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제노동 폐지 협약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강제노동 폐지 협약은 정치적 강압, 경제 개발 목적의 노동력 동원, 노동 교화, 파업 처벌, 차별 수단으로서의 강제노동을 금지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대한민국은 국가보안법 등 국내 법률과의 충돌을 이유로 이 협약을 비준하지 않았으며, 일본은 2022년에 비준하여 2023년에 발효되었다. 2022년 10월 기준, 187개 ILO 회원국 중 178개국이 이 협약을 비준했으며, 중국도 비준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57년 6월 - 제7회 베를린 국제 영화제
1957년 개최된 제7회 베를린 국제 영화제에서는 제이 카모디가 주요 경쟁 부문 심사위원장을 맡았고, 시드니 루멧 감독의 《12인의 성난 사람들》이 황금곰상을 수상했으며, 다큐멘터리 및 단편 영화 경쟁 부문도 진행되었다. - 1957년 체결된 조약 - 로마 조약
로마 조약은 1957년 유럽 경제 공동체와 유럽 원자력 공동체를 설립하고 유럽 통합을 심화시키기 위해 체결되었으며, 현재는 유럽 연합의 기능에 관한 조약으로 개명되었다. - 1957년 체결된 조약 - 국가 간 위험물질의 수송에 관한 유럽 협약
국가 간 위험물질의 수송에 관한 유럽 협약(ADR)은 도로를 통한 위험 물질의 안전 운송을 위한 유럽 협약으로, 사고 예방과 인명 및 환경 영향 최소화를 목표로 하며, 위험 물질 분류, 취급, 포장, 라벨, 운송 차량 및 승무원 자격 요건 등 구체적인 운송 조건을 규정하고, 유럽 주요 터널 분류와 픽토그램을 포함하여 국제적 기준을 제시한다.
강제노동 폐지 협약 | |
---|---|
조약 정보 | |
이름 | 강제 노동 폐지 협약 |
원래 이름 | Convention concerning the Abolition of Forced Labour |
![]() | |
서명일 | 1957년 6월 25일 |
서명 장소 | 제네바 |
효력 발생일 | 1959년 1월 17일 |
효력 발생 조건 | 2개국 비준 |
당사국 수 | 176 |
기탁자 | 국제 노동 사무국장 |
언어 | 프랑스어, 영어 |
위키소스 | 해당 위키소스 페이지 |
외무성 링크 | 본문 |
2. 주요 내용
강제노동 폐지 협약(제105호)은 다음 형태의 강제노동을 금지한다.[1]
2. 1. 금지되는 강제노동의 형태
다음 형태의 노동이 강제노동으로 금지된다.- 정치적 강압, 교화 및 정치적 견해나 기존의 정치·사회·경제 체제에 이념적으로 반대되는 견해를 갖거나 표명하는 것에 대한 처벌로서의 노역
- 경제 개발을 목적으로 노동력을 동원하고 이용하는 것
- 노동 교화의 수단
- 파업에 참여한 것에 대한 처벌 수단으로서의 노역
- 인종, 사회적, 국적이나 종교적 차별의 수단으로서의 노역
3. 대한민국의 강제노동폐지협약 미비준
대한민국은 국제노동기구(ILO) 핵심협약 비준을 추진하면서도 강제노동 폐지 협약(제105호)은 비준하지 않았다. 일본과 중국도 이 협약을 비준하지 않았으나, 중국은 2022년 비준하였다.[4][3]
한국은 2021년에 결사의 자유 및 단결권 보호에 관한 협약 (제87호)와 (제98호) 및 강제노동에 관한 협약 (제29호)을 비준했지만, 강제노동 폐지 협약(제105호)은 국가보안법이나 형법 등에 저촉될 수 있어 비준을 유보하고 있다.[5]
2021년 기준으로, 8개의 기본 협약을 모두 비준한 국가는 ILO 187개 회원국 중 146개국, 경제 협력 개발 기구(OECD) 36개 회원국 중 32개국으로, 한국은 여전히 국제 기준을 충족하지 못하고 있다는 평가를 받는다.[5] 다만, 일본 및 미국은 고용 및 직업에 관한 차별 대우에 관한 협약 (111호)을 비준하지 않았다.[6]
3. 1. 미비준 사유
대한민국 정부는 국제노동기구 핵심협약 비준을 추진하면서 이 협약은 비준 대상에서 제외하였다. 국가보안법이나 집회 및 시위에 관한 법률에서 징역형을 부과하는 것이 정치적 견해에 따른 처벌로서의 강제노역 금지 원칙에 배치된다는 점에서 형벌체계와 부합하지 않는다는 것을 비준 제외 사유로 삼았다.[21]3. 2. 더불어민주당 정부의 입장
문재인 정부는 국제노동기구 핵심협약 비준을 추진했지만, 강제노동 폐지 협약은 비준 대상에서 제외하였다. 이는 국가보안법이나 집회 및 시위에 관한 법률에서 징역형을 부과하는 것이 정치적 견해에 따른 처벌로서의 강제노역 금지 원칙에 배치된다는 점에서 형벌체계와 부합하지 않는다는 이유였다.[21]4. 일본의 강제노동폐지협약 비준
일본은 2022년 7월 19일에 강제노동 폐지 협약(제105호)을 비준했으며,[7] 이 협약은 2023년 7월 19일에 일본에 대해 발효되었다.
