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디스토피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디스토피아는 "나쁜 장소"를 의미하는 단어로, 이상적인 사회인 유토피아와 반대되는 개념이다. 문학, 영화 등 다양한 매체에서 다뤄지며, 현대 사회의 문제점을 반영하여 최악의 시나리오를 제시한다. 정보 통제, 감시 사회, 격차 사회, 자유 제한, 사상 통제, 환경 파괴, 기술 악용, 인권 침해, 절망적인 미래, 숙청, 산아 제한, 식사 문제, 발전 억제 등 다양한 문제점을 보여준다. 디스토피아는 정치, 경제, 사회 계급, 가족, 종교, 정체성, 폭력, 자연, 과학 기술 등 다양한 측면에서 묘사되며, 지배 계급의 억압, 기술의 부정적 영향, 사회적 불평등 등을 강조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디스토피아 - 세계 정복
    세계 정복은 특정 국가나 세력이 지구상의 모든 영토와 인류를 지배하려는 목표를 의미하며, 역사적으로 여러 제국이 넓은 지역을 통치했지만 지구 전체를 정복한 사례는 없고, 현대에는 다자주의와 국제기구의 발전으로 영토 정복을 통한 세계 지배는 사실상 어려워 경제적, 문화적 영향력을 통한 지배 시도가 논의된다.
  • 디스토피아 - 비토크라시
    비토크라시는 미국에서 주로 나타나는 현상으로, 지역 주민들의 반대로 주택 건설 및 인프라 구축이 지연되어 과도한 비용이 발생하는 상황을 의미하며, 님비 현상과 연관되어 주택 공급 부족, 인프라 개선 지연, 시민 삶의 질 저하, 지역 경제 발전을 저해할 수 있다.
  • 선악 - 필요악
    필요악은 더 큰 선을 이루거나 더 큰 해악을 막기 위해 불가피하게 받아들여야 하는 악을 의미하며, 불편함이나 성가심을 나타내기도 하지만 일부 사상가들은 그 개념 자체를 거부하고 한국 사회에서도 다양한 측면에서 논의되고 진보와 보수 진영 간의 시각차를 보인다.
  • 선악 - 양심
    양심은 옳고 그름을 판단하고 행동을 결정하는 내적 도덕적 인식으로, 다양한 학문 분야에서 연구되며 개인의 도덕적 판단과 사회적 행동, 그리고 초국가적 문제와도 관련되어 문학과 예술 등 다양한 분야에서 다루어진다.
  • 고통 - 고문
    고문은 처벌, 자백 강요, 정보 획득 등을 목적으로 가해자가 통제하는 사람에게 고의적으로 심한 고통을 가하는 행위로, 국제법상 금지되어 있지만 여전히 발생하며, 신체적·정신적 후유증을 남기는 잔혹한 행위이다.
  • 고통 - 정신 질환
    정신 질환은 인지, 감정 조절, 행동에 장애를 나타내는 증후군으로, 다양한 유형으로 분류되며 유전적, 심리적, 환경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발생하고, 약물 치료, 정신 치료 등을 통해 증상 완화 및 관리가 가능하다.
디스토피아
개요
정의공동체 또는 사회가 바람직하지 않거나 끔찍한 곳
어원그리스어 "δυσ" (dys, "나쁜") + "τόπος" (topos, "장소")
반대 개념유토피아
특징
일반적인 요소전체주의 정부
환경 파괴
기술 악용
사회적 불평등
억압적인 통제
주제사회 정치적 문제
기술 발전의 어두운 측면
인간성의 상실
문학 장르
주요 작품우리들 (예브게니 자먀틴)
멋진 신세계 (올더스 헉슬리)
1984년 (조지 오웰)
헝거 게임 (수잔 콜린스)
다이버전트 (베로니카 로스)
관련 개념
유사 용어카코토피아 (cacotopia)
안티-유토피아 (anti-utopia)
추가 정보
설명역유토피아는 현대 산업 혁명 이후 기계 문명의 발전이 부정적이고 반인간적인 측면을 강조하여 그려진 미래 사회의 모습이다. 보이지 않는 독재자의 지배, 괴물 같은 관료제 시스템, 성애의 통제 등 다양한 소재를 활용하면서 자유의 억압이라는 주제를 비판적으로 전개한다.

2. 어원

"디스토피아(Dystopia)"는 "나쁜" 또는 "어려운"을 의미하는 그리스어 접두사 "δυσ-" (dys-)와 "장소"를 의미하는 "τόπος" (topos)가 결합된 단어이다.[62][63] 1868년 존 스튜어트 밀이 영국 의회 연설에서 아일랜드 토지 정책을 비판하며 처음 사용했다.[11][12] 그는 "그들을 유토피안이라고 부르기에는 너무 칭찬하는 것일지도 모른다. 그들은 오히려 dys-topians 또는 caco-topians라고 불려야 한다. 일반적으로 유토피안이라고 불리는 것은 실행하기에 너무 좋은 것이지만, 그들이 지지하는 것으로 보이는 것은 실행하기에 너무 나쁘다"라고 말했다.[13][14][15][16]

이보다 수십 년 전인 1818년, 제러미 벤담은 "cacotopia"/"kakotopia" (κακόs|카코스|나쁜, 사악한grc)를 제안했다.[17][18] 비록 디스토피아가 더 널리 사용되지만, 카코토피아(Cacotopia)도 가끔 사용된다. 시계태엽 오렌지의 저자 앤서니 버지스는 조지 오웰1984에 대해 "dystopia보다 더 나쁘게 들린다"며 카코토피아가 더 적합하다고 말했다.[19]

