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카타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하카타만은 후쿠오카시를 둘러싸는 만으로, 북쪽으로는 우미노나카미치, 시카노시마, 겐카이섬, 서쪽으로는 이토시마 반도에 의해 형성된다. 남북 약 10km, 동서 약 20km, 면적 약 133km²이며, 매립 사업을 통해 항만 기능을 강화해왔다. 겐카이 국정공원에 포함되어 자연환경 보존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하카타항을 중심으로 다양한 해양 교통과 어업 활동이 이루어진다. 고분 시대부터 중요한 지역으로, 한국 및 중국과의 교류에서 중요한 역할을 해왔으며, 몽골의 침략을 겪기도 했다. 하카타만은 다양한 어종의 서식지이며, 환경 오염과 부영양화 문제에 직면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후쿠오카시의 지리 - 하카타
하카타는 후쿠오카시의 지명으로, 하카타만 연안 또는 구시가지를 의미하며, 역사적으로 대재부의 외항이자 규슈 통치의 중심지였고 현재는 하카타역을 중심으로 상업과 교통의 중심지이며 다양한 축제와 전통 문화를 계승하고 있다. - 후쿠오카시의 지리 - 후쿠오카 아일랜드시티
후쿠오카 아일랜드시티는 하카타항 매립을 통해 조성된 인공 섬으로, 국제 컨테이너 터미널, 도로, 대중교통, 다양한 시설을 갖춘 복합 도시이며, 아일랜드아이, 중앙공원, 대학, 병원 등이 위치해 있다. - 규슈 지방의 만 - 가고시마만
가고시마만(긴코만)은 화산 활동으로 형성된 남북 약 80km의 만으로, 사쿠라지마가 중앙부를 구분짓고 다양한 해양 생물이 서식하며, 지역 경제 및 교통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 규슈 지방의 만 - 벳푸만
벳푸만은 일본 오이타현 중부에 위치한 세토나이카이 만으로, 독특한 지형과 풍부한 해양 생물상을 지니고 있으며, 벳푸온센을 비롯한 여러 도시와 공업지대가 연안에 위치하고 시코쿠 및 혼슈와 연결되는 해상 교통의 요지이자 다양한 해양 스포츠 활동이 이루어지는 곳이다. - 후쿠오카현의 지형 - 간몬 해협
간몬 해협은 혼슈와 규슈 사이에 위치하며, 과거 육지였으나 해수면 상승으로 형성되었고, 단노우라 전투와 시모노세키 조약 등 역사적 사건의 무대가 되었으며, 현재는 해상 및 육상 교통의 요충지이자 관광 명소이다. - 후쿠오카현의 지형 - 겐카이나다
겐카이나다는 규슈 북부와 한반도 남부 사이에 위치한 해역으로, 쓰시마 난류의 영향으로 풍부한 어족 자원을 가지고 어업이 활발하며, 러일전쟁의 쓰시마 해전이 벌어진 곳으로 알려져 있다.
하카타만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위치 | 일본 규슈 북서부 |
면적 | 약 1700 km² |
지리 | |
주요 섬 | 노코 섬 , 겐카이 섬 |
주요 강 | 무로미 강 나카 강 다타라 강 미카사 강 |
접한 해역 | 겐카이나다 |
역사 | |
과거 명칭 | 나노쓰 |
중요 항구 | 하카타항 |
기타 | |
로마자 표기 | Hakata-wan |
2. 지리
하카타만은 북쪽의 우미노나카미치(바다의 중앙 길)와 시카노시마(鹿島) 및 북서쪽의 겐카이섬(玄界島)과 서쪽의 이토시마 반도에 의해 형성된다. 후쿠오카시의 5개 구(히가시구, 하카타구, 추오구, 사와라구, 니시구)가 만에 접해 있으며, 지도에서는 때때로 "후쿠오카만"으로 표기되기도 한다. 하카타만, 후쿠오카만, 이마즈만으로 나뉘기도 하지만, 간편하게 세 만을 통틀어 "하카타만"이라는 용어를 일반적으로 사용한다.[4]
하카타만은 남북으로 약 10km, 동서로 약 20km이며, 면적은 약 133km2이다. 해안선 길이는 128km이다. 만 입구의 폭은 7.7km에 불과하여 해협의 파도로부터 상당히 보호된다. 만의 평균 수심은 10m, 최대 수심은 23m이지만, 조수 간만의 차로 수위가 2m 변한다. 따라서 선박의 흘수(draft)를 보호하기 위해 만 내에는 설정된 항로가 사용된다.
