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강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강로는 조선 후기의 문신으로, 진주 강씨 출신이다. 헌종 때 문과에 급제하여 사간원 대사간을 지냈으며, 북인 계열에 속했다. 고종 때 흥선대원군의 측근으로 병조판서와 좌의정을 역임했으나, 대원군 실각 후 파직과 유배를 겪었다. 임오군란에 연루되어 유배되기도 했지만, 고종의 신임으로 판중추부사를 지냈다. 1887년 사면되었으며, 최종 관직은 판중추부사였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887년 사망 - 이반 크람스코이
    이반 크람스코이는 19세기 러시아 사실주의 화가이자 페레드비즈니키 창립 멤버로서, 예술가의 사회적 책무를 강조하며 인물 초상화, 종교화, 풍속화를 통해 인간 심리와 사회 현실을 섬세하게 묘사하여 러시아 사실주의 미술 발전에 큰 영향을 미쳤다.
  • 1887년 사망 - 시마즈 히사미쓰
    시마즈 히사미쓰는 사쓰마 번 다이묘의 아들로 메이지 유신에 영향을 미쳤으며, 사쓰마 번의 실권을 장악하고 공무합체를 추진하며 중앙 정계에 개입, 보신전쟁을 지지했으나 메이지 유신 후 신정부의 개혁 정책에는 비판적인 태도를 보였다.
  • 1809년 출생 - 찰스 다윈
    찰스 다윈은 자연 선택을 통한 진화론을 제시하여 현대 진화생물학의 기초를 세운 영국의 자연과학자이다.
  • 1809년 출생 - 펠릭스 멘델스존
    펠릭스 멘델스존은 1809년 독일에서 태어난 작곡가, 피아니스트, 지휘자이며, 낭만주의 시대를 대표하는 음악가로서 다양한 작품을 남겼고, 바흐의 음악 부활에 기여했으며, 라이프치히 음악원을 설립했다.
  • 진주 강씨 - 강만수
    강만수는 행정고시 수석 합격 후 경제 부처 요직을 거쳐 IMF 외환위기 당시 금융 제도 개편에 참여하고 이명박 정부에서 기획재정부 장관을 역임하며 '대한민국 747' 비전을 주도한 경제관료 출신 정치인이다.
  • 진주 강씨 - 강기정
    강기정은 전남대학교 총학생회장 출신으로 삼민투 위원장을 지낸 대한민국의 정치인으로, 국회의원과 문재인 정부 초대 정무수석비서관을 거쳐 현재 광주광역시장을 역임하며 지역 경제 활성화와 5·18 민주화운동 정신 계승에 힘쓰고 있다.
강로
기본 정보
제목강로
한글강로
한자姜㳣
가타카나칸・노

2. 생애

진주 강씨 가문 출신으로, 예조판서를 지낸 표암 강세황의 증손자이다. 헌종 14년(1848년) 경기도 진위현령으로 재임 중 증광문과에 급제하여 관직 생활을 시작했다. 이후 정자, 홍문관 응교 등을 거쳐 철종 때 사간원대사간을 지냈다. 붕당으로는 북인 계열에 속했기 때문에, 노론이 득세하던 세도정치 시기에는 상대적으로 관직 승진이 더뎠다.

고종 즉위 후 흥선대원군이 집권하여 남인북인 계열 인사를 중용하면서 강로도 중용되기 시작했다. 1863년 동래부사에 임명되었고, 강화도위유사를 거치며 대원군의 측근이 되었다. 이후 병조·이조 참판, 공조·병조판서 등을 역임하고 1872년에는 좌의정의 자리에 올랐다.

그러나 1873년 흥선대원군을 탄핵한 최익현의 처벌을 강하게 주장하다가, 고종의 친정 선포와 대원군의 실각으로 인해 당시 우의정이던 한계원과 함께 파직되었다. 1879년 3월 판중추부사로 복직했으나, 효휘전 참례에 불참했다는 이유로 유배를 당하기도 했다. 고종의 신임으로 다시 판중추부사가 되어 기로소에 들어갔다. 하지만 1882년 임오군란이 발생하자 난병들과 내통했다는 누명을 쓰고 1883년 5월 경상도 안의현으로 유배되었다. 이듬해인 1884년 석방되었고, 1886년 12월에는 봉조하에 임명되었으며, 1887년 사면된 후 같은 해 사망했다.