4. 1. 비준까지의 경위
1957년 6월 25일에 채택되어 1959년 1월 17일 발효된 강제노동 폐지에 관한 협약(제105호)은 채택 후 60년 이상 지났음에도 일본은 비준하지 않았다. 일본은 1932년 11월 21일에 1930년 강제노동 협약(제29호)은 비준했지만, 제105호 협약은 비준하지 않은 것이다.[8]일본 정부는 이시바시 미치히로 의원과 정보노련의 질의에 대한 답변에서 미비준 이유를 밝혔다. 일본 정부는 "ILO 105호 조약"에서 정치적 견해 발표 등에 대한 제재, 노동 규율의 수단, 동맹 파업 참가에 대한 제재 등으로 강제 노동을 금지하고 있는데, 일본은 국가공무원 및 지방공무원의 쟁의 행위 공모, 선동 및 교사, 국가공무원에 의한 일정 정치적 행위, 일정 업무 종사자의 노동 규율 위반 등에 대한 형벌로서 징역형이 마련되어 있어 협약 내용과 충돌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9]
4. 2. 국내법 정비
2021년 5월 31일, 자유민주당, 입헌민주당, 공명당, 일본유신회, 국민민주당 등은 의원입법으로 강제노동 폐지 협약 비준을 위한 '관계 법률 정비에 관한 법률안'을 중의원에 제출하였다.[10] 이 법률안은 쟁의 행위 등에 대한 처벌 규정을 징역형에서 금고형으로 개정하는 내용을 담고 있었다.6월 3일 중의원과 6월 9일 참의원에서 해당 법률안이 가결되어 성립되었다. 일본공산당은 처벌 규정 자체를 폐지해야 한다며 반대[11]했지만, 다수결로 가결되었다. 이처럼 협약 체결을 위한 국내법 개정이 의원입법으로 이루어진 것은 이례적인 일이다. 해당 법률은 2021년 6월 16일에 레이와 3년 법률 제75호로 공포되었으며, 7월 6일에 시행되었다.
4. 3. 국회 승인 및 발효
일본은 2022년 7월 19일에 강제노동 폐지 협약을 비준했고,[7] 2023년 7월 19일에 일본에 대해 발효되었다.2022년 3월 8일, 일본 국무회의는 "강제 노동 폐지 협약(제105호)의 체결에 관하여 국회의 승인을 요구하는 건"을 의결하고,[12] 같은 날 중의원에 제출하였다.[13] 외무성은 협약 설명서에서 국내법 개정이 "필요하지 않다"[14]고 밝혔다. 이는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필요한 법 개정이 이미 이루어졌기 때문이다.
협약 승인 안건은 2022년 5월 12일 중의원[13]에서, 2022년 6월 8일 참의원[15]에서 모두 만장일치로 가결되었다.
