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렛 신학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 1. 개요
- 2. 역사
- 3. 노스웨스턴 대학교와의 관계
- 4. 시카고 신학대학 협회 (ACTS)
- 5. 학술 센터 및 연구소
- 5.1. 흑인 교회 및 경험 센터 (Center for the Church and the Black Experience)
- 5.2. 스테드 윤리 및 가치 센터 (Stead Center for Ethics and Values)
- 5.3. 루벤 P. 잡 영성 및 영성 형성 연구소 (Ruben P. Job Institute for Spirituality and Spiritual Formation)
- 5.4. 아시아/아시아계 미국인 사역 센터 (Center for Asian/Asian American Ministry)
- 5.5. 스타일버그 설교 연구소 (Styberg Preaching Institute)
- 5.6. 히스패닉-라틴계 센터 (Hispanic-Latinx Center)
- 5.7. 생태 회복 센터 (Center for Ecological Regeneration)
- 6. 주요 동문
- 7. 교수진 (과거 및 현재)
- 참조
1. 개요
게렛 신학교(Garrett–Evangelical Theological Seminary)는 미국 일리노이주 에번스턴에 위치한 연합 감리교 신학교이다. 1851년 설립된 개릿 성경 연구원, 1885년 설립된 시카고 훈련 학교, 1873년 설립된 에반젤리컬 신학 연구원의 융합으로 1974년에 설립되었다. 노스웨스턴 대학교와 캠퍼스를 공유하며, 흑인 교회 및 경험 센터, 윤리 및 가치 센터, 영성 연구소 등 다양한 학술 센터를 운영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에번스턴 (일리노이주)의 건축물 - 노스웨스턴 대학교
노스웨스턴 대학교는 1851년 일리노이주 에번스턴에 설립된 비종파적 사립 연구 대학으로, 언론, 법학, 경영학 분야에서 특히 명성이 높다. - 에번스턴 (일리노이주)의 교육 - 노스웨스턴 대학교
노스웨스턴 대학교는 1851년 일리노이주 에번스턴에 설립된 비종파적 사립 연구 대학으로, 언론, 법학, 경영학 분야에서 특히 명성이 높다. - 감리교 신학교 - 밴더빌트 대학교 신학부
밴더빌트 대학교 신학부는 1875년 남 감리교회의 지원으로 시작된 신학 대학원으로, 인종차별 논란을 겪었으나 현재는 다양한 교단과의 관계를 통해 에큐메니컬 정신을 강조하며, 요란다 피어스 학장과 앨 고어, 윤치호 등의 동문을 배출했다.
게렛 신학교 - [대학]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모토 | 빛이 있으라 |
설립일 | 1853년 |
종류 | 사립 대학 신학교 |
위치 | 에번스턴, 일리노이주 |
국가 | 미국 |
총장 | 하비에르 A. 비에라 |
학장 | 제니퍼 하비 |
종교적 제휴 | 연합감리교회 |
기부금 | 1억 2,400만 달러 |
웹사이트 | 공식 웹사이트 |
2. 역사
게렛-에반젤리컬 신학교는 세 개의 역사 깊은 교육 기관이 하나로 합쳐져 탄생한 결과물이다. 그 뿌리는 19세기 중반으로 거슬러 올라가며, 각 기관은 시대적 요구에 부응하며 발전해왔다.
- '''개릿 성경 연구원'''(Garrett Biblical Institute): 1851년 설립, 1853년 운영 시작. 엘리자 클라크 개릿의 기부로 세워진[2] 미국 중서부 최초의 감리교 신학교. 노스웨스턴 대학교와 함께 설립되어 초기부터 캠퍼스를 공유했다.
- '''시카고 훈련 학교'''(Chicago Training School): 1885년 설립. 여성 목회 활동과 사회 봉사 지도자 양성에 중점을 두었으며, 특히 도시 빈곤층과 이민자, 흑인 대이동 이주민 공동체를 위한 활동에 기여했다. 1934년 개릿 성경 연구원과 통합하여 개릿 신학 연구원이 되었다.
- '''에반젤리컬 신학 연구원'''(Evangelical Theological Seminary): 1873년 복음주의 교회 소속 신학교로 설립. 초기에는 독일어 사용 이민자 공동체의 필요를 충족시키는 데 집중했다.
