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과 샌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검과 샌들 영화는 고대 로마, 그리스-로마, 고대 이집트 등을 배경으로 하는 이탈리아의 모험 영화 장르이다. 이 장르는 근육질 영웅, 곤경에 처한 여성, 사악한 통치자, 검투사, 노예 등을 등장시키며, 때로는 실제 역사적 인물을 차용하기도 한다. 1950년대 후반 스티브 리브스 주연의 '헤라클레스'의 성공 이후 전성기를 맞았으며, '헤라클레스', '골리앗', '마키스테', '우르수스', '삼손' 등을 주인공으로 한 다양한 시리즈가 제작되었다. 1960년대 후반 이후 쇠퇴기를 겪었지만, 1980년대 초 '코난 더 바바리안'의 흥행 성공으로 부활하기도 했다. 2000년대 이후에는 '글래디에이터'의 성공으로 고전 시대에 대한 관심이 다시 높아지며, 관련 영화들이 제작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장르별 이탈리아의 영화 - 잘로
잘로는 1929년 이탈리아 펄프 소설 시리즈에서 유래하여 미스터리, 범죄, 탐정 소설을 아우르는 장르로 발전했고, 1960년대부터는 강력한 촬영 기법과 과도한 폭력 묘사를 특징으로 하는 영화 장르로도 자리 잡았다. - 역사물 - 페르시아인들
페르시아인들은 아이스킬로스가 페르시아 전쟁의 역사적 사실을 바탕으로 창작한 비극으로, 살라미스 해전 패배 후 크세르크세스 1세의 오만함과 몰락을 그리고 있으며, 후대에 다양한 방식으로 재해석되어 여러 문학 작품에 영향을 미쳤다. - 역사물 - 엘리자벳과 나
《엘리자베트와 나》는 19세기 말 오스트리아 황후 엘리자베트와 시녀의 관계를 그린 영화로, 황후를 둘러싼 갈등과 비극적인 결말을 다루며, 비평가들의 호평을 받았다. - 20세기 이탈리아 - 카시빌레 휴전
카시빌레 휴전은 1943년 이탈리아가 연합국에 항복하고 추축국에서 이탈하기 위해 체결된 비밀 휴전 협정이며, 이로 인해 이탈리아는 혼란에 빠지고 독일군에 점령당했으며, 연합군의 이탈리아 전역에 큰 영향을 미쳤다. - 20세기 이탈리아 - 이탈리아 내전
이탈리아 내전은 1943년 무솔리니 정권 몰락 후 파시스트 세력인 이탈리아 사회공화국과 반파시스트 레지스탕스 간에 벌어진 무력 충돌로, 독일군 점령 하에 북부 이탈리아에서 RSI 수립 후 본격화되어 파르티잔과 파시스트 간의 격렬한 충돌과 전쟁 후 숙청 및 보복으로 이어졌으며, 시작 시점과 희생자 규모에 대한 논쟁에도 불구하고 이탈리아 역사상 가장 격렬하고 파괴적인 시기로 기억된다.
검과 샌들 | |
---|---|
장르 | |
유형 | 역사 영화, 성경 영화 |
하위 장르 | 검극 영화 |
국가 | 이탈리아 (주로) |
특징 | |
주요 등장인물 | 헤라클레스 골리앗 율리시스 테베의 여왕 페르세우스 심손 |
시대적 배경 | 고대 그리스, 고대 로마, 성경 시대 |
인기 요인 | 근육질의 영웅 화려한 의상 대규모 전투 장면 과장된 연기 |
역사 | |
기원 | 1910년대 이탈리아 무성 영화 |
전성기 | 1950년대 후반 ~ 1960년대 초반 |
쇠퇴 | 1960년대 중반 |
부활 | 1980년대, 신 페플럼 |
관련 용어 | |
유사 장르 | 페플럼 영화 |
기타 | 이탈리아 영화 |
2. 장르적 특징
검과 샌들 영화는 몇 가지 특징적인 요소를 공유한다. 우선, 헤라클레스, 삼손, 골리앗과 같은 신화적 인물이나 마키스테와 같은 이탈리아 민속 영웅으로 묘사되는 근육질의 영웅이 등장하여 초인적인 힘과 용기를 과시한다.[13] 이들은 곤경에 처한 여인을 구출하고 악당을 물리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 영화에는 영웅의 사랑을 두고 경쟁하는 두 명의 여성이 등장하는 경우가 많다. 한 명은 순수하고 도움이 필요한 곤경에 처한 아가씨이고, 다른 한 명은 영웅을 유혹하거나 지배하려는 팜므 파탈적인 사악한 여왕이다.[14] 또한, 권력을 남용하는 폭군 통치자가 등장하여 영웅과 대립하며, 영웅은 종종 이 폭군을 몰아내고 정의를 실현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문명과 야만인 간의 충돌, 도시나 마을이 불타는 장면 등이 묘사되기도 한다.[14] 이교도의 퇴폐를 강조하기 위해 화려한 댄스 장면이 삽입되기도 한다.
억지스러운 줄거리, 더빙된 대사, 보디빌더 출신 배우들의 미숙한 연기, 조잡한 특수 효과 등은 이 장르의 영화에 캠프적인 매력을 부여하기도 한다.[14] 그러나, 1960년대 초 카이에 뒤 시네마의 프랑스 평론가들은 이 장르와 비토리오 코타파비등 일부 감독들을 칭찬하기도 했다. 비토리오 코타파비는 이 장르를 "신-신화주의"라고 칭했다.
2. 1. 배경
검과 샌들 영화는 고대 로마, 그리스-로마 역사나 고대 이집트, 아시리아, 에트루리아 문명 등 고대 문명과 중세 시대를 배경으로 하는 이탈리아 모험 영화의 한 부류이다. 모든 영화가 판타지에 기반한 것은 아니었으며, 율리우스 카이사르, 클레오파트라, 한니발 같은 실존 인물을 다루면서도 줄거리에 상당한 자유를 부여했다. 검투사, 폭군에 맞서는 노예, 해적, 쾌검사 등도 인기 있는 주제였다.[13]로버트 러싱은 펙플럼을 "신화 시대에 근육질 영웅(보디빌더, 운동선수, 레슬러 등)이 괴물과 싸우고 노출이 심한 미녀를 구출하는 저예산 영화로, 고전 세계를 배경으로 한 서사시보다는 영웅의 육체미에 초점을 맞춘다"고 정의했다.[13] 대부분 헤라클레스, 삼손, 골리앗, 우르수스, 마키스테처럼 초인적인 힘을 가진 남자를 주인공으로 내세웠다. 또한, 영웅의 사랑을 얻기 위해 경쟁하는 두 여성, 즉 구조가 필요한 곤경에 처한 아가씨와 영웅을 지배하려는 팜므파탈 여왕이 등장하는 것이 전형적인 플롯이었다.