부산광역시의 정의에 따르면[2], 시카노시마 북부 쇼바의 메이진하나에서 겐카이섬-이토시마 반도 북단의 니시우라사키를 잇는 선을 만의 경계로 한다. 또한 환경성에 따르면[3], 시카노시마 메이진하나와 이토시마 반도 니시우라사키를 잇는 선을 하카타만의 해역으로 정한다.
국토지리원 발행의 지형도에서는 “후쿠오카만(하카타만)”이라고 병기되어 있으며, 항만 지역의 해역에는 하카타항, 만 동부(안쪽)에는 하카타만, 만 서부에는 후쿠오카만이라는 명칭이 보인다. 해상보안청 발행의 해도에서는 “후쿠오카만”이라는 명칭이 기재되어 있으며, 니시토자키 서쪽 끝(시카노시마교 교대)에서 노코섬 북부를 거쳐 이마즈의 고이시하나를 잇는 선을 항계로 정하고, 동쪽(안쪽)을 하카타항, 서쪽(바깥쪽)을 후쿠오카만으로 기재한다. 또한 코토 묘켄미사키-생의 송림-이마숙-이마즈 고이시하나(보섬)-노코섬으로 둘러싸인 해역에는 “이마즈만”이라는 명칭이 기재된다.
만 내부에는 와지로 간척지, 이마즈 간척지, 타타라가와 하구, 무로미가와 하구 등의 간척지가 있다.
매립 사업은 메이지 시대 이전부터 시작되어 1945년 이후에도 계속되었다. 1945년 이후 항만 기능 개선 및 강화를 위해 약 1167km2의 면적이 매립되었다. 1994년에는 인공섬인 아일랜드시티(アイランドシティ) 조성이 시작되었다.
이 지역의 특정 규화목은 3세기 징구황후(神功皇后)의 삼한정벌에 사용된 배의 돛대였다고 전해진다. 「나지마의 돛대돌」(나지마노호바시라이시)과 「나가타레의 함홍운모 페그마타이트 암맥」( 리티아 운모 ) (둘 다 국가의 천연기념물로 지정)이 그것이다. 또한 하카타만 지하에는 게이고 단층을 포함한 여러 개의 단층이 지나간다.
이 지역 대부분은 겐카이 국정공원에 포함되며, 만과 섬의 자연 환경 보존을 위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해안선의 대부분은 자연 그대로이지만, 항만 주변 일부는 인공적으로 조성되어 개발되었다. 하카타만의 해안선은 자연 해안, 인공 해안, 반자연 해안으로 크게 나뉘며, 각각 3분의 1씩을 차지한다. 쇼와 초기까지는 해안선의 대부분이 자연 해안이었고 백사청송으로 불렸다.
