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강의는 지식을 전달하는 교육 방법으로, 중세 시대부터 손으로 쓴 강의 노트를 통해 지식이 전파되었다. 20세기에는 강의 노트가 널리 유통되었으며, 칠판, 연습 문제, 토론 등의 활동이 포함되기도 했다. 최근에는 멀티미디어 프레젠테이션 소프트웨어와 온라인 강의, MOOC 등이 활용되고 있으며, 능동적 학습을 장려하기 위한 다양한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강의는 새로운 내용의 빠른 습득과 교실 통제에 유리하지만, 학생의 수동적인 참여를 유도하고, 일방적인 의사소통을 조장한다는 단점도 지적된다. 강의는 개론, 특수, 윤강 등으로 분류되며, 내용 및 방식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진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강의 | |
|---|---|
| 지도 | |
| 강의 정보 | |
| 정의 | 구두 발표로, 특정 주제에 대해 사람들에게 정보를 제공하거나 가르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
| 목적 | 특정 주제에 대한 정보 전달 및 교육 |
| 형태 | 구두 발표 |
| 관련 활동 | 토론, 질의응답 |
| 학문적 의미 | |
| 학위 과정 | 학사, 석사, 박사 과정에서 강의는 중요한 부분 |
| 학술 자료 | 강의는 학술 자료로도 활용됨 |
| 강의의 유형 | |
| 대면 강의 | 강사와 학생이 같은 공간에서 진행하는 강의 |
| 온라인 강의 | 인터넷을 통해 진행되는 강의 |
| 특별 강의 | 특정 주제나 초청 강사를 모셔 진행하는 강의 |
| 공개 강의 | 일반 대중을 대상으로 하는 강의 |
| 강의의 중요 요소 | |
| 강사 | 해당 분야의 지식과 경험을 갖춘 전문가 |
| 내용 | 명확하고 체계적인 정보 전달 |
| 청중 | 다양한 배경과 관심사를 가진 학습자 |
| 자료 | 시청각 자료, 프레젠테이션 등 다양한 자료 활용 |
| 기타 | |
| 관련 용어 | 강연, 세미나, 워크숍 |
| 언어 | la: lectura (읽기) |
2. 역사
강의의 역사는 중세 대학에서 교수가 원본 자료나 주석을 읽고, 학생들이 이를 받아 적는 방식에서 시작되었다.
16세기에는 '교육'을 목적으로 하는 구두 발표라는 현재와 같은 의미로 "강의"가 사용되기 시작했다. lecture영어의 어원은 "읽다"라는 뜻이다. 인쇄술의 발달과 보급으로 강의 노트가 널리 유통되기 시작했다.
독일어의 강의 ''Vorlesung''은 “낭독”이라는 뜻이다. 미국의 강의는 고전적으로 학생에게 교과서를 암송하게 하고, 정확하게 암송할 수 있는지 확인하는 것이었다. 강의는 일방적인 것이 되기 쉽기 때문에, 연습, 실습 등과 함께 상호 보완적인 조합으로 교육 효과를 높이도록 배려한다. 그러나 대한민국에서는 교육과정에서 조합하는 것이 주이며, 하나의 수업 과목에서 여러 가지 수업 방법을 조합하는 방식은 아직 보편화되어 있지 않다.
2. 1. 중세 시대
중세 대학교에서는 강사가 원본 자료를 읽고 학생들이 강의 내용을 필기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원본 자료를 읽는 방식은 원본에 대한 주석을 읽는 것으로, 그리고 더 일반적으로는 강의 노트를 읽는 것으로 발전했다. 역사의 대부분 기간 동안, 손으로 쓴 강의 노트를 통한 지식의 전파는 학문 생활의 필수적인 요소였다.2. 2. 근대
16세기에는 '교육'을 목적으로 하는 구두 발표라는 현재와 같은 의미로 "강의"가 사용되기 시작했다. lecture영어의 어원은 "읽다"라는 뜻이다. 인쇄술의 발달과 보급으로 강의 노트가 널리 유통되기 시작했다.2. 3. 현대
20세기에도 학생들이 작성하거나 학자가 강의를 위해 준비한 강의 노트가 널리 유통되는 경우가 있었다. 많은 강사들은 자신의 노트를 읽는 데 익숙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대 강의는 일반적으로 칠판에 쓰기, 연습 문제, 질문과 토론, 또는 학생 발표 등의 추가 활동을 포함한다.멀티미디어 프레젠테이션 소프트웨어(예: 마이크로소프트 파워포인트(Microsoft PowerPoint))의 사용은 강의 형식을 변화시켰다. 예를 들어, 비디오, 그래픽, 웹사이트 또는 준비된 연습 문제가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가장 일반적으로 "글머리 기호"로 구성된 개요만 제시된다. 에드워드 터프티(Edward Tufte)와 같은 비평가들은 이러한 강의 스타일이 불필요하고 산만하거나 혼란스러울 수 있는 그래픽으로 청중을 압도한다고 주장한다.[2]
일반적으로 5~15분의 짧은 부분으로 구성된 수정된 강의 형식은 이제 대규모 공개 온라인 강좌(massive open online course, MOOC) 또는 칸 아카데미(Khan Academy)와 같은 프로그램에서 비디오로 일반적으로 제공된다.[3]
3. 연구 및 평가
