으며, 이상적인 포병용 말은 키가 15~16 핸드( 에서 ) 정도이고 체격이 좋지만 신속하게 이동할 수 있었다.[14]
right』 왼쪽이 몽골군, 오른쪽이 폴란드-튜턴 기사단 연합군(14세기에 쓰여진 성인전 『실레시아의 성녀 헤드비히의 전설』에서)]]

전장에서 말을 사용한 것 중 기록에 남은 가장 오래된 것은 기원전 19세기의 전차이다. 기마로 사용된 최초의 예는 유라시아 유목민, 특히 파르티아인 기마궁수에 의한 것이라고 생각된다.
초기에는 마구가 없어 맨몸으로 말을 탄 것이 보통이었지만, 점차 재갈, 안장, 등자, 편자 등이 발명되었다. 그중에서 군마 역사상 가장 중요한 발명은 아마도 등자일 것이다. 이로 인해 착승 자세가 안정되고, 말에 탄 병사가 무기를 조작하는 것이 매우 용이해졌다. 등자 발명 이전에는, 탄 병사는 두 다리로 말의 몸통을 끼우듯이 자세를 유지할 수밖에 없었고, 이는 상당한 훈련을 필요로 했으며, 어릴 때부터 승마 연습이 필수적이었다. 이러한 훈련을 일상적으로 행했던 유목 민족은 압도적으로 유리했다. 등자 발명 이후, 농경 민족의 기병이라도 유목 기병에 대항할 수 있게 되었다.
2. 2. 중세
중세 유럽에서는 무거운 갑옷을 입은 기사를 태우기 위한 대형마가 선호되었으며, 데스트리에와 같은 품종이 대표적이었다. 이러한 말들은 크기뿐만 아니라 속도와 훈련 용이성도 중요하게 고려되었다. 군마는 유지, 훈련, 장비 등에 많은 비용과 노력이 필요했기 때문에 일반인들은 쉽게 소유할 수 없었다. 벨기에말, 페슈롱, 샤이어와 같은 현대의 마차용 말들은 과거 기사들이 탔던 대형마의 후손으로 여겨진다.[57]8세기 북아프리카와 이베리아 반도를 정복한 무슬림 전사들과 같이, 특정 계층이 아닌 모든 구성원이 기병으로 이루어진 군대는 기동성을 활용하여 세력을 크게 확장했다. 13세기에는 몽골족을 중심으로 한 아시아 유목민들이 기병을 효과적으로 활용하여 여러 나라를 정복하고, 역사상 가장 큰 영토를 가진 세계 제국인 몽골 제국을 건설했다.
2. 3. 근세
머스킷총과 같은 경화기가 발달하면서, 민첩한 군마를 이용한 기병은 전투와 전령 양면에서 활약했다.[61]
16세기, 콘키스타도르에게 말은 특히 유용했다. 스페인 사람들이 아즈텍과 잉카 제국을 정복할 당시, 말과 총은 절대적인 힘을 발휘했다. 남아메리카 대륙에서는 약 1만 년 전에 말이 멸종했기 때문에, 아메리카 원주민들은 유럽인들에게 쉽게 대응할 수 없었던 것이다.[65]
하지만 북아메리카에서는 유럽인의 정복보다 먼저 유럽에서 전래된 말이 원주민들 사이에 퍼졌다. 뛰어난 기마술로 미국 육군을 괴롭혔던 코만체족이나 샤이엔족과 같은 대평원의 인디언들은 경기병이 가진 능력의 높이를 증명한 좋은 예이다.[65]
2. 4. 근대
메이지 시대에 서구 기술을 도입하여 근대화를 추진한 일본 제국은 군마 사육 및 생산에도 서구 기술을 도입하고 관련 법률을 정비했다.- 1869년(메이지 2년), 구단에 초혼사와 마장이 설치되어 육군 등이 초혼사 경마를 개최했다.
- 1897년(메이지 30년), 농상무성은 말 사육업에 관해 프랑스 법을 번역하고, 플랑드르 지방의 말 품종 개량 규칙 등을 연구하였다.[111]
- 1906년(메이지 39년), 칙령으로 내각 마정국이 설치되었다.
- 1922년(다이쇼 10년), 마적법 공포로 모든 말은 “마적”에 등록할 의무가 생겼다.
- 1924년(다이쇼 12년) 군마 개량과 증식을 위해 「경마법」이 제정되었다.
- 1932년(쇼와 7년) 홋카이도 구시로에서 일본인 체형에 맞춘 다목적 군마 '''일본 구시로종'''이 개발되었다.
- 1937년(쇼와 12년) 홋카이도 구시로에서 '''봉상 구시로종'''이 개발되었다.
- 1939년(쇼와 14년) 4월 군마 자원 보호법이 공포되어 매년 검사에서 군용 보호마로 지정된 말의 소유자는 일정한 관리 및 “단련” 참가 등을 하고, 일본 제국 육군의 징발에 대비할 의무를 지게 되었다.
- 1945년 11월 21일, 칙령 제643호 「쇼와 20년 칙령 제542호 「포츠담」선언의 수락에 따라 발생하는 명령에 관한 건에 기반한 군마 자원 보호법 폐지 등에 관한 건」에 따라 군마 자원 보호법이 폐지되었다.
