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X 염색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X 염색체는 성염색체 중 하나로, 1890년 헤르만 헨킹에 의해 처음 발견되었다. X 염색체는 Y 염색체보다 크며, 유전자 수가 더 많다. 사람의 경우 약 1억 5300만 개의 염기쌍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생명 유지, 신경 세포 네트워크 구축, 면역 기능, 혈액 응고 등과 관련된 유전자를 포함한다. X 염색체는 성 결정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X 염색체 불활성화 과정을 통해 여성의 세포 내에서 유전자 발현을 조절한다. X 염색체 유전자의 돌연변이는 X 연관 유전 질환, 예를 들어 혈우병, 색맹 등을 유발한다. 염색체 수 이상으로 터너 증후군, 클라인펠터 증후군, XXX 증후군과 같은 질환이 발생하기도 하며, 반성 유전을 통해 남녀 간 표현형의 차이를 나타낸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성염색체 - Y 염색체
    Y 염색체는 포유류의 성별 결정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성 결정 염색체로, 진화 과정에서 유전자 소실과 높은 돌연변이율을 겪지만 자체 보존 메커니즘을 가지며, 인간에게는 부계 유전을 통해 전달되어 유전 계보학 연구 및 질병 관련 연구에 활용된다.
  • 성결정계 - Y 염색체
    Y 염색체는 포유류의 성별 결정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성 결정 염색체로, 진화 과정에서 유전자 소실과 높은 돌연변이율을 겪지만 자체 보존 메커니즘을 가지며, 인간에게는 부계 유전을 통해 전달되어 유전 계보학 연구 및 질병 관련 연구에 활용된다.
  • 성결정계 - 성 지정
    성 지정은 출생 시 신체적 특징을 기반으로 유아의 성별을 식별하는 과정이며, 남성 또는 여성으로 지정되고, 의료적 개입과 성 정체성, 법적 성별 지정에 대한 논쟁을 포함한다.
  • 인간 X 염색체상 유전자 - 안드로겐 수용체
    안드로겐 수용체는 안드로겐에 결합하여 유전자 발현을 조절하는 스테로이드 호르몬 수용체로서, 남성 성 분화, 사춘기, 골격 유지 등의 생리적 과정과 여성의 기능 조절에 관여하며, 관련 유전자 돌연변이는 유전 질환과 관련되고 전립선암 치료의 표적이 된다.
  • 인간 X 염색체상 유전자 - 모노아민 산화 효소
    모노아민 산화 효소는 모노아민의 산화적 탈아민화 반응을 촉매하는 효소로, MAO-A와 MAO-B 두 가지 유형으로 나뉘며 신경전달물질 비활성화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MAO 억제제는 특정 질병 치료에 사용되며, MAO 유전자 다형성은 특정 행동 특성과 관련될 수 있다.
X 염색체
기본 정보
사람 남성 핵형 고해상도 - X 염색체 잘림
사람 X 염색체 (G-밴딩 후)
사람 남성 핵형 고해상도 - X 염색체
사람 남성 핵형에서의 X 염색체
길이 (bp)154,259,566 bp (CHM13)
유전자 수804 (CCDS)
종류성염색체
센트로미어 위치차중부 (61.0 Mbp)
ChrX
엔셈블 IDX
엔트레즈 IDX
NCBI IDX
UCSC IDX
레프세크 IDNC_000023
젠뱅크 IDCM000685

2. 역사적 배경

X 염색체가 다른 상염색체들과 다르다는 점을 처음 발견한 사람은 헤르만 헨킹( Hermann Henkingde )이다. 1890년 헨킹은 라이프치히에서 X 염색체의 특이성을 처음 언급했으며,[6] 1891년 노린재류(''Pyrrhocoris'')의 정소를 연구하던 중, 한 염색체가 감수분열에 정상적으로 참여하지 않는 것을 발견했다.[67] 이 염색체는 다른 염색체처럼 염색되었지만, 헨킹은 이것이 일반적인 염색체인지 확신할 수 없어 'X 요소'라고 명명했다.[6][67] 나중에 X 요소가 실제로 염색체임이 확인되면서 X 염색체라는 이름이 굳어졌다.[66][4] X 염색체라는 명칭은 헨킹이 '정체불명'의 의미로 붙인 것이며, 염색체의 모양이 알파벳 X자와 비슷해서 붙여졌다는 것은 잘못 알려진 속설이다.[44][5] 모든 염색체는 세포 분열 중에 일반적으로 X자 형태를 띤다.[5]

