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철군화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강철군화는 1908년 조지 플랫 브렛 1세에 의해 출판된 잭 런던의 소설이다. 이 소설은 약 700년 후 발견된 "애버하드 원고"를 바탕으로, 과두 정치 체제 하에서 사회주의 혁명을 시도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소설은 1912년부터 1932년까지 미국에서 과두정치가 등장하는 과정을 그리고, 1, 2차 봉기의 실패와 저항을 묘사한다. 주인공 에이비스 에버하드는 혁명주의자인 어니스트 에버하드와 결혼하여 지하 레지스탕스 운동을 펼치지만, 결국 혁명은 실패로 끝난다. 강철군화는 디스토피아적 미래 사회를 묘사하며, 조지 오웰의 1984와 같은 후대 소설에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08년 소설 - 은세계
《은세계》는 이해조가 1908년에 발표한 신소설로, 부패한 관리로 인해 몰락한 농부의 자녀들이 의병 활동에 참여하는 이야기이며, 조선 말기 사회 비판과 일제 식민 지배 정당화라는 상반된 주제 의식을 나타내고 당대 현실을 반영했다는 문학적 의의를 가진다. - 1908년 소설 - 빨간 머리 앤
《빨간 머리 앤》은 고아 소녀 앤 셜리가 프린스 에드워드 아일랜드에서 커스버트 남매와 함께 성장하며 겪는 일들을 그린 루시 모드 몽고메리의 소설이다. - 노르드 신화를 바탕으로 한 작품 - 니벨룽의 반지
《니벨룽의 반지》는 리하르트 바그너가 작곡한 4개의 오페라로 구성된 대규모 음악극으로, 라인강의 황금으로 만들어진 마법의 반지를 둘러싸고 신, 영웅, 신화적 존재들이 벌이는 투쟁을 웅장하게 묘사하며, 독일과 스칸디나비아 신화와 민담을 바탕으로 인물들의 운명, 욕망, 권력 투쟁을 탐구한다. - 노르드 신화를 바탕으로 한 작품 - 바이킹 메탈
바이킹 메탈은 바이킹 시대의 역사, 문화, 신화에서 영감을 받아 형성된 헤비 메탈의 하위 장르로, 바이킹 관련 테마와 이미지를 활용하는 특징을 가진다. - 미국 사회당 - 미국 사회민주당
미국 사회민주당은 유진 V. 데브스를 중심으로 1897년에 결성되어 정치 조직을 통해 사회주의를 실현하려 했으나, 식민지 건설 시도에 대한 반발로 분열되었다. - 미국 사회당 - 라인홀드 니버
라인홀트 니버는 미국의 개신교 신학자이자 정치 철학자로, 사회복음주의 비판과 기독교 현실주의 운동을 통해 미국 사회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노동자 권익 옹호와 유니언 신학교 교수 활동, 그리고 《도덕적 인간과 비도덕적 사회》, 〈평온을 비는 기도〉 등으로 알려져 있다.
강철군화 - [서적]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저자 | 잭 런던 |
국가 | 미국 |
언어 | 영어 |
장르 | 디스토피아 소설 |
출판일 | 1908년 2월 19일 |
출판사 | 맥밀런 |
페이지 수 | 354 |
ISBN | 0-00-255585-9 |
2. 집필 배경 및 출판
조지 플랫 브렛 1세는 1908년에 잭 런던의 소설 《강철군화》를 출판하면서, 출판 전에 명예 훼손으로 간주될 수 있는 각주를 삭제할 것을 제안했다. 이 책은 하드커버로 5만 부가 판매되었으나, 비평가들로부터는 대체로 찬사를 받지 못했다. 『아웃룩』의 한 평론가는 "소설로서 추천할 만한 점이 거의 없고, 사회주의 논문으로서도 설득력이 떨어진다"라고 평가했다.
