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가로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가로어는 시노티베트어족의 티베트-버마어군에 속하는 언어로, 인도, 방글라데시 등지에서 사용된다. 19세기 말 벵골 문자를 사용하여 문자로 기록되었으며, 이후 라틴 알파벳을 기반으로 하는 알파벳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가로어는 인도 메갈라야 주에서 영어와 함께 준공용어 지위를 가지며, 교육 및 문학 분야에서도 활용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방글라데시의 언어 - 치타공어
    치타공어는 인도아리아어군에 속하는 벵골-아삼어 아분파의 언어로, 독특한 음운론적 및 형태론적 특징을 가지며 벵골 문자와 라틴 문자를 사용한다.
  • 방글라데시의 언어 - 콕보록어
    콕보록어는 인도 트리푸라 주의 주요 언어이며, 벵골 문자와 로마자를 함께 사용하고 트리푸라 주 공용어로 지정되어 교육 및 공용어 지위 획득 운동이 진행 중이다.
  • 티베트버마어파 - 시킴어
    시킴어는 티베트 문자를 사용하는 히말라야 언어이며, 존카어와 어휘적 관련이 높으며, 자음, 모음, 높낮이 두 가지의 조성을 특징으로 한다.
  • 티베트버마어파 - 구룽어
    구룽어는 티베트-부르마어족의 구룽어파에 속하며 네팔과 인도에서 사용되는 성조 언어이다.
  • 인도의 언어 - 시킴어
    시킴어는 티베트 문자를 사용하는 히말라야 언어이며, 존카어와 어휘적 관련이 높으며, 자음, 모음, 높낮이 두 가지의 조성을 특징으로 한다.
  • 인도의 언어 - 네팔어
    네팔어는 데바나가리 문자로 표기되며, 산스크리트어와 프라크리트어의 영향을 받았으며, 10세기에서 14세기 사이에 나타나, 20세기 이후 표준화 과정을 거쳐 현대 네팔어로 자리 잡았으며, 인도 내 네팔어 사용자들의 권익 신장에 기여했다.
가로어
지도 정보
기본 정보
언어 이름가로어
고유 이름A·chikku / 아·칙쿠
사용 국가인도, 방글라데시
사용 지역메갈라야주, 아삼주, 방글라데시
민족가로족
화자 수1,145,323명
기준 년도2011년
언어 분류
어족중국티베트어족
하위 어족티베트-버마어족
세부 어족중앙 티베트-버마어족(?)
분기군살어군
어파보도-가로어파
어군가로어군
문자 체계
문자라틴 문자
벵골-아삼 문자
아-칙 토크비림
방언
방언암벵
아웨 바 아카웨
마치
마치-두알
마타벵 바 마트장치
가라-간칭
치삭
아통
루가
메감 바 륑감
치복
카므루프
아티아그라
언어 코드
ISO 639-3grt
글롯로그garo1247
글롯로그 이름가로어

2. 지리적 분포

에스놀로그에 따르면 가로어는 인도방글라데시의 다음 지역에서 사용된다.[1]


  • 메갈라야주 가로힐스
  • 아삼주 서부 골파라 현, 캄룹 현, 시바사가르, 카르비앙롱 현
  • 나갈랜드주 코히마 현
  • 트리푸라주 남트리푸라 현 우다이푸르 지역, 북트리푸라 현 카말푸르와 카일라사하르 지역, 서트리푸라 현 사다르 지역
  • 서벵골주 잘파이구리 현, 코치비하르 현
  • 방글라데시 마이멘싱 현, 탕가일, 자말푸르, 셰르푸르, 네트로코나, 가지푸르, 수남공, 실렛, 몰비바자르, 다카, 가지푸르

2. 1. 상세 분포 지역

가로어 상세 분포 지역[1]
지역
메갈라야주가로힐스
아삼주 서부골파라 현, 캄룹 현, 시바사가르, 카르비앙롱 현
나갈랜드주코히마 현
트리푸라주남트리푸라 현 우다이푸르 지역, 북트리푸라 현 카말푸르와 카일라사하르 지역, 서트리푸라 현 사다르 지역
서벵골주잘파이구리 현, 코치비하르 현
방글라데시마이멘싱 현, 탕가일, 자말푸르, 셰르푸르, 네트로코나, 가지푸르, 수남공, 실렛, 몰비바자르, 다카, 가지푸르


