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게고 단층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게고 단층은 일본 후쿠오카현에 위치한 활성 단층대로, 1970년대 말 규슈 대학 연구진에 의해 발견되어 1981년 게고 단층으로 명명되었다. 이 단층은 동남부와 서북부로 나뉘며, 2005년 후쿠오카현 서쪽 해역 지진 이후 지진과의 연관성이 밝혀졌다. 동남부 단층은 30년 내 지진 발생 확률이 0.3~6%로, 최대 규모 M7.2의 지진 발생이 예상되며, 서북부 단층은 2005년 지진 이후 활동이 없어 가까운 시일 내 지진 발생 가능성은 낮지만, 두 단층이 동시에 움직일 경우 M7.7 규모의 지진이 발생할 수 있다. 후쿠오카시는 게고 단층 주변 지역의 건축물에 대한 내진 설계를 강화하는 조례를 시행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지쿠시노시 - 지쿠젠야마에역
    지쿠젠야마에역은 1929년에 개설되어 1972년 무인역이 되었으며, JR 큐슈가 승계하여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역으로 운영되고, 역 앞에는 니시테쓰 차량이 보존되어 있다.
  • 가스가시 - 서부항공방면대
    서부항공방면대는 일본 항공자위대의 부대로, 서부 지역의 항공 작전을 담당하며, 사령부는 가스가 기지에 위치하고 제5항공단, 제8항공단 등을 예하 부대로 두고 있다.
  • 가스가시 - 제4사단 (육상자위대)
    제4사단은 규슈 북부 지역 방위와 재해 파견을 주 임무로 하는 육상자위대의 사단으로, 후쿠오카현, 사가현, 나가사키현, 오이타현을 관할하며 쓰시마 경비대를 예하에 두고 냉전 종식 후 한반도 유사시에 대한 대비 필요성이 증대됨에 따라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으며, 1950년 경찰예비대 제4관구 총감부로 창설되어 1962년 현재의 제4사단으로 개편되었다.
게고 단층
개요
종류활성단층
위치일본 후쿠오카시 중심부
길이약 25km
주향 이동 단층 여부우수향 주향 이동 단층
활동 여부활성단층
지진 발생 정보
마지막 활동 시기서기 887년 닌나 지진 추정
1596년 게이초 분고 지진 연동 가능성
향후 30년 이내 발생 확률0% ~ 1.5%
지진 규모M 7.0 정도
추가 정보
위험도단층 바로 위는 심한 피해
후쿠오카시는 큰 피해

2. 단층의 발견과 조사

1970년대 후반 규슈 대학과 지질 컨설턴트 회사들이 후쿠오카 도시권의 지반도를 작성하기 위해 조사하던 중 단층을 확인했고, 1981년 게고 단층으로 명명하였다.[13]

2. 1. 초기 조사 (1970년대 ~ 1995년)

1970년대 말, 후쿠오카 도시권의 지반도를 작성하기 위해 규슈 대학 연구진들과 지질 컨설턴트 회사들이 조사를 하던 중 단층을 확인했고, 1981년 게고 단층으로 명명하였다.[13][2] 1995년 효고현 남부 지진 이전까지는 주로 육지 위에 있는 단층으로만 알려져 있었다.

2. 2. 1995년 효고현 남부 지진 이후 조사

1995년 효고현 남부 지진 이후인 1996년 후쿠오카현이 실시한 조사에서는 가장 최근의 지진 활동을 약 17,000년 전에서 3,000년 전 사이로 추정했다. 이 밖에 있었던 이전 지진 활동은 16,000년 전부터 10,000년 전에 있었으며 평균 지진 활동 간격은 약 16,000년, 평균 변위 속도는 1천년당 0.1 m로 활동도를 B급으로 추정하였다.[13]

2005년 후쿠오카현 서쪽 해역 지진이 일어나자 당시 게고 단층은 육지 위에만 있었다고 추정했지만 게고 단층의 연장선 위 해역에 여진이 분포한 것을 보고 지진과 단층 사이 연관성에 대한 주장이 나오기 시작했다. 지진 후에 여러 조사를 진행하여 기존에 알려져 있던 것보다 활동 간격이 짧은 것으로 판명되어 이 결과를 토대로 2007년 지진조사위원회가 평가를 실시했다.[14]