그러나 근대화에 따라 군마의 유효성은 점차 감소했다. 기관총 발달과 참호전 전개로 제1차 세계 대전에서 기병의 가치가 급격히 저하되었다. 말을 소총탄으로부터 보호하기 어려웠고, 키가 큰 말은 표적이 되기 쉬웠기 때문이다. 참호전에 무력했던 기병을 대신한 것은 전차였다.

정찰, 고속 이동, 대량 수송 수단으로서 군마의 유용성은 여전했지만, 항공기와 철도 발달로 유용성이 저하되었다. 그러나 항공기나 철도를 사용할 수 없는 상황은 존재했고, 지형에 따라 철도 부설이 어려운 곳에서는 군마 수송이 필수적이었다. 오히려 군 장비 근대화에 따라 수송병의 가치가 증가했지만, 자동차 발달이 군마의 지위를 위협했다.
제2차 세계 대전에서도 군마는 중포 수송, 정찰 등에서 필수적이었다. 지형 돌파 능력은 당시 자동차·오토바이와 비교할 수 없었기에, 기마는 산악 지대 등에서 기갑 부대의 눈과 귀로 활약했다.
일본군에서는 청일 전쟁에서 약 5.6만 마리, 러일 전쟁에서 약 17.2만 마리가 동원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직전인 1941년 관동군 특수 연습에는 약 13만 마리가 동원되었다.[112] 1944년 임팔 작전에서는 중국 말, 버마 말, 노새 등 1만 2천 마리가 전멸하였다.[109] 1945년 육군 기병 제4여단이 중국 전선 노하구 작전에서 노하구 비행장 점령에 성공했는데, 이는 세계 전쟁사상 마지막 기병의 활약으로 알려져 있다.
제2차 세계 대전 후 군마 수요는 완전히 소멸되었다. 군마 생산, 보급 시설 등 기반은 귀환자에 의한 개척지[113]나 목장, 산림[114]으로 변모해 갔다.
2. 5. 현대
현대에는 기계화 부대의 발전으로 군마의 역할이 크게 축소되었다. 대부분의 국가에서 군마는 전차와 장갑 전투 차량으로 대체되었으며, '기병'이라는 명칭은 기계화 부대에서 주로 사용된다.[81] 하지만, 일부 국가에서는 의장, 산악 지형 정찰, 치안 유지 등의 목적으로 여전히 군마를 활용하고 있다.- 의장 및 행사: 많은 국가에서 의식, 전시, 교육 목적으로 기병 부대를 유지하고 있다. 미국의 제1기병사단 기병대,[92] 캐나다의 주지사 총독 기병대,[93][94] 네팔의 국왕 근위 기병대[95] 등이 그 예시이다. 대한민국 국군도 사관학교 생도 교육 및 행사 목적으로 군마를 소수 보유하고 있다.
- 군중 통제 및 치안 유지: 기마경찰은 18세기부터 활용되었으며, 오늘날에도 전 세계 여러 도시에서 교통 및 군중 통제, 공원 순찰, 행렬 및 의식 질서 유지, 일반적인 거리 순찰 등의 임무를 수행한다.[90] 농촌 지역에서는 험준한 지형 순찰, 종교 성지 군중 통제, 국경 순찰 등에 활용된다.
- 산악 지형 정찰 및 수색 구조: 독일, 오스트리아, 칠레 등의 산악 부대는 차량이나 헬리콥터 접근이 어려운 산악 지대에서 병력과 물자 수송을 위해 말이나 노새를 이용한다.[89] 또한, 기마 수색 및 구조 부대는 길 없는 지역에서 실종자 수색에 말을 활용한다.[90]
- 비정규전: 다르푸르 분쟁에서 잔자위드 민병대와 같은 비정규군은 말을 이용한 전투를 벌이기도 한다.[82] 아프가니스탄과 같이 험준한 지형에서는 특정 유형의 순찰 및 정찰 임무를 위해 기마 부대가 활용되기도 한다.[83] 인도의 제61 기병대는 현존하는 유일한 작전 준비 완료 상태의 완전 기마 정규 연대이며, 평시에는 의장 임무를, 국내 치안 유지에도 투입 가능하다.[89]
항구적 자유 작전 초기, 미국 제5 특수전 그룹은 2001년 10월 아프가니스탄 북부의 험준한 산악 지형에서 말을 유일한 이동 수단으로 활용했다.[84][85]
3. 군마의 종류
군마는 임무와 환경에 따라 다양한 종류가 사용되었다. 말의 체형에 대한 기본 원리는 "형태는 기능을 따른다"는 것이다. 따라서 다양한 전투 방식에 사용된 말의 종류는 수행되는 작업, 말이 운반하거나 끌어야 하는 무게, 이동 거리에 따라 달라졌다.[1] 무게는 속도와 지구력에 영향을 주며, 갑옷은 보호 기능을 더했지만 무게가 증가하면 최대 속도가 감소했다.