블라이(Blyth)는 《강의의 효용은 무엇인가?》에서 강의가 정보 전달에는 효과적이지만, 학생의 사고 증진, 태도 변화, 행동 기술 습득에는 다른 교육 방법이 더 효과적일 수 있다고 주장한다.[4] 블라이는 자료의 의미성과 즉각적인 연습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강의 중 처음 25분 동안 주의력이 감소하고, 강의가 진행될수록 필기량이 줄어든다는 연구 결과를 제시한다.[4] 짧은 휴식 후 소그룹 토론을 통해 주의력을 회복할 수 있다고 제안한다.[4]
블라이의 책에서는 강의 기법, 강의 구성, 요점 전달 방법, 필기 효과, 유인물 사용, 피드백 방법에 대해 다룬다. 책의 초기 판에는 평가 카드가 포함되어 있었는데, 강의 내 대안적 교육 방법에 대한 부분이 가장 높은 평가를 받았다.[5]
멜처(Meltzer)와 마니바난(Manivannan), 샌드리(Sandry)는 강의가 능동적인 학습을 포함할 수 있다고 주장했지만, 엘리엇(Elliot)은 사회적 태만과 평가 불안 때문에 청중 참여가 어려울 수 있다고 지적한다.[6] 청중 반응 시스템을 통해 익명 참여를 유도하는 것이 해결책이 될 수 있다.[6] 쇼우판(Shoufan)은 학습 기술을 적절히 사용하면 강의를 학습 활동으로 대체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7]
막스 베버의 《프로테스탄티즘의 윤리와 자본주의 정신》에서 소개된 독일식 강의는 독일어로 ''Vorlesung''이며, 이는 "낭독"을 의미한다. 영어의 'lecture'는 "읽다"라는 뜻에서 유래했다. 미국의 강의는 전통적으로 학생들에게 교과서 암송을 시키고 확인하는 방식이었다.
3. 1. 장점
강의는 다음과 같은 장점을 가진다.- 새로운 내용을 빠르게 습득할 수 있다.
- 교사는 교실 내에서 더 큰 통제력을 가질 수 있다.
- 강의 자료를 보완하고 명확하게 하는 매력적인 형식을 제공한다.
- 대규모 수업에서 원활한 의사소통을 가능하게 한다.[9]
- 출판되지 않았거나 구하기 어려운 자료를 전달할 수 있다.[8]
또한, 친절하고 존중하는 태도를 가진 강사는 학생들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으며, 이는 강사 자신의 학술 연구를 위한 대학원생 모집에도 도움이 될 수 있다.
3. 2. 단점
블라이는 강의가 정보를 전달하는 데 있어 다른 교육 방법만큼 효과적이지는 않지만, 학생의 사고, 태도 변화, 행동 기술을 가르치는 데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이 아니라고 결론지었다.[4] 강의는 학생들을 수동적인 역할에 놓이게 하고, 일방적인 의사소통을 조장하며, 학생들이 자료를 숙지하기 위해 상당한 수업 외 시간을 필요로 하고, 강연자가 효과적인 말하기 능력을 갖추어야 한다는 단점이 있다.[9]강의 중에는 처음 25분 동안 주의력이 감소하고, 학생들은 강의가 진행됨에 따라 점점 더 적게 필기하는 경향이 있다.[4] 짧은 휴식 후 소그룹 토론을 통해 주의력을 다소 회복할 수 있다.[4]
엘리엇(Elliot, 2005)은 사회적 태만 및 평가 불안과 같은 현상으로 인해 청중이 강의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기 어려울 수 있다고 지적한다.[6] 청중 반응 시스템을 사용하면 청중이 익명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하여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6]
강의에 대한 비판은 "대학은 교수의 강의 노트가 학생들의 강의 노트로 직행하지만, 그 어느 누구의 머리도 거치지 않는 곳이다"라는 말로 요약되기도 한다.[10] 이는 마크 트웨인에게 잘못 인용된 것이다.[10]
4. 종류
강의는 내용과 방식에 따라 다양하게 분류할 수 있다.
막스 베버의 『프로테스탄티즘의 윤리와 자본주의 정신』에서 전형적으로 소개되는 독일식 강의는 교사가 자신이 작성한 노트를 읽어주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독일어의 강의 ''''Vorlesung''''은 “낭독”이라는 뜻이다.[11] 영어의 ''''lecture''''의 어원은 “읽다”라는 뜻으로, 미국의 강의는 고전적으로 학생에게 교과서를 암송하게 하고, 정확하게 암송할 수 있는지 확인하는 것이었다. 그러나 틀린 학생은 졸다는 일이 많기 때문에 lecture는 동사로 사용될 때는 “강의하다” 외에 “꾸짖다, 잔소리하다”라는 의미도 있다.[11]
강의는 한 명의 강사가 담당하는 경우 외에도, 외부 강사에 의한 강연회나 여러 명의 교내외 강사에 의한 강연회도 있다. 강의는 일방적인 것이 되기 쉽기 때문에, 연습, 실습 등과 함께 상호 보완적인 조합으로 교육 효과를 높이도록 배려한다. 그러나 대한민국에서는 커리큘럼에서 조합하는 것이 주이며, 하나의 수업 과목에서 여러 가지 수업 방법을 조합하는 방식(주에 강의 한 시간 연습 한 시간으로 하는 등)은 아직 보편화되어 있지 않다.