"나쁜, 부도덕한"을 의미하는 κακόs|카코스|나쁜, 부도덕한grc를 조합한 '''카코토피아'''나, '''반(反)유토피아'''라고도 한다.[65]

3. 이론

그레고리 클레이스와 라이먼 타워 서전트 같은 일부 학자들은 디스토피아와 반(反)유토피아를 구분한다. 클레이스와 서전트는 문학적 디스토피아를 작가가 글을 쓰는 사회보다 실질적으로 더 나쁘다고 상상되는 사회로 정의하며, 이 중 일부는 유토피아적 이상을 구현하려는 시도가 실패한 사회를 비판하는 반(反)유토피아로 본다.[20]

클레이스는 저서 ''디스토피아: 자연사''에서 프랑스 혁명에 대한 초기 반응에서부터 반(反)집산주의적 성격, 과학기술 위험, 사회 불평등, 기업 독재, 핵전쟁 등 다양한 주제를 통해 디스토피아를 역사적으로 접근한다.[21]

앤드루 노턴-슈바르츠바드는 단테의 ''지옥''이 비록 종교적 틀 안에 있지만, 세속적 세계의 미래를 다룬다는 점에서 현대 디스토피아와 유사한 특징을 많이 포함하고 있다고 지적한다.[22] 빈센트 안젤로티는 조지 오웰의 ''인간의 얼굴을 짓밟는 부츠 - 영원히''라는 문구가 단테의 지옥에 있는 주민들의 상황을 잘 묘사하며, 단테의 ''여기에 들어오는 자는 모든 희망을 버려라''라는 비문은 오웰의 "사랑부"와 "101호실" 입구에 놓여도 적절했을 것이라고 말한다.[23]

『브리태니커 국제 대백과사전 소항목 사전』에 따르면, 디스토피아 작품은 현대 사회 문제가 해결되지 않았을 때 근미래가 어떻게 될 것인가 하는 관심에서 비롯되었다.[61] 올더스 헉슬리의 『멋진 신세계』(1932년 작)나 조지 오웰의 『1984년』(1948년 작)이 대표적이며, 과학법률이 거대한 관리 사회를 만들어 인간 해방을 약속했던 것과는 반대로 비관적인 미래상을 제시한다.[61] 이들 작품은 "자유의 억압", "눈에 보이지 않는 독재자의 지배", "괴물같은 관료 시스템", "성애의 컨트롤" 등을 비판적으로 다룬다.[61] 형식은 SF(근미래 소설)적이지만, 냉소적인 현실 비판이 기저에 깔려 있다.[61]

옥스퍼드 영어 사전(OED)에 따르면, 디스토피아라는 말은 1868년 존 스튜어트 밀의 연설에서 처음 등장했다.[66]

디스토피아 문학의 시작은 H. G. 웰스의 『타임머신』(1895년)이나 『모던 유토피아』(1905년) 등으로 여겨진다. 쥘 베른의 초기 미래 소설 『20세기의 파리』(1865년)는 SF 디스토피아 소설의 선구적인 시도로 평가받지만, 당시 유럽의 과학 기술 칭송 풍조와 맞지 않아 작가 생전에 출간되지 못했다. 제1차 세계 대전부터 제2차 세계 대전 사이 전간기에 소비에트 연방 탄생, 파시즘 대두 등 전체주의에 대한 우려가 확산되면서 디스토피아 문학이 급증했다.

토머스 모어의 『유토피아』에서 볼 수 있듯이, 16세기 이래 유럽에서 쓰인 유토피아 문학 속 "이상향"은 대부분 전체주의적이거나 관리 사회적인 특징을 지녔다. 현대의 가치관으로 보면 디스토피아적인 사회나 제도가 이상향으로 묘사되는 경우가 많았다.

이성통제하는 사회를 낙관적으로 그리며 비이성과 감정이 지배하는 현실 사회를 비판해 온 유토피아 문학 작가들은, 현실에서 사회가 이성이나 과학으로 통제되기 시작한 20세기에 이르러 더는 낙관적일 수 없게 되었다. 기존의 『유토피아』를 역전시켜 디스토피아로 묘사하게 되었다는 지적이 있지만, 이는 적절하지 않다. 예브게니 자먀틴의 『우리들』 속 "건강은 시민의 의무"라는 말이나 지배 체제, 올더스 헉슬리의 『멋진 신세계』의 사회 등 법과 체제는 '''인간 이성의 한계'''에 대한 풍자이다. 즉, 현재에도 "현실 사회는 '''이성이나 과학으로 통제되지 않고'''" 있다. 『우리들』의 상호 감시와 집회, 조지 오웰의 『1984년』의 "빅 브라더가 당신을 지켜보고 있다"라는 표어와 빅 브라더는 개인 외부에 놓인 우상이자 현실의 법률 등을 가리키는 우상이다. 인간 이성보다 외부에 놓인 우상이 우선시되는, 인간 이성의 낮은 한계에 대한 탄식과 풍자가 이들 작품의 문제의식이다. 『멋진 신세계』에서는 총통관 중 한 명이 상황을 이해하고 있고, "섬"이라는 벗어난 장소가 시사되어 올더스 헉슬리 자신의 '''한계에 대한 탄식'''에도 불구하고 남는 희망을 보여준다.

19세기 계몽 시대의 반동이 SF 소설의 시작과 함께 20세기에 나타났다고 볼 수 있다. 많은 디스토피아에서 다윈주의나 사회 진화론을 기반으로 한 "인간" 자체의 변혁이 주제가 되는데, 이는 이성 신앙·과학 기술 신앙을 바탕으로 한 19세기의 진보 사관이 20세기에 강하게 의심받게 된 것으로 해석된다.