X 염색체를 성결정과 처음 연관 지은 사람은 클래런스 어윈 맥클렁( Clarence Erwin McClung영어 )이다. 1901년 그는 메뚜기 연구를 통해 정자 중 절반만이 X 염색체를 받는다는 사실을 발견하고, 이를 '부속 염색체'(accessory chromosome영어)라 부르며 남성을 결정하는 염색체라고 주장했다.[67][6] 맥클렁이 X 염색체를 염색체로 분류하고 성 결정과 관련지은 것은 중요한 발견이었지만, 남성 성결정 염색체라는 주장은 나중에 잘못된 것으로 밝혀졌다.[67][6]

1949년 머레이 바(Murray Barr)는 포유류 암컷 세포에서 특이적으로 관찰되는 세포 내 구조물을 발견했는데, 이는 그의 이름을 따 바소체(Barr body)라고 불린다. 이 구조물은 후에 X 염색체 중 하나가 응축되어 헤테로크로마틴 구조를 형성한 것이며, 포유류 암컷에서 유전자 용량 보상 메커니즘에 관여한다는 사실이 밝혀졌다.[45]

1967년에는 오노 스스무( 大野乾일본어 )가 X 염색체에 있는 유전자의 종류가 포유류의 진화 과정에서 잘 보존되어 왔다는 가설, 이른바 '오노의 법칙'(Ohno's law)을 제창했다.[41] 이는 X 염색체가 암컷에서는 쌍으로 존재하여 유전자 재조합을 통해 돌연변이의 영향을 덜 받고 유전 정보를 안정적으로 유지하기 때문으로 설명된다.[40]

3. 구조

X 염색체는 Y 염색체보다 훨씬 크며, 유전자 발현이 활발한 진정염색질 영역을 더 많이 가지고 있다.[60] X 염색체와 Y 염색체는 진화 과정에서 대부분의 상동성을 잃었지만, 일부 상동성이 남아있는 영역이 존재한다. 이 영역은 상염색체처럼 X 염색체와 Y 염색체 사이에서 상동 재조합이 일어나기 때문에 유사 상염색체 영역(PAR, pseudoautosomal region)이라고 불린다.

오노 스스무는 1967년 오노의 법칙을 통해 포유류 간에 X 염색체의 유전자 구성이 잘 보존되어 왔다고 주장했다.[41] 또한 마크 T. 로스(Mark T. Ross영어)와 동료들, 그리고 오노 스스무는 종 간 유전자 서열 비교를 통해 X 염색체가 다른 포유류의 상염색체에서 유래했을 것이라는 가설을 세웠다.[60][58]

사람의 X 염색체는 약 1억 5300만 개[60]에서 1억 6300만 개[46] 사이의 염기쌍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그 크기는 7번 염색체와 비슷하다.[46] 사람 X 염색체의 유사 상염색체 영역(PAR)은 단완 말단 부분(PAR1, Xp22.33)과 장완 말단 부분(PAR2, Xq28)에 각각 존재한다.[46] PAR2 영역은 매우 작다.

3. 1. 유전자

사람의 X 염색체는 약 1억 5천 3백만 개 이상의 염기쌍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는 7번 염색체와 거의 비슷한 크기이다.[46] X 염색체에 있는 유전자의 수는 연구 기관이나 분석 방법에 따라 다르게 추정된다. 예를 들어, 한 보고에서는 1,098개의 유전자가 있다고 보고했지만,[46] 일반적으로 단백질을 암호화하는 유전자는 약 800~900개 정도로 추정된다.[55] 이는 전체 인간 유전자 약 20,000~25,000개 중 상당 부분을 차지하며, Y 염색체의 유전자 수(약 50~70개)보다 훨씬 많다.[56][13]

다음 표는 여러 주요 기관에서 추정한 X 염색체의 유전자 수이다. 연구자들은 게놈 주석에 서로 다른 접근 방식을 사용하기 때문에 추정치가 다양하다. 공동 합의 코딩 서열 프로젝트(CCDS)는 매우 보수적인 전략을 사용하므로, CCDS의 유전자 수 예측은 인간 단백질 코딩 유전자의 총 수에 대한 하한선을 나타낸다.[10]

추정 기관단백질 코딩 유전자비코딩 RNA 유전자가짜 유전자출처출시일
CCDS804[11]2016-09-08
HGNC825260606[12]2017-05-12
Ensembl841639871[13]2017-03-29
UniProt839[14]2018-02-28
NCBI874494879[15][16][17]2017-05-19