2. 1. 주요 섬
- 하시마(端島, 하 섬)
- 아이랜드시티
- 미시마(御島, 미 섬)
- 노코노시마(能古島, 노코 섬)
- 시카노시마(志賀島, 시카 섬)
- 우구시마(鵜来島, 우구 섬)
- 호지마(宝島, 호 섬)
- 조우세: 노코노시마 앞바다
- 시카노시마: 육계도
- 후쿠오카 아이랜드시티: 히가시구의 인공섬
- 우라이지마: 주오구 후쿠하마 해변 앞바다
- 타카라지마: 니시구 이마즈 앞바다
- 미시마: 히가시구 카시이 해변 앞바다
- 하시마: 히가시구 니시토자키 앞바다
3. 역사
하카타만과 그 주변 정착지는 3세기 고분 시대부터 활기 넘치고 중요한 지역이었다. 많은 역사적으로 중요한 인물들이 하카타를 거쳐 갔거나 이곳에 살았으며, 많은 주요 사건들이 이곳에서 발생했다. 후쿠오카 성 유적은 만을 따라 자리 잡고 있으며, 수세기 동안 활발한 항구가 존재해 왔다.
이 지역은 기원후 57년경 중국에 의해 인식되었을 것이라고 한다. 한 광무제가 현지 지도자들에게 금인(인장)을 하사하여 당시 나국(奴国)이라 불린 지역에 대한 권위를 인정(또는 부여)했을 것으로 여겨진다.
쿠카이는 이 항구를 통해 중국으로 여행한 많은 유명 인물 중 한 명이다. 그는 806년에 일본으로 돌아와 근처에 동조사를 창건했다. 스가와라노 미치자네는 중국 대사를 지낸 후 교토 조정에서 여러 고위직을 역임한 뒤 901년 하카타로 좌천되었다. 후지와라노 스미토모는 939년 타이라노 마사카도의 반란에 대항하다가 2년 후 하카타로 도망쳐 체포되어 살해되었다.
1336년 4월, 만의 다다라노하마에서 아시카가 다카우지는 고다이고의 동맹군인 기쿠치씨(기쿠치 타케토시가 이끌었음)에 맞서 군대를 이끌었다. 승리한 다카우지는 "단번에 아시카가 지도자는 사실상 규슈의 지배자가 되었습니다."[1]
예수회 선교사 프란치스코 하비에르는 히라도섬에서 교토로 가는 길에 하카타를 지났다.
에도 시대(1603~1868) 동안 하카타는 지정된 항구를 제외하고는 국제 무역이나 여행이 도쿠가와 막부에 의해 금지되었기 때문에 국내 무역만 처리했다. 하카타는 1899년에 국제 무역을 재개했다. 제2차 세계 대전이 끝난 후, 이곳은 일본군과 식민지 거주 민간인들이 본국으로 송환되는 주요 항구 중 하나였다. 하카타는 전후에도 중요한 항구로 남아 오늘날에도 그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
고분시대 하카타만에는 하카타구 레이젠정에서 하카타구 스미요시, 주오구 야쿠인, 주오구 이마이즈미에 이르는 '''레이젠쓰(冷泉津)'''와 현재의 후쿠오카 성터에서 조난구 베후, 주오구 이마가와, 아라쓰야마(서공원)에 이르는 '''구사카에(草香江)'''의 두 개의 내만이 있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따라서 현재의 텐진 지역 등은 바다였다.
- 837년 홍로관(鴻臚館)의 이름이 문헌에 나오다.
- 1161년 다이라 기요모리가 후의 하카타 상인의 기반이 되는 일본 최초의 인공항인 「소데노미나토(袖の湊)」를 건설하다.
- 1195년 에이사이가 귀국하여 성복사를 개산하다.
- 1242년 엔니(벤엔)이 귀국하여 쇼텐지(承天寺)를 개산하다.
- 1276년 연안 일대에 원구방루(元寇防塁)를 쌓다.
- 1587년 도요토미 히데요시가 규슈(九州) 정벌 후 만에서 하카타의 마을을 바라보다.
- 1784년 시가섬에서 금인(金印)을 발견하다.
- 1828년 시볼트 태풍에 의한 고조(高潮)로 2000명이 넘는 사망자 발생.
- 1899년 하카타항 개항.
- 1990년 하카타항이 특정 중요항으로 지정되다.