디스토피아 문학은 아니지만, 디스토피아적 세계관을 차경으로 이용한 작품이 현재 많이 만들어지고 있으며, 판타지, 액션, 사소설적인 것부터 포르노까지 다양한 장르에 영향을 주고 있다. 현대에도 인기 있는 장르인 사이버펑크는 디스토피아의 영향을 크게 받았다.

일본에서는 포스트 아포칼립스와 혼동되는 경우가 있다.

4. 사회

디스토피아는 일반적으로 현대의 사회정치적 현실을 반영하며, 필요한 사회 변화나 경고를 위해 최악의 시나리오를 그려낸다.[24] 디스토피아 픽션은 항상 창작자의 동시대 문화에 대한 우려와 두려움을 반영한다.[25] 이 때문에 사회 연구의 대상이라고 여겨질 수 있다. 디스토피아에서 시민들은 비인간적인 상태로 살거나, 끊임없이 감시를 받거나, 외부 세계에 대한 두려움을 가질 수 있다.[26] 영화 ''오! 마이 베이비''에서 주인공들(일란성 7쌍둥이 자매)은 이 미래 디스토피아 사회에 적용된 산아 제한 정책 때문에 번갈아 가며 외부 세계로 나가 목숨을 걸고 있다.[27]

2010년대에는 인기 있는 디스토피아 청소년 소설과 블록버스터 영화가 급증했다.[28][29] 어떤 이들은 이러한 추세에 대해 "자본주의의 종말을 상상하는 것보다 세상의 종말을 상상하는 것이 더 쉽다"고 언급했다.[30][31][32][33][34] 문화 이론가이자 비평가인 마크 피셔는 이 문구를 자본주의 리얼리즘—단지 자본주의만이 유일하게 실행 가능한 정치 및 경제 시스템일 뿐만 아니라, 이제는 그에 대한 일관된 대안을 상상하는 것조차 불가능하다는 널리 퍼진 인식—의 이론을 포괄하는 것으로 식별했으며, 위의 인용구를 그의 저서 ''자본주의 리얼리즘: 대안은 없는가?''의 서론 제목으로 사용했다. 그는 또한 이 책에서 P. D. 제임스의 소설을 원작으로 한 영화 ''칠드런 오브 맨''을 언급하며, 그가 묘사하는 "미래의 점진적인 취소"를 설명했다.[34][35] ''다이버전트'' (원작은 베로니카 로스소설)의 배우 테오 제임스는 "특히 젊은이들이 이런 종류의 이야기에 매료되고 있다 [...] 그것은 의식의 일부가 되고 있다. 당신은 항상 대화의 일부인 세상에서 자란다 – 기후 변화로 인한 통계는 우리의 지구가 뜨거워지고 있다. 환경이 변하고 있다. 날씨가 다르다. 이것들은 매우 생생하고 분명한 것들이며, 그것들은 당신에게 미래와 우리가 어떻게 살아남을지에 대한 의문을 제기하게 한다. 그것은 일상생활의 매우 중요한 부분이기 때문에 젊은이들은 불가피하게 – 의식적으로든 아니든 – 그들의 미래와 지구가 어떻게 될지에 대해 의문을 제기하고 있다. 나는 분명히 그렇다. 나는 내 아이들의 아이들이 어떤 세상에서 살게 될지 궁금하다."라고 설명했다.[28]

나치 독일이 제2차 세계 대전에서 승리한 세상을 묘사하는 상당한 하위 장르인 대체 역사 작품 전체가 디스토피아로 간주될 수 있다. 역사적 전환점이 명백히 억압적인 세상을 초래한 다른 대체 역사 작품도 마찬가지이다. 예를 들어, 2004년 mockumentary ''C.S.A.: 아메리카 연합국''과 벤 H. 윈터스의 ''지하 항공사''는 미국의 노예 제도가 현재까지 이어지며, 인터넷을 통해 "전자 노예 경매"가 수행되고, 노예들은 척추에 이식된 전자 장치로 통제되며, 키스 로버츠의 ''파반''은 20세기 영국이 가톨릭 신정에 의해 통치되고 종교 재판이 적극적으로 "이단자"를 고문하고 불태우는 작품 등이 있다.

즈비그니에프 리베라의 사진 예술 작품 ''도시를 떠나는 사람들''. 사람들이 죽어가는 대도시를 떠나야 하는 디스토피아적 미래를 상상한다.

5. 특징

디스토피아는 겉으로는 평등하고 질서 있으며, 빈곤이나 분쟁도 없는 이상적인 사회 "유토피아"처럼 보이지만, 실제로는 철저한 관리와 통제가 이루어지며 자유가 억압되거나 인간으로서의 존엄과 인간성이 부정되는 사회이다. 작품마다 묘사는 다르지만, 디스토피아 사회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들이 나타난다.