X 염색체에는 생명 유지에 필수적인 유전자들이 다수 포함되어 있다.[47] 예를 들어, 신경 세포의 네트워크 구축 및 정보 전달, 면역 기능, 그리고 혈액 응고와 관련된 유전자들이 X 염색체에 존재한다. 혈액 응고 관련 유전자에 이상이 생기면 혈우병과 같은 유전성 질환이 발생할 수 있다.[48] 이러한 유전자 대부분은 X 염색체 고유의 영역에 존재하며, 반성유전의 양상을 보인다. X 염색체 유전자의 약 10%는 암/고환 항원 계열(CT 유전자족, Cancer/Testis Antigen family)과 연관된 것으로 추정된다. 이 유전자들은 암 환자의 종양 세포와 건강한 남성의 고환에서 발견되는 표지자를 암호화한다.[18]

X 염색체에 수많은 유전자가 있지만, 실제로 성결정에 직접적으로 관여하는 유전자는 매우 적다. 여성의 경우, 배아 발생 초기 단계에서 대부분의 체세포에서 두 개의 X 염색체 중 하나가 무작위적으로 비활성화되어 바소체(Barr body)를 형성한다. 이 현상을 X 염색체 불활성화 또는 라이온화(lyonization|라이어니제이션eng)라고 부른다. X 염색체 불활성화는 여성이 남성과 마찬가지로 각 체세포에서 기능하는 X 염색체를 하나만 갖도록 조절하는 기전으로 여겨져 왔다. 그러나 최근 연구에 따르면 바소체가 이전에 생각했던 것보다 생물학적으로 더 활동적일 수 있다는 결과가 나왔다.[57][8] X 염색체의 부분적인 비활성화는 DNA를 압축하여 대부분의 유전자 발현을 억제하는 이질염색질 형성을 통해 이루어지며, 이는 Polycomb Repressive Complex 2 (PRC2)에 의해 조절된다.[9]

여성 양수 세포의 핵. 위: 두 개의 X 염색체 영역이 FISH로 감지됨. 공초점 현미경으로 촬영한 단일 광학 단면. 아래: DAPI로 염색하고 CCD 카메라로 기록한 동일한 핵. 화살표는 비활성 X 염색체(Xi)인 바소체를 나타낸다.


일부에서는 지능이 X 염색체를 통해서만 유전된다고 오해하기도 하지만, 이는 명백히 잘못된 주장이다. 지능과 관련된 유전자들은 X 염색체뿐만 아니라 여러 상염색체에서도 계속 발견되고 있다. 상염색체는 남녀 모두 가지고 있으며, 예를 들어 6번, 12번, 16번 염색체 등이 지능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X 염색체는 유크로마틴 영역이 Y 염색체에 비해 더 크고 유전자 발현이 더 활발하다. X 염색체와 Y 염색체 사이에는 상동성을 보이는 영역(유사 상염색체 영역, PAR)이 존재하지만, Y 염색체의 해당 영역은 훨씬 짧다. 이는 영장류 진화 과정에서 Y 염색체의 유전 정보가 퇴화했음을 시사한다. Ross 등(2005)과 오노 스스무(1967)는 X 염색체가 다른 포유류의 상염색체에서 유래했을 것이라는 이론을 제시했으며, 이는 종간 유전체 서열 비교를 통해 뒷받침된다.

X 염색체 상의 유전자 돌연변이로 인해 발생하는 유전성 질환을 X-연관 유전 질환이라고 한다. 남성은 X 염색체를 하나만 가지고 있으므로, 질병 유전자가 있는 경우 해당 질병이 발현될 가능성이 높다. 반면 여성은 X 염색체가 두 개이므로, 하나의 염색체에 질병 유전자가 있더라도 다른 정상 염색체에 의해 보완되어 증상이 나타나지 않거나(보인자), 약하게 나타날 수 있다. 대표적인 예로 혈우병 A, 혈우병 B, 적록 색각 이상 등이 있다.

다음은 사람 X 염색체에 위치한 유전자 중 일부 목록이다.