2. 3. 2005년 후쿠오카현 서쪽 해역 지진 이후 조사

2005년 후쿠오카현 서쪽 해역 지진이 일어나자 당시 게고 단층은 육지에만 있었다고 추정했지만, 게고 단층의 연장선 위 해역에 여진이 분포한 것을 보고 지진과 단층 사이 연관성에 대한 주장이 나오기 시작했다.[14] 지진 후에 여러 조사를 진행하여 기존에 알려져 있던 것보다 활동 간격이 짧은 것으로 판명되었고, 이 결과를 토대로 2007년 지진조사위원회가 평가를 실시했다.[14]

3. 게고 단층대의 구조

게고 단층대는 크게 동남부의 게고 단층과 서북부의 후쿠오카현 서북쪽 해역 단층으로 나뉜다.

동남부 게고 단층은 길이 약 27km로, 시카노섬 동남쪽 해저에서 지쿠시노시 사쿠라다이역 남쪽 부근까지 이어진다. 단층면 깊이는 최대 약 15km이며, 주향은 진북쪽에서 서쪽으로 약 50도 기울어져 있다. 자세한 내용은 게고 단층 (동남부) 문단을 참조하면 된다.

서북부 후쿠오카현 서북쪽 해역 단층은 길이 약 25km로, 오로노섬 남남동쪽 해역에서 시카노섬 남쪽 인근 해역까지 이어진다. 단층면 깊이는 최대 약 15km이며, 주향은 진북쪽에서 서쪽으로 약 60도 기울어져 있다. 자세한 내용은 후쿠오카현 서북쪽 해역 단층 (서북부) 문단을 참조하면 된다.

3. 1. 게고 단층 (동남부)

게고 단층은 길이 약 27km의 좌횡단층이며, 서남쪽 융기 성분도 존재한다. 시카노섬 동남쪽 해저에서 지쿠시노시 사쿠라다이역 남쪽 부근까지 이어진다. 단층면의 깊이는 최대 약 15km이며, 주향은 진북쪽에서 서쪽으로 약 50도 기울어져 있다.[15]

  • 시카노섬-후쿠오카시 주오구: 시카노섬 동남쪽 약 1km 해저에서 하카타만을 건너 주오구까지 약 8km 구간은 음파 탐사 결과 단층이 이어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2006년 채굴 조사를 통해 활단층이 존재함이 밝혀졌다.[15][16] 육지에서는 주오구 마이즈루시에서 동남쪽으로 단층이 이어지는 것으로 추정되며, 야쿠인에서도 2001년 시굴 조사를 통해 활단층이 확인되었다.[15][16]

  • 오노조시-다자이후시: 오노조시 가미오리에서는 토지 조사 및 2007년 시굴 조사를 통해 활단층이 확인되었다. 이 부근에는 주향이동단층 3개가 나란히 존재하며, 동쪽 2개 단층은 7세기 중반 미즈키 유적 양 끝에 있으나 유적이 움직이지 않아 7세기 중엽 이후 활동하지 않은 것으로 추정된다.[15][16] 다자이후시 오자노에서도 1996년 시추 및 시굴 조사를 통해 활단층이 확인되었다.[15][16]

3. 2. 후쿠오카현 서북쪽 해역 단층 (서북부)

오로노섬 남남동쪽 해역 약 8 km, 이키섬 동쪽 약 30 km 지점 겐카이나다 해역에서 시카노섬 남쪽 인근 해역까지 이어지는 길이 약 25 km의 단층이다.[15][3] 단층면 분포는 2005년 후쿠오카현 서쪽 해안 지진의 여진 분포와 비슷할 것으로 추정되며 겐카이섬 북단 1-2 km 해역을 통과하는 것으로 추정된다.[15]

단층면의 깊이는 가장 깊은 곳이 약 15 km이며 주향 방향은 진북쪽에서 서쪽으로 약 60도 기울어진 거의 직선 모양이지만, 서북단 끄트머리와 동남단 끄트머리는 약간 시계방향으로 굴곡져 있는 좌횡단층으로 추정된다.[15][3]

4. 인근 단층과의 관계

게고 단층대 서북쪽 약 5km 지점에는 시카노섬 해역 단층이 존재한다. 두 단층은 주향과 변위 방향이 유사하지만, 서로 다른 단층으로 간주된다.[17][5] 하지만 두 단층의 연관성은 계속 논의되고 있다.