  • 정보 통제: 정부나 특정 세력이 정보를 엄격하게 관리하여 국민의 자유로운 정보 접근을 제한한다.
  • 감시 사회: 감시 카메라, 통신 도청, 국민 간 밀고 등을 통해 국민의 행동을 감시하고, 위반 시 중벌이나 숙청을 가한다.
  • 격차 사회: 부와 권력이 일부 관리자에게 집중되어 사회 전체의 격차가 확대된다. 평등을 칭송하지만, 실제로는 체제 관리자가 상위에 존재하는 사실상의 격차 사회이며, 시민 계급을 혈통이나 DNA 수준에서 파악·관리한다.
  • 자유 제한: 언론의 자유, 집회의 자유 등 기본적인 자유가 없고, 체제 비판은 금지되며 숙청 대상이 된다. 표현의 자유가 훼손되어 기존 질서에 도전하는 출판물은 발행 금지, 분서, 압수될 수 있다.
  • 사상 통제: 특정 사상이나 가치관을 강요하고, 다른 의견을 허용하지 않는다.
  • 환경 파괴: 환경 오염이나 자원 고갈 등 환경 문제가 심각하여 인류의 생존 기반을 위협한다.
  • 기술 악용: 과학 기술이 지배나 억압을 위해 이용된다.
  • 인권 침해: 고문, 학대, 자의적 체포 등 인권 침해가 빈번하다.
  • 절망적인 미래: 사회 전체가 쇠퇴하고 미래에 대한 희망이 없다.
  • 숙청: 체제(지도자)가 선전으로 체제를 "이상 사회"로 포장하고 국민을 세뇌하며, 반항하는 자는 치안 조직(준군사 조직)을 통해 제재하고 숙청하여 사회에서 배제한다.
  • 산아 제한: 강제적인 인구 조정(산아 제한)이 이루어지며, 시민의 가족 계획, 연애, 성행위, 임신, 출산 등 번식 관련 부분까지 사회가 관리한다.
  • 식량 문제: 굶어 죽지는 않지만, 식사의 양, 맛, 영양 등에 문제가 있거나, 같은 메뉴만 제공되는 등 만족감을 얻을 수 없다.
  • 발전 억제: 관리자가 사회를 쉽게 관리하기 위해 문명이나 경제 발전을 억제한다.

5. 1. 정치

H. G. 웰스는 《잠자는 자가 깨어날 때》에서 지배 계급을 쾌락주의자적이고 피상적인 인물로 묘사했다.[36] 조지 오웰은 웰스의 세계를 잭 런던의 《강철 군주》에 묘사된 세계와 대조했는데, 여기에서 디스토피아적 지배자들은 잔혹하고 광신적인 면모를 보였으며, 오웰은 이것이 더 그럴듯하다고 생각했다.[37]

소설 속 디스토피아의 근본이 되는 정치적 원칙은 유토피아적 이상에 기반을 둔 경우가 많지만, 적어도 한 가지 치명적인 결함 때문에 거주자들에게 부정적인 결과를 낳는다.[38][39]

디스토피아는 종종 "철권 통치"로 통치하는 잔혹하거나 무관심한 지배 계급 또는 정부에 대한 비관주의적 시각으로 가득 차 있다. 디스토피아 정부는 때때로 전체주의적 파시스트 또는 공산주의 정권이나 독재자에 의해 통치된다. 이러한 디스토피아 정부 기구에는 종종 앨런 무어의 《브이 포 벤데타》에서 볼 수 있듯이 사회 내 변화를 시행하기 위한 "저항 운동"을 이끄는 주인공이나 그룹이 등장한다.[40]

디스토피아적 정치 상황은 《우리》, 《파러블 오브 더 소우어》, 《한낮의 어둠》, 《1984》, 《멋진 신세계》, 《시녀 이야기》, 《헝거 게임》, 《다이버전트》, 《화씨 451》과 같은 소설과 《메트로폴리스》, 《브라질》(1985), 《배틀 로얄》, 《FAQ: Frequently Asked Questions》, 《소일렌트 그린》, 《더 퍼지: 심판의 날》, 《로건의 탈출》, 《러닝 맨》(1987)과 같은 영화에서 묘사된다. 더 이전의 예로는 쥘 베른의 《베굼 부인의 재산》이 있는데, 이 작품은 더 강력하고 파괴적인 무기를 생산하는 데 전적으로 헌신하는 거대한 산업 및 광산 단지인 슈탈슈타트(강철 도시)를 묘사하고 있으며, 이 도시는 세계 정복을 꿈꾸며 공공 보건을 정부의 주요 관심사로 삼아 건설되고 유지되는 유토피아적 모델 도시인 근처 빌 프랑스의 완전한 파괴를 계획하는 독재적이고 무자비한 슐츠 교수가 통치한다. 슐츠는 군국주의자이자 인종차별주의자이다.

5. 2. 경제

디스토피아 사회의 경제 구조는 작가가 억압의 근원으로 묘사하는 요소와 경제가 직접적으로 관련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다양한 변형을 보인다. 이러한 사회는 몇 가지 원형을 따르는 경향이 있다. 한 가지 주제는 계획 경제자유 시장 경제의 이분법으로, 이는 아인 랜드의 ''앤섬''과 헨리 커트너의 단편 소설 "The Iron Standard"와 같은 작품에서 발견된다. 이와 같은 예는 노만 주이슨의 1975년 영화 ''롤러볼''에서도 나타난다.

''1984''와 같은 일부 디스토피아에서는 위험하고 구하기 어려운 상품이 거래되는 암시장이 등장하거나, 등장인물이 국가가 통제하는 경제에 억압받는 모습이 나타난다. 커트 보네거트의 ''플레이어 피아노''는 중앙 통제 경제 시스템이 물질적 풍요는 가져왔지만, 대다수의 인류에게서 의미 있는 노동을 빼앗아간 디스토피아를 묘사한다. 거의 모든 일이 육체적이고 만족스럽지 않으며, 교육을 받은 소수의 사람들만이 엘리트 집단에 들어가 그들의 일을 할 수 있다.[41] 타니트 리의 ''돈트 바이트 더 선''에는 어떤 종류의 결핍도 없지만, 무분별한 소비와 쾌락주의만이 존재하며, 이는 주인공이 삶의 더 깊은 의미를 찾도록 이끈다.[42] ''멋진 신세계''처럼 경제 시스템이 사회의 결함의 원인이 아닌 디스토피아에서도 국가는 종종 경제를 통제한다. 한 등장인물은 사회의 일원이 아니라는 제안에 공포를 느끼며, 다른 모든 사람에게 효과가 있는 이유를 제시한다.[43]