  • ARMCX6: Armadillo repeat containing X-linked 6 단백질 암호화
  • BEX1: 뇌 발현 X-linked 단백질 1 암호화
  • CHRDL1: 코르딘 유사 1 단백질 암호화
  • CT45A5: 암/고환 항원 계열 45, 구성원 A5 단백질 암호화
  • F8A1: 인자 VIII 인트론 22 단백질
  • GATA1: GATA1 전사 인자 암호화
  • MAO-A: 모노아민 산화효소 A 암호화
  • MAO-B: 모노아민 산화효소 B 암호화
  • MBTPS2: 효소 막 결합 전사 인자 부위-2 프로테아제 암호화
  • OPN1LW: 긴 파장(적색) 감지 옵신 암호화
  • OPN1MW: 중간 파장(녹색) 감지 옵신 암호화
  • SMS: 효소 스퍼민 합성효소 암호화
  • TMLHE: 효소 트리메틸리신 디옥시게나제, 미토콘드리아 암호화
  • TNMD: 테노모듈린 단백질 암호화

4. 기능

사람의 X 염색체에는 1억 5천3백만 개 이상의 염기쌍이 있으며[55], 인간 전체 유전자 2만-2만 5천 개 중 약 800-900개의 단백질 암호화 유전자가 이 염색체 위에 존재한다.[55] 이는 약 50-60개의 유전자를 가진 Y 염색체와 비교된다.[56] 일반적으로 각 개인의 세포에는 한 쌍의 성염색체가 있으며, 남성은 X 염색체와 Y 염색체를, 여성은 두 개의 X 염색체를 가진다.

X 염색체는 성결정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지만, X 염색체 상의 모든 유전자가 직접적으로 성 결정에 관여하는 것은 아니다. 사람을 포함한 대부분의 포유류는 XY형 성 결정 방식을 따르는데, 이 경우 Y 염색체(특히 ''SRY'' 유전자)의 존재가 수컷으로의 성 분화를 결정한다. 식물 중 넓은잎꽃받이도 유사한 방식을 따른다. 반면, 초파리나 수영 같은 일부 곤충 및 식물에서는 Y 염색체의 유무와 관계없이 X 염색체의 수와 상염색체 세트 수의 비율(X/A)에 따라 성별이 결정된다. 예를 들어, X/A 비율이 1.0 이상이면 암컷, 0.5 이하면 수컷, 그 사이(1.0 > X/A > 0.5)이면 간성이 된다.[34][35] 초파리의 경우, 뉴메레이터 인자(numerator elements)라는 요소가 X 염색체의 수를 인식하는 것으로 여겨진다.[36]

표. X 염색체 수와 상염색체 세트 수의
비율(X/A)에 따른 성 결정 예시[34][35]
성별X/A상염색체
세트 수(A)
X 염색체
수(X)
수컷0.3331
0.5021
0.5042
간성0.6732
0.7543
0.8676
암컷1.0022
1.0033
1.0044



여성의 배아 발생 초기 단계에서는, 거의 모든 체세포에서 두 개의 X 염색체 중 하나가 무작위적으로 영구히 불활성화되어 바소체를 형성한다. 이 현상을 X 염색체 불활성화 또는 lyonization|라이오나이제이션영어이라고 한다. 이 과정은 DNA를 압축하여 대부분의 유전자 발현을 억제하는 이질염색질 형성을 통해 이루어지며, Polycomb Repressive Complex 2 (PRC2)에 의해 조절된다.[9] 과거에는 이 불활성화 과정을 통해 여성이 남성과 마찬가지로 각 체세포에서 기능적인 X 염색체를 하나만 갖게 된다고 생각했으나, 최근 연구에서는 바소체가 기존의 가설보다 생물학적으로 더 활발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다.[57][8]

X 염색체는 Y 염색체에 비해 훨씬 크고 활발한 진정염색질 영역을 가진다. 두 염색체를 비교하면 상동성 영역이 존재하지만, Y 염색체의 해당 영역은 훨씬 짧고 일부는 영장류의 X 염색체에 보존되어 있지 않아 Y 염색체의 유전적 퇴화가 일어났음을 시사한다.

X 염색체 상의 유전자 돌연변이는 X 연관 유전 질환을 유발할 수 있다. 남성은 X 염색체를 하나만 가지므로, 질병 관련 유전자가 존재할 경우 해당 질환이 발병할 가능성이 높다. 반면 여성은 X 염색체가 두 개이기 때문에, 하나의 염색체에 질병 유전자가 있더라도 다른 정상 X 염색체에 의해 보완되어 질병이 발현되지 않거나 증상이 경미한 보인자인 경우가 많다. 혈우병 A와 B, 선천적 적록 색맹 등이 대표적인 예이다.

