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타리나 드렉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가타리나 드렉셀은 1858년 미국 필라델피아에서 태어난 미국의 로마 가톨릭 성인이다. 부유한 은행가 집안에서 자란 그녀는 아메리카 원주민과 흑인들의 교육과 복지를 위해 헌신하기로 결심하고, 1891년 성체 수녀회를 창설하여 60개 이상의 학교와 선교 단체를 지원했다. 드렉셀은 1955년 사망했으며, 2000년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에 의해 성인으로 시성되었다. 그녀는 유색인종의 권익 보호와 자선 활동을 하는 이들의 수호성인으로 여겨진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미국의 로마 가톨릭 성인 - 다미앵 신부
벨기에 출신 로마 가톨릭 사제이자 예수 성심 성모 수도회 소속 선교사인 다미앵 신부는 하와이 몰로카이섬에서 한센인들을 16년간 헌신적으로 돌보며 사목 활동을 펼치다 자신도 한센병에 감염되었으나 봉사를 이어갔고, 사후 시성되어 소외된 이들을 위한 봉사의 상징으로 여겨진다. - 미국의 로마 가톨릭 성인 - 프란치스카 사베리아 카브리니
프란치스카 사베리아 카브리니는 이탈리아 출신의 로마 가톨릭 수녀이자 예수 성심 전교 수녀회 창립자로서, 미국에서 이민자들을 위한 교육 및 복지 사업에 헌신하며 병원, 고아원, 학교 등을 설립하여 그들의 정착을 도왔고, 사후 성녀로 시성되어 이민자들의 수호성인으로 공경받는 사회복지 발전에 기여한 인물이다. - 미국의 로마 가톨릭 수녀 - 돌로레스 하트
1950년대 후반부터 1960년대 초반 배우로 활동하며 엘비스 프레슬리와 영화에 출연하고 브로드웨이에서도 성공을 거둔 돌로레스 하트는 1963년 은퇴 후 베네딕토회 수녀가 되어 레지나 라우디스 수도원에서 수녀로서 삶을 살며, 2001년 수녀원 프리오레스로 임명되었다. - 미국의 로마 가톨릭 수녀 - 프란치스카 사베리아 카브리니
프란치스카 사베리아 카브리니는 이탈리아 출신의 로마 가톨릭 수녀이자 예수 성심 전교 수녀회 창립자로서, 미국에서 이민자들을 위한 교육 및 복지 사업에 헌신하며 병원, 고아원, 학교 등을 설립하여 그들의 정착을 도왔고, 사후 성녀로 시성되어 이민자들의 수호성인으로 공경받는 사회복지 발전에 기여한 인물이다. - 교황 요한 바오로 2세가 시성한 성인 - 김대건
김대건 안드레아는 한국 최초의 천주교 사제이자 순교자로, 천주교 신앙을 가진 가문에서 태어나 사제의 길을 걸으며 마카오와 필리핀에서 신학을 공부한 후 조선에서 선교 활동을 하다 체포되어 26세에 순교하였고, 그의 순교는 한국 천주교 역사에 중요한 전환점이 되어 1984년 성인으로 시성되었다. - 교황 요한 바오로 2세가 시성한 성인 - 한국의 로마 가톨릭 성인
한국의 로마 가톨릭 성인은 조선 시대 박해 속에서 순교한 천주교 신자들로, 한국 천주교 순교 성인 103위가 대표적이며, 이들의 순교는 한국 천주교회의 기반을 굳건히 하고 역사적 의미를 깊게 새기고 있으며, 현재도 추가적인 시복·시성 운동이 진행 중이다.