국회 승인을 받아 2022년 7월 12일 국무회의에서 "강제 노동 폐지 협약(제105호)의 비준에 관하여" 및 강제 노동 폐지 협약(제105호)의 공포가 결정되었고,[16] 비준서는 2022년 7월 19일 국제노동사무국장에게 제출되었다. 이로 인해 협약 제4조 3항의 규정에 따라 12개월 후인 2023년 7월 19일에 일본에 대해 발효된다.[17] 또한 국내적으로는 2022년 7월 21일 관보 호외 제157호에 의해 레이와 4년 조약 제9호로 공포되었다.
4. 4. 형법 개정과의 정합성 문제
강제노동 폐지 협약(제105호) 비준과 함께 구금형을 신설하는 형법 개정안이 성립되었다. 새로운 구금형은 수형자에게 개선 및 갱생을 위해 필요한 작업을 부과하거나 지도를 할 수 있도록 규정하고 있다.[18] 징역형에서 금고형으로 변경된 규정 역시 모두 구금형으로 개정되어, 협약 위반 가능성이 제기되었다.이에 대해 국회 심의 과정에서 일본 정부는 "형사 시설의 장은 수형자에 대하여 개선 갱생 및 원활한 사회 복귀를 도모하기 위해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경우에는 작업을 하게 한다. 다만, 작업을 하게 하는 것이 상당하지 않다고 인정될 때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라는 형사 수용 시설법 개정 규정을 근거로, 상당성을 결여하는 경우 수형자에게 작업을 부과하지 않도록 조치하여 협약상 의무를 이행할 것이라고 밝혔다.[19] 즉, 수형자 본인의 의사에 반하여 작업을 부과하지 않으며, 이러한 취지를 법무성이 각 형사 시설의 장에게 통달하여 협약 위반을 방지할 것이라는 설명이었다.
5. 기타 국가들의 비준 현황
, ILO 회원국 187개국 중 178개국이 강제노동 폐지 협약(제105호)을 비준하였다.[2]
국가 | 날짜 |
---|---|
아프가니스탄 | 1963년 5월 16일 |
알바니아 | 1997년 2월 27일 |
알제리 | 1969년 6월 12일 |
앙골라 | 1976년 6월 4일 |
앤티가 바부다 | 1983년 2월 2일 |
아르헨티나 | 1960년 1월 18일 |
아르메니아 | 2004년 12월 17일 |
오스트레일리아 | 1960년 6월 7일 |
오스트리아 | 1958년 3월 5일 |
아제르바이잔 | 2000년 8월 9일 |
바하마 | 1976년 5월 25일 |
바레인 | 1998년 7월 14일 |
방글라데시 | 1972년 6월 22일 |
바베이도스 | 1967년 5월 8일 |
벨라루스 | 1995년 9월 25일 |
벨기에 | 1961년 1월 23일 |
벨리즈 | 1983년 12월 15일 |
베냉 | 1961년 5월 22일 |
볼리비아 | 1990년 6월 11일 |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 2000년 11월 15일 |
보츠와나 | 1997년 6월 5일 |
브라질 | 1965년 6월 18일 |
부르키나파소 | 1997년 8월 25일 |
부룬디 | 1963년 3월 11일 |
카보베르데 | 1979년 4월 3일 |
캄보디아 | 1999년 8월 23일 |
카메룬 | 1962년 9월 3일 |
캐나다 | 1959년 7월 14일 |
차드 | 1961년 6월 8일 |
칠레 | 1999년 2월 1일 |
중국 | 2022년 8월 12일 |
콜롬비아 | 1963년 6월 7일 |
코모로 | 1978년 10월 23일 |
콩고 공화국 | 1999년 11월 26일 |
쿡 제도 | 2015년 6월 12일 |
코스타리카 | 1959년 5월 4일 |
크로아티아 | 1997년 3월 5일 |
쿠바 | 1958년 6월 2일 |
키프로스 | 1960년 9월 23일 |
체코 | 1996년 8월 6일 |
코트디부아르 | 1961년 5월 5일 |
콩고 민주 공화국 | 2001년 6월 20일 |
덴마크 | 1958년 1월 17일 |
지부티 | 1978년 8월 3일 |
도미니카 연방 | 1983년 2월 28일 |
도미니카 공화국 | 1958년 6월 23일 |
에콰도르 | 1962년 2월 5일 |
이집트 | 1958년 10월 23일 |
엘살바도르 | 1958년 11월 18일 |
적도 기니 | 2001년 8월 13일 |