평균적인 말은 자체 체중의 약 30%까지 운반할 수 있다.[2] 말이 끌 수 있는 최대 무게는 말의 체격, 차량의 종류, 도로 상태 등에 따라 달라진다.[3] 포장도로에서 바퀴 달린 차량에 마구를 착용한 말은 자체 체중의 최대 8배까지 끌 수 있지만,[4] 비포장도로에서는 훨씬 적은 무게만 끌 수 있다.[5][6] 말목걸이를 사용하면 가슴받이를 사용할 때보다 더 무거운 무게를 끌 수 있었고, 소의 멍에를 사용할 때는 더 적은 무게를 끌 수 있었다.
말 외에도 당나귀는 고대부터 현재까지 짐을 나르는 데 사용되었다.[12] 노새도 짐을 나르거나 수레를 끄는 데, 때로는 타는 데에도 사용되었다.[13] 노새는 말보다 침착하고 강인하여 험한 지형에서 보급품을 운반하는 데 유용했다. 그러나 총격전 하에서는 말보다 협조적이지 않아 전장에서 포병을 운반하는 데는 잘 사용되지 않았다.[14]
3. 1. 경량
아라비안, 바브, 아할테케와 같은 동양마들은 속도, 지구력, 민첩성이 뛰어나 전투에 사용되었다.[1] 이 말들은 무게가 약 362.87kg에서 약 453.59kg 사이였다.[2] 기수들은 빠른 이동을 위해 가벼운 마구를 사용하고, 활, 가벼운 창, 투창, 후대의 소총과 같은 가벼운 무기를 휴대했다. 이러한 말들은 초기 전차전, 약탈, 경기병에 사용되었다.[3]고대 이집트인,[4] 몽골인, 아랍인,[5] 아메리카 원주민 등 다양한 문화권에서 비교적 가벼운 말을 사용했다. 근동 지역에서는 작고 가벼운 동물들이 기수와 전사, 최대 두 명의 승객을 태우는 전차를 끄는 데 사용되었다.[6][7] 유럽 중세 시대에는 이러한 경량 전투마를 룬시라고 불렀다.[8]
3. 2. 중형
중형마는 철기 시대부터 여러 문명에서 더 무거운 짐을 끌기 위해 발달했다. 예를 들어, 두 명 이상이 탈 수 있는 전차를 끌거나, 경기병이 중기병으로 진화하면서 무장한 기수를 태우는 데 사용되었다.[16] 스키타이인들은 키가 크고 무거운 말을 생산한 가장 초기의 문화 중 하나였다.[2] 더 큰 말은 보급 마차와 나중에는 포병을 끌기 위해서도 필요했다. 유럽에서는 말이 전장에서 대포를 기동시키는 데 제한적으로 사용되었으며, 전용 기마포병 부대의 일부였다. 중형마는 크기의 범위가 가장 넓었으며, 약 14.2hands 정도이지만 다부진 체격에서 최대 16hands 정도였고,[16] 무게는 약 약 453.59kg에서 약 544.31kg 사이였다. 일반적으로 전투에서 매우 민첩했지만,[16] 가벼운 말의 속도나 지구력에는 미치지 못했다. 중세에는 이 등급의 더 큰 말을 때때로 데스트리에라고 불렀다. 현대의 바로크 또는 중장형 마차마 품종과 비슷했을 것이다. 나중에 현대의 온혈마와 유사한 말들이 유럽 기병대에서 자주 사용되었다.[16]3. 3. 중량
마차마의 조상인 중장마는 무거운 짐을 운반하는 데 사용되었으며, 페르슈롱 등이 대표적이다.[7] 680kg~907kg(1500~2000파운드)에 달하는 거대한 중장마는 오늘날의 마차마의 조상으로서, 특히 유럽에서 중세 이후로 사용되었다.[7] 이들은 보급품 수레와 같은 무거운 짐을 끌었고, 전투에서도 침착함을 유지하는 경향이 있었다. 일부 역사가들은 이들이 후기 중세 시대의 가장 무장이 무거운 기사들을 운반했을 가능성이 있다고 믿지만, 다른 역사가들은 이 주장에 대해 이의를 제기하며, 데스트리에르(기사의 전투마)는 중량급 동물이었다고 지적한다. 데스트리에르 종에 마차용 동물이 포함되었는지 여부도 논란의 대상이다.[7] 중량급 중에서도 소형에 속하는 품종에는 페르슈롱의 조상이 포함되었을 수 있으며, 이들은 그 크기에 비해 민첩하고 전투에서도 움직임이 가능했다.[7]4. 군마의 훈련
군마는 전투 상황에 적응하고 기수의 명령에 따르도록 특별한 훈련을 받았다. 드레사주는 군마 훈련에서 발전된 기술이다.[16]
말이 전차를 끌거나, 경기병이나 중기병으로 사용되거나, 갑옷을 입은 기사를 태우기 위해서는 소음, 피 냄새, 전투의 혼란으로부터 도망치려는 본능을 극복하는 훈련이 필요했다.[15] 또한 무기를 사용하거나 피할 때 인간의 갑작스러운 움직임을 받아들이도록 훈련받았다.[15] 근접 전투에 사용된 말들은 차거나 물도록 훈련받기도 했으며, 이는 말 자체가 무기가 되도록 하였다.