- 2005년 후쿠오카현 서방 해역 지진으로 항만 시설 등에 피해 발생.
3. 1. 한국과의 관계
하카타만은 한국과 중국과의 외교 및 무역에서 중요한 역할을 해왔다. 3세기에는 조위 왕국에서 온 사신들이 하카타만에 도착했고, 신공황후는 이 항구에서 한국 침략을 시작했다고 전해진다.[1] 7세기까지 하카타는 당나라와의 공식 사절단이 오가는 항구였다.663년 백강전투에서 야마토(일본)와 백제가 패배한 후, 신라와 중국의 침략에 대한 우려가 커지면서 만 주변 지역이 요새화되었다.
1268년 몽골 사신들이 처음 도착했고, 1274년에 일어난 첫 번째 몽골의 일본 원정에 대비하여 규슈의 모든 사무라이 군대가 동원되었다. 쿠빌라이 칸의 군대는 쓰시마섬과 이키섬을 점령하고 하카타만 해안에 상륙했지만, 결국 물러났다. 1281년에 두 번째 침략이 있었지만 마찬가지로 격퇴되었다.[1] 이 두 차례의 침략 시도는 "하카타만 전투"로 불리기도 한다.
1019년 토이 침공에서 여진족은 여러 인근 섬을 점령하여 하카타를 습격하고 공격하는 기지로 삼았다.
다음은 하카타만과 관련된 주요 사건들을 정리한 표이다.
연도 | 사건 |
---|---|
57년 | 후한(後漢) 광무제(光武帝)가 누국(奴国)에 금인(金印) (왜노국왕인(倭奴国王印)) 수여 |
3세기 | 위 사자가 이토국(伊都国)·누국(奴国) 방문 (위지왜인전(魏志倭人伝)) |
4세기 | 신공황후(神功皇后) 삼한정벌 출정·귀국 |
7세기 초 | 견수사(遣隋使) 선박 경유 |
7세기-9세기 | 견당사(遣唐使) 선박 경유 |
663년 | 백강(白村江) 전투 패배. 방인(防人)을 노고섬(能古島)에 둠 |
869년 | 정관의 한구. 신라 해적 침입 |
10세기-13세기 | 일송무역(日宋貿易) 선박 왕래 성행 |
1019년 | 도이(刀伊)의 침입. 여진족 침입 |
1268년 | 쿠빌라이(クビライ) 사자 방문 |
1274년 | 원(元)구(寇)·문영의 역. 원군 햐쿠도(百道)·하카타(博多)·하코자키(箱崎) 상륙 |
1281년 | 원(元)구(寇)·고안의 역 |
15세기-16세기 | 일명무역(日明貿易) 선박 왕래 성행 |
1945년 | 태평양 전쟁 패전, 귀환자(引揚者) 수용 |
1949년 | 강풍으로 만 내 조업 중이던 어선(漁船) 다수 침몰, 기선(汽船) 3척 침몰[5] |
4. 환경
이 지역 대부분은 겐카이 국정공원에 포함되며, 만과 섬의 자연 환경 보존을 위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해안선의 대부분은 자연 그대로이지만, 항만 주변 일부는 인공적으로 조성되어 개발되었다. 하카타만의 해안선은 자연 야생지역 및 공원으로 공식 지정되었다.[6]
시가시마·우미노나카미치·이토시마 반도·겐카이지마·노코시마 등의 지역은 겐카이 국정공원으로 지정되어 있으며, 후쿠오카시 도심부에서 그리 멀리 떨어져 있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자연 환경이 잘 보존되어 있다. 하카타만의 해안선은 겐카이 국정공원 일대의 자연 해안, 항만 시설이 정비된 인공 해안, 그 중간의 반자연 해안으로 크게 나뉘며, 각각 3분의 1씩을 차지한다. 쇼와 초기까지는 해안선의 대부분이 자연 해안이었고 백사청송으로 불렸다. 만 내부에는 와지로 간척지, 이마즈 간척지, 타타라가와 하구, 무로미가와 하구 등의 간척지가 있다.