X 염색체에 의해 암호화되는 유전자 중 약 10%는 "CT 유전자족"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이 유전자들은 암 환자의 종양 세포와 건강한 남성의 고환에서 발견되는 표지자를 암호화하기 때문에 이러한 이름이 붙었다.[59][60][18]

한편, 지능 유전이 X 염색체만으로 이루어진다는 오해가 있으나 이는 명백히 잘못된 주장이다.https://pubmed.ncbi.nlm.nih.gov/5031080/https://www.forbes.com/sites/emilywillingham/2016/09/16/no-research-has-not-established-that-you-inherited-your-intelligence-from-your-mother/#46b655d66502 지능 관련 유전자는 남녀 모두가 보유한 상염색체에서도 지속적으로 발견되고 있으며, 특히 6번, 12번, 16번 상염색체 등이 지능과 관련이 있다고 밝혀졌다.https://medicalxpress.com/news/2012-02-genes-earlier-linked-specific-intelligence.htmlhttps://medicalxpress.com/news/2012-10-intelligence-genes.htmlhttps://medicalxpress.com/news/2017-05-scientists-genetic-roots-intelligence.html

5. X 염색체 연관 질병

X 염색체에 위치한 유전자돌연변이로 인해 발생하는 유전 질환X 연관 질환이라고 한다. 이는 성 염색체에 존재하는 유전자의 발현 양상에 따라 남녀 간에 다르게 나타나는 반성 유전의 한 형태이다.[49]

X 연관 질환의 유전 방식은 성별에 따라 차이를 보인다. 남성(XY)은 X 염색체를 하나만 가지고 있으므로, 해당 염색체에 질병 유전자가 존재하면 증상이 나타날 가능성이 높다. 반면, 여성(XX)은 X 염색체가 두 개이므로, 하나의 X 염색체에 질병 유전자가 있더라도 다른 정상 X 염색체에 의해 보완되어 증상이 나타나지 않거나 약하게 나타나는 경우가 많다. 이 경우 여성을 보인자(Genetic carriereng)라고 부른다. 대표적인 X 연관 질환으로는 혈우병 A형과 B형, 부신백질이영양증, 적록 색각 이상 등이 있다.[23]

여성의 체세포에서는 두 개의 X 염색체 중 하나가 발생 초기에 무작위로 비활성화되는 X 염색체 불활성화(라이오나이제이션) 현상이 일어난다. 이로 인해 여성의 몸은 어떤 세포에서는 어머니에게 받은 X 염색체가, 다른 세포에서는 아버지에게 받은 X 염색체가 기능하는 모자이크 상태가 된다. 따라서 X 연관 질환 유전자를 이형접합체로 가진 보인자 여성이라도, 비활성화 패턴에 따라 일부 세포에서는 질병 관련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50] 하지만 일반적으로 보인자 여성에게서 질환이 심각하게 나타나지 않는 것은, 모자이크 상태를 이루는 정상 세포들이 기능을 보완해주기 때문으로 여겨진다.[51][52]

X 염색체 이상과 관련된 질환은 크게 염색체 수 이상으로 인한 경우와 특정 유전자 변이로 인한 경우로 나눌 수 있다. 염색체 수 이상 질환으로는 남성에게 여분의 X 염색체가 존재하는 클라인펠터 증후군, 여성에게 X 염색체가 하나 더 있는 XXX 증후군, 여성에게 X 염색체 하나가 없거나 변형된 터너 증후군 등이 있다. 특정 유전자 변이로 인한 질환으로는 앞서 언급된 혈우병, 색각 이상 외에도 XX 남성 증후군, X 염색체 연관 내피 각막 이영양증, 부신백질이영양증 등 다양한 질환이 알려져 있다.