2. 1. 작가 잭 런던
잭 런던은 사회주의자로, 그의 사상과 경험은 소설 《강철군화》에 깊이 반영되어 있다. 런던은 작품 속에서 당시 미국의 사회적 불평등과 자본주의의 문제점을 비판하며, 사회주의 혁명의 가능성을 제시한다.[1]소설의 배경이 되는 주요 사건들은 잭 런던이 소설을 쓰기 전 실제로 일어났던 일들이다. 런던은 이러한 역사적 사건들을 소설 속에 배치하여 자신의 사회주의적 관점을 드러내고, 작품의 현실성을 높였다.[1]
연도 | 사건 내용 |
---|---|
1902년 | 사회당이 12,713표를 획득했다.[1] |
1902년 | 윌리엄 제임스 겐트의 "우리의 자비로운 봉건제"가 풍자 목적으로 쓰여졌음에도 과두제의 여러 아이디어로 이용되었다.[1] |
1902년 | 무연탄 트러스트의 회장 조지 프레드릭 베어가 "자본가의 신성한 권리"를 선언했다.[1] |
1902년 | 영국 거래소의 보고서에서 철도 트러스트가 입법계를 완전히 지배했다고 선언했다.[1] |
1903년 | 정부가 건강한 모든 남성을 시민군으로 징병할 수 있는 민병대법이 미국 의회를 통과했다.[1] |
1903년 7월 | 혁명가인 E. 언터맨이 "민병대법"을 설명하는 팜플렛을 발간했다.[1] |
1904년 | 사회당이 435,040표를 획득했다.[1] |
1905년 | 하버드 대학교 졸업식에서 시어도어 루스벨트가 변호사가 부자가 법을 회피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방법에 대해 연설했다.[1] |
1905년 5월 21일 | 이탈리아, 오스트리아, 헝가리 사회당이 총파업을 위협하여 전쟁을 막았다.[1] |
1905년 | 독일과 프랑스 사회당이 총파업을 위협하여 모로코 사건을 통한 전쟁을 막았다.[1] |
1905년 | 펜실베이니아주의 아동노동법이 "연령을 이유로 차별한다"라는 이유로 위헌 판결을 받았다. 뉴욕주의 제빵사들에 대한 개점시간 제한법이 "사업의 자유를 방해한다"라는 이유로 위헌 판결을 받았다.[1] |
1906년 4월 18일 | 샌프란시스코 대지진이 일어났다.[1] |
1906년 | 로버트 헌터가 빈곤 속에 사는 10만명의 미국인에 대해 묘사한 "빈곤"이라는 책을 출간했다.[1] |
1906년 | 제임스 펠리가 이끄는 파업파괴자 군이 뉴욕에서 샌프란시스코까지 와서 노면 전차 파업을 파괴했다.[1] |
1906년 | 존 러벅이 만약 프롤레타리아에 대한 빈곤이 완화되지 않을 경우 사회주의 혁명이 일어날 것이라고 말했다.[1] |
1906년 가을 | 캘리포니아 주지사에 사회주의자인 어거스틴 루이스가 임기를 시작했다.[1] |
1908년 | 사회당이 1,108,427표를 획득했다.[1] |
2. 2. 출판 과정
조지 플랫 브렛 1세는 1908년에 『강철 군화』를 출판하면서, 출판 전에 명예 훼손으로 간주될 수 있는 각주를 삭제할 것을 제안했다. 하드커버로 5만 부가 판매되었으나, 비평가들로부터는 대체로 찬사를 받지 못했다. 『아웃룩』의 한 평론가는 "소설로서 추천할 만한 점이 거의 없고, 사회주의 논문으로서도 설득력이 떨어진다"라고 평가했다.3. 등장인물
어니스트 에버하드와 그의 아내 아비스, 아비스의 아버지 존 커닝햄, 모어하우스 주교 등이 주요 등장인물이다.
- '''아비스 에버하드''': 어니스트 에버하드의 아내. 결혼 전 이름은 애이비스 커닝헴이다. 부유한 가정 출신이나 잭슨이라는 장애인 노동자의 사건을 조사하면서 사회 부조리에 눈을 뜨고 사회주의 운동에 헌신하게 된다.[6]
- '''어니스트 에버하드''': 아비스의 남편이자 저명한 사회주의 혁명가. 강철군화에 맞서 노동자 계급의 봉기를 이끌었다.