만 내부에는 삼한정벌의 배의 돛대가 돌로 변했다는 전설을 가진 규화목인 나지마의 돛대돌과 나가타레의 함홍운모 페그마타이트 암맥(리티아 운모)(둘 다 국가의 천연기념물로 지정)이 있다. 또한 하카타만 지하에는 게이고 단층을 포함한 여러 개의 단층이 지나간다.
만 내부의 대표적인 생물로는 무로미가와를 산란 회귀하는 실러우오와 이마즈만의 말굽게가 알려져 있다. 하지만 말굽게의 표식 개체는 25마리 정도이며, 짝짓기하는 암수 한 쌍도 연간 2쌍 정도만 확인될 뿐이다. 또한 쥐노래미·고등어·가자미·감성돔·끄러미·농어·바다빙어·숭어·조피볼락·오징어 등을 낚을 수 있다. 봄 사리 때에는 이마즈 간척지나 무로미가와 하구, 시가섬 주변에서 조개 등을 갯벌체험하는 광경을 볼 수 있다. 또한 만 내부에는 잘피밭·다시마밭·갈라모밭 등 다양한 해조류 서식지가 형성되어 있다.
만 내부에는 와지로 간척지(80ha)를 필두로, 이마즈 간척지(80ha), 타타라가와 하구(32ha), 무로미가와 하구(26ha) 등 크게 4곳의 간척지가 있다. 간척지는 조류의 서식지이며, 서일본 일본해 측으로서는 시지호와 어깨를 나란히 한다. 연중 서식하는 텃새의 서식지일 뿐만 아니라, 겨울에는 철새의 월동지가 되고, 봄가을 이동 시기에는 휴식지가 되기도 한다. 서식 조류의 종류는 200종 이상이며, 겨울에는 갈매기와 오리와 가마우지가 찾아오고, 봄가을에는 도요목과 물떼새목이 찾아온다. 또한 황로·댕기흰죽지·검은머리갈매기·제비갈매기·검은머리갈매기·청머리오리·매·황새·큰뒷부리도요·물수리 등 희귀종도 볼 수 있다. 건설 중인 인공섬 후쿠오카 아일랜드시티 조성 공사 현장 내부의 모의 습지에도 검은머리갈매기 등이 날아온다.
만의 형태와 유입 하천의 수로부터, 하카타만 내부는 토사가 퇴적되기 쉽고, 산업 폐수와 생활 하수 등 환경 오염 물질도 흘러들어오기 쉽다. 만 내부의 해수는 조수 간만에 의한 완만한 순환이 이루어지고 있지만, 외해수와의 교환은 느리다. 후쿠오카시 및 후쿠오카 도시권의 인구 증가·도시화에 따라 오염 물질의 해저 퇴적과 수질 오염이 매년 진행되고 있다. 수질의 환경 기준은 서부 해역과 중부 해역이 A유형, 동부 해역이 B유형이며, 만의 안쪽일수록 오염 경향이 높다. 화학적 산소 요구량(COD)의 발생원별 유입 부하량은 후쿠오카시가 3분의 2, 주변 시정촌이 3분의 1을 차지한다.
산업 폐수와 생활 하수 등의 유입으로 만 내부의 해수는 대체로 부영양화 상태에 있다. 여름에는 해면 표층에서는 적조가, 해저에서는 빈산소수괴가 발생한다. 또한 부영양화에 의해 녹조류류의 파래가 발생하여 하카타만 안쪽의 와지로 간척지에 대량으로 표착한다. 이것은 간척지의 조개류의 성장에 피해를 주고, 더하여 부패 시 악취를 발생시킨다. 하지만 파래의 번식에 의해 질소와 인이 흡수되어 부영양화가 억제되기 때문에, 파래를 퇴비나 식재료로 활용하려는 움직임이 있다. 또한 수저질 정화 및 연안 생물 번식지 공급을 위해 잘피밭이 와지로 간척지에 인공적으로 조성되고 있다.