후쿠오카현 북서부에는 게고 단층과 평행한 활단층이 다수 존재한다. 우미 단층, 니시야마 단층대, 히나타토게-오카사기토게 단층대 등이 그 예이다.[18][6] 이키섬 북서쪽 해저에도 게고 단층대와 유사한 방향의 단층군이 존재하지만, 연속성은 없는 것으로 판단된다.[7]

5. 지진 발생 가능성

2021년 기준 일본 지진조사연구추진본부는 게고 단층대를 서북부와 동남부로 나누어 평가한다.[12] 서북부 단층은 평균 활동 간격이 불분명해 지진 발생 확률을 구할 수 없지만, 2005년에 지진이 발생했기 때문에 가까운 시일 내에 지진이 발생할 확률은 매우 낮다고 추정한다. 동남부 단층은 2021년 1월 1일 기준 30년 내 발생 확률이 0.3-6% 정도이다. 두 단층대가 동시에 연동할 경우 최대 규모 M7.7의 지진이 발생할 수 있다고 추정된다.[12]

지진 발생 확률 (일본 지진조사위원회 인용)
구역지진 종류규모(M)30년 내 발생 확률
게고 단층 (서북부)직하형지진
주요 활단층대
M7.0 정도-
게고 단층 (동남부)직하형지진
주요 활단층대
M7.2 정도0.3 - 6%

[12]

5. 1. 게고 단층 (동남부)

2021년 일본 지진조사연구추진본부는 게고 단층대를 동남부 단층과 서북부 단층으로 나누어 평가하고 있다. 동남부 단층의 경우 2021년 1월 1일 기준 30년 내 발생 확률은 0.3-6% 정도이며, 50년 내 발생 확률은 0.4-9%, 100년 내 발생 확률은 0.9-20%로 추정하였다. 두 단층대가 한 번에 연동될 경우 추정되는 최대 규모는 M7.7 정도로 추정된다.[12]

지진 발생 확률 (일본 지진조사위원회 인용)
구역지진 종류규모(M)30년 내 발생 확률
게고 단층 (동남부)직하형지진
주요 활단층대
M7.2 정도0.3 - 6%[12]



지진조사위원회의 보고(2007년)에 따르면, 단층대 남동부의 게고 단층에서는 적어도 2차례의 활동이 확인되었다. 가장 최근의 것은 약 3,400년 - 4,300년 전, 다음으로 최근의 것은 약 7,400년 - 8,900년 전이다. 이 두 개의 평균에서 활동 간격은 약 3,100년 - 5,500년으로 추정된다. 지진 1회당 어긋난 양은 단층의 길이로부터 2m 정도로 추정되지만, 평균 변위 속도는 알려져 있지 않다.

5. 2. 후쿠오카현 서북쪽 해역 단층 (서북부)

2021년 일본 지진조사연구추진본부는 게고 단층대를 하나로 묶고, 2005년 지진을 일으킨 서북부 단층과 육지에 있는 동남부 단층으로 나눠서 평가하고 있다. 서북부 단층은 평균 활동 간격이 불분명해 지진 발생 확률을 구할 수 없는 X급 단층으로 구분했으나, 가장 최근 지진이 2005년으로 매우 최근이기 때문에 가까운 시일 내의 지진 발생 확률은 매우 낮다고 추정하고 있다.[12]

지진 발생 확률 (일본 지진조사위원회 인용)
구역지진 종류2021년 1월 1일 기준
규모(M)30년 내 발생 확률
게고 단층 (서북부)직하형지진
주요 활단층대
M7.0 정도-[12]
게고 단층 (동남부)직하형지진
주요 활단층대
M7.2 정도0.3 - 6%[12]



단층대 북서부에서는 2005년 후쿠오카현 서쪽 해역 지진이 가장 최근의 활동임이 확인되었지만, 그 이전의 활동은 불명이며, 활동 간격도 알려져 있지 않다. 지진 1회당 어긋난 양은 2005년 지진 당시의 관측에 기반한 단층 파괴 과정의 해석 결과로부터 2m 정도로 추정되지만, 평균 변위 속도는 알려져 있지 않다.