대부분 기승용 전투마는 고삐(rein)를 제한적으로 사용하고, 주로 기수의 다리와 체중에 반응하도록 훈련받았다.[15] 말은 마구와 갑옷 착용에 익숙해지고, 무기와 갑옷을 착용한 기수를 태우고 균형을 잡는 법을 배웠다.[15] 말의 균형과 민첩성을 향상시키는 것은 매우 중요했으며, 드레사주(dressage) 훈련법은 말을 복종적이고 기동성 있게 훈련시킬 필요성에서 비롯되었다.[16] 오늘날 스페인 승마학교(Spanish Riding School)에서 가르치는 고전 드레사주(classical dressage)의 ''오트 에콜(Haute ecole)'' 동작은 전장을 위해 고안된 기동에서 유래했다.[16] 그러나 ''지상 위의 공중 동작(airs above the ground)''은 말의 배를 보병의 무기에 노출시키기 때문에 실제 전투에서는 사용되지 않았을 가능성이 높다.
전차전에 사용된 말들은 전투 조건에 대한 훈련뿐만 아니라, 여러 마리가 함께 일하는 법도 배워야 했다.
군마는 특별한 훈련을 통해 피 냄새를 싫어하지 않고, 사람을 밟는 것을 두려워하지 않도록 훈련되었다. 일반적인 훈련 내용은 고삐 없이도 반응하고, 전투 소음에 견디며, 갑옷과 무기에 익숙해지도록 하는 것이었다. 직접 전투에 참가하는 말뿐만 아니라, 수송용 말도 총포 소리에 익숙해지도록 훈련하는 것이 바람직했다. 적병을 차거나 물어뜯도록 훈련된 말도 있었다.
5. 군마의 기술 혁신
재갈, 안장, 등자의 발명은 군마의 활용도를 크게 높였다.[17][18][19][20] 말을 조련하는 데 사용된 가장 초기 도구는 다양한 종류의 재갈이었으며, 말이 가축화된 것과 거의 동시에 발명되었다. 재갈 마모의 흔적은 카자흐스탄 북부의 보타이 문화 유적에서 발굴된 기원전 3500~3000년경의 말 이빨에서 발견된다.
바퀴의 발명은 전차전의 발달을 가져온 중요한 기술 혁신이었다. 처음에는 말과 야생 당나귀와 같은 말과 동물들이 목에 멍에를 씌워 소와 비슷한 방식으로 바퀴 달린 수레에 매달렸다.[21] 그러나 이러한 설계는 말의 해부학적으로 적합하지 않아 동물의 힘과 이동성을 제한했다. 기원전 1600년경 힉소스의 이집트 침략 당시에는 말들이 가슴받이와 뒷받이를 사용하는 개선된 마구를 이용하여 전차를 끌었는데, 이를 통해 말은 더 빠르게 움직이고 더 무거운 짐을 끌 수 있게 되었다.
전차가 전쟁 도구로서 쓸모없게 된 후에도, 짐을 끄는 기술에 대한 기술적 혁신의 필요성은 여전히 존재했다. 무거운 보급품과 무기를 운반하기 위해 말이 필요했던 것이다. 서기 5세기(남북조 시대) 중국에서 발명된 말목은 이전 시대에 사용되던 소 멍에나 가슴받이를 사용하여 차량에 매달렸을 때보다 더 무거운 짐을 끌 수 있게 했다. 말목은 9세기에 유럽에 도착했고, 12세기까지 널리 보급되었다.
기병의 전투 효율을 혁신적으로 바꾼 두 가지 주요 발명품은 안장과 등자이다. 기수들은 말의 등뼈와 기갑으로부터 자신을 보호하기 위해 말의 등에 패드를 대는 것을 빠르게 배웠고, 말 등에 담요나 패드와 간단한 재갈만을 사용하여 수 세기 동안 말을 타고 싸웠다. 기수의 체중을 분산하고 말의 등을 보호하기 위해 일부 문화권에서는 오늘날의 영국식 안장 패널과 유사한 충전재를 만들었다. 스키타이인과 아시리아인 모두 말의 몸통 주위에 말띠 또는 복대로 고정된 추가된 펠트가 부착된 패드를 사용하여 안전성과 편안성을 높였다. 크세노폰은 기원전 4세기 초에 기병대 말에 패드를 댄 천을 사용했다고 언급했다.