1974년, 에반스턴의 개릿 신학 연구원과 일리노이주 네이퍼빌의 에반젤리컬 신학 연구원이 합병하여 현재의 게렛-에반젤리컬 신학교가 최종적으로 설립되었다. 합병 이후 학교는 에반스턴의 개릿 캠퍼스를 사용하고 있다.[3]
게렛-에반젤리컬은 설립 초기부터 노스웨스턴 대학교와 긴밀한 관계를 유지해왔으며, 같은 감리교 지도자들에 의해 세워졌다. 목회 지도자 양성과 더불어, 여성들이 교회와 사회에서 지도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교육하는 데 선구적인 역할을 해왔다.[4]
2. 1. 설립 배경
게렛-에반젤리컬 신학교는 다음 세 기관이 통합되어 설립되었다.- '''개릿 성경 연구원'''(Garrett Biblical Institute)은 1851년에 설립되어 1853년부터 운영되었다. 엘리자 클라크 개릿의 기부를 통해 세워졌으며,[2] 미국 중서부 지역 최초의 감리교 신학교였다. 노스웨스턴 대학교를 세운 이들과 동일한 그룹이 설립했으며, 두 기관은 창립 초기부터 에반스턴 캠퍼스를 공유해왔다. 설립자들은 교육받은 성직자의 정신과 영성을 함양하고자 했지만, 당시 많은 지역 교회는 고등 교육 기관에 회의적이었기에 이는 논쟁적인 목표였다. 개릿 성경 연구원과 노스웨스턴 대학교의 설립은 감리교인들이 고등 교육에 깊이 헌신하고, 교회와 시민 사회 지도자들이 교육 기회를 더 쉽게 접할 수 있도록 하려는 초기 노력을 보여주는 사례이다.
- '''시카고 훈련 학교'''(Chicago Training School)는 1885년에 설립되어 시카고 전역에서 여성들의 목회 활동과 사회 및 교육 봉사 기관 발전에 기여했다. 이 학교의 주요 임무는 도시의 가장 가난한 주민들, 특히 유럽에서 온 이민자나 흑인 대이동으로 북쪽으로 이주한 남부 노예 출신 공동체를 옹호할 여성 지도자를 양성하는 것이었다. 또한 전 세계에서 봉사할 선교사를 훈련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시카고 훈련 학교는 1934년 개릿 성경 연구원과 합병하여 '개릿 신학 연구원'(Garrett Theological Seminary)을 이루었다.
- '''에반젤리컬 신학 연구원'''(Evangelical Theological Seminary)은 1873년 복음주의 교회(후에 에반젤리컬 연합 형제 교회)의 신학교로 출발했으며, 처음에는 독일어를 사용하는 이민자 커뮤니티의 필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세워졌다.
현재의 게렛-에반젤리컬 신학교는 1974년, 에반스턴의 개릿 신학 연구원과 일리노이주 네이퍼빌에 있던 에반젤리컬 신학 연구원이 합병하면서 탄생했다. 합병된 학교는 에반스턴의 개릿 캠퍼스를 사용하게 되었다.[3]
게렛-에반젤리컬은 노스웨스턴 대학교 캠퍼스 내에 위치하며, 설립 초기부터 이어진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 두 기관은 19세기 중반 같은 감리교 성직자와 평신도들에 의해 세워졌다. 게렛은 특히 회중을 이끌 목회 지도자 양성에 집중했으며, 여성들이 목회와 공적 영역에서 지도력을 발휘하도록 교육하는 데 선구적인 역할을 했다.[4]
2. 2. 통합과 발전 (1974년~현재)
개릿-에반젤리컬 신학대학원은 1974년, 일리노이주 에반스턴에 위치한 개릿 신학 연구원과 네이퍼빌에 있던 에반젤리컬 신학 연구원이 합병하여 설립되었다. 두 기관 모두 연합감리교회(UMC) 소속 학교였다.[3] 합병된 학교는 에반스턴의 개릿 캠퍼스를 사용하게 되었다.[3]합병의 한 축인 개릿 신학 연구원은 그 자체로 두 기관의 결합체였다. 1853년 운영을 시작한 '''개릿 성경 연구원'''은 후원자 엘리자 클라크 개릿의 기부로 설립된 중서부 최초의 감리교 신학교였다.[2] 노스웨스턴 대학교와 함께 설립되어 초기부터 캠퍼스를 공유하며 교육받은 성직자 양성을 목표로 했다. 1934년, 개릿 성경 연구원은 1885년에 설립된 '''시카고 훈련 학교'''와 합병하여 개릿 신학 연구원이 되었다. 시카고 훈련 학교는 특히 여성 목회자를 양성하고, 도시 빈민(유럽 이민자, 흑인 대이동으로 이주한 남부 흑인 등)을 위한 사회 및 교육 봉사 활동에 기여한 여성 지도자를 배출하는 데 중점을 두었다.
합병의 다른 한 축인 '''에반젤리컬 신학 연구원'''은 1873년 복음주의 교회(후에 에반젤리컬 연합 형제 교회) 소속 신학교로, 주로 독일어를 사용하는 이민자 공동체의 종교적 요구에 부응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현재 개릿-에반젤리컬 신학대학원은 노스웨스턴 대학교 캠퍼스 내에 위치하며, 설립 초기부터 이어져 온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 두 기관은 19세기 중반 동일한 감리교 인사들에 의해 세워졌다. 개릿-에반젤리컬은 목회 지도자 양성에 특화되어 있으며, 특히 여성의 목회 및 공적 영역에서의 리더십 함양에 선구적인 역할을 해왔다.[4]
3. 노스웨스턴 대학교와의 관계
개릿-에반젤리컬 신학교와 노스웨스턴 대학교는 170년의 역사를 가진 관계를 맺고 있다. 두 기관의 설립자들은 당시 급성장하고 확장되던 "노스웨스트" 지역, 즉 시카고랜드 지역을 위해 교육받은 성직자와 교양 있는 시민을 양성하고자 두 기관을 설립했다. 수십 년에 걸쳐 두 기관은 강좌, 건물, 교수진, 도서관, 주차 시설, 기술 등 자원을 공유해 왔으며, 초기에는 공동 이사회를 운영하기도 했다.