5. 1. 염색체 수 이상


  • '''클라인펠터 증후군''': 남성의 세포에 X 염색체가 두 개 이상 존재하여 발생하는 증후군이다.[62] X 염색체에 있는 여분의 유전 물질은 남성의 성적 발달을 방해하여 정소의 정상적인 기능을 저해하고 테스토스테론 수치를 낮춘다. 클라인펠터 증후군이 있는 남성은 키가 크고, 학습 장애나 읽기 장애 등 다른 의학적 문제를 겪을 수 있다. 여분의 유전 물질로 인해 지능지수(IQ)는 평균보다 약 15포인트 낮아지는 경향이 있으나[61][19][20], 이는 일반적으로 정상 범위에 속한다. 추가적인 X 염색체나 Y 염색체가 많을수록 발달 지연과 인지 장애 정도가 심해지거나 지적 장애가 나타날 수 있다.[62] 클라인펠터 증후군 환자는 대부분 각 세포에 X 염색체가 두 개, Y 염색체가 한 개 있는 47,XXY 핵형을 가진다. 드물게 X 염색체가 세 개 이상(48,XXXY 또는 49,XXXXY)이거나, 여분의 Y 염색체까지 함께 있는 경우(48,XXYY)도 보고된다.[62] 신체 일부 세포에만 여분의 X 염색체가 있는 모자이크형(46,XY/47,XXY)도 존재한다.

  • '''XXX 증후군''': 초여성증후군 또는 삼염색체성 X(trisomy X|트리소미 Xeng)라고도 불리며, 여성의 세포에 X 염색체가 정상(두 개)보다 많은 세 개가 존재하여 발생하는 경우이다(47,XXX). 이 증후군을 가진 여성은 평균 지능지수(IQ)가 90 정도로[63][21], 영향을 받지 않은 형제자매의 평균 IQ(100)보다 약간 낮다.[64] 키는 평균적인 여성보다 크며, 성적 발달은 정상적으로 이루어지고 생식 능력에도 문제가 없다. 또한 이 형질이 자녀에게 반드시 유전되지는 않는다.[65][22] 매우 드물게 X 염색체가 네 개(48, XXXX 증후군) 또는 다섯 개(49, XXXXX 증후군)인 경우도 보고된다.

  • '''터너 증후군''': 여성의 X 염색체 중 하나가 없거나 변형된 상태이다. 누락된 유전 물질은 정상적인 발달에 영향을 미쳐 작은 키, 불임, 목 뒤 피부가 늘어져 물갈퀴처럼 보이는 익상경 등의 특징적인 외형을 유발한다. 터너 증후군 여성의 약 절반은 X 염색체가 하나만 존재하는 일염색체성 X형(45,X)이다. 일부 세포에서만 성염색체가 하나인 모자이크형(45,X/46,XX)도 존재한다.


5. 2. 기타 질병

XX 남성 증후군은 드물게 Y 염색체의 성결정 영역(SRY)이 재조합 과정에서 X 염색체로 전좌되어 발생하는 질환이다. 이 경우, 염색체형은 XX로 여성이지만, 전좌된 SRY 유전자의 영향으로 XY 염색체를 가진 남성과 유사한 특징을 보이게 된다. 그러나 X 염색체 위의 다른 유전자들의 영향으로 여성적인 특징도 함께 나타날 수 있다.

그 외에도 X 염색체와 연관된 다양한 유전 질환이 존재한다. 주요 각막 관련 질환은 다음과 같다.

질환명관련 염색체 부위비고
X 염색체 연관 내피 각막 이영양증 (X-linked endothelial corneal dystrophyeng)Xq25매우 드문 각막 질환
리쉬 상피 각막 이영양증 (Lisch epithelial corneal dystrophyeng)Xp22.3
거대 각막 1 (Megalocornea 1eng)Xq21.3-q22



부신백질이영양증(Adrenoleukodystrophy, ALD)은 어머니로부터 X 염색체를 통해 유전되는 희귀하고 치명적인 질환이다. 주로 5세에서 10세 사이의 남자아이에게 발병하며, 뇌 신경 세포를 보호하는 미엘린을 파괴하여 심각한 신경계 손상을 일으킨다. 여성 보인자는 X 염색체가 두 개이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증상이 거의 나타나지 않는다. 이 질환은 발병하면 환자가 걷고, 말하고, 보고, 듣고, 삼키는 능력을 점차 잃게 만들며, 진단 후 대부분 2년 이내에 사망에 이르게 된다.

6. 반성 유전

성 염색체에 존재하는 유전자유전자 발현 차이로 인해 암수 또는 남녀 간 형질 차이가 나타나는 유전 현상을 '''반성 유전'''이라고 한다. 대표적인 예로 혈우병이나 색각 이상 등이 잘 알려져 있다. 일반적으로 반성 유전 질환은 다음과 같이 설명된다.[49]

X 염색체의 특정 유전자에 이상이 있을 확률을 p (02) 형질이 나타나므로 남성보다 훨씬 낮은 확률이다. 예를 들어 p가 1,000분의 1이라면, 남성은 1,000명 중 1명꼴로 나타나지만 여성은 100만 명 중 1명꼴로 나타나게 되어 큰 차이를 보인다.

