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TVING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TVING은 CJ ENM과 JTBC 스튜디오의 합작 법인으로 2020년 10월 1일 출범한 대한민국의 온라인 동영상 서비스(OTT) 플랫폼이다. 2010년 CJ헬로비전에서 처음 서비스를 시작했으며, 2021년 유료 구독 모델로 전환했다. 네이버가 지분을 투자하여 2대 주주로 참여하고 있으며, 파라마운트+ 콘텐츠를 제공한다. KT의 Seezn과의 합병을 통해 국내 최대 스트리밍 플랫폼으로의 성장을 기대하고 있으며, 일본과 대만에 서비스를 출시하여 아시아 시장으로 진출했다. KBO 리그 및 KBL 중계권을 확보하여 스포츠 중계 서비스도 제공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10년 설립된 웹사이트 - SNAC
    SNAC은 사회 연결망 분석을 위한 방사형 그래프 기능 프로젝트로, 여러 기관의 아카이브 데이터를 활용하여 인물, 단체, 사건 간의 관계를 시각적으로 보여주고, 역사 연구 및 이해에 기여하며, 가상 국제 권한 파일과 연계하여 기록의 정확성을 높인다.
  • 대한민국의 서비스 기업 - 강원랜드
    강원랜드는 폐광 지역 경제 활성화를 위해 설립된 대한민국 유일의 내국인 출입 가능 카지노 및 복합 리조트이며, 카지노, 호텔, 콘도미니엄, 골프장, 스키장 등을 운영하지만 도박 중독, 범죄 증가, 비리 등 사회적 문제와 논란이 지속적으로 발생한다.
  • 대한민국의 서비스 기업 - 스튜디오드래곤
    스튜디오드래곤은 CJ ENM에서 설립되어 코스닥에 상장된 한국 드라마 제작사로, 넷플릭스와 협업하여 글로벌 히트작을 만들며 해외 진출을 선도하고 있으며, 다양한 플랫폼과 협력 및 사업 확장을 통해 한국 드라마 산업에 기여하고 있다.
  • 2020년 설립된 기업 - LG에너지솔루션
    LG에너지솔루션은 전기차 배터리 시장 성장에 따라 LG화학에서 분사되어 2022년 상장한 배터리 전문 기업으로, 글로벌 완성차 업체에 배터리를 공급하며 시장을 확대하고 있지만, 일부 차량에서 화재가 발생하여 리콜 사태를 겪기도 했다.
  • 2020년 설립된 기업 - 휠라
    1911년 이탈리아에서 휠라 형제가 설립한 스포츠웨어 브랜드 휠라는 속옷 생산으로 시작해 테니스 선수 후원을 통해 스포츠웨어 시장에 진출, 2007년 휠라 코리아가 글로벌 브랜드 경영을 시작하여 현재 대한민국 서울에 본사를 두고 스포츠 팀 및 다양한 브랜드와 협업하고 있다.
TVING - [IT 관련 정보]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TVING 로고
TVING 로고
2021년 7월 7일 TVING 홈페이지 스크린샷
2021년 7월 7일 홈페이지 스크린샷
원래 이름주식회사 티빙
원래 이름 (언어)ko
유형OTT 플랫폼
설립일2010년 5월 31일
주요 인물최주희 (CEO)
서비스 지역가용성 참고
소유주CJ ENM (48.85%)
KT Studio Genie (13.54%)
JC & Partners (13.54%)
SLL (12.75%)
네이버 (10.66%)
기타 (0.66%)
웹사이트TVING 공식 웹사이트
관련 정보
시작일2010년 6월 1일
분사 완료일2020년 10월 1일

2. 역사

TVING은 2010년 5월 31일 CJ헬로비전에 의해 처음 서비스를 시작했으며, 2016년 1월 CJ E&M으로 서비스가 이관되었다.[4][5] 2020년 10월 1일에는 CJ ENMJTBC 스튜디오(현 SLL)의 합작 법인으로 독립하여 TVING 주식회사로 새롭게 출범했다.[6][7] 독립 법인 출범 이후 네이버 투자 유치,[9][10] 파라마운트와의 제휴,[12][13] KT의 OTT 서비스 시즌 흡수 합병 등[15][16] 국내외 파트너십과 M&A를 통해 빠르게 성장하며 국내 OTT 시장에서의 입지를 강화했다.