견고한 골격 또는 "틀"이 있는 안장은 말을 기수의 무게로부터 보호하는 지지대를 제공했지만, 서기 2세기까지는 널리 보급되지 않았다. 그러나 안장 틀에 무게가 분산되면 말이 더 많은 무게를 지탱할 수 있었기 때문에 중요한 차이를 만들었다. 오늘날의 서부식 안장의 전신인 견고한 틀은 또한 더 높은 자리를 제공하여 기수에게 안장에서 더 큰 안전성을 제공했다. 고대 로마인들은 견고한 틀 안장을 발명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22]
기병을 특히 효과적으로 만든 발명품은 등자였다. 엄지발가락을 고정하는 발가락 고리는 기원전 500년경 인도에서 사용되었을 가능성이 있으며, 나중에는 단일 등자가 승마 보조 도구로 사용되었다. 최초의 쌍 등자는 진나라 시대인 서기 322년경 중국에 등장했다.[23] 쌍 등자의 발명 이후 기수는 무기 사용에 더 큰 지렛대를 얻었을 뿐만 아니라, 탑승한 상태에서 안정성과 이동성이 모두 향상되었고, 몽골과 같은 유목민 그룹은 이 기술을 채택하여 결정적인 군사적 이점을 개발했다. 7세기까지 중앙아시아 침입자들로 인해 주로 등자 기술이 아시아에서 유럽으로 퍼져나갔다.[24] 아바르족 침입자들은 중앙 유럽으로 등자 사용을 확산시킨 주요 원인으로 여겨진다.[25][26] 그러나 등자가 8세기에 유럽에서 알려졌지만, 등자 사용에 대한 그림 및 문헌 참고 자료는 9세기부터 나타난다. 영국을 포함한 북유럽에서의 광범위한 사용은 9세기와 10세기에 이 지역에 등자를 전파한 바이킹 덕분이다.[27][28]
초기에는 마구가 없어 맨몸으로 말을 탄 것이 보통이었지만, 점차 재갈, 안장, 등자, 편자 등이 발명되었다. 그중에서 군마 역사상 가장 중요한 발명은 아마도 등자일 것이다. 이로 인해 착승 자세가 안정되고, 말에 탄 병사가 무기를 조작하는 것이 매우 용이해졌다. 등자 발명 이전에는, 탄 병사는 두 다리로 말의 몸통을 끼우듯이 자세를 유지할 수밖에 없었고, 이는 상당한 훈련을 필요로 했으며, 어릴 때부터 승마 연습이 필수적이었다. 이러한 훈련을 일상적으로 행했던 유목 민족은 압도적으로 유리했다. 등자 발명 이후, 농경 민족의 기병이라도 유목 기병에 대항할 수 있게 되었다.
6. 군마의 관리
군마는 일반 병사보다 10배 가까이 많은 사료를 필요로 했기 때문에, 많은 국가에서 대량으로 마량을 수송해야 했다.[120] 전선에서는 마량이 부족한 경우가 많았고, 제1차 세계 대전 당시 독일에서는 해상 봉쇄로 식량을 얻지 못해 나무 톱밥을 먹여 연명했지만, 결국 많은 말이 굶어 죽었다.[120] 마량을 낭비 없이 관리하기 위해 먹이주머니(Feedbag)를 사용했다.[120]
제1차 세계 대전 중 사망한 말의 75%는 질병이나 과로로 인한 것이었다.[120]
일본에서는 태평양 전쟁 등의 필요에 따라 청지(青紙)라 불리는 징발 영장을 발부하여 말을 조달했다. 군마는 다루기 쉽도록 거세가 강제되었다.[118] 태평양 전쟁에서는 약 100만 마리가 동원되었고, 이 중 50만 마리는 돌아오지 못했다.[119]
7. 현대적 의의
오늘날, 말의 역사적인 군사적 용도는 대부분 전시, 역사 재현, 경찰 업무, 경쟁 이벤트 등 평화로운 용도로 발전했습니다. 기병으로 구성된 정규 전투 부대는 대부분 사라졌으며, 현대 군대 내 승마 부대는 정찰, 의식, 군중 통제 목적으로 사용됩니다. 기계화 기술의 발전으로 정규 국가 군대에서 말은 전차와 장갑 전투 차량으로 대체되었지만, 이들은 여전히 "기병"이라고 불리기도 합니다.[81]
기마경찰은 18세기부터 사용되어 왔으며, 전 세계적으로 교통 및 군중 통제, 공원 순찰, 행렬 및 의식 질서 유지, 일반 거리 순찰 임무 등에 여전히 활용되고 있습니다. 오늘날에도 많은 도시에 기마경찰 부대가 있습니다. 농촌 지역에서는 험준한 지형 순찰, 종교 성지 군중 통제, 국경 순찰 등에 법 집행 기관에서 말을 사용합니다.