3. 언어학적 분류

가로어는 시노티베트어족의 티베트-버마어군에 속하는 바릭어군(Boro-Garo languages)에 속한다. 바릭어군은 시노티베트어족에서 가장 오랫동안 인정되어 온 가장 일관된 하위 그룹 중 하나이다.[2] 이 어군에는 가로어, 보로어, 코크보록어, 디마사어, 라브하어, 아통어, 티와어, 코흐어 등이 포함된다. 이들 언어는 서로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어 많은 공통적인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표면적으로 보이는 단어 데이터만으로도 유사성을 쉽게 알아볼 수 있다.

4. 문자 및 표준화

19세기 말, 미국 침례교 선교사들은 가로어의 북동부 방언인 A•we를 문자로 기록하기 시작했다. 처음에는 벵골 문자를 사용했는데, 이는 당시 가로 언어 사용 인구의 교육 수준 향상이 북동부 가로 언덕 지역에서 빠르게 진행되고 있었기 때문이다. 또한, 가로족에게 교육이 처음으로 전파된 곳도 이 지역이었다. 시간이 지나면서 이 방언은 교육받은 문화와 관련을 맺게 되었다.

1873년 가로 언덕이 영국 정부의 완전한 통제하에 들어온 후, 가로 언덕 서중부에 위치한 작은 도시 투라(Tura)에 정치 중심지가 설립되면서 교육받은 북동부 사람들이 이 도시로 이주하게 되었고, 지역 방언 대신 북동부 방언을 사용하게 되었다. 투라는 가로 언덕의 교육 중심지가 되었고, 시간이 지나면서 북동부 방언(A•we)은 사실상의 표준어가 되어 도시와 교육받은 가로어 화자들과 관련을 맺게 되었다.

4. 1. 현대 가로어 알파벳

19세기 말, 미국 침례교 선교사들은 가로어의 북동부 방언인 A•we를 문자로 기록할 때 처음에는 벵골 문자를 사용했다. 1902년에는 이미 미국 선교사들이 라틴 알파벳 기반의 알파벳을 개발했고, 1924년까지 벵골 문자를 완전히 대체하여 기본 라틴 알파벳을 사용하게 되었다.

오늘날 사용되는 라틴 알파벳 기반의 가로어 알파벳은 20개의 문자와 "raka"(성문 폐쇄음 [ʔ]을 나타내는 기호)라고 하는 점 하나로 구성된다. 타이핑에서는 raka를 중간점으로 표시한다. "f", "q", "v", "x", "y", "z"는 알파벳의 일부로 간주되지 않으며, 차용어에만 나타난다. 알파벳 "i"는 /i/(보통 단어 끝)와 중앙 모음 /ɨ/(보통 단어의 처음과 중간)의 두 가지로 발음된다. 따라서 가로어는 형태론적으로는 5개의 모음을 가지고 있지만, 음성적으로는 실제로 6개의 모음을 가지고 있다.

방글라데시에서는 라틴 알파벳과 함께 벵골 문자의 변형이 여전히 사용되고 있다. 1924년까지 교육 기관에서는 벵골어아삼어가 교육 언어였으며, 이는 현대 가로어의 발전에 큰 역할을 했다. 그 결과 많은 벵골어와 아삼어 단어가 가로어 어휘에 들어왔다. 최근에는 미디어와 영어 교육을 하는 학교에 대한 선호로 영어 단어가 일상 가로어에 많이 유입되고 있으며, 힌디어 어휘도 언어에 느리지만 확실하게 등장하고 있다.