- '''존 커닝햄''': John Cunningham영어은 애이비스 에버하드의 아버지이자 저명한 물리학자였다. 초기에는 딸의 사회주의적 견해에 동의하지 않았으나, "경제와 교육"이라는 논란이 되는 책을 발간하고 대학에서 퇴출당했다.[6]
- '''모어하우스 주교''': 어니스트 에버하드의 주장에 감화되어 사회 정의를 외치지만, "정신이상"으로 간주되어 정신병원에 갇히는 비극적인 인물이다.[16]
3. 1. 아비스 에버하드
어니스트 에버하드의 아내로, 결혼 전 이름은 애이비스 커닝헴이다. 1912년 어니스트와 결혼했다.[6] 부유한 가정에서 자랐으나, 잭슨이라는 장애인 노동자의 사건을 조사하면서 사회의 부조리에 눈을 뜨고 사회주의 운동에 헌신하게 된다.[6]1912년, 애이비스의 아버지 존 커닝헴은 "경제와 교육"이라는 책을 발간하여 대학에서 퇴출당하고, 강철군화로 인해 재산과 직업을 모두 잃게 된다. 이후 애이비스는 남편 어니스트, 아버지와 함께 펠 가의 슬럼가로 이사한다.[6] 같은 해 늦여름, 애이비스는 사라졌던 모어하우스 주교를 발견한다.[6]
1913년 가을, 애이비스는 감옥에서 출소하여 샌프란시스코로 돌아온 후, 혁명가들의 피난처 중 하나인 글렌 엘렌으로 거처를 옮긴다.[6]
3. 2. 어니스트 에버하드
어니스트 에버하드는 아비스의 남편이자 저명한 사회주의 혁명가였다. 그는 강철군화에 맞서 노동자 계급의 봉기를 이끌었으며, 뛰어난 지성과 통찰력을 지닌 인물로 그려진다.- 1912년 2월 – 애이비스 커닝헴과 그의 아버지인 존 커닝헴, 모어하우스 주교를 처음으로 만났다.[6]
- 1912년 – 애이비스와 결혼한다.[6]
- 1912년 화요일 – 필라델피아 클럽에서 세계 사회주의 운동가 2500만 명, 빈곤 속에 살아가는 미국인 1500만 명, 어린이 노동자 300만 명을 언급하면서 사회주의의 힘을 추측했다. 미래의 과두제 독재자 윅슨은 나중에 사회주의를 막기 위해 어떤 수단이라도 사용하면서 힘을 가질 것이라고 말했다.[6]
- 1912년 봄 – "기계 파괴자"들 간의 저녁 식사에서 "강철군화"라는 말을 처음으로 사용했다.[6]
- 1912년 – 강철군화로 인해 애이비스 에버하드, 존 커닝헴과 함께 재산과 직업을 모두 뺏기고 펠 가의 슬럼가로 이사했다.[6]
- 1912년 – 저서 "이념과 혁명"을 출간했다.[6]
- 1913년 – 독일과 미국 사이의 전쟁이 끝난 후 독일, 이탈리아, 프랑스, 호주, 뉴질랜드의 정부가 무너지고 협동조합경제 체제의 사회주의 정부가 들어서는 것을 예측했다.[6]
- 1913년 – 강철군화를 막기 위한 "전투 단체"를 만들었다.[6]
- 1913년 – 교도소 수감자 페르바이스의 함정에 빠져, 의회에서 실업 구제 법안에 대해 연설하던 중 폭탄 테러범으로 몰려 사회당 의원 전원과 함께 체포되어 앨커트래즈섬의 감옥으로 보내졌다.[6]
3. 3. 존 커닝햄
John Cunningham영어은 애이비스 에버하드의 아버지이자 저명한 물리학자였다.[6] 초기에는 딸의 사회주의적 견해에 동의하지 않았으나, 1912년 "경제와 교육"이라는 논란이 되는 책을 발간하고 대학에서 퇴출당했다.[6] 이후 강철군화로 인해 재산과 직업을 모두 뺏기고 펠 가의 슬럼가로 이사하는 등 과두 정치의 억압을 직접 경험하며 변화를 겪었다.[6] 1914년에 실종되었다.[6]3. 4. 모어하우스 주교
모어하우스 주교는 어니스트 에버하드의 주장에 감화되어 사회 정의를 외치지만, "정신이상"으로 간주되어 정신병원에 갇히는 비극적인 인물이다.[16] 1912년 늦여름, 애이비스 에버하드는 사라졌던 모어하우스 주교를 발견한다.[16]4. 줄거리
이 소설은 사회주의 대중 운동이 미국에서 부상하여 전국 선거에서 승리하고 권력을 잡은 후 급진적인 사회주의 정권을 수립하려 하자, 보수주의자들이 위협을 느껴 잔혹한 독재 정권(강철군화)을 수립한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이야기는 사건 발생 후 수 세기가 지나 발견된 원고와 학자 앤서니 메러디스가 419 B.O.M.(인류 형제단, 서기 2600년경)에 작성한 각주라는 프레이밍 장치를 통해 전달된다. 잭 런던은 메러디스가 아비스 에버하드의 실수를 수정하는 동시에 미래적 관점에 대한 불완전한 이해를 드러내는 방식으로 서술하며, 메러디스의 서문은 주인공의 노력이 실패할 것이라는 비극적 분위기를 암시한다.