농촌 지역에서는 도시 외곽에서 운영되는 법 집행 기관에도 기마 부대가 있을 수 있습니다. 여기에는 길 없는 지역에서 실종자를 찾기 위해 특별히 임명된 유급 또는 자원봉사 기마 수색 및 구조 부대가 포함됩니다.[90] 보호구역의 법 집행 기관은 기계화된 운송이 어렵거나 금지된 곳에서 말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말은 지상에서 사람보다 더 빠르게 이동할 수 있고, 무거운 장비를 운반할 수 있으며, 대상이 발견되었을 때 구조대원에게 더 많은 휴식을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전반적인 팀 노력의 필수적인 부분이 될 수 있습니다.[91]
세계 여러 국가는 의식, 전시 또는 교육 목적으로 전통적으로 훈련되고 역사적으로 통일된 기병 부대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한 예로 미국 육군 제1기병사단(1st Cavalry Division)의 기병대가 있습니다.[92] 이 현역 군인 부대는 1880년대 미국 기병이 사용한 무기, 도구, 장비 및 기술을 재현합니다.[13] 이 부대는 지휘권 인수식 및 기타 공개 행사에서 볼 수 있습니다.[13] 캐나다의 가드 기병 연대인 주지사 총독 기병대(Governor General's Horse Guards)도 유사한 부대이며, 캐나다군에서 마지막으로 남은 기마 기병 부대입니다.[93][94] 네팔의 국왕 근위 기병대는 100마리 이상의 말을 보유한 의식 부대로, 19세기 이후 존재했던 네팔 기병의 잔여 부대입니다.[95] 중요한 의식적 용도 중 하나는 군 장례식으로, 종종 행렬의 일부로 장식된 말이 포함되어 "전사가 다시는 말을 타지 않을 것"을 상징합니다.[96]
말은 또한 많은 역사 재현 행사에도 사용됩니다.[97] 재현자들은 가능한 한 정확한 장비를 사용하여 전투나 토너먼트의 조건을 재현하려고 노력합니다.[98]
현대 하계 올림픽 승마 종목은 기병 기술과 고전 승마술에 그 뿌리를 두고 있습니다.[99] 최초의 올림픽 승마 종목은 1912년에 도입되었으며, 1948년까지는 군마를 탄 현역 장교들에게만 경쟁이 허용되었습니다. 기계화된 전쟁으로 군인 기수의 수가 줄어든 1952년 이후에야 민간 기수들이 경쟁에 참가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100] 마장마술은 크세노폰과 그의 기병 훈련 방법에 관한 저서에서 그 기원을 찾을 수 있으며, 화기를 사용하는 전투에서 다른 전술의 필요성에 따라 르네상스 시대에 더욱 발전하였습니다.[101] 마술(Eventing)로 알려진 3단계 경기는 다재다능하고 잘 훈련된 말에 대한 기병 장교들의 필요성에서 비롯되었습니다.[102] 장애물 경주는 여우 사냥에서 크게 발전했지만, 기병들은 점프를 말 훈련에 좋은 것으로 여겼고,[103] 페데리코 카프릴리와 같이 장애물을 넘는 현대 승마 기술 개발의 선구자들은 군인 출신이었습니다.[104] 올림픽 종목 외에도 군사적 뿌리를 가진 다른 종목들이 있습니다. 승마 사격과 텐트 페깅과 같이 무기를 사용하는 경기는 기승자의 전투 기술을 시험합니다.
말을 탄 조직적인 무장 전투원들이 종종 목격됩니다. 가장 잘 알려진 현대의 사례는 다르푸르 지역의 수단에서 목격된 민병대인 잔자위드로, 다르푸르 갈등에서 무장하지 않은 민간인을 공격하여 악명을 얻었습니다.[82] 많은 국가들이 여전히 극히 험준한 지형에서 특정 유형의 순찰 및 정찰 임무를 위해 소수의 기마 군사 부대를 유지하고 있으며, 아프가니스탄의 분쟁도 그 예입니다.[83]
항구적 자유 작전 초기에, 작전 분견대 알파 595팀은 2001년 10월 19일 아프가니스탄에 은밀히 투입되었습니다.[84] 아프가니스탄 북부의 험준한 산악 지형에서는 말이 유일하게 적합한 이동 수단이었습니다.[85] 그들은 1942년 1월 16일 미국 육군의 제26 기병 연대가 마닐라에서 진격하는 일본 제14군의 선봉대를 공격한 이후로 전투에 말을 타고 참전한 최초의 미국 군인들이었습니다.[86][87][88]
현존하는 유일한 작전 준비 완료 상태의 완전 기마 정규 연대는 인도 육군의 제61 기병대입니다.[89]
군마의 사용 목적은 수송 능력과 속도로 나뉩니다. 사람은 짐을 지는 것보다 많은 물자를 수송할 수 있으며, 사람보다 훨씬 빠르게 이동할 수 있습니다. 이 두 가지 목적을 위해 군마는 발전했지만, 현대에는 수송 능력과 속도가 훨씬 뛰어난 자동차 등의 기계가 등장함에 따라 쇠퇴·소멸하게 되었습니다.
참조
[1]
잡지
Bred for Speed... Built for Trouble
http://www.time.com/[...]
2006-05-28
[2]
웹사이트
Chapter 3, Section IV: Size
http://aerc.org/AERC[...]
AERC
2003-11
[3]
웹사이트
Mighty horses pull more than their weight at fair
http://horsepullresu[...]
Horsepull Results
[4]
웹사이트
History of the draft horse dynamometer machine
http://www.easterndr[...]
Eastern Draft horse Association
[5]
웹사이트
Eastern Draft Horse Association Rules
http://www.easterndr[...]
Eastern Draft horse Association
[6]
웹사이트
Records
http://www.horsepull[...]
Horsepull.com
[7]
논문
[8]
서적
Wellington's Victories. A Guide to Sharpe's Army 1797–1815
https://archive.org/[...]
Michael O'Mara Books Ltd.
[9]
웹사이트
Lovat Scouts history with links and pictures of ex members
http://www.qohldrs.c[...]
Qohldrs.co.uk
[10]
서적
The Official Horse Breeds Standards Guide: The Complete Guide to the Standards of All North American Equine Breed Associations
Voyageur Press
[11]
뉴스
Army Experiments With Dartmoor Ponies Better Than Mules
http://archive.catho[...]
[12]
웹사이트
Special Forces Use of Pack Animals
https://fas.org/irp/[...]
Army Special Forces
2004-06
[13]
저널
21st century Horse Soldiers
2006-12
[14]
웹사이트
America's Civil War: Horses and Field Artillery
http://www.historyne[...]