가로어는 때때로 1979년 아룬 리칠 마락(Arun Richil Marak)이 고안한 알파벳 A•chik Tokbirim[3] 문자로 쓰여지기도 한다. 이 문자는 방글라데시 북서부 바바니푸르(Bhabanipur) 마을에서 어느 정도 사용되고 있으며, A•chik Garo Tokbirim으로도 알려져 있다.[4]

4. 2. A·chik Tokbirim 문자

가로어는 1979년 아룬 리칠 마락(Arun Richil Marak)이 고안한 A•chik Tokbirim 문자로 쓰이기도 한다.[3] 이 문자의 각 이름은 자연 현상에서 따왔다. A•chik Garo Tokbirim이라고도 알려진 이 문자는 방글라데시 북서부 바바니푸르(Bhabanipur) 마을에서 어느 정도 사용되고 있다.[4]

5. 방언

가로어는 아웨(A·we), 암벵/아벵(Am·beng/A·beng), 마치(Matchi), 두알(Dual), 치삭(Chisak), 간칭(Ganching) 등의 방언으로 구성된다.[5] 마락(Marak, 2013:134–135)은 가로어 방언과 그 지리적 분포를 다음과 같이 나열한다.[5]

방언사용 지역
아통(A•tong)시상강 계곡의 가로힐스 남동부 (롱수(Rongsu), 시주(Siju), 롱루 아심(Rongru A·sim), 바드리(Badri), 칫망(Chitmang), 농갈(Nongal) 등)
루가(Ruga)부가이강 계곡의 가로힐스 남중부
치복(Chibok)부가이강 상류 능선
메감(Me•gam)가로힐스와 카시힐스의 경계 부근
암벵(Am·beng)부가이강 서쪽, 랑기라 고원에서 서쪽과 북쪽 계곡 (방글라데시와 아삼의 남북쪽 강)
아웨(A·we)브라마푸트라 강 계곡 (아기아(Agia), 골파라(Goalpara)에서 도랑그레(Doranggre), 암종가(Amjonga)까지 카르룹(Kamrup) 경계)
마타벵(Matabeng)아르벨라 고원, 두민딕그레, 롱워크암그레, 치덱그레, 산총그레, 바바담그레, 롱람, 아사낭 등
가라 간칭(Gara Ganching)가로힐스 남부 (다렝강과 롬파강 계곡)
두알(Dual)다렝강 계곡 (시바리(Sibbari), 카파시파라(Kapasipara), 가로힐스 서쪽 구릉지대의 발라찬다(Balachanda)와 찬다코나(Chandakona) 마을)
마치-두알(Matchi-Dual)시상 계곡의 윌리엄나가르(Williamnagar) 지역
카르룹(Kamrup)카르룹 지구(Kamrup District) (고할코나(Gohalkona), 하힘(Hahim), 산티푸르(Santipur), 우키암(Ukiam) 마을)



이러한 방언 사용자들은 일반적으로 서로 이해할 수 있지만, 다른 지역 방언에 익숙하지 않은 경우 특정 단어와 표현에 대한 설명이 필요할 수 있다. 아웨와 암벵을 제외한 가로어 방언에 대한 연구는 매우 부족하며, 많은 가로어 방언들이 표준어, 아웨 또는 암벵에 흡수되고 있다. 표준어는 아웨에서 유래했지만, 억양과 어휘 사용에 차이가 있어 표준 아웨어(주로 투라에서 사용)와 전통 아웨어(가로힐스 북동부 지역)로 구분하는 것이 적절하다.

아통, 루가, 메감은 전통적으로 가로어의 방언으로 간주되지만, 언어학적으로 가로어와 구별된다. 아통어와 루가어 사용자들은 민족적으로 가로인이지만, 이들의 언어는 가로어 방언과 상호 이해가 어렵다. 메감 사람들은 민족적으로 가로인이지만, 카시힐스의 메감어는 카시어의 영향을 받아 카시어와 유사하다.

6. 어휘

가로어의 어휘는 크게 인사말, 가족 호칭, 천문 및 기상 용어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인사말과 축복'''에서는 안부, 시간, 사랑 표현, 행선지 질문, 식사 여부 확인 등의 표현을 확인할 수 있다.

'''가족'''을 부르는 호칭은 어머니, 아버지, 삼촌, 이모, 할아버지, 할머니, 언니, 여동생, 남동생 등으로 구성된다.

'''천문 및 기상''' 용어에는 태양, 달, 별, 하늘, 구름, 바람, 공기, 비 등이 있다.

