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PC (기업)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NPC는 플라스틱 콘테이너 및 생활용품을 생산하는 기업이다. 1965년 설립되어, 플라스틱 바가지, 도마, 보온병, 도시락 등에서 현재는 음료 및 주류 용기, 산업용 콘테이너를 주로 생산한다. 국내 유화업계에서 원재료를 조달하며, 국제 원유가 및 환율, 내수 경기에 실적 영향을 받는다. 매년 2,000억~3,000억대 매출액과 지속적인 흑자를 기록하고 있다. 주식 시장에서는 거래가 거의 이루어지지 않으며, 과거 편법 증여 의혹이 있었다. 국내 및 해외에 여러 관계사와 법인을 두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제주특별자치도의 기업 - 카카오 (기업)
카카오는 1995년 다음커뮤니케이션으로 설립되어 한메일 서비스로 성장, 2010년 카카오톡 출시 후 2014년 다음과의 합병을 거쳐 2015년 카카오로 사명을 변경하며 모바일 플랫폼 기업으로 성장했으나 문어발식 확장, 통신 검열 논란 등의 비판도 받았다. - 제주특별자치도의 기업 - NXC
NXC는 넥슨 그룹의 지주회사로서 그룹 전체의 전략 수립 및 투자 결정을 담당하며 게임 개발 및 서비스 외에도 다양한 분야에 투자하고 사회공헌 활동에도 참여한다. - 충청북도의 기업 - 대웅제약
대웅제약은 1945년 설립된 대한민국의 제약회사로, 다양한 의약품, 건강기능식품, 의료기기, 화장품 등을 생산하며 바이오 신약 개발 및 사업 확장을 추진하고 있다. - 충청북도의 기업 - 유유제약
유유제약은 1941년 유한양행 계열사로 설립된 유한무역주식회사가 전신으로, 1957년 유특한에 의해 현재 사명으로 변경된 제약 회사이며, 다양한 의약품 개발, 사업 다각화, 해외 제약사들과의 제휴, 개량신약 개발 등을 통해 성장했다. - 경상남도의 기업 - 한화오션
한화오션은 1973년 대한조선공사로 설립되어 대우조선해양을 거쳐 2022년 한화그룹에 인수된 대한민국의 조선업체로, 다양한 선박과 해양플랜트 건조, 분식회계 및 경영난을 거쳐 한화그룹 인수 후 사업 확장과 세계적인 조선 기술력을 바탕으로 도약을 준비하고 있다. - 경상남도의 기업 - 한국항공우주산업
한국항공우주산업(KAI)은 군용기, 민간 항공기, 위성, 우주 발사체 등 항공우주 분야에서 사업을 전개하는 대한민국의 기업이다.
NPC (기업) - [회사]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엔피씨주식회사 |
원어 | NPC Co. Ltd. |
창립 | 1965년 5월 29일 내쇼날푸라스틱 |
재창립 | 2011년 3월 NPC |
상장일 | 1969년 9월 |
장소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해안로 289 (원시동) |
인물 | 최병민 (대표이사) |
산업 | 포장용 플라스틱 성형용기 제조업 |
대표 제품 | 콘테이너, 파렛트, 의자, 데스크 등의 플라스틱 제품 |
자본금 | 21,000,000,000원 (2021.12) |
매출액 | 486,902,150,978원 (2021) |
영업 이익 | 28,271,810,810원 (2021) |
순이익 | 26,181,241,315원 (2021) |
자산 총액 | 499,980,382,786원 (2021.12) |
주주 | 임익성 외 특수관계인: 60.09% |
자회사 | 엔피씨몰텍주식회사 |
종업원 | 238명 (2021.12) |
웹사이트 | 엔피씨주식회사 공식 웹사이트 |
2. 사업
(내용 없음)
2. 1. 주요 제품
사업 초창기에는 플라스틱 바가지, 도마, 보온병, 도시락과 같은 생활용품을 주로 만들었다. 현재 주력 제품은 음료 및 주류 운반용 플라스틱 컨테이너와 산업 현장에서 사용되는 다양한 종류의 컨테이너이다.이들 제품은 주로 국내 유화업계에서 공급받는 플라스틱을 원료로 사용하며, 이 때문에 국제 유가나 환율 변동에 따라 생산 비용이 영향을 받는다. 또한, 제품 특성상 부피가 크고 운송 비용이 많이 들어 해외 수출보다는 국내 시장 판매에 집중하는 경향이 있다.