| 가타리나 드렉셀 - [인물]에 관한 문서 | |
|---|---|
| 기본 정보 | |
![]() | |
| 존칭 접두사 | 성녀 |
| 이름 | 성녀 캐서린 드렉셀 |
| 존칭 접미사 | SBS |
| 출생일 | 1858년 11월 26일 |
| 축일 | 3월 3일 |
| 숭배 장소 | 로마 가톨릭교회 |
| 출생지 | 미국 펜실베이니아주 필라델피아 |
| 사망일 | 1955년 3월 3일 |
| 사망지 | 미국 펜실베이니아주 벤살렘 |
| 칭호 | 동정녀 |
| 시복일 | 1988년 11월 20일 |
| 시복자 | 교황 요한 바오로 2세 |
| 시성일 | 2000년 10월 1일 |
| 시성자 | 교황 요한 바오로 2세 |
| 주요 성지 | 성 베드로와 바울 대성당, 미국 필라델피아 |
| 추가 정보 | |
| 속성 | 해당 사항 없음 |
| 수호 성인 | 해당 사항 없음 |
2. 약력
가타리나 메리 드렉셀은 1858년 11월 26일 미국 펜실베이니아주 필라델피아의 부유한 은행가 집안에서 태어났다. 그녀의 삼촌 앤서니 조셉 드렉셀은 드렉셀 대학교의 설립자였다. 독실한 가톨릭 신자였던 부모의 자선 활동과 미국 서부 여행 중 목격한 아메리카 원주민(인디언) 및 아프리카계 미국인(흑인)의 열악한 현실, 남북 전쟁의 경험은 그녀가 사회 참여를 결심하는 계기가 되었다.
그녀는 상속받은 막대한 재산을 미국 서부 및 남서부 지역에서 백인들에게 핍박받던 아메리카 원주민과 아프리카계 미국인의 권익 향상과 교육을 위해 사용하기로 결심하고 수녀회에 입회했다. 1891년에는 이들을 돕기 위한 복된 성사의 수녀회(Sisters of the Blessed Sacrament for Indians and Colored People)를 직접 창설했다.
드렉셀은 수녀회를 통해 미국 전역에 60곳 이상의 선교 단체와 학교 설립을 지원했으며, 특히 뉴올리언스에 루이지애나 하비에르 대학교[21](역사적으로 미국 유일의 흑인 가톨릭 대학)를 설립하여 아프리카계 미국인들에게 고등 교육의 기회를 제공했다. 이러한 활동 과정에서 백인 우월주의 단체인 쿠 클럭스 클랜(KKK) 등으로부터 협박과 방해를 받기도 했으나, 자신의 신념을 굽히지 않았다.
1955년 96세의 나이로 사망했으며, 그녀가 설립한 학교는 63개교에 달했고 500명 이상의 수녀가 활동했다. 2000년 로마 가톨릭교회의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에 의해 성인으로 시성되었다.
2. 1. 출생과 가정 환경
가타리나 메리 드렉셀은 1858년 11월 26일 미국 펜실베이니아주 필라델피아에서 은행가 프랜시스 앤서니 드렉셀과 한나 랑스트로스의 딸로 태어났다. 그녀에게는 엘리자베스라는 언니가 있었다.[1] 드렉셀 가문은 상당한 은행 자산을 소유한 부유한 집안이었으며, 그녀의 삼촌 앤서니 조셉 드렉셀은 필라델피아에 드렉셀 대학교를 설립한 인물이다.[2]캐서린의 어머니 한나는 그녀가 태어난 지 불과 5주 만에 세상을 떠났고, 이후 2년 동안은 삼촌 앤서니 조셉 드렉셀 부부가 캐서린과 언니 엘리자베스를 돌보았다. 1860년, 아버지 프랜시스는 엠마 부비에와 재혼하였고, 1863년에는 이복 여동생 루이즈가 태어났다.[1]
세 자매는 부유할 뿐만 아니라 독실한 가톨릭 신앙과 자선 활동을 중시하는 가정 환경에서 성장했다. 특히 계모 엠마는 정기적으로 자신의 집을 가난한 이들에게 개방하여 음식과 옷을 나누어 주는 등 자선 활동에 적극적이었다.[3] 이는 어린 캐서린에게 깊은 영향을 주었다. 가족은 필라델피아 토레스데일 지역에 위치한 '세인트 미셸'이라는 이름의 90에이커 규모 저택에서 생활했는데, 이는 대천사 성 미카엘을 기리기 위해 붙여진 이름이었다.[4]
가족과 가까웠던 제임스 오코너 주교 또한 캐서린의 신앙적 성장에 영향을 미쳤다. 그는 당시 필라델피아 인근 홀름스버그 지역 성 도미니크 성당의 목사였으며, 나중에 네브래스카 사도 대리로 임명되었다.[5]
어린 시절 캐서린은 가족과 함께 미국 서부 지역을 여행할 기회가 있었는데, 이때 아메리카 원주민들이 겪는 차별과 빈곤의 현실을 직접 목격하게 되었다. 또한 1861년부터 1865년까지 미국 전역을 휩쓴 남북 전쟁의 경험 역시 그녀에게 큰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경험들은 훗날 그녀가 사회적으로 소외된 이들, 특히 아메리카 원주민과 아프리카계 미국인들의 권익 향상을 위해 헌신하게 되는 중요한 배경이 되었다.