2. 1. 가계와 초기 관직 생활

진주 강씨이며, 아버지는 강이구, 할아버지는 강빈(姜儐), 증조할아버지는 예조판서를 지낸 표암 강세황이다. 붕당은 북인 계열에 속했다. 이 때문에 노론 중심의 세도정치 하에서는 관직 승진이 상대적으로 더뎠다.

헌종 14년(1848년) 경기도 진위현령으로 재임하던 중 증광문과에 급제하였다. 이후 정자, 홍문관 응교를 거쳤으며, 1851년(철종 2년)에는 정3품 당상관으로 승진하여 도승지 등을 역임하였고, 철종 때 사간원대사간을 지냈다.

2. 2. 흥선대원군 집권기

북인 계열이었던 강로는 노론 중심의 세도정치 하에서는 상대적으로 관직 승진이 더뎠다. 그러나 고종이 즉위하고 흥선대원군이 집권하여 소외되었던 남인과 북인 계열 인사를 중용하는 정책을 펴면서 강로도 중용되기 시작했다.

1863년(고종 즉위년) 동래부사에 임명되었고, 이후 강화도위유사를 거치며 대원군의 신임을 얻어 그의 측근으로 자리 잡았다. 1865년에는 종2품으로 승진했으며, 1866년 이후에는 병조이조의 참판을 역임했다. 1870년에는 정2품으로 승진하여 공조병조의 판서를 지냈고, 마침내 1872년에는 좌의정의 자리에 올랐다.

하지만 그의 정치적 전성기는 오래가지 못했다. 1873년, 면암 최익현흥선대원군의 정책을 비판하며 탄핵하는 상소를 올리자, 강로는 대원군을 옹호하며 최익현의 처벌을 강력히 주장했다. 그러나 고종이 최익현의 상소를 받아들여 친정을 선포하고 대원군이 실각하면서, 강로 역시 정권의 핵심에서 밀려나 당시 우의정이던 한계원과 함께 파직되었다.

2. 3. 대원군 실각과 이후

좌의정까지 올랐으나, 1873년 흥선대원군을 탄핵한 최익현의 처벌을 강하게 주장하였다. 그러나 같은 해 고종이 친정을 선포하며 흥선대원군이 실각하자, 당시 우의정이던 한계원과 함께 파직되었다.

1879년 3월에 다시 판중추부사로 복직하였으나, 효휘전 참례에 불참했다는 이유로 유배를 당하기도 했다. 고종의 신임을 받아 곧 풀려나 판중추부사로서 기로소에 들어갔다.

1882년 임오군란이 발생하자 흥선대원군과 연계되었다는 의심을 받아 난병들과 내통했다는 누명을 쓰고 1883년 5월 경상도 안의현으로 유배되었다. 이듬해인 1884년 석방되었고, 1886년 12월에는 봉조하에 임명되었으며, 1887년에 완전히 사면된 후 같은 해 사망하였다.

2. 4. 평가

진주 강씨 가문 출신으로, 예조판서를 지낸 강세황의 증손자이다. 헌종 때 문과에 급제하여 관직 생활을 시작했으나, 북인 계열에 속했기 때문에 노론 중심의 세도정치 하에서는 사간원 대사간 등 비교적 낮은 관직에 머물렀다.

고종 즉위 후 흥선대원군이 집권하여 남인북인 계열 인사를 중용하는 정책을 펴면서 그의 정치적 위상도 높아졌다. 강화도위유사를 거쳐 대원군의 측근으로 활동하며 병조판서를 거쳐 좌의정의 자리에까지 올랐다. 이는 당시 정치 환경의 변화 속에서 소외되었던 인물들이 새롭게 등용될 수 있었음을 보여준다.

그러나 흥선대원군을 탄핵한 최익현의 처벌을 강력히 주장하다가 고종의 친정이 시작되면서 우의정 한계원과 함께 파직되는 등 정치적 부침을 겪었다. 이후 다시 기용되어 판중추부사를 지냈으나, 효휘전 참례 불참을 이유로 유배되기도 했다.

고종의 신임을 받아 판중추부사로서 기로소에 들어가는 영예를 누리기도 했지만, 임오군란 당시 난병들과 내통했다는 의혹을 받아 다시 유배되는 시련을 겪었다. 곧 풀려나 1887년에 사면되었다. 그의 관직 생활은 세도정치 시기 소외되었던 북인 계열 인사가 흥선대원군 집권기에 중용되었다가 정치적 격변 속에서 부침을 거듭한 과정을 보여준다.

3. 붕당

붕당에서는 북인에 속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