2. 1. 서비스 출시와 성장 (2010년 ~ 2020년)

TVING은 2010년 5월 31일 CJ헬로비전에 의해 출시되었다.[4] 2016년 1월, 서비스는 CJ E&M으로 이전되었다.[5] 2019년 9월 17일, CJ E&M과 JTBC 스튜디오(현 SLL)는 서비스 운영을 위한 신규 합작 회사 설립에 대한 MOU를 체결했다.[6] 2020년 10월 1일, 합작 회사는 TVING 주식회사로 출범했으며 양지을이 이 회사의 초대 대표가 되었다.[7]

2. 2. 독립 법인 출범과 확장 (2020년 ~ 현재)

2019년 9월 17일, CJ ENM과 JTBC 스튜디오(현 SLL)는 서비스 운영을 위한 신규 합작 회사 설립에 대한 MOU를 체결했다.[6] 이 합작 회사는 2020년 10월 1일 TVING 주식회사로 공식 출범했으며, 양지을이 초대 대표를 맡았다.[7]

2021년 4월 29일, TVING은 기존의 무료 실시간 TV 채널 제공을 중단하고, 모든 콘텐츠 시청에 유료 구독이 필요한 모델로 전환한다고 발표했다.[8] 이는 본격적인 유료 가입자 확보와 수익성 강화를 위한 조치로 해석된다. 같은 해 6월 30일에는 네이버가 TVING 주식회사에 400억을 투자하여 지분 15%를 확보했다고 발표했다. 이로써 네이버는 CJ ENM에 이어 2대 주주가 되었으며, 양사는 콘텐츠 경쟁력 강화를 위한 전략적 협력을 강화하게 되었다.[9][10]

TVING은 2021년 10월 온라인 행사 'TVING Connect'를 통해 글로벌 시장 진출 계획을 밝혔다. 2022년까지 일본과 대만에 서비스를 출시하고, 향후 네이버의 자회사인 라인과 협력하여 미국, 유럽을 포함한 다른 아시아 국가로 서비스를 확장할 계획임을 알렸다.[11]

2021년 12월에는 글로벌 미디어 그룹 파라마운트(구 바이아컴CBS)와의 중요한 파트너십을 발표했다. 이 협력의 일환으로 파라마운트+의 주요 콘텐츠를 TVING 내 '파라마운트+ 브랜드관' 형태로 제공하고, CJ(스튜디오 드래곤 및 신설된 CJ ENM 스튜디오 포함)와 파라마운트가 공동으로 K-드라마를 제작하기로 했다.[12][13] 파라마운트+ 브랜드관은 2022년 6월 16일에 공식 출시되었으며,[12] 첫 공동 제작 드라마인 SF 시리즈 ''욘더''는 파라마운트+를 통해 해외에 공개되었다.[14]

2022년 7월, CJ ENM은 통신 기업 KT와의 협력을 통해 KT가 운영하던 OTT 플랫폼 시즌을 TVING이 흡수 합병한다고 발표했다.[15][16] 양사는 이 합병을 통해 국내 최대 규모의 스트리밍 플랫폼을 구축하고, 시장 선두 주자인 넷플릭스와 본격적으로 경쟁하겠다는 포부를 밝혔다.[17] 이 합병안은 2022년 10월 공정거래위원회로부터 최종 승인을 받았다.[18] 또한, 넷플릭스에 대항하기 위한 전략의 일환으로 국내 경쟁 플랫폼인 SK텔레콤웨이브와의 합병 가능성도 검토된 바 있다.[19]

2023년 6월 29일, 최주희가 TVING의 신임 대표로 임명되었다.[20]

3. 오리지널 시리즈

TVING은 다양한 장르의 오리지널 콘텐츠를 제작하여 제공하고 있다. 오리지널 드라마, 예능, 영화 등이 있으며, 자세한 프로그램 목록은 TVING 오리지널 프로그램 목록 문서에서 확인할 수 있다. 전체 콘텐츠 목록은 TVING의 오리지널 콘텐츠 목록 문서를 참고할 수 있다.

4. 스포츠 중계

티빙은 다양한 스포츠 종목의 뉴미디어 중계권을 확보하여 스포츠 중계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대표적으로 2024년부터 KBO 리그의 온라인 중계를 단독으로 제공하기 시작했으며, 2024-25 시즌부터는 KBL 중계권도 확보하여 서비스 범위를 넓혔다.