5. 3. 두 단층 연동 시

일본 지진조사연구추진본부는 2021년 기준으로 게고 단층대를 하나로 묶고, 2005년 지진을 일으킨 서북부 단층과 육지에 있는 동남부 단층으로 나눠서 평가하고 있다. 두 단층대가 한 번에 연동할 경우 추정되는 최대 규모는 M7.7 정도로 추정된다.[12]

6. 예상 피해 및 대책

2008년 지진조사위원회의 지진동 평가에 따르면, 게고 단층 남동부에서 마그니튜드 7.2 규모의 지진이 발생할 경우, 후쿠오카시를 중심으로 하는 저지대 넓은 범위와 구루메시 부근에서 최대 진도 7, 지쿠시 평야의 넓은 범위에서 진도 5강 이상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8]

후쿠오카시는 게고 단층 주변 지역에서 높이 20m 이상 건물을 새로 짓거나 전면 개축할 때, 건축 기준법에 따른 지역 계수를 건설성 고시의 0.8(후쿠오카현)에서 1.0으로 높이도록 하는 조례를 시행하고 있다. 그러나 이 조례는 의무 사항이 아니고 노력 의무 사항이며, 시의 보조금이 필요해 막대한 비용이 들 것으로 예상되어 강제하지 못하고 있다. 2015년 1월까지 약 6년 동안 이 조례의 대상이 된 건물은 177동이었고, 그중 조례를 따른 건물은 53동(약 30%)이었다.

6. 1. 예상 피해

2008년 지진조사위원회가 발표한 지진동 평가에 따르면, 게고 단층 남동부에서 마그니튜드 7.2 규모의 지진이 발생할 경우, 예측 모델에 따라 후쿠오카시를 중심으로 하는 저지대 넓은 범위와 구루메시 부근에서 최대 진도 7, 지쿠시 평야의 넓은 범위에서 진도 5강 이상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8]

6. 2. 대책

후쿠오카시는 게고 단층 주변 지역에서 높이 20m 이상 건물을 새로 짓거나 전면 개축할 때, 건축 기준법에 따른 지역 계수를 건설성 고시의 0.8(후쿠오카현)에서 1.0으로 높이도록 하는 조례를 2008년 10월부터 시행하고 있다. 그러나 이 조례는 의무 사항이 아니고 노력 의무 사항이며, 시의 보조금이 필요해 막대한 비용이 들 것으로 예상되어 강제하지 못하고 있다. 2015년 1월까지 약 6년 동안 이 조례의 대상이 된 건물은 177동이었고, 그중 조례를 따른 건물은 53동(약 30%)이었다.

참조

[1] 문서 福岡県 2012
[2] 뉴스 特集「九州の活断層の現状」(2)4000年周期の地震、間近? http://www.nishinipp[...] 西日本新聞 2015-03-19
[3] 간행물 地震調査委員会 2007
[4] 간행물 国土地理院 都市圏活断層図
[5] 웹사이트 産業技術総合研究所 活断層データベース 起震断層・活動セグメント検索 志賀島沖断層 https://gbank.gsj.jp[...] 2015-04-05
[6] 웹사이트 福岡県の地震活動の特徴 https://www.jishin.g[...] 地震調査研究推進本部 2015-04-05
[7] 웹사이트 地震・地震動評価委員会及び施設健全性評価委員会 第33回 ワーキング・グループ3 http://www.nsr.go.jp[...] 原子力安全委員会(現・原子力規制委員会のHPに掲載) 2009-10-06
[8] 간행물 地震調査委員会 2008
[9] 뉴스 読売新聞 西部版 朝刊 2015-02-23
[10] 간행물 地震調査委員会 2008
[11] 문서 福岡県 2012
[12] 웹인용 長期評価による地震発生確率値の更新について http://www.static.ji[...] 地震調査委員会 2021-01-24
[13] 뉴스 特集「九州の活断層の現状」(2)4000年周期の地震、間近? http://www.nishinipp[...] 西日本新聞 2015-03-19
[14] 웹사이트 警固(けご)断層帯の長期評価について https://www.jishin.g[...] 地震調査研究推進本部 地震調査委員会 2005-03-19
[15] 간행물 地震調査委員会 2007
[16] 간행물 国土地理院 都市圏活断層図
[17] 웹사이트 産業技術総合研究所 活断層データベース 起震断層・活動セグメント検索 志賀島沖断層 https://gbank.gsj.jp[...] 2015-04-05
[18] 웹사이트 福岡県の地震活動の特徴 https://www.jishin.g[...] 地震調査研究推進本部 2015-04-05
[19] 문서 화살표가 가리키는 판이 섭입 당하는 판, 그 반대쪽이 섭입하는 판
[20] 문서 소멸된 판
[21] 문서 백악기에서 고제3기에 걸쳐 형성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