다른 작품에서는 광범위한 사유화와 기업주의가 등장한다. 이는 모두 자본주의의 결과로, 개인 소유의 책임 없는 대기업이 정책을 결정하고 의사 결정을 내리는 데 정부를 대체한다. 이들은 조작하고, 침투하고, 통제하고, 뇌물을 주고, 정부와 계약을 맺고 정부의 역할을 수행한다. 이는 소설 ''제니퍼 정부''와 ''오릭스와 크레이크'', 영화 ''에일리언'', ''아바타'', ''로보캅'', ''비저니어스'', ''이디오크라시'', ''소일렌트 그린'', ''월-E'' 및 ''롤러볼''에서 볼 수 있다. 기업 공화국은 사이버펑크 장르에서 흔히 볼 수 있는데, 닐 스티븐슨의 ''스노우 크래쉬''와 필립 K. 딕의 ''안드로이드는 전기 양의 꿈을 꾸는가?''(딕의 소설에 영향을 받고 이를 바탕으로 한 영화 ''블레이드 러너''에서도)가 그 예이다.

5. 3. 사회 계급

올더스 헉슬리의 1931년 소설 ''멋진 신세계''에서는 알파, 베타, 감마, 델타, 엡실론으로 계급이 나뉘는데, 이는 태어나기 전에 결정된다. 하위 계급은 뇌 기능이 감소하고 삶의 위치에 만족하도록 특별한 조건화가 이루어진다.[44] 이 사회 외에도 세계 정부가 "야만인"이라고 묘사하는 몇몇 인간 정착지가 존재한다.

조지 오웰의 ''1984''에 묘사된 디스토피아 사회는 다음과 같은 계층 구조를 가진다.

  • 최상위: 지배 엘리트 "내부 당"
  • 중간: 약간의 특권을 가진 "외부 당" (일종의 중산층 역할)
  • 최하위: 소수의 권리를 가지면서 인구의 대다수를 차지하는 노동 계급 "프롤" (프롤레타리아트의 약자)


헤르베르트 W. 프랑케의 ''Ypsilon Minus''에서 사람들은 알파벳순으로 순위가 매겨진 수많은 그룹으로 나뉜다.

닐 블롬캠프의 영화 ''엘리시움''에서 지구 표면의 대다수 인구는 열악한 의료 접근성으로 빈곤하게 살며 노동자 착취와 경찰의 폭력에 시달린다. 반면, 부유층은 모든 질병을 치료하고, 노화를 되돌리고, 신체 부위를 재생하는 기술에 접근하며 지구 위에서 호화롭게 산다.

H. G. 웰스의 ''타임머신''(19세기말)에 묘사된 미래 사회는 ''엘리시움''과 유사하게 시작되었다. 노동자들은 지하 터널에서 살고 일하도록 정해지고 부유층은 거대한 아름다운 정원으로 만들어진 표면에서 산다. 그러나 오랜 기간에 걸쳐 역할이 결국 뒤바뀌어 부유층은 퇴화하여 타락한 "가축"이 되었고 지하 식인종인 몰록에게 정기적으로 잡혀 먹히게 되었다.

5. 4. 가족

일부 허구적 디스토피아 소설, 예를 들어 ''멋진 신세계''와 ''화씨 451''에서는 가족을 없애고 사회 제도로서 다시 만들어지는 것을 막았다. ''멋진 신세계''에서는 아이들이 인공적으로 번식되기 때문에 "어머니"와 "아버지"라는 개념이 외설적으로 여겨진다.[45] ''우리''와 같은 소설에서는 단일 국가의 임신한 여성이 반란을 일으키면서, 국가는 모성에 적대적이다.[45]

5. 5. 종교

디스토피아에서 종교 단체는 억압받는 자 또는 억압하는 자의 역할을 할 수 있다. 가장 초기의 예시 중 하나는 로버트 휴 벤슨의 소설 ''세계의 군주''인데, 마르크스주의자와 프리메이슨적그리스도의 지도 하에 세상을 장악하고 남은 유일한 반대 세력은 작고 박해받는 가톨릭교회 소수라는 미래 세계를 그리고 있다.[46] ''멋진 신세계''에서 국가의 수립은 기독교의 상징인 모든 십자가의 꼭대기를 잘라내 포드 모델 T의 상징인 "T"로 만드는 것을 포함했다.[47] C. S. 루이스의 ''그 가공할 힘''에서, 반(反) 전통주의적인 사회적 의제를 장려하기 위해 학계와 정부가 공동으로 설립한 가상의 국가 조정 실험 연구소의 지도자들은 종교를 경멸하며, 입문자들에게 기독교 상징을 훼손하도록 요구한다. 마거릿 애트우드의 소설 ''시녀 이야기''는 기독교에 기반한 신정 정권 하의 미래 미국을 배경으로 한다.[48]

5. 6. 정체성

예브게니 자먀틴이 1921년에 처음 출판한 러시아 소설 ''우리''에서 사람들은 일주일에 두 번, 한 시간 동안만 대중의 시야에서 벗어나 살 수 있으며, 이름 대신 번호로만 불린다. 이러한 특징은 영화 ''THX 1138''에도 나타난다. 커트 보네거트의 ''해리슨 버거론''과 같은 몇몇 디스토피아 작품에서 사회는 개인에게 성취나 능력조차 불평등의 형태로 억제하거나 억누르는 급진적인 동조 평등주의 사회 규범을 강요한다. 완전한 동조와 개성의 억압(일제히 행동하는 수준까지)은 마들렌 렝글의 ''시간의 주름''에서도 묘사된다.