6. 1. 인사말과 축복

# Namenga ma? - 잘 지내세요?

# Namengaba - 잘 지내요

# Pringnam - 좋은 아침입니다

# Walnam - 안녕히 주무세요

# Attamnam - 좋은 오후입니다

# Ang•a nang•na Ka•saa 또는 Anga nang•na ka•sara - 사랑해요

# Na•a bachi re•angenga? - 어디 가세요?

# Anga Tura china re•angenga - 투라에 갑니다

# Mi cha•jok ma? - 밥 드셨어요?

# Anga mi Cha•aha 또는 Cha•jok - 밥 먹었습니다

6. 2. 가족

가로어에는 가족을 부르는 다양한 호칭이 있다.

호칭설명
Ama어머니
Apa아버지
Awang아버지의 남동생 (삼촌)
Ade어머니의 여동생 (이모)
Mama어머니의 남매 (삼촌)
Atchu 또는 Bude할아버지
Ambi 또는 Bitchi할머니
Abi언니
Ano 또는 Nono여동생
Angjong 또는 Jojong남동생


6. 3. 천문 및 기상


  • Sal|살grk - 태양
  • Jajong|자종grk - 달
  • Aski|아스키grk - 별
  • Aram|아람grk - 하늘 또는 구름
  • Balwa|발와grk - 바람 또는 공기
  • Mikka|미카grk - 비

6. 4. 수사

가로어 수사
숫자가로어
1사(Sa)
2으니(Gni)
3기탐(Gittam)
4브리(Bri)
5봉가(Bonga)
6독(Dok)
7스니(Sni)
8쳇(Chet)
9스쿠(Sku)
10치킹 또는 치쿵(Chiking or chikung)
11치 사(Chi sa)
12치 으니(Chi gni)
13치 기탐(Chi gittim)
14치 브리(Chi bri)
15치 봉가(Chi bonga)
16치 독(Chi dok)
17치 스니(Chi sni)
18치 쳇(Chi chet)
19치 스쿠(Chi sku)
20콜 그릭(Kol grik)


7. 문법

가로어는 주어-목적어-동사어순 언어이며, 동사가 문장 끝에 오는 경우가 일반적이다. 모든 명사구는 동사구 앞에 온다.

7. 1. 명사

가로어에서 모든 명사구는 동사구 앞에 오며, 모든 명사는 다양한 문법적격에 따라 활용된다. 명사 활용은 특정 접미사를 사용하며, 일부 명사는 어미에 자연스럽게 모음이 붙는 경우가 있는데, 주격 이외의 격으로 활용할 때는 일반적으로 마지막 모음을 제거한다. 또한, 격 접미사는 결합될 수도 있다.[1]

7. 1. 1. 격

가로어의 모든 명사는 다양한 문법적격에 따라 활용될 수 있다. 명사 활용은 특정 접미사를 사용하여 이루어진다.

가로어 접미사Bol을 사용한 예시번역
주격Ia bol dal•gipa ong•a.이 나무는 크다.
목적격-koAnga bolko nika.나는 나무를 본다.
소유격-niBolni bijakrang ga•akenga.나무의 잎들이 떨어지고 있다.
여격-naAnga bolna aganaha.나는 나무에게 말했다.
처소격-o/-chi (-chi는 공간을 가리키는 데만 사용된다. "나무 안에"를 뜻하는 bolchi는 유효하지만, "밤에"를 뜻하는 walchi는 유효하지 않다.)Bolo/Bolchi makre mangbonga ong•a.나무 안에 원숭이 다섯 마리가 있다.
도구격-chiAnga ruachi bolko den•aha.나는 도끼로 나무를 잘랐다.
반주격-mingAnga bolming tangaha.나는 나무와 함께 살았다.



일부 명사는 어미에 자연스럽게 모음이 붙는 경우가 있다. 명사를 주격 이외의 격으로 활용할 때는 일반적으로 마지막 모음을 제거해야 한다. 예를 들어, "새"를 뜻하는 Do•o는 소유격으로 활용될 때 Do•ni가 된다.