소설은 저명한 물리학자 존 커닝햄의 딸이자 사회주의자 어니스트 에버하드의 미래 아내인 아비스 에버하드의 시점에서 시작된다. 아비스는 처음에 어니스트의 주장에 동의하지 않았지만, 노동자들의 끔찍한 환경을 직접 조사하면서 그의 세계관을 받아들이게 된다. 모어하우스 주교 역시 어니스트가 묘사한 현실을 믿지 않았으나, 진실을 깨닫고 정신병원에 갇히게 된다.
이야기는 과두정치 ("강철 군화")가 미국에서 등장하는 1912년부터 1932년까지의 시기를 다룬다. 이 시기 동안, 일본은 동아시아를 정복하고 자체 제국을 건설하며, 인도는 독립을 쟁취하고, 유럽은 사회주의 국가가 된다. 캐나다, 멕시코, 쿠바는 자체 과두정치를 형성하고 미국과 동맹을 맺는다.[1]
북아메리카에서 과두정치는 중산층을 몰락시키고, 대부분의 농부를 농노로 전락시키며, "노동 계급"과 용병을 통해 권력을 유지한다. 필수 산업 노동자들은 특혜를 받지만, 이들의 배신은 소설의 비극적인 전개이자 잭 런던이 동시대인에게 보내는 경고이다. 용병은 공식적으로는 미국 군대이지만, 실제로는 과두정치의 고용인이다.[1]
아스가드는 과두정치가 숭배와 감탄을 받도록 건설한 가상의 경이로운 도시이며, 수천 명의 프롤레타리아가 끔찍한 빈곤 속에서 공공 사업에 동원된다.[1]
이야기의 대부분은 샌프란시스코 베이 지역을 배경으로 하며, 소노마 군에서도 사건이 발생한다.[1] 소설에서는 제1차 반란과 제2차 반란 준비가 묘사되지만, 에버하드의 관점과는 달리 메러디스의 액자식 구성을 통해 독자는 어니스트 에버하드의 희망이 그가 죽은 지 수 세기가 지나서야 실현될 것임을 알게 된다.
4. 1. 애버하드 원고
이 소설은 가상의 인물인 애이비스 애버하드가 숨기고 약 700년 후 발견된 "애버하드 원고"를 바탕으로 쓰여졌다. 이 소설은 학자 앤서니 메러디스의 소개문과 그의 관점으로 작성한 여러 주석들이 추가된 형태로, 서기 2600년이나 인류애 시대(B.O.M.) 419년에 출판되었다고 한다. 잭 런던은 메러디스가 애버하드의 오류를 수정하고, 먼 세기의 이야기에 대한 해석적 오류를 고치는 형식으로 썼다.메러디스의 소개문은 이 소설에서 스포일러 역할을 한다. 소개문에는 애이비스와 어니스트의 투쟁과 봉기가 완전히 진압되었으며, 이들이 처형당했다는 내용이 나온다. 또한, 인류가 결국에는 행복한 결과를 맞이하며 과두제가 무너질 것이지만, 이는 어니스트와 애버하드가 죽은 지 수백 년이 지나서야 올 것이라고 한다. 이후 잔인한 과두정치가 붕괴되면서 두 사람은 후세에 순교자로 존중받게 된다.