이 영화들은 자신의 길을 막는 자들을 살해하고 왕위에 오르려는 야심 찬 통치자를 등장시켰으며, 대개 근육질 영웅만이 그를 몰아낼 수 있었다. 따라서 영웅의 흔한 정치적 목표는 "사악한 독재자를 몰아내고 합법적인 군주를 복위시키는 것"이었다.[14]
많은 펙플럼 영화는 문명과 야만인(주로 침략자) 간의 충돌을 다루며, 마을이나 도시가 불타는 장면을 포함했다. 또한, 이교도의 퇴폐를 강조하기 위해 화려한 댄스 장면을 삽입하는 경우가 많았다.
2. 2. 등장인물
- 근육질 영웅: 주로 전문 보디빌더나 운동선수 출신 배우가 맡았으며, 초인적인 힘과 용기를 보여주는 역할이다. 이들은 종종 헤라클레스, 삼손, 골리앗, 우르수스, 마키스테와 같이 신화적이거나 전설적인 인물로 묘사되었다.
- 곤경에 처한 여성: 아름답고 순결하며, 영웅의 도움을 기다리는 역할이다.
- 사악한 여왕/팜므파탈: 영웅을 유혹하거나 지배하려 하며, 종종 권력을 남용하는 역할이다. 이들은 영웅의 사랑을 얻기 위해 곤경에 처한 여성과 경쟁한다.
- 폭군 통치자: 권력을 남용하고 백성을 억압하며, 영웅과 대립하는 역할이다. 영웅은 종종 이들을 몰아내고 합법적인 군주를 복위시키는 목표를 가진다.
- 검투사, 노예, 해적: 다양한 계층의 인물들이 등장하여 갈등을 빚고, 종종 영웅과 협력하거나 대립하는 역할이다.
- 기타: 밸리댄스나 발레는 이교도의 퇴폐를 묘사하기 위한 장면으로 활용되었다.
2. 3. 줄거리
검과 샌들 영화는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줄거리를 갖는다.- 근육질의 영웅이 환상적인 괴물과 싸우고 노출이 심한 미녀를 구출한다.[13]
- 영웅은 곤경에 처한 여인을 구출한다. 영웅의 사랑을 얻기 위해 경쟁하는 두 명의 여인이 등장하는데, 한 명은 도움이 필요한 순수한 여인이고, 다른 한 명은 영웅을 지배하려는 사악한 팜므 파탈 여왕이다.[14]
- 자신의 길을 가로막는 사람들을 살해하여 왕위에 오르려는 야심 찬 통치자가 등장하며, 종종 근육질의 영웅만이 그를 폐위시킬 수 있다. 영웅의 흔한 정치적 목표는 "사악한 독재자에 맞서 합법적인 군주를 복원하는 것"이다.[14]
- 많은 영화는 한 문명과 다른 야만인, 일반적으로 침략자들에 의해 마을이나 도시가 불타는 장면을 포함하는 두 집단 간의 충돌을 포함한다.
- 대부분의 영화는 이교도의 퇴폐를 강조하기 위한 화려한 댄스 걸 시퀀스를 포함한다.
이 장르에서 인기 있는 테마는 검투사, 헤라클레스, 골리앗, 삼손, 우르수스, 이아손과 아르고 원정대, 이탈리아의 전설적인 괴력남 마키스테의 모험이다.
2. 4. 시각적 요소
검과 샌들 영화는 화려한 의상과 세트를 통해 고대 세계를 재현하려는 노력을 보여준다. 벤허나 클레오파트라와 같은 영화에서 사용된 인상적인 세트가 재사용되기도 했다.[13]격렬한 전투 장면은 검과 샌들 영화의 주요 볼거리 중 하나이다. 검투사 간의 대결, 전차 경주, 대규모 전투 장면 등이 자주 등장하여 관객들에게 긴장감과 흥미를 제공한다.
당시 기술 수준에서 가능한 특수 효과도 적극적으로 활용되었다. 신화 속 괴물이나 초자연적인 현상을 표현하기 위해 다양한 특수 효과가 사용되었는데, 현대의 시각에서는 다소 조잡해 보일 수 있지만, 당시에는 혁신적인 시도로 평가받았다. 이러한 특수 효과는 영화에 캠프적인 매력을 더하기도 한다.[14]
2. 5. 주제
검과 샌들 영화는 성경이나 고대 로마, 그리스-로마 역사나 고대 이집트 등 당시의 다른 현대 문화를 배경으로 하는 이탈리아의 특정 모험 영화 부류이다. 모든 영화가 판타지에 기반을 둔 것은 아니었으며, 율리우스 카이사르, 클레오파트라와 같은 실제 역사적 인물을 등장시키기도 했지만, 줄거리에 큰 자유가 주어졌다. 검투사와 폭군 통치자에 반항하는 노예, 해적, 쾌검사도 인기 있는 주제였다.로버트 러싱은 펙플럼을 "신화 시대에 근육질의 영웅(전문 보디빌더, 운동 선수, 레슬러 또는 건장한 배우)이 환상적인 괴물과 싸우고 노출이 심한 미녀를 구출하는 모습을 묘사한다. 고전 세계를 배경으로 한 호화로운 서사시라기보다는 영웅의 특별한 몸에 초점을 맞춘 저예산 영화이다."라고 정의했다.[13]
검과 샌들 영화는 주로 헤라클레스, 삼손, 골리앗, 우르수스 또는 이탈리아의 인기 민속 영웅 마키스테와 같이 초인적인 힘을 가진 남자를 주인공으로 내세웠다. 플롯은 전형적으로 보디빌더 영웅의 애정을 얻기 위해 경쟁하는 두 명의 여성을 포함했는데, 좋은 사랑의 대상(구조가 필요한 곤경에 처한 아가씨)과 영웅을 지배하려는 사악한 팜므 파탈 여왕이다.
이 영화는 자신의 길을 가로막는 사람들을 살해하여 왕위에 오르려는 야심 찬 통치자를 등장시키고, 그를 폐위시킬 수 있는 것은 근육질의 영웅뿐인 경우가 많았다. 따라서 영웅의 흔한 정치적 목표는 "사악한 독재자에 맞서 합법적인 군주를 복원하는 것"이었다.[14]
많은 펙플럼 영화는 한 문명과 다른 야만인, 일반적으로 침략자들에 의해 마을이나 도시가 불타는 장면을 포함하는 두 집단 간의 충돌을 포함했다. 음악적 내용으로는 이교도의 퇴폐를 강조하기 위한 화려한 댄스 걸 시퀀스가 자주 등장했다.