하지만 이는 개략적인 설명이며, 엄밀히 말하면 정확성이 부족하다. 포유류 암컷의 체세포에서는 두 개의 X 염색체 중 하나가 X 염색체 불활성화(라이오나이제이션)된다. 사람을 포함한 진수아강 동물에서는 이 불활성화가 무작위로 일어나므로, 암컷의 체세포는 두 종류의 X 염색체 중 어느 것이 활성화되었는지에 따라 모자이크 상태가 된다.

따라서 질환 유전자를 이형 접합체로 가진 여성(보인자)의 경우, 일부 세포에서는 유전자 질환이 발현될 수 있다.[50] 그럼에도 불구하고 보인자 여성에게서 반성 유전 질환 증상이 강하게 나타나지 않는 경우가 많은데, 이는 모자이크 상태에서 정상 세포가 기능을 보완해주기 때문으로 여겨진다.[51][52]

한편, X 염색체에 면역계 관련 유전자가 다수 존재하기 때문에 "여성이 남성보다 면역력이 강하다"는 설도 있다. 그러나 이러한 유전자 대부분은 X 염색체 불활성화를 통해 유전자량 보상(남녀 간 유전자 발현량을 비슷하게 맞추는 과정)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생각되므로, 이 설이 명확히 입증된 것은 아니다.