5. 하천
하카타만으로 흘러드는 하천은 2급 하천이 11수계 40개 하천, 준용 하천이 10수계 27개 하천, 하천법 적용 외의 보통 하천이 63개 하천 있다. 2급 하천의 유역 면적은 약 700㎢이다. 단, 1급 하천은 없다. 다음은 하카타만으로 유입되는 하천과 그 지류의 일부이다.
본류 | 지류 |
---|---|
당원천 | |
향주천 | 함남천, 궁북천 |
다다라가와(多々良川) | 구하라가와, 이노가와, 하세가와, 우미가와, 스에가와, 면타가와, 기츠카신가와 |
오가사가와(御笠川) | 가미무타가와, 모로오카가와, 나카코가와 |
나카가와(나카가와)(九州)(那珂川 (九州)) | 하카타가와, 야쿠인신가와, 와쿠가와 |
흑문천 | |
고모가와 | |
히이가와(樋井川) | 나나쿠마가와, 우메바야시가와, 잇폰마츠가와, 카타에가와, 다가하라가와, 히와라가와, 히가시유야마가와, 누카즈카가와, 누카즈카다니가와 |
무로미가와(室見川) | 가네쿠스리가와(金屑川), 시오이리가와, 유야마가와, 사다시마가와, 히나타가와, 류타니가와, 오가사키가와, 시이하라가와, 코하라가와, 보즈가와, 당원천, 카니마타가와, 신카이가와 |
나가라가와 | |
쥬로가와 | 노가타가와 |
시치지가와 | 나마즈가와 |
에노구치가와 | 토쿠나가가와 |
스이바이지가와 | 미즈사키가와, 슈센지가와, 타지리가와, 벤텐가와, 카와하라가와 |
오하라가와 |
- 히가시구의 미나토가와와 니시구의 사쿠라이가와는 겐카이나다로 흘러든다.
6. 교통
- 부산시영도선
- 안다산업기선
- 해상택시
7. 해수욕장
- 시가섬 해수욕장
- 쇼바 해수욕장
- 시가섬 국민휴가촌 앞 해수욕장
- 노코노시마 해수욕장 (오오도메)
- 노코노시마 해수욕장 (니시하마)
- 씨사이드 모모치 해변공원
- 나마노 마쓰바라 해수욕장
- 오오하라 해수욕장
8. 어업
하카타만에서는 방파제 등 낚시가 가능한 구역이 여러 곳 있지만, 1914년 해상에서의 인명의 안전을 위한 국제협약(SOLAS 협약) 및 어업권에 유의해야 한다. 방파제 낚시 외에도 낚싯배를 이용한 갯바다 낚시도 가능하다.
주요 낚시 장소 |
---|
후쿠오카시 바다낚시 공원 (니시구 오다이케노우라): 재단법인 후쿠오카시 바다낚시 공원 관리협회에서 관리 운영 |
하카타만 외곽 방파제 |
하카타항 하코자키 부두 |
하카타항 중앙 부두 |
타타라가와 강 하구 |
겐카이지마 |
노고시마 |
히로 어항 |
메이하마 어항 |
카라토마리 어항 |
이자키 어항 |
참조
[1]
서적
A History of Japan, 1334-1615
Stanford University Press
[2]
웹사이트
福岡市・博多湾環境保全計画
http://www.city.fuku[...]
[3]
웹사이트
閉鎖性海域ネット・58博多湾
https://www.env.go.j[...]
[4]
웹사이트
西日本新聞サイト内検索
http://www.nishinipp[...]
[5]
서적
日本災害史事典 1868-2009
日外アソシエーツ
[6]
웹사이트
環境省・水質汚濁に係る環境基準について・別表2
https://www.env.go.j[...]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