이 장르에서 인기 있는 테마는 검투사, 헤라클레스, 골리앗, 삼손, 우르수스, 이아손과 아르고 원정대, 이탈리아의 전설적인 괴력남 마키스테의 모험이다.
검과 샌들 영화의 일반적인 줄거리는 영웅을 둘러싸고 사랑 싸움을 벌이는 두 여성, 즉 영웅의 도움을 구하는 순수한 곤경에 처한 여인과 팜 파탈인 사악한 여왕이 등장한다. 밸리 댄스나 이와 비슷한 발레 장면은 광란의 묘사를 의미하고, 악역 측의 (기독교 입장에서) 이교적인 데카당스를 강조하는 역할을 했다.
3. 역사
넓은 의미로 벤허, 클레오파트라, 타이터스, 글래디에이터, 킹 아서, 십계와 같은 역사극(Period piece영어)도 이 장르에 포함될 수 있다. 그런 의미에서 이 장르는 오래된 영화 장르이다. 예를 들어, 최초의 《벤허》(Ben Hur)는 1907년에 제작되었다. 1914년의 《카비리아(Cabiria)》는 촬영 기술 발전에 있어 중요한 작품이며, 근육질 배우(바르톨로메오 파가노 Bartolomeo Pagano)가 기용된 최초의 "검과 샌들" 영화였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검과 샌들" 영화라는 말은 검투사나 성서·신화를 소재로 하고, 전문 보디빌더가 주역을 맡는 경우가 많은 저예산 이탈리아 영화를 가리킨다. 이 장르는 마카로니 웨스턴이 제작되기 전인 1960년부터 1964년까지 이탈리아 영화 산업의 인기 장르였다. 마리오 바바나 세르지오 레오네와 같은 이탈리아의 저명한 영화 감독들이 이 장르에서 나왔다.
1960년대 미국에서 TV 방영될 당시, 이탈리아의 검과 샌들 영화 14편을 임의로 선정하여 "헤라클레스의 아들" 시리즈로 묶었다.
원제 | 시리즈 |
---|---|
마울맨 대 헤라클레스의 아들 | "마치스테" 시리즈 |
로마의 공포 대 헤라클레스의 아들 | "마치스테" 시리즈 |
불의 괴물 대 헤라클레스의 아들 | "마치스테" 시리즈 |
헤라클레스의 아들의 승리 | "마치스테" 시리즈 |
어둠의 땅의 헤라클레스의 아들 | "헤라클레스" 시리즈 |
율리시스 대 헤라클레스의 아들 | "헤라클레스" 시리즈 |
불의 땅의 헤라클레스의 아들 | "우르수스" 시리즈 |
우르수스, 헤라클레스의 아들 | "우르수스" 시리즈 |
리디아의 폭군 대 헤라클레스의 아들 | "골리앗" 시리즈 |
메살리나 대 헤라클레스의 아들 | 검투사 영화 |
사막의 악마 대 헤라클레스의 아들 | 『Anthar l'invincibile』(1964년) |
메두사 대 헤라클레스의 아들 (호걸 페르세우스 대반격) | 기타 고전 검과 샌들 영화 |
바빌론의 야수 대 헤라클레스의 아들 | 기타 고전 검과 샌들 영화 (『L'Eroe di Babilonia』) |
비너스 대 헤라클레스의 아들 | 기타 고전 검과 샌들 영화 (『Venus Against The Son Of Hercules』) |
3. 1. 초기 무성 영화 시대 (1905-1927)
이탈리아 영화 제작자들은 다음과 같은 초기 무성 영화들을 통해 검과 샌들 장르의 기틀을 마련했다.- 로마의 약탈(1905)
- 아그리피나(1911)
- 트로이의 함락(1911)
- 《니네베의 여왕》(1911, 연출 루이지 마지)
- 브루투스(1911)
- 쿼바디스(1913, 연출 엔리코 구아초니)
- 안토니우스와 클레오파트라(1913)
- 카비리아(1914, 연출 조반니 파스트로네)
- 율리우스 카이사르(1914)
조반니 파스트로네가 연출한 카비리아(1914)는 촬영 기술 발전에 있어 중요한 작품이며, 근육질 배우(바르톨로메오 파가노)가 기용된 최초의 "검과 샌들" 영화였다. 이 영화는 근육질 캐릭터 '마키스테'를 처음 등장시켜 이후 시리즈물의 토대를 마련했다.
3. 2. 마키스테 무성 영화 시리즈 (1914-1927)
1914년 영화 이탈리아 무성 영화 ''카비리아''에서 마치스테(바르톨로메오 파가노)가 처음 등장한 이후, 이 캐릭터는 대중적인 인기를 얻어 1914년부터 1926년까지 최소 24편의 이탈리아 무성 영화에 등장했다.[1] 마치스테는 다양한 시대적 배경과 지리적 위치를 넘나들며 활약했다.[1]다음은 무성 마치스테 영화 목록이다.[1]
제목 | 개봉 연도 | 영어 제목 |
---|---|---|
카비리아 | 1914 | Maciste character's first appearance |
마치스테 | 1915 | The Amazing Maciste |
마치스테 베르살리에레 | 1916 | Maciste the Ranger |
마치스테 알피노 | 1916 | Maciste the Warrior |
마치스테 아틀레타 | 1917 | Maciste the Athlete |
마치스테 미디엄 | 1917 | Maciste the Clairvoyant |
마치스테 폴리치오토 | 1917 | Maciste the Detective |
마치스테 투리스타 | 1917 | Maciste the Tourist |
마치스테 손남불로 | 1918 | Maciste the Sleepwalker |
라 리빈치타 디 마치스테 | 1919 | The Revenge of Maciste |
일 테스타멘토 디 마치스테 | 1919 | The Testament of Maciste |
일 비아지오 디 마치스테 | 1919 | The Journey of Maciste |
마치스테 I | 1919 | Maciste the First |
마치스테 콘트로 라 모르테 | 1919 | Maciste Versus Death |
마치스테 이나모라토 | 1919 | Maciste in Love |
마치스테 인 바칸차 | 1920 | Maciste on Vacation |
마치스테 살바토 달라 아쿠에 | 1920 | Maciste Saved from the Waters |
마치스테 에 라 피글리아 델 레 델라 플라타 | 1922 | Maciste and the Daughter of the Silver King |
마치스테 운트 디 재패너린 | 1922 | Maciste and the Japanese |
마치스테 콘트로 마치스테 | 1923 | Maciste Against Maciste |
마치스테 운트 디 치네지셰 트루에 | 1923 | Maciste and the Chinese Trunk |
마치스테 에 일 니포테 디 아메리카 | 1924 | Maciste's American Nephew |
마치스테 임페라토레 | 1924 | Maciste Emperor |
마치스테 콘트로 로 세이코 | 1925 | Maciste Against the Sheik |
마치스테 알 인페르노 | 1925 | Maciste in Hell |
마치스테 넬라 가비아 데이 레오니 | 1926 | Maciste in the Lions' Cage |
일 기안테 델레 돌로미테 | 1927 | The Giant of the Dolomites |
3. 3. 이탈리아 파시스트 및 전후 역사 서사시 (1937-1956)
베니토 무솔리니의 파시스트 정권은 1937년에 제작된 《스키피오 아프리카누스》와 같은 대규모 역사 영화 제작을 지원했다.[16] 이 영화는 스키피오 아프리카누스가 한니발을 상대로 승리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전후 이탈리아에서는 《파비올라》(1949), 《폼페이 최후의 날》(1950), 《메살리나》(1951)와 같은 이탈리아-프랑스 합작 영화들이 등장했다.