KBO 리그 중계 초기에는 여러 논란이 있었으나, 이후 자체 제작 콘텐츠인 '티빙 슈퍼 매치' 등을 통해 중계 품질 개선을 시도하고 있다. KBL 중계는 2024-25 시즌부터 4시즌 동안 제공될 예정이다. 각 리그별 중계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하위 문서를 참고할 수 있다.

4. 1. KBO 리그 중계

2024년부터 2026년까지 3년간 KBO 리그 뉴미디어 중계권 사업자로 선정되었다. 이로써 2024년부터 온라인 KBO 리그 중계는 티빙을 통해서만 시청할 수 있게 되었다.

하지만 중계권을 확보한 이후 중계 및 편집 과정에서 여러 문제점이 드러나 논란이 되었다. 예를 들어, 시범경기 하이라이트 영상에서 4번 타자 노시환을 등번호 8번을 보고 '8번 타자 노시환'이라고 잘못 표기하거나, 3루에서의 세이프(Safe, 주자가 베이스에 먼저 도달) 상황을 야구의 구원 투수 기록인 '세이브(Save)'로 잘못 편집하는 오류가 있었다. 또한, 채은성 선수를 등번호 22번을 보고 '22번 타자'라고 지칭하는 편집 오류도 발생했다. 이러한 오류는 야구 팬들의 비판을 받았으며, SPOTV의 김민수 캐스터는 중계 중 "타석에 22번 타자 채은성이 들어섭니다"라고 언급하며 티빙의 편집 문제를 간접적으로 지적하기도 하였다.

계속되는 논란으로 인한 부정적인 여론을 줄이고 중계 품질을 개선하고자 티빙은 '티빙 슈퍼 매치'라는 자체 제작 콘텐츠를 기획했다. 티빙 슈퍼 매치는 매주 금요일 한 경기를 선정하여 티빙이 직접 제작과 중계를 담당하는 방식으로 진행되며,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진다.

  • 프리뷰쇼 진행
  • 투수 교체 또는 이닝 종료 시간 동안 광고 미송출
  • 4D 캠을 활용한 입체적인 화면 제공
  • 자체 중계진 투입
  • 투구 궤적 트래킹 그래픽 도입
  • 경기 후 '퇴근길 라이브' 진행


한편, 당초 계획에는 경기 후 선수단 라커룸을 촬영하여 현장감 있는 모습을 전달하는 내용도 포함되었으나, 선수단의 사생활 보호 및 경기력 저하 우려 등 구단 측의 반대로 무산되었다.

4. 2. KBL 중계

2024-25시즌부터 2027-28시즌까지 4시즌간 KBL 뉴미디어 중계권 사업자로 선정되었다.

5. 실시간 방송 채널 목록

6. 해외 진출

TVING은 대한민국 시장에서의 성공을 기반으로 글로벌 시장으로의 확장을 추진하고 있다. 2021년 'TVING Connect' 온라인 행사를 통해 일본대만 등 아시아 시장 진출 계획과 더불어 미국, 유럽 등으로의 서비스 확장 의지를 밝혔다. 이를 위해 네이버의 자회사 라인과 협력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11]

주요 전략 중 하나로 글로벌 미디어 기업과의 파트너십을 구축하고 있다. 2021년 12월에는 파라마운트와 제휴하여 파라마운트+ 콘텐츠를 국내에 제공하고, CJ ENM 콘텐츠의 해외 유통 및 K-드라마 공동 제작 등에 합의했다.[12][13][14]

이러한 해외 진출은 국내 시장에서의 경쟁력 강화와 함께 추진되고 있다. 2022년 KT의 OTT 서비스 Seezn과의 합병을 통해[15][16][17][18] 국내 시장에서의 입지를 다지고, 이를 바탕으로 글로벌 경쟁력을 확보해 나가고 있다.