2. 2. 사회 참여 결심과 수녀회 설립
캐서린 드렉셀은 부유한 가정에서 태어났지만, 자선 활동을 실천했던 부모의 영향과 남북 전쟁(1861년-1865년)의 경험 속에서 성장했다. 특히 아버지와 함께 미국 대륙을 횡단하는 여행 중, 백인들로부터 차별과 빈곤, 약탈로 고통받으며 권리를 빼앗긴 아메리카 원주민(인디언)과 과거 노예였던 아프리카계 미국인(흑인)들의 현실을 목격하게 되었다. 이러한 경험은 그녀가 자신의 삶과 상속받은 막대한 유산을 이들을 위해 헌신하기로 결심하는 결정적인 계기가 되었다.아버지의 사망 후, 캐서린은 자신의 재산을 아메리카 원주민 지원에 사용하기 시작했다. 1886년, 교황 레오 13세와의 만남에서 미국 내 아메리카 원주민과 아프리카계 미국인을 돕는 선교사가 되라는 격려를 받았다.[2][6] 이에 힘입어 1889년 자비의 수녀회에 입회하였고, 마침내 1891년 2월, 복된 성사의 수녀회(Sisters of the Blessed Sacrament for Indians and Colored People)를 직접 창설했다.[2] 이 수녀회는 미국 남부와 서부 지역에서 소외된 아메리카 원주민과 아프리카계 미국인들의 생활 개선과 교육 지원을 목표로 설립되었다. 캐서린 드렉셀은 수녀회의 초대 원장 수녀로서 활동했으며, 1937년 건강 문제로 물러날 때까지 이끌었다.[6]
2. 3. 교육 및 자선 활동
가타리나 드렉셀은 부유한 필라델피아 은행가 집안에서 태어났지만, 독실한 가톨릭교회 신자였던 부모의 영향과 미국 대륙 횡단 여행 경험을 통해 자선 활동에 헌신하기로 결심했다. 그녀의 부모는 집을 가난한 사람들에게 개방하며 자선 활동을 펼쳤고, 이는 어린 가타리나에게 큰 영향을 주었다. 특히 여행 중 목격한 아메리카 원주민과 전 노예였던 아프리카계 미국인들이 겪는 차별, 빈곤, 약탈의 현실은 그녀가 이들을 위해 살아가기로 결심하는 결정적인 계기가 되었다.[2][6] 남북 전쟁(1861-1865) 역시 그녀에게 큰 고통을 안겨주었다.1886년, 교황 레오 13세와의 만남은 그녀의 삶에 중요한 전환점이 되었다. 교황은 그녀에게 직접 선교사가 되어 미국 내 아메리카 원주민과 아프리카계 미국인을 도우라는 권유를 했고,[2][6] 이에 힘입어 가타리나는 1889년 자비의 수녀회에 입회했다. 이후 1891년 2월, 그녀는 아메리카 원주민과 아프리카계 미국인을 돕기 위한 복된 성사의 수녀회(Sisters of the Blessed Sacrament for Indians and Colored People, 또는 성체 수녀회)를 직접 창설하고 초대 원장 수녀가 되어 1937년 건강 문제로 물러날 때까지 활동했다.[2][6]
가타리나는 상속받은 막대한 재산을 미국 서부 및 남서부 지역에서 백인들에게 핍박받던 아메리카 원주민과 아프리카계 미국인의 권익 향상과 교육을 위해 아낌없이 사용했다. 그녀는 미국 전역에 60곳이 넘는 선교 단체와 학교 설립을 재정적으로 지원했다. 특히 1915년 뉴올리언스에 자비에 고등학교(Xavier High School, 이후 자비에 예비학교) 설립을 시작으로, 미국 유일의 HBCU이자 가톨릭 대학인 루이지애나 하비에르 대학교(Xavier University of Louisiana)[7][21]를 설립하여 많은 흑인 청년들에게 고등 교육의 기회를 제공했다.[6]
그녀의 자선 활동은 미국 국경을 넘어서기도 했다. 스페인-미국 전쟁 이후, 쿠바 하바나에서 전쟁 고아가 된 아프리카계 쿠바 아이들을 돌보는 활동을 지원했다. 당시 다른 어떤 교회나 정부 기관도 유색 인종이라는 이유로 이 아이들을 돕지 않았지만, 가타리나는 로욜라 수녀에게 자금을 지원하여 이들을 돌보게 했다.[6] 또한 수족 추장들과 깊은 우정을 나누며 구호 활동을 펼쳤고, 1942년까지 이들을 위한 교회와 학교를 꾸준히 설립하며 지원 네트워크를 확장했다. 이 과정에서 흑인 교사를 고용하고 직접 급여를 지급하기도 했다.