에리트레아 | 2000년 2월 22일 |
에스토니아 | 1996년 2월 7일 |
에스와티니 | 1979년 2월 28일 |
에티오피아 | 1999년 3월 24일 |
피지 | 1974년 4월 19일 |
핀란드 | 1960년 5월 27일 |
프랑스 | 1969년 12월 18일 |
가봉 | 1961년 5월 29일 |
감비아 | 2000년 9월 4일 |
조지아 | 1996년 9월 23일 |
독일 | 1959년 6월 22일 |
그리스 | 1962년 3월 30일 |
그레나다 | 1979년 7월 9일 |
과테말라 | 1959년 12월 9일 |
기니 | 1961년 7월 11일 |
기니비사우 | 1977년 2월 21일 |
가이아나 | 1966년 6월 8일 |
아이티 | 1958년 3월 4일 |
온두라스 | 1958년 8월 4일 |
헝가리 | 1994년 1월 4일 |
아이슬란드 | 1960년 11월 29일 |
인도 | 2000년 5월 18일 |
인도네시아 | 1999년 6월 7일 |
이란 | 1959년 4월 13일 |
이라크 | 1959년 6월 15일 |
아일랜드 | 1958년 6월 11일 |
이스라엘 | 1958년 4월 10일 |
이탈리아 | 1968년 3월 15일 |
자메이카 | 1962년 12월 26일 |
일본 | 2022년 7월 19일 |
요르단 | 1958년 3월 31일 |
카자흐스탄 | 2001년 5월 18일 |
케냐 | 1964년 1월 13일 |
키리바시 | 2000년 2월 3일 |
쿠웨이트 | 1961년 9월 21일 |
라트비아 | 1992년 1월 27일 |
레바논 | 1977년 6월 1일 |
레소토 | 2001년 6월 14일 |
라이베리아 | 1962년 5월 25일 |
리비아 | 1961년 6월 13일 |
리투아니아 | 1994년 9월 26일 |
룩셈부르크 | 1964년 7월 24일 |
마다가스카르 | 2007년 6월 6일 |
말라위 | 1999년 11월 19일 |
몰디브 | 2013년 1월 4일 |
말리 | 1962년 5월 28일 |
몰타 | 1965년 1월 4일 |
모리타니 | 1997년 4월 3일 |
모리셔스 | 1969년 12월 2일 |
멕시코 | 1959년 6월 1일 |
몽골 | 2005년 3월 15일 |
몬테네그로 | 2006년 6월 3일 |
모로코 | 1966년 12월 1일 |
모잠비크 | 1977년 6월 6일 |
나미비아 | 2000년 11월 15일 |
네팔 | 2007년 8월 30일 |
네덜란드 | 1959년 2월 18일 |
뉴질랜드 | 1968년 6월 14일 |
니카라과 | 1967년 10월 31일 |
니제르 | 1962년 3월 23일 |
북마케도니아 | 2003년 7월 15일 |
노르웨이 | 1958년 4월 14일 |
오만 | 2005년 7월 21일 |
파키스탄 | 1960년 2월 15일 |
파나마 | 1966년 5월 16일 |
파푸아뉴기니 | 1976년 5월 1일 |
파라과이 | 1968년 5월 16일 |
페루 | 1960년 12월 6일 |
필리핀 | 1960년 11월 17일 |
포르투갈 | 1959년 11월 23일 |
카타르 | 2007년 2월 2일 |
몰도바 | 1993년 3월 10일 |
루마니아 | 1998년 8월 3일 |
러시아 | 1998년 7월 2일 |
르완다 | 1962년 9월 18일 |
세인트키츠 네비스 | 2000년 10월 12일 |
세인트루시아 | 1980년 5월 14일 |
5. 1. 미비준 국가
ILO 회원국 187개국 중 178개국이 강제노동 폐지 협약을 비준하였다.[2] 브루나이, 동티모르, 라오스, 마셜 제도, 미얀마, 팔라우, 대한민국, 통가, 투발루 등 9개국은 비준하지 않았다.[2] 말레이시아와 싱가포르는 이 협약을 비준했다가 이후 탈퇴했다.[1]대한민국은 2021년에 결사의 자유 및 단결권 보호에 관한 협약 (제87호)와 (제98호) 및 강제노동에 관한 협약 (제29호)을 비준했지만, 강제노동 폐지 협약(제105호)은 정치적 견해 표명이나 파업을 제재하기 위해 강제노동을 강요하는 것을 금지하는 내용이 국가보안법이나 형법 등에 저촉될 수 있어 비준을 유보하고 있다. 한국은 분단 국가이므로 추가적인 검토가 필요하다는 입장이다.[5]