1951년, 미국의 영화사 MGM은 《쿼바디스》를 이탈리아에서 촬영하면서 현지의 저렴한 제작비와 숙련된 기술력을 활용했다.[17] 이 영화는 로마 대화재와 네로 황제의 기독교 박해를 다루었으며, 이후 이탈리아 영화 제작자들은 《쿼바디스》에 등장한 우르수스 캐릭터를 활용한 여러 편의 영화를 만들었다.
이 시기에는 리카르도 프레다, 피에트로 프란치스키, 로버트 와이즈, 로버트 로센 등의 감독들이 주요 역사 영화를 연출했다. 리카르도 프레다는 《로마의 죄(Sins of Rome)》(1953)와 《테오도라, 노예 황후(Theodora, Slave Empress)》(1954)를, 피에트로 프란치스키는 《아틸라》(1954)를 감독했다. 로버트 와이즈는 《헬렌 오브 트로이》(1955)를, 로버트 로센은 《알렉산더 대왕》(1956)을 제작했다.

4. 전성기 (1958-1965)
1960년대 미국에서 TV로 방영될 당시, 이탈리아의 검과 샌들 영화 14편을 임의로 선정하여 "헤라클레스의 아들들" 시리즈로 묶었다. 이 영화들은 미국에서 극장 개봉된 적이 없으며, 서로 관련이 없었기 때문에 연대순으로 나열되지 않았다. 각 영화는 1시간 분량의 두 에피소드로 나뉘어 28개의 주간 에피소드로 방영되기도 했다.[25]
"헤라클레스의 아들들" 시리즈는 14편의 이탈리아 검과 샌들 영화를 무작위로 선택하여, 각 영화의 주인공을 헤라클레스와 연결하는 표준 내레이션을 사용한 것이 특징이다.
다음은 "헤라클레스의 아들들" 시리즈에 포함된 영화 목록이다. 첫 번째 제목은 미국의 방송 텔레비전 제목이며, 괄호 안에는 원래 이탈리아 극장 제목의 영어 번역이 표시되어 있다.
미국 방송 제목 | 이탈리아 원제 (번역), 년도, 주연 |
---|---|
Ursus, Son of Hercules | Ursus (1961), 에드 퓨리, 영국에서는 Mighty Ursus로 방영 |
Mole Men vs the Son of Hercules | Maciste, the Strongest Man in the World (1961), 마크 포레스트 |
Triumph of the Son of Hercules | The Triumph of Maciste (1961), 커크 모리스 |
Fire Monsters Against the Son of Hercules | Maciste vs. the Monsters (1962), 레그 루이스 |
Venus Against the Son of Hercules | Mars, God Of War (1962), 로저 브라운 |
Ulysses Against the Son of Hercules | Ulysses against Hercules (1962), 마이크 레인 |
Medusa Against the Son of Hercules | Perseus The Invincible (1962), 리처드 해리슨 |
Son of Hercules in the Land of Fire | Ursus In The Land Of Fire (1963), 에드 퓨리 |
Tyrant of Lydia Against The Son of Hercules | Goliath and the Rebel Slave (1963), 고든 스콧 |
Messalina Against the Son of Hercules | The Last Gladiator (1963), 리처드 해리슨 |
The Beast of Babylon Against the Son of Hercules | Hero of Babylon (1963), 고든 스콧, Goliath, King of the Slaves |
Terror of Rome Against the Son of Hercules | Maciste, Gladiator of Sparta (1964), 마크 포레스트 |
Son of Hercules in the Land of Darkness | Hercules the Invincible (1964), 댄 바디스 |
Devil of the Desert Against the Son of Hercules | Anthar the Invincible (1964), 커크 모리스, 감독: 안토니오 마르게리티, The Slave Merchants, Soraya, Queen of the Desert |
넓은 의미로는 벤허, 클레오파트라, 타이터스, 글래디에이터, 킹 아서, 십계와 같은 역사극도 이 장르에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검과 샌들" 영화는 검투사나 성서·신화를 소재로 한, 전문 보디빌더가 주역을 맡는 경우가 많은, 저예산 이탈리아 영화를 가리킨다. 이 장르는 마카로니 웨스턴이 제작되기 전인 1960년부터 1964년까지 이탈리아 영화 산업의 인기 장르였다. 마리오 바바나 세르지오 레오네와 같은 이탈리아의 저명한 영화 감독이 이 장르에서 나왔다.
이 장르에서 인기 있는 테마는 검투사, 헤라클레스, 골리앗, 삼손, 우르수스(영어: 아서스), 이아손과 아르고 원정대, 이탈리아의 전설적인 괴력남 마키스테의 모험이다. 붐에 불을 지핀 것은 미국의 보디빌더 스티브 리브스 주연의 영화 ''헤라클레스''(1958)였다.
4. 1. 헤라클레스 시리즈

스티브 리브스 주연의 ''헤라클레스''(1958)가 세계적으로 흥행하면서, 1950년대 후반과 1960년대 초반 이탈리아에서는 헤라클레스를 주인공으로 한 영화가 19편 제작되었다. 헤라클레스 언체인드(1959)를 제외하면 각 영화는 독립적인 이야기였다.[25]
이 영화들에서 헤라클레스 역을 맡은 배우는 다음과 같다:
다음은 미국 개봉 제목을 기준으로 한 영화 목록이며, 괄호 안에는 원래 이탈리아 제목을 대략 번역한 제목과 이탈리아 극장 개봉일이 표시되어 있다.