Historynet.com
1996-03
[15]
웹사이트
Dressage Explained
http://www.efanation[...]
Equestrian Federation of Australia
[16]
웹사이트
History of Dressage
http://www.usdf.org/[...]
United States Dressage Federation
[17]
저널
The Oldest Pedigree Chart
1935-06
[18]
서적
A History of Horsemanship
[19]
서적
The Nature of Horses
[20]
웹사이트
The Earliest Horseback Riding and its Relation to Chariotry and Warfare
http://users.hartwic[...]
Institute for Ancient Equestrian Studies
[21]
서적
The Ancient Near East
[22]
웹사이트
The Horse in History
http://www.abc.net.a[...]
Radio National
1999-11-13
[23]
웹사이트
The invention and influences of stirrup
http://www.chinacult[...]
Chinese Ministry of Culture
[24]
서적
Dictionary of Ancient & Medieval Warfare
[25]
서적
The Other Europe
[26]
서적
The Hun: Scourge of God AD 375-565
https://books.google[...]
Osprey Publishing Ltd.
[27]
저널
Viking Stirrups from England and their Background
[28]
서적
The Norsemen in the Viking age
https://archive.org/[...]
Blackwell Publishing
[29]
서적
War in Human Civilization
Oxford University Press
[30]
저널
The Origin of the True Chariot
1996-12
[31]
서적
Handbook to Life in Ancient Greece
[32]
서적
Minoans
[33]
서적
Dictionary of Ancient & Medieval Warfare
[34]
웹사이트
The Iliad
http://classics.mit.[...]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35]
웹사이트
"De Bello Gallico" and Other Commentaries, Chapter 33
http://www.gutenberg[...]
Project Gutenberg
[36]
서적
Warfare in the Classical World
[37]
논문
The Sarmatian Lance and the Sarmatian Horse-Riding Posture
2002-03-01
[38]
서적
Cavalcade
[39]
서적
Horse
[40]
서적
Pre-Modern East Asia
[41]
서적
Handbook to Life in Ancient Rome
[42]
서적
Rome at War
[43]
논문
Sur quelques vestiges et indices nouveaux de l'hellénisme dans les arts entre la Bactriane et le Gandhāra (130 av. J.-C.-100 apr. J.-C. environ)
https://www.academia[...]
2020
[44]
웹사이트
Introduction: The Restless Horsemen
http://www.allempire[...]
All Empires
2008-07-17
[45]
서적
Post-Gupta Polity (A.D. 500–750)
[46]
논문
The Social and Military Position of the Ruling Caste in Ancient India, as Represented by the Sanskrit Epic
1889
[47]
서적
Histories
[48]
서적
[49]
서적
Age of the Nandas and Mauryas
[50]
문서
Mudra-Rakshasa II
[51]
서적
The Limited Adoption of European-style Military Forces by Eighteenth Century Rulers in India
[52]
서적
The Limited Adoption of European-style Military Forces by Eighteenth Century Rulers in India
[53]
서적
Ancient China and Its Enemies: The Rise of Nomadic Power in East Asian History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2
[54]
서적
War in Japan
[55]
웹사이트
The History of the Takeda school Kyuubadou
http://www.yabusame.[...]
The Takeda School of Horseback Archery
2008-11-30
[56]
서적
The Military Orders, Volume 2 Welfare and Warfare
Ashgate
1998
[57]
논문
Tournaments and their Relevance for Warfare in the Early Modern Period
1990
[58]
서적
Companion to Medieval Arms and Armour
[59]
서적
Warfare in the Medieval World
[60]
서적
The Medieval Knight at War
[61]
서적
The Reader's Companion to Military History
Houghton Mifflin Harcourt
2001
[62]
서적
Hungarian Hussar 1756–1815
Osprey
2003
[63]
웹사이트
The History of Classical Horsemanship
http://www.dressage.[...]
United States Pony Clubs
2010-09-19
[64]
서적
Roots of Violence
[65]
서적
Warfare
[66]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the Native Peoples of the Americas
[67]
웹사이트
The Continental Army
http://www.history.a[...]
Center of Military History, United States Army
1983-11-09
[68]
웹사이트
Introduction To Civil War Cavalry
http://ehistory.osu.[...]
Ohio State University Department of History
2008-11-02
[69]
웹사이트
The Horse in the Civil War
http://www.reillysba[...]
Reilly's Battery
2002-07-01
[70]
웹사이트
The Battle of Brandy Station
http://brandystation[...]
Brandy Station Foundation
2011-10-30
[71]
웹사이트
Ulysses S. Grant: The 'Unconditional Surrender' Continues
http://www.historyne[...]
HistoryNet
2007-01-01
[72]
웹사이트
Horses and Mules and National Defense
http://www.qmfound.c[...]
Army Quartermaster Foundation, Inc.
2008-07-17
[73]
서적
First World War
[74]
서적
First World War
[75]
서적
First World War
[76]
서적
God's Playground Volume II
[77]
웹사이트
History of the Royal Army Veterinary Corps
http://www.ams-museu[...]
Army Medical Services Museum
2008-07-18
[78]
웹사이트
Horse Memorial
http://196.35.231.29[...]