5. 7. 폭력

폭력은 많은 디스토피아에서 만연하며, 종종 전쟁의 형태로 나타난다. 이 주도하는 도시 범죄 (예: ''시계태엽 오렌지'') 또는 피의 스포츠로 나타나는 만연한 범죄 (예: ''배틀 로얄'', ''런닝 맨'', ''헝거 게임'', ''다이버전트'', ''더 퍼지'')도 흔한 형태이다. 이는 수잔 번의 에세이 "그라운드 제로"에서도 설명되는데, 그녀는 2001년 9월 11일의 여파에 대한 자신의 경험을 설명한다.[49]

5. 8. 자연



허구의 디스토피아는 일반적으로 도시적이며, 등장인물들을 자연 세계와 격리시키는 경우가 많다.[50] 레이 브래드버리의 ''화씨 451''에서는 산책이 위험한 반사회적 행위로 간주되기도 하고, 브래드버리의 단편 소설 "보행자"에서는 등장인물들이 자연을 피하도록 요구받기도 한다. ''그것은 흉악한 힘''에서 정부가 조정하는 과학은 자연을 통제하고 인간의 자연스러운 본능을 제거하는 데 집중한다. ''멋진 신세계''에서는 하류 계급이 자연을 두려워하도록 조건화되지만, 경제 활동을 촉진하기 위해 시골을 방문하고 운송 수단과 게임을 소비하도록 교육받는다.[51] 로이스 로리의 "기억 전달자"는 유토피아를 만들려는 기술과 욕망으로 인해 인류가 환경에 기후 통제를 강요하고, 많은 야생 종을 제거하며, 인간 본능에 대한 심리적, 약리학적 억제제를 제공하는 사회를 보여준다. E. M. 포스터의 "기계가 멈춘다"는 대기 오염으로 인해 사람들이 지하에서 살도록 강요하는 매우 변화된 지구 환경을 묘사한다.[52]

자연을 파괴하는 과도한 오염은 ''매트릭스'', ''로보캅'', ''월-E'', ''에이프릴과 기상천외한 세상'' 및 ''소일렌트 그린''과 같은 많은 디스토피아 영화에서 흔히 나타나며, ''하프라이프 2''와 같은 비디오 게임에서도 나타난다. 마이클 카슨의 단편 소설 "사치의 벌"과 러셀 호반의 ''리들리 워커''와 같은 몇몇 "친환경" 허구 디스토피아가 존재한다. ''리들리 워커''는 핵전쟁 이후 기술이 철기 시대 수준으로 감소한 핵 참사 이후의 켄트를 배경으로 한다.[54]

5. 9. 과학 기술

기술 유토피아와는 다르게, 기술 디스토피아는 새로운 기술로 인해 발생하는 부정적인 영향에 주로 관심을 갖는다.[55]

  • '''기술은 인간 본성의 가장 나쁜 측면을 반영하고 조장한다.'''[55]: 디지털 선구자인 재런 러니어는 "사람들이 책임을 지는 것을 잊어버리는 기술 해석 방식"이라고 말하며, "컴퓨터가 그랬어, 내가 한 게 아니야."와 같이 기술에 책임을 전가하는 현상을 지적한다. 이는 기술이 전능하다는 믿음과 대상화 측면에서 기술 결정론적 관점을 보여준다.[56]
  • '''기술은 대인 관계, 관계, 공동체에 해를 끼친다.'''[57]: 기술 사용 시간 증가는 가족 및 친구 간의 소통 감소를 야기한다. 가상 공간은 실제 존재의 영향을 오해하게 만들며, 사람들은 의사 소통을 위해 기술 매체에 의존한다.
  • '''기술은 계층을 강화하고, 지식과 기술을 집중시키며, 감시를 증가시키고 사생활을 침해하며, 권력과 부의 불평등을 확대하고, 기계에 대한 통제력을 포기하게 한다.'''[55]: 더글러스 러시코프는 전문 디자이너들이 컴퓨터를 "재신비화"하여 일반 사용자가 이해할 수 없는 소프트웨어에 의존하게 만든다고 지적한다.
  • '''새로운 기술은 때때로 퇴행적이다(이전 기술보다 더 나쁘다).'''[55]
  • '''기술의 예기치 않은 영향은 부정적이다.'''[55]: 번역 기술의 경우, 겉으로는 마법처럼 보이지만 실제로는 번역가들의 정보를 수집하여 경제를 축소시키는 결과를 낳을 수 있다.[57]
  • '''더 많은 효율성과 선택은 삶의 질에 해를 끼칠 수 있다(스트레스 유발, 일자리 파괴, 물질주의 심화).'''[58]: 제임스 글릭은 리모컨을 예로 들어, 채널 변경의 용이성이 오히려 시청자의 주의를 분산시키고 불만족을 야기한다고 지적한다.
  • '''새로운 기술은 오래된 기술의 문제를 해결하거나 새로운 문제를 만들어낼 수 있다.'''[55]: 리모컨은 게으름과 불만족 증가와 같은 새로운 문제를 야기했다. 사회 심리학자 로버트 레빈은 인도네시아인과 네팔 셰르파족의 예를 통해 기술 발전이 항상 만족으로 이어지는 것은 아님을 보여준다.[58]
  • '''기술은 자연을 파괴한다(인간의 건강과 환경에 해를 끼침).''': 비즈니스의 필요는 공동체를 대체했고 "온라인 스토리"는 사람들을 "인터넷의 영혼"으로 대체했다. 정보의 매매는 소통 감소를 초래했다.[55]

6. 한국 사회와 디스토피아



과도한 경쟁, 학벌주의, 수도권 집중, 양극화, 저출산, 고령화, 환경 문제 등 한국 사회의 당면 과제들은 디스토피아적 미래를 경고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2022년 이태원 압사 사고, 여야 극한 대립과 팬덤 정치, 저출산 심화 등의 사건을 겪으면서, 한국 사회는 디스토피아적 경향이 강화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된다.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고 더 나은 미래로 나아가기 위해서는, 디스토피아적 경고를 진지하게 받아들이고 사회 시스템 전반에 대한 성찰과 개혁이 필요하다.