원고는 미국에서 과두 정치(강철군화)가 발생하는 1912년부터 1932년까지의 이야기를 다룬다. 북미에서는 300년 동안 과두정치가 유지되다가 혁명이 성공하여 과두제가 붕괴하고 인류애 시대에 접어들게 된다. 소설에서는 첫 번째 봉기에 대해 설명하고, 두 번째 봉기의 준비에 대해 묘사한다. 에버하드의 관점에서는 2차 봉기가 성공할 것이라 확신하지만, 먼 미래의 메러디스의 관점에서는 이 봉기도 실패했으며 에버하드의 꿈이 무너졌다고 말한다.
원고는 에버하드의 자서전 형식으로 되어있다. 그녀는 어린 시절 뛰어난 과학자인 아버지 밑에서 자랐으며, 혁명주의적 사회주의자인 에른스트 에버하드와 결혼한 후 미국 공화제가 붕괴되는 것을 겪는다. 이후 그녀는 1차 봉기부터 2차 봉기까지 지하 레지스탕스 운동을 펼친다. 메러디스는 2차 혁명도 실패했으며, 이후 비극적인 처지가 심각해진다고 말하면서 원고가 갑자기 끊긴다고 언급한다.
4. 2. 1912년 ~ 1932년: 과두정의 등장
1912년부터 1932년까지, 소설 속 과두정치 세력인 "강철군화"가 미국에서 등장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일본은 동아시아를 정복하여 자체 제국을 건설한다.
- 인도는 독립을 쟁취한다.
- 유럽은 사회주의 국가가 된다.
- 캐나다, 멕시코, 쿠바는 자체 과두정치를 형성하고 미국과 동맹을 맺는다.[1]
북아메리카에서 과두정치는 3세기 동안 권력을 유지하는데, 이들은 대부분의 중소기업을 파산시키고 모든 농부를 사실상 농노로 전락시키면서 중산층을 몰아낸다. 이들은 "노동 계급"과 용병을 통해 권력을 유지한다. 철강 및 철도와 같은 필수 산업의 노동자들은 승진하고 적절한 임금, 주택 및 교육을 받는다. 다른 노동조합과 결별하고 과두정치 편에 서는 이러한 특혜를 받는 노동조합의 배신은 소설의 비극적인 전개이자 잭 런던이 동시대인에게 보내는 핵심 경고이다.[1] 또한, 두 번째 군사 계급인 용병이 형성되는데, 이들은 공식적으로는 미국 군대이지만, 실제로는 과두정치의 고용인이다.[1]
아스가드는 과두정치가 숭배와 감탄을 받도록 건설한 가상의 경이로운 도시의 이름이며, 그곳에서 수천 명의 프롤레타리아가 끔찍한 빈곤 속에서 살고 있으며, 제방이나 운하 건설과 같은 공공 사업을 완수해야 할 때마다 사용된다.[1]
이야기의 대부분은 샌프란시스코 베이 지역을 배경으로 하며, 다른 사건들은 소노마 군에서 일어난다.[1]
4. 3. 1, 2차 봉기와 저항
1912년 어니스트 에버하드가 애이비스 커닝햄과 그의 아버지인 존 커닝헴, 모어하우스 주교를 처음 만났고, 애이비스는 장애인 노동자인 잭슨의 사건을 조사하면서 헌신적인 사회주의자가 되었다. 같은 해, 어니스트와 애이비스는 결혼한다.1913년 독일과 미국 사이의 전쟁이 끝난 후, 독일, 이탈리아, 프랑스, 호주, 뉴질랜드의 정부가 무너지고 협동조합경제 체제의 사회주의 정부가 들어섰다.[1] 한편, 기계기술자 노동조합의 지도자인 오크너가 강철군화와 타협하여 총파업을 반대하면서 이탈하는 등 "대 노동조합"이 이탈하는 대이탈이 시작되었다.[1] 이들은 상위 중산층 마을에 살면서 "노동귀족"이 형성되기 시작했다.[1]
같은 해 봄, 선거에서 승리한 지역의 많은 사회당 및 농민당 좌석이 임기를 물려받지 못했고,[1] 강철군화는 빚을 진 농민들의 농지를 몰수하기 시작했다.[1] 또한, 강철군화가 비밀요원을 동원하여 폭동을 부추기면서 새크라멘토에서 폭동이 일어나 11,000명이 학살당했다.[1]