미국 개봉 제목 | 이탈리아 원제 (번역), 개봉일 | 주연 배우 |
---|---|---|
헤라클레스 | 레 파티케 디 에르콜레 (헤라클레스의 노동), 1958 | 스티브 리브스 |
헤라클레스 언체인드 | 에르콜레 에 라 레지나 디 리디아 (헤라클레스와 리디아의 여왕), 1959 | 스티브 리브스 |
골리앗 앤 더 드래곤 | 라 벤데타 디 에르콜레 (헤라클레스의 복수), 1960 | 마크 포레스트 (영어 더빙판에서 골리앗으로 이름 변경) |
헤라클레스 대 히드라 | 글리 아모리 디 에르콜레 (헤라클레스의 사랑), 1960 | 미키 하르기타이, 제인 맨스필드 |
헤라클레스 앤 더 캡티브 우먼 | 에르콜레 알라 콘키스타 디 아틀란티데 (아틀란티스 정복의 헤라클레스), 1961 | 레그 파크 (미국 대체 제목: 헤라클레스와 유령의 여자들) |
헤라클레스 인 더 혼티드 월드 | 에르콜레 알 센트로 델라 테라 (지구 중심의 헤라클레스), 1961 | 레그 파크, 마리오 바바 감독 |
헤라클레스 인 더 밸리 오브 워 | 마키스테 대 에르콜레 날라 발레 데이 구아이 (마키스테 대 헤라클레스 인 더 베일 오브 워), 1961 | 프랭크 고든 주연 코미디 |
율리시즈 대 헤라클레스의 아들 | 울리세 콘트로 에르콜레 (율리시스 대 헤라클레스), 1962 | 마이크 레인 |
더 퓨리 오브 헤라클레스 | 라 푸리아 디 에르콜레 (헤라클레스의 분노), 1962 | 브래드 해리스 (미국 대체 제목: 삼손의 분노) |
헤라클레스, 삼손 앤 율리시즈 | 에르콜레 스피다 산소네 (헤라클레스가 삼손에게 도전), 1963 | 커크 모리스 |
헤라클레스 대 몰록 | 에르콜레 콘트로 몰록 (헤라클레스 대 몰록), 1963 | 고든 스콧 ( 미케네 정복) |
헤라클레스의 아들 인 더 랜드 오브 다크니스 | 에르콜레 린빈치빌레 (무적의 헤라클레스), 1964 | 댄 바디스 (미국 신디케이션 TV 패키지 헤라클레스의 아들들에 포함) |
헤라클레스 vs 더 자이언트 워리어스 | 일 트리온포 디 에르콜레 (헤라클레스의 승리), 1964 | 댄 바디스 (미국 대체 제목: 헤라클레스와 10명의 복수자) |
헤라클레스 대 로마 | 에르콜레 콘트로 로마 (헤라클레스 대 로마), 1964 | 앨런 스틸 |
헤라클레스 대 선의 아들들 | 에르콜레 콘트로 이 피글리 델 솔레 (헤라클레스 대 태양의 아들들), 1964 | 마크 포레스트 |
삼손 앤 히스 마이티 챌린지 | 에르콜레, 산소네, 마키스테 에 우르수스: 글리 인빈치빌리 (헤라클레스, 삼손, 마키스테, 우르수스: 무적의 자들), 1964 | 앨런 스틸 ( 콤바테 데이 지간테스 또는 르 그랑 데피) |
헤라클레스 앤 더 타이런트 오브 바빌론 | 에르콜레 콘트로 이 티란니 디 바빌로니아 (헤라클레스 대 바빌론의 폭군), 1964 | 록 스티븐스 |
헤라클레스 앤 더 프린세스 오브 트로이 | 이탈리아 제목 없음, 1965 | 고든 스콧 ( 헤라클레스 대 바다 괴물; 찰스 밴드 제작 TV 시리즈 파일럿) |
헤라클레스 디 어벤저 | 스피다 데이 지간티 (거인들의 도전), 1965 | 레그 파크 (1961년 레그 파크 주연 영화 재편집) |
쓰리 스투지스 미트 헤라클레스(1962)는 삼손 버크가 헤라클레스 역을 맡은 미국 제작 장르 패러디 영화이다.
4. 2. 골리앗 시리즈
1960년대 초 이탈리아는 골리앗을 슈퍼히어로 주인공으로 내세운 모험 영화(페플럼) 시리즈를 제작했다. 골리앗은 놀라운 힘을 가진 인물이었지만, 영화마다 다른 인물처럼 보이기도 했다. 1959년 스티브 리브스 주연의 ''Il terrore dei barbari''(번역: ''야만인의 공포'')는 미국에서 ''골리앗과 야만인''이라는 제목으로 변경되어 흥행에 성공, 이탈리아 영화 제작자들은 골리앗이라는 이름의 근육질 영웅을 내세운 영화를 4편 더 제작하게 했다. 비록 영화들은 서로 아무런 관련이 없었지만, 1960년 이탈리아 페플럼 영화인 오손 웰스 주연의 ''다윗과 골리앗''은 성경 이야기를 역사적으로 재현한 영화이므로 이 시리즈에 포함되지 않았다.[26]이탈리아 ''골리앗'' 모험 시리즈의 제목은 다음과 같다.