하지만 가타리나의 이러한 활동은 당시 백인 우월주의가 팽배했던 사회, 특히 남부 지역에서 큰 반발에 부딪혔다. 많은 백인들은 그녀의 활동을 못마땅하게 여겼으며, 악명 높은 백인 우월주의 단체인 쿠 클럭스 클랜(KKK)으로부터 직접적인 협박을 받기도 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가타리나는 이러한 방해와 위협에 굴하지 않고 자신의 신념을 끝까지 밀고 나갔다.
1955년, 가타리나 드렉셀은 96세의 나이로 세상을 떠났다. 그녀가 남긴 유산은 미국 전역의 학교 63개교와 500명이 넘는 수녀들이 이어받아 교육 활동을 계속했다. 그녀의 헌신적인 삶과 업적을 기려 2000년 로마 가톨릭교회의 교황 요한 바오로 2세는 그녀를 성인으로 선포했다.
3. 시성
가타리나 드렉셀은 2000년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에 의해 시성되었다.[22] 시성 과정 및 그녀가 남긴 유산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아래 관련 문서를 참고할 수 있다.
3. 1. 시성 과정
가타리나 드렉셀은 1974년 로버트 거더먼의 심각한 귀 감염을 기도를 통해 치료한 첫 번째 기적이 인정되어, 1988년 11월 20일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에 의해 시복되었다.[8][22] 이후 1994년 에이미 월의 선천성 청각 장애를 회복시킨 두 번째 기적이 인정되어 2000년 10월 1일에 시성되었다.[9][10] 이로써 그녀는 미국에서 태어나 자란 여성으로서는 성녀 엘리사벳 앤 시튼에 이어 두 번째로 가톨릭교회의 성인이 되었다.[22]교황청은 가타리나 드렉셀이 남긴 네 가지 주요 유산을 다음과 같이 평가했다.[11][22]
- 성체에 대한 깊은 신심과 모든 인종을 하나로 아우르는 박애 정신
- 소수 민족이 겪는 사회적 불평등 문제 해결을 위한 용기와 솔선수범
- 모든 사람에게 양질의 교육 기회를 제공하려는 노력
- 불의로 고통받는 이들을 위해 자신이 물려받은 막대한 유산을 기부하는 등 이타적인 봉사 정신
성녀 가타리나 드렉셀은 유색인종의 권익 보호 활동가들과 자선 활동가들의 수호성녀로 공경받고 있다.[11][22] 그녀의 축일은 그녀가 사망한 날인 3월 3일이다.[11]

원래 그녀의 유해는 펜실베이니아주 벤살렘 타운십의 성 엘리자베스 수녀원에 안치되어 있었으나, 수녀원이 매각된 후 2018년 8월 필라델피아의 필라델피아 성 베드로 바실리카 대성당 내 새로운 성지로 옮겨졌다.[11]
3. 2. 유산
1988년 11월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에 의해 시복되었으며, 2000년 10월 1일 시성되었다. 이로써 가타리나 드렉셀은 미국에서 태어나 자란 미국인 여성으로서는 성녀 엘리사벳 앤 시튼에 이어 두 번째로 가톨릭교회의 성인이 되었다. 바티칸에서는 그녀가 다음과 같은 네 가지 유산을 남겼다고 평가했다.[22]- 성체에 대한 깊은 신심