국제노동기구(ILO) 187개 회원국 중 146개국, OECD 36개 회원국 중 32개국이 8개의 기본 협약을 모두 비준한 것을 감안하면, 한국은 여전히 국제 기준을 충족하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이 있다.[5]
5. 2. 비준 철회 국가
국제 노동 기구 협약 중 하나인 강제노동 폐지 협약을 비준했다가 철회한 국가는 말레이시아와 싱가포르이다.[1]5. 3. 유엔 비회원국
ILO 회원국이 아닌 유엔 회원국은 안도라, 부탄, 리히텐슈타인, 미크로네시아 연방, 모나코, 나우루,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7개국이다.[2] 이들 국가는 ILO에 먼저 가입해야 협약을 비준할 수 있다.참조
[1]
웹사이트
Ratifications of C105 – Abolition of Forced Labour Convention, 1957 (No. 105)
http://www.ilo.org/d[...]
International Labour Organization
2013-04-26
[2]
웹사이트
Members who have not ratified
http://www.ilo.org/d[...]
[3]
Default
Ratifications of C105 - Abolition of Forced Labour Convention, 1957 (No. 105)
https://www.ilo.org/[...]
[4]
웹사이트
中国の全人代常務委、「強制労働廃止条約」の批准を承認
https://www.jetro.go[...]
2022-04-22
[5]
웹사이트
韓国政府 ILO基本条約3つを批准 8つの条約のうち7つ批准完了
https://world.kbs.co[...]
2021-04-21
[6]
Default
Ratifications of C111 - Discrimination (Employment and Occupation) Convention, 1958 (No. 111)
https://www.ilo.org/[...]
[7]
웹사이트
「強制労働の廃止に関する条約(第百五号)」の批准書の寄託
https://www.mofa.go.[...]
2022-08-07
[8]
웹사이트
1930年の強制労働条約(第29号)
https://www.ilo.org/[...]
[9]
웹사이트
第200回国会(臨時会)答弁書 内閣参質二〇〇第一四号 令和元年十月十八日
https://www.sangiin.[...]
2019-10-18
[10]
웹사이트
衆法 第204回国会 23 強制労働の廃止に関する条約(第百五号)の締結のための関係法律の整備に関する法律案
https://www.shugiin.[...]
[11]
웹사이트
ILO条約法案を可決 宮本氏が批判 違憲状態容認
https://www.jcp.or.j[...]
[12]
웹사이트
令和4年3月8日(火)定例閣議案件首相官邸HP
https://www.kantei.g[...]
[13]
웹사이트
衆議院 条約 第208回国会 5 強制労働の廃止に関する条約(第百五号)の締結について承認を求めるの件
https://www.shugiin.[...]
[14]
웹사이트
強制労働の廃止に関する条約(第百五号)のの説明書
https://www.mofa.go.[...]
2021-02-24
[15]
웹사이트
第208回国会2022年6月8日投票結果
https://www.sangiin.[...]
2022-06-08
[16]
웹사이트
令和4年7月12日(火)定例閣議案件首相官邸HP
https://www.kantei.g[...]
[17]
문서
令和4年外務省告示第265号
[18]
문서
改正後の刑法第12条第3項
[19]
웹사이트
第208回国会 外務委員会 第12号(令和4年5月11日(水曜日))第12号
https://www.shugiin.[...]
[20]
웹인용
Ratifications of C105 - Abolition of Forced Labour Convention, 1957 (No. 105)
https://www.ilo.org/[...]
2020-11-20
[21]
뉴스
ILO 핵심협약 비준, 정부는 왜 조항 하나는 제외했나
https://www.nocutnew[...]
2019-05-2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