South African Heritage Resources Agency
2009-07-16
[79]
뉴스
Animal war heroes statue unveiled
http://news.bbc.co.u[...]
2004-11-24
[80]
뉴스
War horse's medal from valley of death up for sale
https://www.telegrap[...]
The Daily Telegraph
2004-04-04
[81]
논문
General Hawkins's war: The Future of the Horse in the U.S. Cavalry
2007-01-01
[82]
뉴스
In Sudan, Militiamen on Horses Uproot a Million
https://www.nytimes.[...]
2004-05-04
[83]
뉴스
Afghan War Eyewitness on Warlords, Future, More
http://news.national[...]
2002-02-15
[84]
서적
Weapon of Choice: U.S. Army Special Operations Forces in Afghanistan
Combat studies institute Press
[85]
뉴스
'Horse Soldier' statue dedicated near Ground Zero
http://www.wkdzradio[...]
2011-11-18
[86]
뉴스
WWII cavalry officer in the Philippines
http://articles.lati[...]
2013-03-17
[87]
뉴스
Lieutenant-Colonel Edwin Ramsey: Soldier who led the last cavalry charge by the US army
https://www.independ[...]
2013-04-03
[88]
웹사이트
Special Forces Who Avenged 9/11 on Horseback
http://www.realclear[...]
[89]
웹사이트
61st Cavalry
http://www.indiapolo[...]
IndiaPolo.com
[90]
웹사이트
Northwest Horseback Search and Rescue
http://www.nwhsar.or[...]
Northwest Horseback Search and Rescue
[91]
웹사이트
Why Search on Horseback?
http://www.nwhsar.or[...]
Northwest Horseback Search and Rescue
[92]
웹사이트
Horse Cavalry Detachment
http://www.hood.army[...]
First Cavalry Division
[93]
웹사이트
Governor General's Horse Guards
http://www.army.forc[...]
Canadian Department of National Defense
[94]
웹사이트
The Honours, Flags and Heritage Structure of the Canadian Forces
http://www.saskd.ca/[...]
Canadian Department of National Defense
1999-01-04
[95]
뉴스
Nepalese cavalry to be relocated
http://news.bbc.co.u[...]
2008-06-08
[96]
웹사이트
Military to Support Reagan Funeral
http://www.defense.g[...]
U.S. Department of Defense
[97]
웹사이트
1066 Battle Re-enactment: The Big Match - King Harold V William of Normandy at the Battle of Hastings
http://www.1066count[...]
Hastings Borough Council
[97]
웹사이트
Australian Light Horse Association Homepage
http://www.lighthors[...]
Australian Light Horse Association
[98]
논문
Dyssimulation: Reflexivity, Narrative and the Quest for Authenticity in "Living History"
1988-08-01
[99]
서적
Olympic Equestrian
[100]
웹사이트
Factbox for Equestrianism
https://www.reuters.[...]
Reuters
2008-08-07
[101]
웹사이트
History of the Spanish Riding School
http://www.visitingv[...]
Mark Brownlow
[102]
서적
The American Quarter Horse
[103]
뉴스
Gold, silver, bronze? Not in 1932
https://www.cbc.ca/s[...]
Canadian Broadcasting Corporation
[104]
웹사이트
The Horse in 19th century American Sport
http://www.imh.org/m[...]
International Museum of the Horse
[105]
웹사이트
軍馬とは
https://kotobank.jp/[...]
[106]
웹사이트
「馬にも召集令状が届いていた」戦後77年で“軍馬と戦争”の企画展 展示物は「物を言わぬ昭和の証言者」
https://newsdig.tbs.[...]
2022-09-19
[107]
웹사이트
Indian horses bred to fight elephants
https://web.archive.[...]
[108]
문서
http://www.bajikyo.o[...]
[109]
서적
競走馬の文化史
筑摩書房
1995-12-15
[110]
서적
競走馬の文化史
筑摩書房
1995-12-15
[111]
서적
仏国種牡馬法規
/796417/6
NDLDC
1897
[112]
논문
帝国日本の軍馬政策と馬生産・利用・流通の近代化
http://square.umin.a[...]
2016
[113]
웹사이트
宮城県大崎市鳴子・上原開拓
https://www.kaitakus[...]
全国開拓振興協会
2020-11-10
[114]
서적
戦中戦後20年 北海道木材・林業の変遷
北海道林材新聞
1988-06-05
[115]
웹사이트
3426 荷駄(にだ) | 四日市市立博物館 展示ガイド
http://guidance.city[...]
四日市市立博物館
2022-09-19
[116]
웹사이트
江戸時代の単位で「駄」とは何kgのことか。
https://crd.ndl.go.j[...]
レファレンス協同データベース
2022-09-19
[117]
웹사이트
輓営競馬
https://www.komazawa[...]
駒沢大学
2022-09-19
[118]
서적
競走馬の文化史
筑摩書房
1995-12-15
[119]
웹사이트
「馬の形をした猛獣」…日本の「軍馬」 試行錯誤の黎明期から現代にいたるその歩み
https://trafficnews.[...]
2022-09-19
[120]
웹사이트
Army horse care in the First World War | National Army Museum
https://www.nam.ac.u[...]
National Army Museum
2022-09-1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