- 인종에 구애받지 않고 모든 사람을 하나로 통합시키는 박애 정신
- 사회적 약자가 겪는 불공평에 맞서 싸운 용기와 결단력
- 모든 사람에게 양질의 교육 기회를 제공하고자 한 노력
- 불의로 고통받는 이들을 위해 상속받은 재산을 기부하는 등 헌신적인 봉사 정신
성녀 가타리나 드렉셀은 유색인종들의 권익을 보호하기 위해 활동하는 사람들과 자선활동을 하는 사람들의 수호성녀로 여겨진다.[22]
캐서린은 펜실베이니아 주 필라델피아의 부유한 오스트리아계 이민자 가정에서 태어나 독실한 가톨릭 신자로 성장했다. 그녀의 부모는 자선 활동에 힘썼고, 집을 가난한 이들에게 개방하며 따뜻하게 대했는데, 이는 그녀에게 큰 영향을 미쳤다. 당시 필라델피아는 약탈 행위가 벌어지고 빈곤층 주민들이 고통받는 상황이었으며, 1861년부터 1865년까지 이어진 남북 전쟁은 그녀에게 큰 고통을 안겨주었다. 아버지와 함께 미국 대륙을 횡단하는 여행 중, 그녀는 차별과 빈곤, 약탈로 고통받으며 권리를 빼앗긴 아메리카 원주민과 과거 노예였던 아프리카계 미국인들의 현실을 목격하고 그들을 위해 헌신하기로 결심했다.
아버지의 사망 후 의붓어머니를 돌보면서 그녀의 마음은 더욱 봉사를 향하게 되었다. 캐서린은 아버지로부터 상속받은 재산을 아메리카 원주민을 돕는 데 사용했으며, 선교사로서 서원을 세웠다. 1891년에는 '성체 수녀회'를 창설하여 아메리카 원주민의 생활 개선과 교육에 힘썼다. 또한, 수족의 추장들과 우정을 쌓고 구호 활동을 펼쳤으며, 1942년까지 그들을 위한 교회와 학교를 설립하여 지원망을 확장했다. 이 과정에서 아프리카계 미국인 교사를 고용하고 그들에게 급여를 지급하기도 했다. 더 나아가, 미국 최초로 아프리카계 미국인을 위한 대학인 자비에르 대학교를 뉴올리언스에 설립하여 많은 흑인 대학생을 사회로 배출했다.
그러나 드렉셀과 같은 활동은 당시 많은 백인들, 특히 남부의 백인 우월주의자들에게 반감을 샀다. 쿠 클럭스 클랜(KKK)과 같은 단체로부터 협박을 받기도 했지만, 드렉셀은 그들의 방해에 굴하지 않고 자신의 신념을 지켜나갔다.
1955년, 드렉셀은 96세의 나이로 세상을 떠났다. 당시 미국 전역에는 그녀가 설립한 학교 63개교가 있었고, 500명 이상의 수녀들이 교사로 활동하고 있었다.
4. 성유해
성녀 가타리나 드렉셀의 유해는 미국 노스캐롤라이나주 롤리에 있는 성 라파엘 대천사 성당의 마리아 경당 제대 밑 이중 유리창 안에 안전하게 보관되어 있다.
5. 기념 및 유산
가타리나 드렉셀은 사후에도 그녀의 헌신적인 삶과 업적을 기리기 위해 다양한 방식으로 기념되고 있다. 특히 미국 전역에 걸쳐 그녀의 이름을 딴 수많은 성당과 학교, 그리고 기타 시설들이 세워져 그녀의 유산을 이어가고 있다.