이탈리아어 원제 및 영어 번역 | 미국 개봉 제목 | 주연 | 이탈리아어 버전에서의 이름 |
---|---|---|---|
Il terrore dei barbari / 야만인의 공포 (1959) | '골리앗과 야만인' | 스티브 리브스 | 에밀리아노 |
Goliath contro i giganti / 골리앗 대 거인 (1960) | '골리앗 대 거인' | 브래드 해리스 | 골리앗 |
Goliath e la schiava ribelle / 골리앗과 반역 노예 (1963) | '리디아의 폭군 대 헤라클레스의 아들' | 고든 스콧 | 골리앗 |
Golia e il cavaliere mascherato / 골리앗과 가면 기사 (1964) | '헤라클레스와 가면 기사' | 앨런 스틸 | 골리앗 (영어 더빙판에서는 "헤라클레스") |
Golia alla conquista di Bagdad / 바그다드 정복의 골리앗 (1964) | '다마스쿠스 정복의 골리앗' | 피터 루퍼스 | 골리앗 |
4. 3. 마키스테 시리즈
1960년대 검과 샌들 영화 열풍으로 총 25편의 마치스테 영화가 제작되었다. 이는 1930년 이전에 이탈리아에서 제작된 24편의 무성 영화 마치스테는 제외한 것이다. 1960년, 스티브 리브스의 ''헤라클레스'' 영화 두 편이 흥행에 성공하자, 이탈리아 제작자들은 1920년대 무성 영화 캐릭터 ''마키스테''를 컬러/사운드 영화로 부활시키기로 결정했다. 다른 이탈리아 검과 샌들 영화의 주인공들과 달리 마치스테는 빙하기부터 16세기 스코틀랜드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시대에서 활약했다. 마치스테는 기원에 대한 설정이 없었고, 그의 강력한 힘의 근원은 밝혀지지 않았다. 그러나 1960년대 시리즈의 첫 번째 영화에서 그는 "마치스테"라는 이름이 "바위에서 태어난"을 의미한다고 다른 등장인물에게 언급한다. (마치 그는 필요할 때 땅에서 나타나는 신과 같았다). 1920년대 무성 영화 중 하나는 실제로 ''돌로미테 산맥의 거인''이라는 제목으로, 마치스테가 인간이라기보다는 신일 수 있음을 암시하며 그의 엄청난 힘을 설명해 준다.각 영화에 나열된 첫 번째 제목은 영화의 원어 이탈리아어 제목과 영어 번역이며, 미국 개봉 제목은 괄호 안에 굵은 글씨체로 표시된다.
이탈리아어 원제 | 미국 개봉 제목 | 주연 |
---|---|---|
왕들의 계곡의 마치스테 | 삼손의 아들 (1960) | 마크 포레스트 |
사이클롭스의 땅의 마치스테 | 사이클롭스의 땅의 아틀라스 (1961) | 고든 미첼 |
마치스테 대 뱀파이어 | 골리앗과 뱀파이어 (1961) | 고든 스콧 |
마치스테의 승리 | 헤라클레스의 아들의 승리 (1961) | 커크 모리스 |
칸 대왕의 궁정의 마치스테 | 삼손과 세계의 일곱 가지 기적 (1961) | 고든 스콧 |
마치스테, 세계에서 가장 힘센 남자 | 몰 맨 대 헤라클레스의 아들 (1961) | 마크 포레스트 |
고난의 계곡에서 헤라클레스와 맞선 마치스테 | 고난의 계곡의 헤라클레스 (1961) | 커크 모리스 |
토토 대 마치스테 | 미국 제목 없음 (1962) | 삼손 버크 |
마치스테의 지옥 | 마녀의 저주 (1962) | 커크 모리스 |
마치스테 대 셰이크 | 셰이크에 맞선 삼손 (1962) | 에드 퓨리 |
마치스테, 세계에서 가장 강한 검투사 | 아레나의 거상 (1962) | 마크 포레스트 |
마치스테 대 몬스터 | 헤라클레스의 아들에 맞선 불의 괴물 (1962) | 레그 루이스 |
마치스테 대 헤드헌터 | 거상과 헤드헌터 (1962) | 커크 모리스 |
마치스테, 세계 최고의 영웅 | 바빌론의 골리앗과 죄악 (1963) | 마크 포레스트 |
조로 대 마치스테 | 삼손과 노예 여왕 (1963) | 앨런 스틸 |
마치스테 대 몽골족 | 몽골족에 맞선 헤라클레스 (1963) | 마크 포레스트 |
칭기즈 칸의 지옥의 마치스테 | 야만인에 맞선 헤라클레스 (1963) | 마크 포레스트 |
차르의 궁정의 마치스테 | 차르에 맞선 아틀라스 (1964) | 커크 모리스 |
마치스테, 스파르타의 검투사 | 헤라클레스의 아들에 맞선 로마의 공포 (1964) | 마크 포레스트 |
솔로몬 왕의 광산의 마치스테 | 솔로몬 왕의 광산의 삼손 (1964) | 레그 파크 |
마치스테와 사마르 여왕 | 달의 남자에 맞선 헤라클레스 (1964) | 앨런 스틸 |
천둥의 메아리의 계곡 | 사막의 헤라클레스 (1964) | 커크 모리스 |
헤라클레스, 삼손, 마치스테와 우르수스: 무적들 | 삼손과 그의 강력한 도전 (1964) | 레나토 로시니 |
무적 마치스테 형제 | 무적 마치스테 형제 (1964) | 리처드 로이드 |
마야족의 복수자 마치스테 | 미국 제목 없음 (1965) | 없음 |
- '''각주:''' ''마야족의 복수자 마치스테''(1965)는 이전 마치스테 영화 두 편, ''마치스테 대 몬스터''와 ''마치스테 대 헤드헌터''의 재편집된 영상으로 거의 전부 만들어졌으므로, 마치스테는 다양한 장면에서 커크 모리스에서 레그 루이스로 바뀐다. 이 영화는 미국에서 배급되지 않았고 영어로도 이용할 수 없기 때문에 매우 희귀하다.
헤수스 프랑코는 1973년, 프랑스 제작자를 위해 두 편의 저예산 "마치스테 영화"를 연출했다.
- ''마치스테 대 아마존 여왕(Maciste contre la Reine des Amazones)''
- ''아틀란티스의 마치스테의 에로틱한 업적(Les exploits érotiques de Maciste dans l'Atlantide)''
이 영화들은 거의 동일한 출연진으로 구성되었고, 둘 다 마치스테 역의 발 데이비스가 출연했으며, 연달아 촬영된 것으로 보인다. 전자는 이탈리아에서 "카르잔(Karzan)" 영화(저렴한 타잔 모방)로 배급되었고, 후자는 하드코어 삽입 장면이 있는 프랑스에서만 ''레스 글루톤(Les Gloutonnes)''("탐식자")으로 개봉되었다. 이 두 영화는 1960년대 이탈리아 마치스테 시리즈와 전혀 관련이 없다.
4. 4. 우르수스 시리즈
버디 베어가 1951년 영화 ''쿼바디스''에서 우르수스 역을 맡은 이후, 우르수스는 1960년대 초 이탈리아 모험 영화 시리즈의 주인공이 되었다. 1959년 "헤라클레스" 영화 열풍에 힘입어 이탈리아 영화 제작자들은 헤라클레스와 유사한 근육질 캐릭터를 찾았고, 그 결과 9편의 우르수스 시리즈 영화가 제작되었다.우르수스는 영어 더빙판에서 "헤라클레스의 아들"이라고 불렸지만, 원래 이탈리아 영화에서는 우르수스가 헤라클레스와 아무런 관련이 없었다. 한 우르수스 영화의 영어 더빙 버전(제목 변경: ''헤라클레스, 악의 포로'')에서는 우르수스가 영화 전체에서 "헤라클레스"로 불리기도 했다.