또한, 격 접미사는 결합될 수도 있다. -o와 -na가 결합하여 -ona를 형성하는데, 이는 "쪽으로"를 의미한다(향방격). -o와 -ni가 결합하여 -oni를 형성하는데, 이는 "로부터"를 의미한다(탈격). 예를 들어, "Anga Turaoni Shillong-ona re•angaha"는 "나는 투라에서 실롱으로 여행했다"는 의미이다.

7. 1. 2. 대명사

가로어는 영어와 마찬가지로 단수와 복수 모두에서 1인칭, 2인칭, 3인칭 대명사를 가진다. 가로어는 또한 포괄성을 고려하여 "포괄적 우리"와 "배타적 우리"에 대해 두 개의 별개의 1인칭 복수 대명사를 사용한다. 그러나 가로어는 문법적 성을 고려하지 않으며, 3인칭 단수에 대해서는 하나의 대명사를 사용한다. 다음 표는 각 대명사의 주격 어미 (즉, 대명사가 주어로 사용될 때)를 보여준다.

colspan="2" |단수복수
1인칭배타적anga|앙가grtan•ching|안칭grt
포괄적chinga|칭가grt
2인칭na•a|나아grtna•simang|나시망grt
3인칭ua|우아grtuamang|우아망grt



참고로, 가로어 문어체에서는 "Bia"가 종종 "Ua"로 대체되는데, 이는 영어로 "저것"을 의미한다.

Am•beng 방언에서는 "An•ching"이 "Na•ching"으로, "Na•simang"과 "Uamang"은 각각 "Na•song"과 "Bisong"으로 바뀐다.

대명사는 다른 명사처럼 활용될 수도 있다. 하나의 예외는 "Na•a"이다. 활용될 때, 어간 명사는 "Nang'"이 된다. "너의"를 가로어로 번역하면 "Nang•ni"가 된다.

7. 2. 동사

가로어의 동사는 동작의 시제에 따라 활용되며, 주요 활용형은 세 가지이다. 가로어 동사에는 다양한 접미사가 추가될 수 있다.

7. 2. 1. 시제

가로어의 동사는 동작의 시제에 따라 활용된다. 주요 활용형은 세 가지이다.

시제가로어 접미사Cha•a 예시번역
과거-ahaMi cha•aha.쌀을 먹었다.
현재-aMi cha•a.쌀을 먹는다.
미래-genMi cha•gen.쌀을 먹을 것이다.



하지만 가로어 동사에는 다양한 접미사가 추가될 수 있다. 몇 가지 접미사는 다음과 같다.


  • '''명령법''' - 2인칭 명령법은 접미사 -bo로 나타낸다.

:: ''"On•a" (주다) → "Angna iako on•bo" (이것을 줘라)''

  • '''예/아니오 의문문''' - 동사 끝에 접미사 -ma를 추가하면 문장이 의문문이 된다.

:: ''"Nika" (보다) → "Uako nikama?" (저것 보이니?)''

  • '''원형''' - 동사에 -na를 추가하면 원형이 된다.

:: ''"Ring•a" (노래하다) → "Anga ring•na namnika" (나는 노래하는 것을 좋아한다)''

  • '''부정''' - 동사를 부정하려면 -ja를 추가한다. 미래 시제 동사의 부정은 -jawa가 된다. 예: "Anga nikgen" (나는 볼 것이다) → "Anga nikjawa" (나는 볼 수 없을 것이다)

:: ''"Namnika" (좋아하다) → "Namnikja" (싫어하다, 미워하다)''

  • '''진행상''' - 진행상은 -eng을 사용하여 나타낸다.

:: ''"Anga kal•a" (나는 논다) → "Anga kal•enga" (나는 놀고 있다)''

  • '''형용사''' - 가로어는 진정한 의미의 형용사를 지원하지 않는다. 명사를 수식하려면 명사화된 동사를 대신 사용한다. 동사의 명사화는 접미사 -gipa를 사용하여 이루어진다.

:: ''"Dal•a" (크다) → "Dal•gipa" (큰 것) → "Dal•gipa ro•ong" (큰 바위)''

7. 2. 2. 기타 동사 활용

가로어의 동사는 동작의 시제에 따라 활용된다. 주요 활용형은 세 가지이다.