- 성당: 미국 여러 주에 걸쳐 성 카타리나 드렉셀의 이름을 딴 본당과 선교 본당이 설립되어 운영 중이다. (하위 섹션 성당 참고)
- 학교: 그녀가 직접 설립하거나 자금을 지원한 학교 외에도, 그녀의 교육에 대한 헌신을 기리기 위해 많은 학교들이 성 카타리나 드렉셀의 이름을 사용하고 있다. 이는 초등학교부터 대학교까지 다양하다. (하위 섹션 학교 참고)
- 기타 시설: 성당과 학교 외에도 예배당, 은퇴 센터, 도로, 도서관 등 다양한 시설과 장소에 그녀의 이름이 붙여져 그 공헌을 기리고 있다. 그녀의 할아버지 프란시스 마틴 드렉셀의 출생지인 오스트리아 도른비른에도 기념 예배당이 있다. (하위 섹션 기타 시설 참고)
5. 1. 성당
| 주 | 도시/타운십 | 성당/본당 이름 |
|---|---|---|
| 노스캐롤라이나주 | 메이플 | 성 카타리나 드렉셀 본당 |
| 캘리포니아주 | 아이온 | 성 카타리나 드렉셀 본당 |
| 캘리포니아주 | 마르텔 | 성 카타리나 드렉셀 본당 |
| 플로리다주 | 케이프 코럴 | 성 카타리나 드렉셀 본당[13] |
| 플로리다주 | 베니스 | 성 카타리나 드렉셀 본당 |
| 플로리다주 | 웨스턴 | 성 카타리나 드렉셀 본당 |
| 조지아주 | 트렌턴 | 성 카타리나 드렉셀 선교 본당 |
| 아이다호주 | 캐스케이드 | 성 카타리나 드렉셀 본당 |
| 일리노이주 | 스프링필드 | 성 카타리나 드렉셀 본당 |
| 일리노이주 | 슈가 그로브 | 성 카타리나 드렉셀 본당 |
| 메릴랜드주 | 프레더릭 | 성 카타리나 드렉셀 본당 |
| 매사추세츠주 | 록스버리 | 성 카타리나 드렉셀 본당 |
| 미네소타주 | 램지 | 성 카타리나 드렉셀 본당 |
| 뉴햄프셔주 | 알턴 | 성 카타리나 드렉셀 본당 |
| 뉴저지주 | 벌링턴 | 성 카타리나 드렉셀 본당 |
| 뉴저지주 | 에그 하버 타운십 | 성 카타리나 드렉셀 본당 |
| 뉴욕주 | 버팔로 | 성 카타리나 드렉셀 본당 |
| 펜실베이니아주 | 벤틀리빌 | 성 카타리나 드렉셀 본당 |
| 펜실베이니아주 | 체스터 | 성 카타리나 드렉셀 본당 |
| 펜실베이니아주 | 랜스포드 | 성 카타리나 드렉셀 본당 |
| 펜실베이니아주 | 메카닉스버그 | 성 카타리나 드렉셀 본당 |
| 펜실베이니아주 | 플레전트 마운트 | 성 카타리나 드렉셀 본당 |
| 사우스다코타주 | 수폴스 | 성 카타리나 드렉셀 본당 |
| 텍사스주 | 헴스테드 | 성 카타리나 드렉셀 본당 |
| 위스콘신주 | 비버 댐 | 성 카타리나 드렉셀 본당[14] |
| 위스콘신주 | 카코나 | 성 카타리나 드렉셀 본당 |
| 루이지애나주 | 뉴올리언스 | 성 카타리나 드렉셀 본당 (구 성령 본당) |
| 버지니아주 | 콜럼비아 | 성 요셉 성당의 성 카타리나 드렉셀 성지[15] |
| 버지니아주 | 헤이마켓 | 성 카타리나 드렉셀 선교 본당 |
| 루이지애나주 | 케어크로 | 성모 승천 가톨릭 교회의 성 카타리나 드렉셀 성지 |
5. 2. 학교
가타리나 드렉셀이 설립하거나 자금을 지원한 학교는 다음과 같다.- 루이지애나 자비에 대학교
- 성 베네딕토 더 무어 학교
- Blessed Sacrament Catholic School, 텍사스주 보몬트
- Sacred Heart Catholic School, 텍사스주 포트아서
- 세인트 조셉 인디언 노멀 스쿨, 현재 드렉셀 홀이라고 불리며, 인디애나주 렌셀러에 있는 세인트 조셉 대학교 캠퍼스에 위치해 있다. 인디언 노멀 스쿨은 1888년부터 1896년까지 운영되었다. 남자아이들을 위한 학교였으며, 연방 인디언 기숙 학교 이니셔티브에 따르면 아이들은 이곳에 입학하기 위해 보호구역에서 "데려와졌다".[16]
- 세인트 마이클 인디언 학교, 애리조나주 세인트 마이클스에서 유치원부터 12학년까지 운영