우르수스를 주인공으로 하는 이탈리아 영화는 총 9편이 있으며, 다음과 같이 나열된다.
이탈리아 제목 | 이탈리아 제목의 영어 번역 | 미국 개봉 제목 (개봉 연도) | 주연 |
---|---|---|---|
Ursus | Ursus | 헤라클레스의 아들 우르수스 (1960) 마이티 우르수스 (영국) | 에드 퓨리 |
라 벤데타 디 우르수스 | 우르수스의 복수 | 우르수스의 복수 (1961) | 샘슨 버크 |
Ursus e la Ragazza Tartara | 우르수스와 타타르 소녀 | 우르수스와 타타르 공주 (1961) 타타르족의 침략, 타타르 소녀 | 조 로빈슨, 아킴 타미로프, 요코 타니 |
우르수스 넬라 발레 데이 레오니 | 사자 계곡의 우르수스 | 사자 계곡 (1962) | 에드 퓨리 |
Ursus il gladiatore ribelle | 반란 검투사 우르수스 | 반란 검투사 (1962) | 댄 바디스 |
Ursus Nella Terra di Fuoco | 불의 땅의 우르수스 | 불의 땅의 헤라클레스의 아들 (1963) 불의 땅의 아틀라스의 아들 | 에드 퓨리 |
우르수스 일 테로레 데이 키르기시 | 우르수스, 키르기스의 공포 | 헤라클레스, 악의 포로 (1964) | 레그 파크 |
에르콜레, 삼소네, 마키스테 에 우르수스: 글리 인빈시빌리 | 헤라클레스, 삼손, 마키스테와 우르수스: 무적자들 | 삼손과 그의 강력한 도전 (1964) | 얀 라르보르 |
글리 인빈시빌리 트레 | 무적의 셋 | 세 영웅 (1964) | 앨런 스틸 |
4. 5. 삼손 시리즈
1961년부터 1964년까지 성경의 등장인물 삼손을 슈퍼 히어로로 한 5편의 '삼손' 시리즈가 제작되었다.이탈리아 원제 | 미국 개봉 제목 | 주연 |
---|---|---|
삼손(Sansone) | Samson | 브래드 해리스 |
해적과 맞선 삼손(Sansone contro i pirati) | Samson and the Sea Beast | 커크 모리스 |
헤라클레스, 삼손에 도전하다(Ercole sfida Sansone) | Hercules, Samson and Ulysses | 리처드 로이드(삼손 역) |
삼손 대 흑해적(Sansone contro il corsaro nero) | Hercules and the Black Pirate | 앨런 스틸 |
헤라클레스, 삼손, 마키스테와 우르수스: 무적자들(Ercole, Sansone, Maciste e Ursus: gli invincibili) | Samson and the Mighty Challenge | 네이더 볼티모어(삼손 역) |
또한 'Samson and the Treasure of the Incas (aka Hercules and the Treasure of the Incas)'(1965년)가 검과 샌들 영화로 분류되기도 하지만, 서부극 시대의 남아메리카를 무대로 하고 있기 때문에 여기서는 제외한다.
4. 6. 기타 검과 샌들 영화
1950년대와 1960년대에 제작된 많은 이탈리아 "검과 샌들" 영화들은 헤라클레스, 마키스테, 삼손과 같은 주요 슈퍼히어로를 다루지 않았다. 대신 알리 바바, 율리시스, 카이사르, 클레오파트라, 조로 등 다양한 인물들을 주인공으로 삼아, 일종의 기타 범주로 분류된다.이 장르의 주요 작품들은 다음과 같다:
- ''알렉산더 대왕''(1956): 리처드 버튼 주연 (미국 영화)
- ''아틸라''(1954): 피에트로 프란치시 연출, 앤서니 퀸과 소피아 로렌 주연
- ''율리시스''(1955)
- ''헬렌 오브 트로이''(1955)
- ''로도스의 거상''(1960): 세르지오 레오네 연출
4. 7. 검투사 영화
1960년에 개봉한 영화 스파르타쿠스가 흥행에 성공한 이후, 검투사들의 대결을 다룬 영화들이 다수 제작되었다. 주요 작품으로는 1962년작 《로마에 맞선 고독》, 1974년작 《아레나》, 1965년작 《검투사의 도전》 등이 있다.[27]5. 쇠퇴와 부활
넓은 의미에서 "검과 샌들" 장르는 벤허, 클레오파트라, 십계와 같은 역사극을 포함하며,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다. 최초의 《벤허》는 1907년에 제작되었고, 1914년의 《카비리아]는 촬영 기술 발전에 중요한 작품이자 근육질 배우가 기용된 최초의 "검과 샌들" 영화였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검과 샌들" 영화는 검투사나 성서·신화를 소재로 한, 전문 보디빌더가 주연을 맡는 경우가 많은 저예산 이탈리아 영화를 가리킨다. 이 장르는 1960년부터 1964년까지 이탈리아 영화 산업의 인기 장르였으며, 마리오 바바나 세르지오 레오네와 같은 유명 감독들이 이 장르에서 나왔다.
1960년년대 미국에서는 이탈리아의 검과 샌들 영화 14편을 임의로 선정하여 "헤라클레스의 아들" 시리즈로 묶어 TV 방영하기도 했다. "헤라클레스의 아들" 시리즈의 목록은 다음과 같다.