시제가로어 접미사Cha•a 예시번역
과거-ahaMi cha•aha.쌀을 먹었다.
현재-aMi cha•a.쌀을 먹는다.
미래-genMi cha•gen.쌀을 먹을 것이다.



가로어 동사에는 다양한 접미사가 추가될 수 있다. 몇 가지 접미사는 다음과 같다.


  • '''명령법''' - 2인칭 명령법은 접미사 -bo로 나타낸다.

:: ''"On•a" (주다) → "Angna iako on•bo" (이것을 줘라)''

  • '''예/아니오 의문문''' - 동사 끝에 접미사 -ma를 추가하면 문장이 의문문이 된다.

:: ''"Nika" (보다) → "Uako nikama?" (저것 보이니?)''

  • '''원형''' - 동사에 -na를 추가하면 원형이 된다.

:: ''"Ring•a" (노래하다) → "Anga ring•na namnika" (나는 노래하는 것을 좋아한다)''

  • '''부정''' - 동사를 부정하려면 -ja를 추가한다. 미래 시제 동사의 부정은 -jawa가 된다. 예: "Anga nikgen" (나는 볼 것이다) → "Anga nikjawa" (나는 볼 수 없을 것이다)

:: ''"Namnika" (좋아하다) → "Namnikja" (싫어하다, 미워하다)''

  • '''진행상''' - 진행상은 -eng을 사용하여 나타낸다.

:: ''"Anga kal•a" (나는 논다) → "Anga kal•enga" (나는 놀고 있다)''

  • '''형용사''' - 가로어는 진정한 의미의 형용사를 지원하지 않는다. 명사를 수식하려면 명사화된 동사를 대신 사용한다. 동사의 명사화는 접미사 -gipa를 사용하여 이루어진다.

:: ''"Dal•a" (크다) → "Dal•gipa" (큰 것) → "Dal•gipa ro•ong" (큰 바위)''

8. 음운론

가로어의 음운 체계는 자음과 모음으로 구성된다.

자음의 경우 파열음, 비음, 마찰음, 탄음, 측음, 유음 등으로 나뉜다. 무성 파열음 /p, t̪, k/는 단어의 처음에서는 유기음 [pʰ, t̪ʰ, kʰ]으로, 끝에서는 미방출음 [p̚, t̚, k̚]으로 소리 난다. /s/는 전설 모음 앞에서 치경구개 마찰음 [ɕ]으로 바뀐다.[6] /ɾ/는 자음군 내에서 떨림음 [r]로 소리 나기도 한다. /j/는 ai, oi, ui와 같은 이중모음에서만 나타나며, /ʔ/는 중간 점(·) 또는 작은 따옴표(ʼ)로 표기된다.

모음은 전설 모음, 중설 모음, 후설 모음으로 나뉘며, 고모음, 중모음, 저모음으로 구분된다. ⟨i⟩ 글자는 i|iund와 ɯ|ɯund 두 가지 소리를 나타내는데, ʔ|ʔund 이외의 자음으로 끝나는 ⟨-i-⟩ 음절(자음 군집을 형성하지 않는 경우)은 ɯ|ɯund로, 그렇지 않으면 i|iund로 발음된다.[7]

가로어는 대부분의 보도-가로어족 언어들과 달리 성조 구분이 없다. 대신 성문 폐쇄음으로 끝나는 음절과 그렇지 않은 음절을 구분하는데, 성문 폐쇄음이 저음을 대체하는 것으로 보인다.[7]

8. 1. 자음

colspan="2" |순음치음치경음경구개음연구개음성문음
파열음무성p (pʰ)t̪ (t̪ʰ)t͡ɕk (kʰ)ʔ
유성bd͡ʑɡ
비음mnŋ
마찰음sh
탄음ɾ
측음l
유음wj


  • 무성 파열음 /p, t̪, k/는 단어의 처음 위치에서는 항상 유기음 [pʰ, t̪ʰ, kʰ]으로 발음된다. 단어의 끝 위치에서는 미방출음 [p̚, t̚, k̚]으로 들린다.
  • /s/는 앞에 전설 모음이 올 경우 치경구개 마찰음 [ɕ]으로 들린다.[6]
  • /ɾ/는 자음군 내에서 발음될 경우 떨림음 [r]으로 들린다.
  • /j/는 ai, oi, ui와 같은 이중모음에서만 나타난다. j는 이미 /d͡ʑ/를 나타낸다.
  • /ʔ/는 중간 점(·) 또는 작은 따옴표(ʼ)로 표기된다.