1913년 4월 22일, 강철군화의 요원이 캔자스 민병대의 장교를 살해하면서 반란이 일어났고, 민병대 대원 6,000명이 처형당했다.[1] 광산 노동자 75만 명이 참여한 파업이 분쇄되었고,[1] 알프레드 포로콕의 촉구로 국내 여권 시스템이 도입되어 미국 내 국민의 이동이 제한되었다.[1]
이러한 상황 속에서 어니스트 에버하드의 "전투 단체"가 만들어졌고,[1] 농부들의 반란 기간 동안 농민당이 파괴되고 당원 전원이 체포당했다.[1] 사회당은 미국에서 3번째로 큰 당이 되었다.[1]
1913년, 교도소 수감자인 페르바이스가 강철군화와 자유에 대한 대가로 어니스트가 의회에서 실업 구제에 대한 법안에 대해 말하는 도중 폭탄을 던지겠다는 계약을 했다.[1] 이 사건으로 인해 사회주의자가 군인에게 폭탄을 던졌다고 비난받으면서 법안은 폐기되었고, 사회당 당원 전원이 체포되었다.[1] 어니스트 에버하드를 포함한 사회당 의원 전체는 유죄 판결을 받고 미국 전역의 감옥으로 보내졌으며, 어니스트는 앨커트래즈섬의 감옥으로 보내졌다.[1]
1913년 가을, 애이비스 에버하드는 감옥에서 나와 샌프란시스코로 돌아가 혁명가들의 많은 피난처 중 하나인 글렌 엘렌 피난처로 옮겼다.[1]
같은 해, 일본이 잔인하게 혁명을 진압하고 과두제가 형성되었으며, 인도를 제외한 아시아의 나머지 지역을 점령했다.[1] 영국은 혁명을 진압했지만 대영제국 영토 대부분을 잃었고,[1] 캐나다는 독립했지만 강철군화의 지원으로 혁명을 진압하고 과두제가 형성했다.[1] 강철군화의 지원으로 멕시코와 쿠바의 혁명이 진압되고 과두제가 형성되었다.[1]
이처럼 1, 2차 봉기와 저항은 실패로 끝났지만, 어니스트와 애이비스를 비롯한 혁명가들의 투쟁은 미래에 대한 희망을 보여주었다.
5. 작품 분석
잭 런던의 《강철군화》는 단순한 소설을 넘어, 자본주의 체제와 사회주의 사상에 대한 깊이 있는 분석을 제공한다.
런던은 이 작품에서 과두정치, 계급 갈등, 폭력과 억압으로 점철된 암울한 미래 사회를 묘사하며, 후대의 여러 디스토피아 소설에 큰 영향을 주었다. 소설은 사회주의적 관점에서 자본주의 체제의 모순과 불평등을 비판하고, 노동조합의 배신과 노동 귀족의 등장을 경고한다. 특히, 런던은 미국에서 사회주의 대중 운동이 부상하여 권력을 잡을 가능성을 제시하며, 이에 대한 보수 세력의 반동을 예견한다.
소설은 여성 화자인 아비스 에버하드의 1인칭 시점으로 이야기가 전개되는데, 이는 당시 문학계에서는 드문 시도였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2]
작품의 배경은 샌프란시스코 베이 지역과 소노마 군이며, 과두정치가 숭배받는 가상의 도시 아스가드가 등장한다. 아스가드에서는 수천 명의 프롤레타리아가 끔찍한 빈곤 속에서 공공 사업에 동원된다.
5. 1. 디스토피아적 미래상
이 소설은 과두정치, 계급 갈등, 폭력과 억압으로 점철된 암울한 미래 사회를 묘사한다. 소수의 과두정치 세력이 권력을 독점하고, 중산층을 몰락시키며 노동자들을 착취하는 사회 구조를 보여준다.[2] 이러한 디스토피아적 미래상은 조지 오웰의 《1984》,[3][4] 올더스 헉슬리의 《멋진 신세계》 등 후대 디스토피아 소설에 영향을 주었다.[2]이야기는 학자 앤서니 메러디스가 서기 2600년경(또는 인류 형제단 419년)에 발견된 원고와 각주를 작성하는 프레이밍 장치를 통해 전달된다. 주인공 아비스 에버하드는 사회주의자 어니스트 에버하드의 아내이자 유명한 물리학자 존 커닝햄의 딸이다. 아비스는 처음에 사회 시스템이 노동력 착취에 기반한다는 어니스트의 주장에 동의하지 않았지만, 노동자들의 끔찍한 환경을 직접 조사하면서 그의 세계관을 받아들이게 된다.