제목 | 비고 |
---|---|
마울맨 대 헤라클레스의 아들 | "마치스테" 시리즈 |
로마의 공포 대 헤라클레스의 아들 | "마치스테" 시리즈 |
불의 괴물 대 헤라클레스의 아들 | "마치스테" 시리즈 |
헤라클레스의 아들의 승리 | "마치스테" 시리즈 |
어둠의 땅의 헤라클레스의 아들 | "헤라클레스" 시리즈 |
율리시스 대 헤라클레스의 아들 | "헤라클레스" 시리즈 |
불의 땅의 헤라클레스의 아들 | "우르수스" 시리즈 |
우르수스, 헤라클레스의 아들 | "우르수스" 시리즈 |
리디아의 폭군 대 헤라클레스의 아들 | "골리앗" 시리즈 |
메살리나 대 헤라클레스의 아들 | 검투사 영화 |
사막의 악마 대 헤라클레스의 아들 | Anthar l'invincibile영어(1964년) 주연: 커크 모리스, 감독: 안소니 도슨 |
메두사 대 헤라클레스의 아들 (호걸 페르세우스 대반격) | 기타 고전 검과 샌들 영화 |
바빌론의 야수 대 헤라클레스의 아들 | 기타 고전 검과 샌들 영화 (L'Eroe di Babiloniait) |
비너스 대 헤라클레스의 아들 | 기타 고전 검과 샌들 영화 (Venus Against The Son Of Hercules영어) |
5. 1. 2000년대 이후
글래디에이터(2000)의 성공으로 고전 시대를 배경으로 한 영화들이 다시 제작되기 시작했다.[1] 주요 작품으로는 글래디에이터(2000), 알렉산더(2004), 아서 왕(2004), 트로이(2004), 300(2007) 등이 있다.[1]6. 주요 감독 및 배우
마리오 바바, 세르지오 레오네와 같은 이탈리아의 저명한 영화 감독들이 이 장르에서 나왔다.
6. 1. 배우
영화 제목 | 배우 |
---|---|
헤라클레스 (1958년) | 스티브 리브스 |
헤라클레스의 역습 (1959년) | 스티브 리브스 |
웅장한 골리앗 (1960년) | 마크 포레스트 |
헤라클레스 대 히드라 (1960년) | 미키 하기티 |
아틀란티스 정복 (1961년) | 레그 파크 |
헤라클레스 마계의 사투 (1961년) | 레그 파크 |
Maciste contro Ercole nella valle dei guai (1961년) | 커크 모리스 |
Ulisse contro Ercole (1962년) | 마이크 레인 |
헤라클레스의 분노 (1962년) | 브래드 해리스 |
헤라클레스·삼손·율리시스 (1963년) | 커크 모리스 |
Ercole contro Molock (1963년) | 고든 스콧 |
Ercole l'invincibile (1964년) | 댄 바디스 |
il Trionfo di Ercole (1964년) | 댄 바디스 |
Ercole contro Roma (1964년) | 앨런 스틸 |
Ercole contro i figli del sole (1964년) | 마크 포레스트 |
Ercole contro i tiranni di Babilonia (1964년) | 피터 루퍼스 |
Ercole, Sansone, Maciste e Ursus: gli invincibili (1964년) | 커크 모리스 |
Hercules and the Princess of Troy (1965년) | 고든 모리스 |
Sfida dei giganti (1965년) | 레그 파크 |
1962년에 세 얼간이가 제작한 미국의 코미디 영화 '세 얼간이, 헤라클레스를 만나다'에서는 캐나다의 근육질 배우 샘슨 버크가 헤라클레스를 연기했다.
참조
[1]
서적
With Fire and Sword: Italian Spectacles on American Screens, 1958–1968
Scarecrow Press
1994
[2]
서적
Classical Masculinity and the Spectacular Body on Film: The Mighty Sons of Hercules
https://books.google[...]
Springer
2019-02-14
[3]
서적
Italian Sword and Sandal Films, 1908–1990
https://books.google[...]
McFarland
2019-02-14
[4]
서적
A History of Italian Cinema
https://books.google[...]
Bloomsbury Publishing USA
2019-02-14
[5]
서적
Il Grande Libro di Ercole
Edizione Sabinae
2013
[6]
웹사이트
Kino kolossal – Herkules, Maciste & Co
https://letterboxd.c[...]
2021-03-19
[7]
간행물
Cineforum
https://books.google[...]
Federazione italiana cineforum
2019-02-14
[8]
서적
'Then it Was Destroyed by the Volcano': The Ancient World in Film and on Television
https://books.google[...]
Bloomsbury Academic
2019-02-14
[9]
서적
Ancient Greek Women in Film
https://books.google[...]
OUP Oxford
2019-02-14
[10]
서적
Directory of World Cinema: Italy
https://books.google[...]
Intellect Books
2019-02-14
[11]
서적
The New Peplum: Essays on Sword and Sandal Films and Television Programs Since the 1990s
https://books.google[...]
McFarland
2019-02-14
[12]
서적
Genre Hybridisation: Global Cinematic Flow
https://books.google[...]
Schüren Verlag
2019-02-14
[13]
서적
Cycles, Sequels, Spin-offs, Remakes, and Reboots: Multiplicities in Film and Television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Texas Press
2019-02-06
[14]
서적
Of Muscles and Men: Essays on the Sword and Sandal Film
https://books.google[...]
McFarland
[15]
서적
The Ancient World in Silent Cinema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9-02-11
[16]
서적
The Hollywood Hall of Shame
Angus and Robertson
[17]
뉴스
Ben-Hur to Ride for Metro Again
New York Times
1952-12-08
[18]
뉴스
Steve Reeves, Mr. Universe Who Became Movie Strongman, Dies
https://www.latimes.[...]
latimes.com
2021-03-19
[19]
잡지
An Interview with Steve Reeves
http://www.drkrm.com[...]
1994-07
[20]
서적
Spaghetti Westerns: Cowboys and Europeans from Karl May to Sergio Leone
I.B.Tauris
2006
[21]
서적
Cinema Italiano: The Complete Guide from Classics to Cult
https://books.google[...]
Bloomsbury Academic
2019-02-15
[22]
서적
Cent'anni di cinema italiano
https://books.google[...]
Laterza
2019-02-14
[23]
서적
Cent'anni di cinema italiano
https://books.google[...]
Laterza
2019-02-14
[24]
서적
Troy: From Homer's Iliad to Hollywood Epic
https://books.google[...]
John Wiley & Sons
2019-02-14
[25]
문서
Steve Reeves: Demi-God on Horseback
Films of the Golden Age
[26]
서적
Italian Sword and Sandal Films, 1908-1990
McFarland
2017
[27]
서적
Dizionario del cinema italiano: I film
Gremese
1991
[28]
서적
Dizionario del cinema italiano. I film
Gremese Editore
2007
[29]
서적
Cinema Italiano: The Complete Guide from Classics to Cult
https://books.google[...]
2011-04-30
[30]
웹사이트
Hundra
http://www.tcm.turne[...]
[31]
서적
With Fire and Sword: Italian Spectacles on American Screens, 1958–1968
Scarecrow Press
1994
[32]
서적
Classical Masculinity and the Spectacular Body on Film: The Mighty Sons of Hercules
https://books.google[...]
Springer
2019-02-14
[33]
서적
Italian Sword and Sandal Films, 1908–1990
https://books.google[...]
McFarland
2019-02-1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