- 성 마크 학교, 아프리카계 미국인 가톨릭 학생들을 위한 뉴욕시 최초의 학교
- 우리 레이디 오브 루르드 가톨릭 교회 및 학교, 1912년 설립, 조지아주 애틀랜타
- 성 빈센트 드 폴 가톨릭 교회 및 학교, 1932년 설립, 테네시주 내슈빌
- 성 이그나티우스 로욜라 본당은 1893년에 설립되었다. 가타리나 드렉셀과 축복받은 성사 수녀회는 1926년에 성 이그나티우스 로욜라 학교를 열었다. 이 학교는 1967년 필라델피아에 있는 현재 시설로 이전했다.[17]
- 1897년 버지니아주 포하탄 근처 벨미드 농장에 설립된 성 엠마 산업 및 농업 연구소(나중에 성 엠마 남자 군사 학교)
- 1899년 버지니아주 포하탄 근처 벨미드 농장에 설립된 성 프란시스 드 세일즈 여학교
- [https://www.spccatholicschool.org/ 조지아주 메이컨의 성 피터 클라버 가톨릭 학교]는 1913년 벤자민 키엘리 주교와 이그나티우스 리스너 신부의 도움으로 설립되었다.
- 케이트 드렉셀 산업 기숙 학교, 오리건주 펜들턴의 우마틸라 인디언 보호구역. 1847년부터 최소한 1929년까지 운영되었다.[16]
- 오클라호마주 블랙번의 오세이지 인디언 소년을 위한 세인트 존스 학교. 1888년부터 1913년까지 운영되었으며, 오세이지 네이션의 요청에 따라 설립되었다고 한다.[16]
- 노스다코타주 벨코트의 터틀 마운틴 인디언 보호구역에 있는 세인트 메리 인디언 산업 학교. 1884년부터 1910년까지 운영되었다.[16]
그녀의 이름을 따서 명명된 학교는 다음과 같다.
- 루이지애나주 브루사드의 가타리나 드렉셀 초등학교
- 세인트 클라우드와 미네소타주 소크 래피즈의 성 가타리나 드렉셀 학교
- 세인트루이스의 성 가타리나 드렉셀 학교
- 필라델피아의 성 가타리나 드렉셀 학교
- 사우스다코타주 수폴스의 성 가타리나 드렉셀 학교
- 위스콘신주 비버 댐의 성 가타리나 드렉셀 학교
- 펜실베이니아주 홀랜드의 성 가타리나 드렉셀 지역 가톨릭 학교
- 뉴올리언스의 성 가타리나 드렉셀 예비 고등학교
- 캔자스주 위치토의 성 가타리나 드렉셀 학교
- 오클라호마주 털사 가톨릭 자선 단체의 성 가타리나 드렉셀 성인 학습 센터
- 홀리 패밀리 대성당 (털사, 오클라호마)의 홀리 패밀리 학교와 홀리 패밀리 클래식 학교의 전신인 성 테레사 연구소
- 버지니아주 리치몬드 가톨릭 교구의 성 가타리나 드렉셀 예비 학교
- 피츠버그의 성 가타리나 드렉셀 학교(구 성 제르맹 학교)
- 캘리포니아주 샌디에이고의 성 가타리나 드렉셀 아카데미
- 루이지애나주 뉴 이베리아의 성 에드워드 학교
- 온타리오주 스토빌의 성 가타리나 드렉셀 가톨릭 고등학교
5. 3. 기타 시설
가타리나 드렉셀을 기리기 위한 여러 시설과 장소가 있다.| 종류 | 이름 | 위치 | 비고 |
|---|---|---|---|
| 예배당 | [https://www.kath-kirche-vorarlberg.at/dornbirn/pfarren/hatlerdorf/katharine-drexel-kapelle 카타리나 드렉셀 예배당] | 오스트리아 도른비른 | 드렉셀의 할아버지 프란시스 마틴 드렉셀의 출생지 |
| 채플 및 은퇴 센터 | 성 카타리나 드렉셀 채플 및 은퇴 센터 | 엘리노 | |
| 가톨릭 교회 | 성 카타리나 드렉셀 가톨릭 교회 | 뉴올리언스 | |
| 가톨릭 선교회 | 성 카타리나 드렉셀 가톨릭 선교회 | 노스캐롤라이나주 메이플 | |
| 가톨릭 교회 | 성 카타리나 드렉셀 가톨릭 교회 | 마텔 | |
| 여름 예배당 | 성 카타리나 드렉셀 여름 예배당 | 하프스웰 | |
| 채플 | 성 카타리나 드렉셀 채플 | 드렉셀 대학교 필라델피아 캠퍼스 | |
| 채플 | 성 카타리나 드렉셀 채플[18] | 루이지애나 자비에 대학교 캠퍼스 내 (뉴올리언스) |
또한, 다음과 같은 도로명과 지역에도 드렉셀의 이름이 사용되었다.