대학교 강좌들은 학생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더욱 증진시키는 수단으로 소규모 토론, 튜토리얼, 또는 실험실 실습을 강의와 병행하기도 한다. 종종 이러한 보충 수업들은 상급 교수진이 아닌 대학원생, 튜터, 조교, 또는 강사가 이끌어 간다. 다른 학문적 교육 방식으로는 대화(조교가 진행하는 경우 복습), 세미나, 워크숍, 관찰, 실제 적용, 사례 연구, 경험적 학습/능동적 학습, 컴퓨터 기반 교육 및 튜토리얼이 있다.
학교에서는 학생과 교사의 상호 작용의 일반적인 방식이 수업이다. 19세기 중반 영연방과 미국 전역에서 통용되었던 “거실 강연”은 부유하고 사회적으로 영향력 있는 가정의 거실에서 주로 열린 사적인 강연에 저명한 연사를 초청하는 관습을 가리켰다.[11]
4. 1. 내용에 따른 분류
; 개론 강의: 해당 강의 과목의 일반적인 개요를 설명하는 것.
; 특수 강의
: 학기마다 강사가 특수한 주제를 정하여 설명하는 것.
; 릴레이 강의
: 하나의 주제에 대해 여러 강사가 각자 전문 분야의 관점에서 설명하는 것.
4. 2. 방식에 따른 분류
전통적인 강의는 교수가 강의 노트를 읽거나 칠판에 판서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졌다. 이러한 방식은 중세 대학교에서 강사가 원본 자료를 읽고 학생들이 필기하는 형태에서 발전한 것이다.[2]멀티미디어 프레젠테이션 소프트웨어(예: 마이크로소프트 파워포인트(Microsoft PowerPoint))의 사용은 강의 형식을 변화시켰다. 비디오, 그래픽, 웹사이트 등을 활용하여 강의를 진행할 수 있게 되었지만, 일반적으로는 글머리 기호로 구성된 개요만 제시되는 경우가 많다. 에드워드 터프티(Edward Tufte)와 같은 비평가들은 이러한 스타일이 청중을 압도하는 불필요하고 산만한 그래픽을 사용한다고 비판하기도 한다.[2]
최근에는 대규모 공개 온라인 강좌(massive open online course, MOOC)나 칸 아카데미(Khan Academy)와 같은 프로그램을 통해 짧은 수정된 강의 형식의 비디오가 제공되고 있다.[3]
플립 러닝(거꾸로 교실)은 수업 전에 학생들이 온라인 강의 등으로 학습하고, 수업 시간에는 토론, 질의응답, 문제 해결 등 상호작용적인 활동을 하는 방식이다.
5. 기타
"거실 강연"은 19세기 중반 영연방과 미국에서 유행하던 형태로, 부유하고 사회적으로 영향력 있는 가정의 거실에 저명한 연사를 초청하여 진행하는 사적인 강연이었다.[11]

5. 1. 대한민국 교육에서의 강의
대한민국에서는 커리큘럼에서 이론 강의와 연습, 실습 등을 조합하는 방식이 주를 이룬다. 하나의 수업 과목에서 여러 가지 수업 방법을 조합하는 방식(주에 강의 한 시간, 연습 한 시간으로 하는 등)은 아직 보편화되어 있지 않다.[11] 대학교 강의에서는 튜토리얼, 세미나, 워크숍 등 소규모 토론 및 실습을 병행하여 학생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하기도 한다.참조
[1]
웹사이트
Grey Literature - GreySource, A Selection of Web-based Resources in Grey Literature
https://web.archive.[...]
2016-05-02
[2]
서적
Tufte, 2006
[3]
웹사이트
What we're learning from online education
http://www.ted.com/t[...]
2012-06-00
[4]
논문
Natural Learning in Higher Education
https://web.archive.[...]
2014-09-16
[5]
서적
What's the use of lectures?
https://books.google[...]
Intellect Books
[6]
논문
Academic integrity: a quantitative study of confidence and understanding in students at the start of their higher education
[7]
논문
Lecture-Free Classroom: Fully Active Learning on Moodle
[8]
웹사이트
Advantages & Disadvantages of Lecturing
http://www.southalab[...]
South Alabama University
2015-03-04
[9]
웹사이트
Lecturing: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of the Traditional Lecture Method
http://www.cirtl.net[...]
CIRTL Network
2014-03-11
[10]
웹사이트
The Professor's Lecture Notes Go Straight to the Students' Lecture Notes
http://quoteinvestig[...]
2012-08-17
[11]
웹사이트
Gaskell's Compendium
http://people.virgin[...]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