6. 1. 한국 문학 속 디스토피아

한국 문학에서도 디스토피아적 세계관을 다룬 작품들이 꾸준히 등장해왔다. 이러한 작품들은 한국 사회의 특수한 문제들을 반영하고, 미래에 대한 경고를 담고 있다.

7. 같이 보기

7. 1. 디스토피아 작품 목록

; 해외 작품

; 국내 작품

위 작품들은 디스토피아적 세계관을 배경으로 하거나, 주제로 다루고 있다.[67] 사이버펑크 장르도 디스토피아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

  • --

변경 사항 상세 설명1. 국내 작품 목록 수정:

  • `멋진 신세계`는 올더스 헉슬리의 작품이므로 해외 작품 목록으로 이동해야 합니다. 하지만, 원문에 국내 작품으로 잘못 분류되어 있고, 이를 그대로 반영해야 하므로 수정하지 않았습니다.
  • 나머지 작품들은 원문에 따라 그대로 유지했습니다.

2. 기타:

  • 가독성을 위해 해외 작품과 국내 작품 섹션 제목 앞에 세미콜론(;)을 추가했습니다.
  • 변경된 내용은 없습니다.

7. 2. 관련 개념

브리태니커 국제 대백과사전 소항목 사전에 따르면 디스토피아 작품은 현대의 사회 문제가 해결되지 않은 채 방치되면 근미래가 어떻게 될 것인가 하는 관심에서 많이 생겨났다[61]。 그 대표적인 예로는 『멋진 신세계』(1932년 작)나 『1984년』(1948년 작)이 있으며, 공통점은 인간 해방을 약속했던 과학이나 법률이 거대한 관리 사회를 만들어낸다는 비관적 미래상이다[61]

디스토피아라는 말은 존 스튜어트 밀1868년에 행한 연설에서 처음 등장하였다[66]

토머스 모어의 『유토피아』가 전형적인 예인데, 16세기 이래 유럽에서 쓰여 온 유토피아 문학에 등장하는 다양한 "이상향"의 대부분이 전체주의적이거나 관리 사회적이며, 현대의 가치관으로 보면 디스토피아 그 자체인 사회나 제도도 이상향으로 묘사되는 경우가 있다.

이성통제하는 사회를 낙관적으로 그리며, 비이성과 감정이 지배하는 현실의 사회를 비판해 온 유토피아 문학 작가들은, 현실에서 사회가 이성이나 과학으로 통제되기 시작한 20세기에 이르러 더 이상 낙관적일 수 없게 되어, 기존의 『유토피아』를 역전시켜 디스토피아로 묘사하게 되었다고 지적되기도 한다. 그러나 그 지적은 적절하다고 할 수 없다. 예브게니 자먀틴의 『우리들』에서의 "건강은 시민의 의무이다"라는 말이나 지배 체제, 올더스 헉슬리의 『멋진 신세계』에서의 사회 등 법과 체제는, '''인간 이성의 한계'''에 대한 풍자라고 할 수 있다. 즉, 현재에 이르러서도 "현실 사회는 '''이성이나 과학으로 통제되지 않고'''" 있다. 『우리들』에서는 상호 감시와 집회, 그리고 거기에 있는 상, 혹은 조지 오웰의 『1984년』에서의 "빅 브라더가 당신을 지켜보고 있다"라는 표어와 빅 브라더라는 존재가 중요해진다. 그것들은 개인의 외부에 놓인 우상이며, 현실의 법률 등을 가리키는 우상이기도 하다. 인간의 이성보다 외부에 놓인 우상이 우선시되고 있는 것이다[67]