- 드렉셀 로드, 애리조나주 투손[19]
- 드렉셀 드라이브, 루이지애나주 뉴올리언스
- 드렉셀 스트리트, 테네시주 내슈빌
- 드렉셀 애비뉴, 위스콘신주 밀워키군 오크크릭 (드렉셀 타운 센터)
- 세속 프란치스코회의 성 카타리나 드렉셀 지역
이 외에도 사우스다코타주 체임벌린의 성 요셉 인디언 학교의 수녀원 창문은 드렉셀 가문이 기증했으며, 펜실베이니아주 필라델피아 나이츠 로드에는 카타리나 드렉셀 도서관이 있다.[20]
참조
[1]
웹사이트
Francis Anthony Drexel marries Hannah Langstroth
https://www.katharin[...]
2024-02-03
[2]
논문
Lives on the Color Line: Catholic Sisters and African Americans in Chicago, 1890s-1960s
https://www.jstor.or[...]
2004
[3]
웹사이트
The Other Drexel: Louise Drexel Morrell
https://chrc-phila.o[...]
2023-01-03
[4]
웹사이트
St. Katharine Drexel
https://www.philanth[...]
2024-02-03
[5]
웹사이트
San Francisco Call 28 May 1890 — California Digital Newspaper Collection
https://cdnc.ucr.edu[...]
2024-02-03
[6]
뉴스
Mother Katharine Drexel Devoted 65 Years of Life to God and Man
https://xula.content[...]
2023-07-31
[7]
웹사이트
XU Quick Facts
https://www.xula.edu[...]
Xavier University of Louisiana
2010-12-13
[8]
웹사이트
This Man's Ear Was Miraculously Healed, Thanks to St. Katharine Drexel
https://www.ncregist[...]
2017-03-30
[9]
웹사이트
Saint Katharine Drexel | Franciscan Media
https://www.francisc[...]
2024-02-03
[10]
웹사이트
Pope declares miracle, clears way for sainthood Girl's cure is 2nd to be attributed to Mother Drexel
https://www.deseret.[...]
2023-01-02
[11]
웹사이트
Katharine Drexel
https://www.vatican.[...]
2024-02-03
[12]
웹사이트
St. Raphael the Archangel Catholic Church, Raleigh, North Carolina
https://web.archive.[...]
2010-09-28
[13]
웹사이트
St. Katherine Drexel Parish, Cape Coral, Florida
https://web.archive.[...]
2023-09-22
[14]
웹사이트
St. Katharine Drexel Catholic Parish
https://www.stkathar[...]
2024-02-03
[15]
웹사이트
St. Joseph's Shrine of St. Katharine Drexel, Columbia, Virginia
http://www.richmondd[...]
2014-10-19
[16]
문서
Profiles
https://www.bia.gov/[...]
bia.gov
[17]
웹사이트
History
https://web.archive.[...]
2023-09-22
[18]
웹사이트
Xavier University chapel will 'create an air of beauty and mystery'
http://www.nola.com/[...]
Times Picayune
2012-08-11
[19]
웹사이트
Generous nun the namesake for Drexel Road
https://tucson.com/n[...]
2024-02-03
[20]
웹사이트
FLP – Katharine Drexel Branch
https://libwww.freel[...]
Free Library of Philadelphia
[21]
웹인용
XU Quick Facts
http://www.xula.edu/[...]
Xavier University of Louisiana
2010-12-13
[22]
웹인용
Vatican biography
http://www.vatican.v[...]
2008-03-0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