2. 2. 사업 구조
사업 초창기에는 플라스틱 바가지 및 도마, 보온병, 도시락 등의 생활용품을 주로 만들었다. 현재는 음료 및 주류를 담는 플라스틱 콘테이너, 산업용 콘테이너 등을 주로 생산한다.원재료는 거의 국내 유화업계에서 조달하나, 석유를 원료로 하는 플라스틱 재료의 특성상 국제 원유가 및 환율 변동에 따라 실적에 영향을 받는다. 플라스틱 산업은 제품 가치에 비해 부피가 크고 가격이 저렴하여 물류비용 부담이 크기 때문에, 해외 수출보다는 국내 판매에 집중하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매출 역시 국내 내수 경기에 큰 영향을 받는다.
매출액은 매년 2000억원 ~ 3000억원 규모이며, 순이익 역시 지속적인 흑자를 기록하고 있는 견실한 기업이다.
3. 주식
상장회사이지만 주식 시장에서의 거래는 활발하지 않은 편이다.[1]
3. 1. 편법 증여 의혹
상장회사이기는 하나, 주식 시장에서 거래가 거의 이루어지지 않는 종목이다. 창업주가 자신의 손자가 경영하는 '''동암'''이라는 회사에 지분을 대량으로 매각한 일이 있는데 이것이 세금을 절약하기 위한 편법 증여라는 의혹이 있다.[1]4. 연혁
- 1965년 5월 : 회사 설립 (본점소재지: 부산광역시 동래구 연산동)
- 1965년 8월 : 영진화학 흡수 합병
- 1969년 2월 : 기업공개
- 1969년 9월 : 한국거래소 주식 상장
- 1971년 6월 : 로얄푸라스틱 흡수합병
- 1977년 4월 : 본사 서울특별시로 이전 (소재지: 서울 영등포구 대림동)
- 1981년 3월 : 싱가포르 현지 법인(SNPC) 설립
- 1987년 5월 : 반월공장 준공 (소재지: 경기도 안산시)
- 1990년 2월 : 형체력 4,500톤 사출기 가동
- 1990년 8월 : 정읍공장 준공 (소재지: 전북 정읍시)
- 1993년 4월 : 중국 도문내쇼날푸라스틱유한공사 합작회사 설립
- 1995년 5월 : 본사 경기도 안산시로 이전
- 2003년 10월 : 영남공장 준공 (소재지: 경상남도 밀양시)
- 2005년 11월 : 청원공장 준공 (소재지: 충청북도 청주시 청원구 (당시 청원군))
- 2011년 3월 : 내쇼날푸라스틱에서 엔피씨(NPC)로 상호변경
- 2014년 12월 : 제주내쇼날푸라스틱 합병.
5. 공장 및 사업장
wikitext
구분 | 소재지 |
---|---|
본사 및 반월공장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해안로 289 (원시동) |
군포사무소 | 경기도 군포시 이당로 129 (당정동) |
제주공장 |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표선면 원님로 594 |
영남공장 | 경상남도 밀양시 초동면 초동농공단지길 39-33 |
청원공장 | 충청북도 청주시 청원구 북이면 화상석성로 443 |
6. 관계사 및 해외법인
(내용 없음)
6. 1. 국내 관계사
wikitext관계사명 |
---|
엔피씨몰텍(주) |
(주)엔피씨케미칼 |
내쇼날플러스(주) |
내쇼날씨엔디(주) |
(주)엔코어벤처스 |
엔피씨로지스(주) |
(주)엔피씨시스템 |
엔에스씨(주) |
엔디케이(주) |
6. 2. 해외법인
wikitext법인명 |
---|
산생 내쇼날푸라스틱 |
도문내쇼날푸라스틱 유한공사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