참조

[1] 서적 City of Darkness Revisited Watermark 2014
[2] 서적 Thinking Utopia: Steps into Other Worlds https://books.google[...] Berghahn Books 2005
[3] 웹사이트 Dystopia – Examples and Definition of Dystopia as a Literary Device https://literarydevi[...] 2021-10-01
[4] 뉴스 Utopia vs. Dystopia https://www.oksd.wed[...]
[5] 웹사이트 The Fine Line between Utopia and Dystopia {{!}} The Prolongation of Work https://sites.willia[...] 2021-10-01
[6] 웹사이트 Definition of "dystopia" http://www.merriam-w[...] Merriam-Webster
[7] 웹사이트 Definition of "dystopia" http://oxforddiction[...] Oxford University Press
[8] 웹사이트 Dystopias & Utopias: Dystopias https://libraryguide[...]
[9] 웹사이트 Dystopias: Definition and Characteristics http://www.readwrite[...] 2006
[10] 서적 Utopia: Or, Apollo's Golden Days https://books.google[...] George Faulkner 1747
[11] 뉴스 Postcard from Belgium: the birthplace of utopia https://www.ft.com/c[...] 2018-08-28
[12] 서적 Public and parliamentary speeches – Part I – November 1850 – November 1868 http://oll.libertyfu[...] University of Toronto Press 2015-02-16
[13] 웹사이트 Passagen – Online sedan 1995 – Jämför försäkringar, lån och elavtal https://passagen.se/ 2022-12-29
[14] OED Dystopia 2009-05-2009
[15] 웹사이트 Adjourned Debate. https://api.parliame[...] 2014-06-08
[16] 서적 Thinking Utopia: Steps into Other Worlds https://books.google[...] Berghahn Books 2005
[17] 웹사이트 Henry George Liddell, Robert Scott, A Greek-English Lexicon, κα^κός https://www.perseus.[...] 2022-12-29
[18] 문서 Plan of Parliamentary Reform, in the form of a catechism 1818
[19] 간행물 Cacotopianism, the Paris Commune, and England's Anti-Communist Imaginary, 1870-1900 https://muse.jhu.edu[...] 2006
[20] 서적 The Utopia Reader https://books.google[...] NYU Press 1999
[21] 서적 Dystopia: A Natural History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16
[22] 문서 "Foretastes of Modernity in Renaissance Literature and Art"
[23] 문서 "Leggere Dante con gli occhi del tardo Novecento" 1987
[24] 웹사이트 Dystopian stories used to reflect our anxieties. Now they reflect our reality https://www.theguard[...] 2017-03-03
[25] 웹사이트 Dystopia facts, information, pictures http://www.encyclope[...] 2017-03-03
[26] 웹사이트 Dystopias: Definition and Characteristics http://www.readwrite[...]
[27] 웹사이트 "Flora's Friday Film: What Happened to Monday, 2/9 {{!}} Rose Scholars Spring 2018" https://blogs.cornel[...] 2023-09-06
[28] 간행물 Why Do We Love Dystopian Stories So Much? The Cast of Divergent Explains https://time.com/320[...] 2017-03-03
[29] 웹사이트 Why are Dystopian Films on the Rise Again? https://daily.jstor.[...] JSTOR Daily 2017-03-03
[30] 간행물 From Belfast to Bamako: Cinema in the Era of Capitalist Realism Palgrave Macmillan UK 2015-01-01
[31] 서적 Post Cinematic Affect https://books.google[...] John Hunt Publishing 2017-03-03
[32] 서적 Marx and the Alternative to Capitalism https://books.google[...] Lulu Press, Inc. 2014-07-24
[33] 서적 Capitalist Superheroes: Caped Crusaders in the Neoliberal Age https://books.google[...] John Hunt Publishing 2017-03-03
[34] 서적 Capitalist realism : is there no alternative? http://archive.org/d[...] Winchester, UK; Washington [D.C.]: Zero Books 2009
[35] 서적 Ghosts of My Life: Writings on Depression, Hauntology and Lost Futures http://archive.org/d[...] Zero Books
[36] 서적 Utopia Reconsidered: Comments on ''1984''
[37] 서적 Utopia Reconsidered: Comments on ''1984''
[38] 웹사이트 Definition of Utopia | Dictionary.com https://www.dictiona[...] 2022-12-29
[39] 서적 Encyclopedia of Utopian Literature ABC-Clio Inc.
[40] 서적 Genre Blending and the Critical Dystopia Routledge
[41] 서적 Vonnegut's ''Player Piano'': An Ambiguous Technological Dystopia
[42] 서적 Don't Bite the Sun Bantam Books
[43] 서적 On Brave New World
[44] 서적 On ''Brave New World''
[45] 서적 Zamiatin's ''We''
[46] 서적 Lord of the World Saint Augustine's Press
[47] 서적 On ''Brave New World''
[48] 서적 The Handmaid's Tale McClelland and Stewart
[49] 간행물 Ground Zero
[50] 서적 No Place Else: Explorations in Utopian and Dystopian Fiction Southern Illinois University Press
[51] 서적 Brave New World https://archive.org/[...]
[52] 간행물 Urban and Natural Spaces in Dystopian Literature Depicted as Opposed Scenarios 2014
[53] 간행물 Espacios urbanos y naturales como escenarios opuestos en la literatura distópica 2014-12-19
[54] 서적 Riddley Walker Bloomsbury
[55] 간행물 Renaissance Now! Media Ecology and the New Global Narrative.
[56] 웹사이트 Technological Determinism: Reification http://visual-memory[...] 2022-12-29
[57] 웹사이트 What Turned Jaron Lanier Against the Web? https://www.smithson[...] Smithsonian (magazine) 2022-12-29
[58] 뉴스 The Information: A History, A Theory, A Flood 2011-04-13
[59] 웹사이트 ディストピア https://kotobank.jp/[...] 2023-05-01
[60] 웹사이트 逆ユートピア https://kotobank.jp/[...] 2023-05-01
[61] 웹사이트 逆ユートピア https://kotobank.jp/[...] 2023-05-01
[62] 웹사이트 δυ^σ- , insepar. Prefix, opp. εὖ, (LSJ *d.110.dus) https://www.perseus.[...] Henry George Liddell, Robert Scott, A Greek-English Lexicon 2022-02-27
[63] 웹사이트 τόπος , ὁ (fem. by attraction (LSJ *t.45.to/pos) https://www.perseus.[...] Henry George Liddell, Robert Scott, A Greek-English Lexicon 2022-02-27
[64] 웹사이트 κα^κός , ή, όν, (LSJ *k.16.kako/s) https://www.perseus.[...] Henry George Liddell, Robert Scott, A Greek-English Lexicon 2022-02-27
[65] 서적 リバタリアニズム読本 勁草書房
[66] 웹사이트 From the second edition (1989): dystopia https://www.oed.com/[...] OED 2022-02-27
[67] 서적 1985年 サンリオ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