8. 2. 모음

전설중설후설
고모음i|iundɯ|ɯund / u|uund
중모음e|eundo|ound
저모음a|aund



⟨i⟩ 글자는 i|iund와 ɯ|ɯund 모두를 나타낸다. ʔ|ʔund 이외의 자음으로 끝나는 ⟨-i-⟩ 음절(자음 군집을 형성하지 않는 경우)은 ɯ|ɯund로 발음되고, 그렇지 않으면 i|iund로 발음된다.[7]

거의 모든 다른 보도-가로어족 아족 언어들이 저음과 고음의 성조를 구분하는 반면, 가로어는 그 예외 중 하나이다. Wood는 가로어가 성조 체계 대신, 성문 폐쇄음으로 끝나는 음절과 그렇지 않은 음절을 구분하는 체계를 사용하며, 성문 폐쇄음이 저음을 대체하는 것으로 보인다고 기술한다.[7]

9. 위상

2005년 메갈라야 주 언어법에 따라 메갈라야 주의 5개 가로힐스 지역에서 영어(주요 공용어)와 함께 준공용어 지위를 부여받았다.[1]

가로어는 가로힐스 지역의 정부 운영 초등학교에서 교육 언어로도 사용된다.[1] 중등 교육 단계에서도 영어가 법적으로 교육 언어이지만, 일부 학교에서는 영어와 함께 가로어를 사용하며, 때로는 영어보다 더 많이 사용하여 사실상 이중 언어 시스템을 이룬다.[1] 영어가 유일한 교육 언어인 학교에서는 가로어가 현대 인도어(M.I.L.)로서 과목으로만 가르친다.[1] 대학 수준에서는 학생들이 필수 과목인 현대 인도어 외에 가로어 제2외국어(G.S.L.)를 선택할 수 있으며, 가로어 학사(우등) 학위 과정도 이수할 수 있다.[1]

1996년 투라 캠퍼스 설립 당시 북동부힐대학교는 가로어학과를 설립하여 캠퍼스에서 처음 개설된 학과 중 하나이자 "세계 유일의 학과"로 만들었다.[1] 이 학과는 가로어로 석사, 석박사, 박사 과정을 제공한다.[1]

최근 가로어로 출판된 문헌이 크게 증가하고 있다.[1] 사전, 문법 및 기타 교과서, 번역 자료, 신문, 잡지, 저널, 소설, 단편 소설집, 민담과 신화, 학술 자료, 가로어 성경과 가로어 찬송가와 같은 중요한 종교 출판물 등 학습 자료 생산이 증가했다.[1] 그러나 언어 자체에 대한 추가 연구는 더디고 드물지만 전무한 것은 아니다.[1]

참조

[1] 웹사이트 Statement 1: Abstract of speakers' strength of languages and mother tongues - 2011 http://www.censusind[...] Office of the Registrar General & Census Commissioner, India 2018-07-07
[2] 문서 (Joseph and Burling 2006: 1)
[3] 웹사이트 A•Chik Tokbirim https://omniglot.com[...]
[4] 웹사이트 Garo script https://web.archive.[...] 2020-11-28
[5] 서적 Linguistic Ecology of Garo EBH Publishers
[6] 서적 Garo morphology, a descriptive analysis North-Eastern Hill University
[7] 논문 An Initial Reconstruction of Proto-Boro-Garo http://hdl.handle.ne[...]
[8] 웹사이트 Garo http://www.ethnologu[...] SIL International
[9] Glottolog Garo
[10] Glottolog Galo
[11] 서적 Ethnologue: Languages of the World http://www.ethnologu[...] SIL International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