참조

[1] 서적 Human Molecular Genetics https://books.google[...] Garland Science 2010-04-02
[2] 웹사이트 Genome Decoration Page, NCBI http://ftp.ncbi.nlm.[...] 2014-06-03
[3] 웹사이트 For Motherly X Chromosome, Gender Is Only the Beginning https://www.nytimes.[...] 2007-05-01
[4] 서적 'The X in Sex: How the X Chromosome Controls Our Lives' Harvard University Press 2003
[5] 문서
[6] 서적 'In Pursuit of the Gene: From Darwin to DNA' Harvard University Press 2009
[7] 학술지 Growing the Family Tree: The Power of DNA in Reconstructing Family Relationships http://fhtw.byu.edu/[...] 2016-09-03
[8] 학술지 X-inactivation profile reveals extensive variability in X-linked gene expression in females 2005
[9] 학술지 Polycomb Repressor Complex 2 in Genomic Instability and Cancer 2017-07
[10] 학술지 Between a chicken and a grape: estimating the number of human genes 2010
[11] 웹사이트 'Search results - X[CHR] AND "Homo sapiens"[Organism] AND ("has ccds"[Properties] AND alive[prop]) - Gene' https://www.ncbi.nlm[...] 2016-09-08
[12] 웹사이트 Statistics & Downloads for chromosome X https://www.genename[...] 2017-05-12
[13] 웹사이트 'Chromosome X: Chromosome summary - Homo sapiens' http://mar2017.archi[...] 2017-03-29
[14] 웹사이트 'Human chromosome X: entries, gene names and cross-references to MIM' https://www.uniprot.[...] 2018-02-28
[15] 웹사이트 'Search results - X[CHR] AND "Homo sapiens"[Organism] AND ("genetype protein coding"[Properties] AND alive[prop]) - Gene' https://www.ncbi.nlm[...] 2017-05-19
[16] 웹사이트 'Search results - X[CHR] AND "Homo sapiens"[Organism] AND ( ("genetype miscrna"[Properties] OR "genetype ncrna"[Properties] OR "genetype rrna"[Properties] OR "genetype trna"[Properties] OR "genetype scrna"[Properties] OR "genetype snrna"[Properties] OR "genetype snorna"[Properties]) NOT "genetype protein coding"[Properties] AND alive[prop]) - Gene' https://www.ncbi.nlm[...] 2017-05-19
[17] 웹사이트 'Search results - X[CHR] AND "Homo sapiens"[Organism] AND ("genetype pseudo"[Properties] AND alive[prop]) - Gene' https://www.ncbi.nlm[...] 2017-05-19
[18] 학술지 The DNA sequence of the human X chromosome 2005
[19] 웹사이트 Klinefelter Syndrome Pathophysiology http://emedicine.med[...] 2013-02-22
[20] 학술지 Klinefelter syndrome and other sex chromosomal aneuploidies 2006
[21] 서적 Cognitive development of children with sex chromosome abnormalities College Hill Press 1986
[22] 웹사이트 Triple X syndrome http://ghr.nlm.nih.g[...] 2014-07-14
[23] 학술지 Sex-limited inheritance in Drosophila https://zenodo.org/r[...] 1910
[24] 웹사이트 Genome Decoration Page, NCBI http://ftp.ncbi.nlm.[...] 2014-03-04
[25] 웹사이트 Genome Decoration Page, NCBI http://ftp.ncbi.nlm.[...] 2015-08-11
[26] 서적 'ISCN 2013: An International System for Human Cytogenetic Nomenclature (2013)' https://books.google[...] Karger Medical and Scientific Publishers 2013
[27] 서적 2012 Nin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mputer Science and Software Engineering (JCSSE) https://www.research[...] 2012
[28] 문서
[29] 문서
[30] 문서
[31] 문서
[32] 뉴스 Scientists achieve first complete assembly of human X chromosome https://phys.org/new[...] phys.org 2020-08-16
[33] 학술지 Telomere-to-telomere assembly of a complete human X chromosome 2020-07-14
[34] 간행물 高等植物の性決定と分化
[35] 문서 性決定
[36] 논문 Evidence that sisterless-a and sisterless-b are two of several discrete "numerator elements" of the X/A sex determination signal in ''Drosophila'' that switch ''Sxl'' between two alternative stable expression states http://www.genetics.[...] 2009-05-02
[37] 논문 Bird-like sex chromosomes of platypus imply recent origin of mammal sex chromosomes http://genome.cshlp.[...] 2009-05-02
[38] 간행물 メダカ性決定遺伝子の起源と進化 2009-01
[39] 간행물 高等植物の性決定機構 2000-07
[40] 문서 (遺伝的)組換え - [[遺伝子]]の組合せが入れ替わること。同じ現象を[[染色体]]の間の可視現象として捉えると染色体の[[乗換え (生物学)|乗換え]](染色体交差)となる。
[41] 서적 Sex Chromosomes and sex-linked genes. Berlin:Springer-Verlag
[42] 논문 X染色体:男と女を決めるもの
[43] 논문 X染色体:男と女を決めるもの
[44] 뉴스 性を決めるカラクリ『X・Y染色体』 Newton
[45] 논문 X染色体:男と女を決めるもの
[46] 뉴스 性を決めるカラクリ『X・Y染色体』 Newton
[47] 뉴스 性を決めるカラクリ『X・Y染色体』 Newton
[48] 뉴스 性を決めるカラクリ『X・Y染色体』 Newton
[49] 뉴스 性を決めるカラクリ『X・Y染色体』 Newton
[50] 논문 X inactivation in females with X-linked disease
[51] 뉴스 性を決めるカラクリ『X・Y染色体』 Newton
[52] 논문 X染色体:男と女を決めるもの
[53] 문서 Y 염색체는 X 염색체와 대응 관계에 있다는 의미로 X 다음 알파벳인 Y가 주어졌다.
[54] 웹인용 For Motherly X Chromosome, Gender Is Only the Beginning http://www.nytimes.c[...] New York Times 2007-05-01
[55] 웹인용 X chromosome http://ghr.nlm.nih.g[...] 2014-07-14
[56] 웹인용 Y chromosome http://ghr.nlm.nih.g[...] 2014-07-14
[57] 논문 X-inactivation profile reveals extensive variability in X-linked gene expression in females
[58] 서적 Sex chromosomes and sex-linked genes Springer-Verlag
[59] 문서 암세포('''c'''ancerous cell)와 정상적인 정소('''t'''esis) 모두에 있어서 표지로 사용하는 단백질을 암호화하는 유전자들
[60] 논문 The DNA sequence of the human X chromosome http://www.nature.co[...]
[61] 웹인용 Klinefelter Syndrome Pathophysiology http://emedicine.med[...] 2013-02-22
[62] 논문 Klinefelter syndrome and other sex chromosomal aneuploidies http://www.ncbi.nlm.[...]
[63] 서적 Cognitive development of children with sex chromosome abnormalities College Hill Press
[64] 논문 A review of trisomy X (47,XXX)
[65] 웹인용 Triple X syndrome http://ghr.nlm.nih.g[...] 2014-07-14
[66] 서적 The X in Sex: How the X Chromosome Controls Our Lives Harvard University Press
[67] 서적 In Pursuit of the Gene: From Darwin to DNA Harvard University Press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