6. 1. 아시아 시장 확장

TVING은 2021년 'TVING Connect' 온라인 행사에서 2022년까지 일본대만에 서비스를 출시할 계획을 발표하며 아시아 시장 진출 의지를 밝혔다.[11] 또한 미국유럽을 포함한 다른 아시아 국가로의 플랫폼 확장을 위해 네이버의 자회사인 라인과 협의 중이라고 덧붙였다.[11]

발표된 계획에 따라 2023년에 일본과 대만에서 서비스를 시작한 것으로 알려졌으나, 해당 시장 출시에 대한 구체적인 추가 정보 확인이 필요한 상황이다.[11]

출시 국가 및 시기
출시일국가/지역참고
2020년 10월 1일대한민국[7]
2023년일본[11] (추가 정보 필요)
대만


6. 2. 글로벌 시장 진출 계획

TVING Connect 온라인 행사에서 TVING은 2022년까지 일본대만에 서비스를 출시할 계획을 발표했다. 또한 미국유럽을 포함한 다른 아시아 국가에 플랫폼을 출시하기 위해 네이버 자회사 라인과 협의 중이다.[11]

2021년 12월, TVING은 CJ 콘텐츠를 바이아컴CBS(현 파라마운트)와 함께 선보이고 파라마운트+를 TVING의 콘텐츠 허브로 출시할 계획을 발표했으며, 이는 2022년 6월 16일에 출시되었다.[12] 또한 CJ ENM(스튜디오 드래곤 및 신설된 CJ ENM 스튜디오 포함)과 파라마운트가 공동 제작한 K-드라마를 출시할 것이라고 발표했다.[13] 첫 번째 공동 제작 작품은 SF 드라마 ''욘더''로, 파라마운트+에서 해외 첫 방송이 확정되었다.[14]

7. 로고

2020년 ~ 2022년 로고

참조

[1] 뉴스 지상파 이어 CJ ENM-JTBC도 OTT 출범 '맞손' https://news.naver.c[...] 2019-09-17
[2] 뉴스 CJ ENM·티빙 분사 완료...JTBC 등과 합작 본격화 https://news.naver.c[...] 2020-10-02
[3] 뉴스 Local OTT services become more popular as Netflix stalls https://koreajoongan[...] 2021-05-03
[4] 뉴스 Cable television plugged into Internet https://www.koreatim[...] 2010-05-31
[5] 뉴스 CJ E&M pushing to revitalize internet-based broadcast platform https://www.koreatim[...] 2016-11-30
[6] 뉴스 JTBC, CJ ENM와 MOU 체결 "OTT 합작법인 출범"(공식) https://news.naver.c[...] 2019-09-17
[7] 뉴스 CJ ENM, 티빙 물적분할 완료 https://news.naver.c[...] 2020-10-05
[8] 뉴스 [전문] 티빙, 실시간TV 무료로 못 본다 (공식) https://entertain.na[...] 2021-03-29
[9] 뉴스 CJ ENM "티빙, NAVER 대상 400억원 규모 3자배정 유상증자" [주목 e공시] https://news.naver.c[...] 2021-06-30
[10] 뉴스 Korea's Naver Expands Investment in CJ ENM Streamer TVING https://variety.com/[...] 2021-07-01
[11] 뉴스 TVING plans to launch service in Japan, Taiwan next year, in U.S. in 2023 https://en.yna.co.kr[...] 2021-10-18
[12] 뉴스 Paramount+ to launch in Korea next month in partnership with TVING https://koreajoongan[...] 2022-05-24
[13] 뉴스 ViacomCBS and CJ ENM Ink Global Content Pact, Will Launch Paramount Plus in South Korea https://variety.com/[...] 2021-12-07
[14] 뉴스 'Sexy Beast' Prequel Among Offerings in Paramount Plus International Scripted Slate (EXCLUSIVE) https://variety.com/[...] 2022-02-15
[15] 뉴스 TVING and Seezn will merge to form Korea's largest streaming service https://koreajoongan[...] 2022-07-14
[16] 뉴스 TVING and Seezn Korean Streaming Platforms to Merge https://variety.com/[...] 2022-07-17
[17] 뉴스 TVING and Seezn may merge as Netflix trounces market https://koreajoongan[...] 2022-07-13
[18] 뉴스 Korean Regulator Approves Merger of Streamers TVING and Seezn https://variety.com/[...] 2022-10-31
[19] 뉴스 Korea’s CJ ENM and SK Group invest to power Netflix competitor https://www.broadcas[...] 2024-11-29
[20] 뉴스 티빙 새 대표에 최주희 전 트렌비 CBO https://n.news.naver[...] 2023-06-29
[21] 웹인용 CJ헬로비전 '유비쿼터스 TV' 티빙 1일 오픈 https://www.sedaily.[...] 2010-05-31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