소설 속 미국은 과두정치가 지배하는 사회로 묘사된다. 과두정치는 트러스트(또는 강도 남작)의 독점 조직으로, 중소기업을 파산시키고 농부들을 농노로 전락시킨다. 이들은 "노동 계급"과 용병을 통해 권력을 유지하며, 필수 산업 노동자들은 승진과 적절한 임금, 주택, 교육을 받는다. 용병은 공식적으로는 미국 군대이지만 실제로는 과두정치의 고용인이다.
작중 배경은 샌프란시스코 베이 지역과 소노마 군이며, 과두정치가 숭배받는 가상의 도시 아스가드가 등장한다. 아스가드에서는 수천 명의 프롤레타리아가 끔찍한 빈곤 속에서 공공 사업에 동원된다.
5. 2. 사회주의 사상과 비판
이 소설은 사회주의 대중 운동이 미국에서 부상하여 전국 선거에서 승리하고 권력을 잡은 후 급진적인 사회주의 정권을 수립할 실제적인 기회를 얻는 상황을 묘사한다. 보수주의자들은 이러한 전망에 불안감을 느끼고 위협을 느껴, 권력을 장악하고 이를 막기 위해 잔혹한 독재 정권을 수립한다.[11]잭 런던은 사회주의적 관점에서 자본주의 체제의 모순과 불평등을 비판하며, 노동조합의 배신과 노동 귀족의 등장을 경고한다. 소설에서 과두정치는 대부분의 중소기업을 파산시키고 농부들을 농노로 전락시키면서 중산층을 몰아낸다. 이 과두정치는 "노동 계급"과 용병을 통해 권력을 유지하는데, 필수 산업 노동자들은 승진하여 적절한 임금, 주택, 교육을 받는다. 런던은 이러한 특혜를 받는 노동조합이 다른 노동조합과 결별하고 과두정치 편에 서는 것을 비극적인 전개로 묘사하며, 동시대인들에게 경고를 보낸다.[11]
그러나 런던의 예측과 달리, 1910년대부터 1930년대까지 실제 역사에서는 다른 사건들이 전개되었다. 런던은 국제적 긴장이 고조되는 시기를 정확하게 예측했지만, 미국, 독일 등 여러 국가의 노동 연대가 전쟁을 막을 것이라고 예상했다. 하지만 실제로는 노동자 및 사회주의 운동가들이 지역 문제에 초점을 맞추면서 전쟁을 막지 못했다.[11]
또한, 런던은 미국 사회당이 승리하여 거대 정당이 된 것으로 묘사했지만, 실제로는 혁명 노선을 유지하며 자본주의 해체를 꾀했다. 소설에서는 봉기를 억압하기 위해 자본가들이 민주주의를 버리고 잔인한 억압주의 정권을 통해 통치하는 것으로 묘사되지만, 이러한 시나리오는 미국에서 도래하지 않았다. 대신, 1973년 칠레에서 살바도르 아옌데의 사회주의 정권이 CIA가 지원한 아우구스토 피노체트의 쿠데타로 붕괴하는 등 다른 국가에서 유사한 사건이 발생했다.[11]
미국에서는 전투적 대중 사회당의 종말이라는 아이디어가 런던의 트러스트가 노동자와 중소규모 회사를 억압하면서 중산층이 줄어들었다는 생각으로 이어졌다. 소설에서는 미국의 진보주의 시대가 트러스트로 인해 붕괴되었지만, 실제로는 1911년 스탠더드 오일이 셔먼 반독점법으로 해체되면서 트러스트가 사라졌다. 동시에 1930년대 뉴딜 정책과 같은 개혁 정책으로 진보주의 시대에 노동조합의 권리가 인정되었고, 경제적 번영으로 1920년대에는 중산층이 크게 성장했으며 제2차 세계 대전이 발발했다.[11]
5. 3. 여성 화자의 시점
이 책은 잭 런던의 작품 중에서도 특이하게 남성이 쓴 여성 주인공의 1인칭 시점 서술을 사용하고 있다는 점에서 문학사적으로 주목할 만하다.[2] 이는 20세기 초 문학계 전반에서도 흔치 않은 시도였다.6. 소설의 영향
조지 오웰의 전기 작가 마이클 셸던은 조지 오웰의 가장 유명한 소설인 1984년에 가장 많은 영향을 준 것이 강철군화라고 말했다.[12] 오웰 자신은 잭 런던에 관해 "파시즘 세력의 대두는 놀라운 예측"이라고 말했다.[13] 오웰의 주인공 윈스턴 스미스는 런던의 에이비스 에버하르트처럼 반항적인 생각과 경험을 기록하는 일기를 쓰는데, 에버하르트의 일기가 수 세기 동안의 폭정 속에서 숨겨져 있다가 나중에 발견되어 출판된 반면, 스미스의 일기는 책의 가혹한 사상 경찰의 손에 들어가 심문관은 스미스에게 후세가 그를 옹호해주기를 기대하지 말라고 경고한다.
1990년대 미국 노동운동의 선구자인 해리 브리지는 자신이 잭 런던의 강철군화와 바다늑대에 영향을 받아 노동운동에 뛰어들었다고 말했다.[14]
그랜빌 힉스는 커트 보네거트의 플레이어 피아노를 검토하면서 ''강철 군화''를 떠올렸다. "우리는 미래로 데려가 소수의 과두 정치 세력에 의해 지배되는 미국을 보여주는데, 여기에도 실패하는 반란이 있다."[9]
7. 각국의 번역 제목
- العقب الحديدية|무니르 발바키 번역ar
- Երկաթե կրունկhy
- আয়রন হীল|아불 칼람 코드후리 번역bn
- Желязната пета|시더 플로린 번역bg
- Željezna peta|Paulina Tomić 번역hr
- Železná patacs
- Jernhælenda
- La Fera Kalkanumo|조지 시빌 번역, SAT, 1930eo
- Raudne kandet
- Rautakorkofi
- Le Talon de Fer프랑스어
- Die eiserne Fersede
- Η σιδερένια φτέρναel
- Το σιδερένιο τακούνιel
- A vaspatahu
- Il tallone di ferroit
- 강철군화|The Steel Combat Boot한국어
- Dzelzs Papēdislv
- Geležinis Kulnaslt
- Железната петицаmk
- Jernhælenno
- پاشنه آهنین|무함마드 자파르 마흐브 번역fa
- Żelazna stopapl
- O Tacão de Ferropt
- Железная пятаru
- Гвоздена петаsr
- Železná pätask
- El Talón de Hierroes
- Järnhälensv
- ท๊อปบู้ตทมิฬth
- Demir Ökçetr
참조
[1]
서적
Jack London: A Life
HarperCollins
[2]
서적
1984
New American Library (a division of Penguin Group)
[3]
서적
Orwell: the Authorized Biography
HarperCollins
[4]
간행물
Jack London:Landmarks in American Literature,5
BBC
1943-03-05
[5]
뉴스
Harry Bridges
1973-01-07
[6]
뉴스
Review: 'The Iron Heel' Reworks a Jack London Dystopia
https://www.nytimes.[...]
2016-08-27
[7]
웹사이트
Audio Drama THE IRON HEEL to be Released in May
https://www.broadway[...]
2021-04-23
[8]
서적
The Encyclopedia Of Science Fiction
Orbit
[9]
뉴스
Player Piano
https://www.nytimes.[...]
2011-08-27
[10]
서적
1984
New American Library (a division of Penguin Group)
[11]
문서
War is the health of the state
http://www.historyis[...]
[12]
서적
Orwell: the Authorized Biography
HarperCollins
[13]
간행물
Jack London:Landmarks in American Litertaure,5
BBC
1943-03-05
[14]
뉴스
Harry Bridges
1973-01-07
[15]
서적
The Encyclopedia Of Science Fiction
https://archive.org/[...]
Orbit
[16]
문서
The Iron Heel
http://www.enotes.co[...]
Salem Press
20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