4. 시카고 신학대학 협회 (ACTS)
시카고 지역은 미국 내에서 인구 대비 신학대학원이 가장 밀집된 곳 중 하나이다. 이 지역의 학교들은 시카고 신학대학 협회(The Association of Chicago Theological Schools, ACTS)라는 연합체를 구성하고 있으며, 게렛 신학교는 ACTS의 11개 회원 학교 중 하나이다. ACTS 웹사이트는 협회의 강점을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5]
ACTS 내 학교들은 함께 풍부한 신학 교육 자원 네트워크를 제공하여, 이 협회를 세계 최고의 신학 교육 중심지 중 하나로 만들고 있다. 현재 회원 학교에 등록된 약 3,000명의 학생들은 350명 이상의 교수진, 연간 1,000개 이상의 강좌, 170만 권의 장서와 약 5,000종의 정기 간행물 구독이라는 혜택을 누릴 수 있다.
5. 학술 센터 및 연구소
게렛 신학교는 신학 연구와 교육의 깊이를 더하고 실천적 사역을 지원하기 위해 다양한 분야에 특화된 학술 센터와 연구소를 운영하고 있다. 이들 기관은 흑인 교회 경험, 윤리 문제, 영성 형성, 아시아계 사역, 설교학, 히스패닉-라틴계 커뮤니티 지원, 생태 회복 등 특정 주제에 대한 심층 연구, 교육 프로그램 개발, 리더십 훈련, 사회적 담론 형성 등 다각적인 활동을 수행한다. 이를 통해 신학교의 학문적 역량 강화와 사회적 기여 확대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각 센터 및 연구소의 구체적인 활동과 목표는 아래 하위 섹션에서 자세히 다룬다.
5. 1. 흑인 교회 및 경험 센터 (Center for the Church and the Black Experience)
게렛 신학교에서 가장 오래된 학술 센터이다. Center for the Church and the Black Experience|센터 포 더 처치 앤드 더 블랙 익스피리언스eng는 흑인 교회와 흑인 학자, 목사, 설교자, 사회 운동 지도자, 음악가, 작가, 시인, 예술가 등의 삶과 활동, 목소리에 주목한다. 이를 중심으로 연구, 교육, 학문, 리더십 개발, 사회 운동, 영성, 문화적 영향, 예배 생활 등에 관한 활동을 수행한다.5. 2. 스테드 윤리 및 가치 센터 (Stead Center for Ethics and Values)
메리 조이 스테드(Mary Joy Stead)와 제레 스테드(Jerree Stead)의 후원으로 설립되었다. 이 센터는 현대 사회가 직면한 윤리적 문제들을 해결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 신학대학원의 자원, 전문 대학원, 지역의 종교 지도자, 그리고 평신도들을 하나로 모으는 역할을 한다. 센터는 윤리와 가치에 대한 교육 및 연구를 수행하며, 다양한 의견을 나눌 수 있는 대화의 장을 마련한다. 또한, 활발한 대화와 토론을 통해 도덕 공동체를 더욱 강화하는 데 필요한 자원을 개발하고 제공한다.5. 3. 루벤 P. 잡 영성 및 영성 형성 연구소 (Ruben P. Job Institute for Spirituality and Spiritual Formation)
2012년에 설립되었다. 이 연구소는 평신도와 성직자에게 자원을 제공하며, 영성 및 영성 형성 분야의 연구와 훈련 발전을 목표로 한다. 연구소의 명칭은 기독교 영성 형성 분야의 인물이자 게렛-에반젤리컬 동문인 루벤 P. 잡 주교의 이름에서 유래했다.5. 4. 아시아/아시아계 미국인 사역 센터 (Center for Asian/Asian American Ministry)
CAAM(Center for Asian/Asian American Ministry)은 아시아계 학생들을 위한 공동체를 만들고, 신학교의 학문적 생활에서 아시아계 학문에 중심을 둔 노력을 기울인다. 또한 시카고 지역 및 그 외 지역의 아시아계 커뮤니티와 함께 사역을 지원하는 데에도 참여한다.5. 5. 스타일버그 설교 연구소 (Styberg Preaching Institute)
어니스트와 버니스 스타일버그 부부의 기부로 설립되었다. 이 연구소는 설교학 연구 센터로, 설교 기술과 실천 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 연구 사업, 워크숍, 컨퍼런스 등을 진행한다.5. 6. 히스패닉-라틴계 센터 (Hispanic-Latinx Center)
히스패닉-라틴계 센터 (`Hispanic-Latinx Center영어`)는 히스패닉 및 라틴계 교회와 지역 사회를 위한 자원 제공 및 학술적 논의의 장 역할을 한다. 이 센터는 다양한 문화가 공존하는 환경 속에서 사역의 신학적, 실천적 측면과 관련된 주요 쟁점들을 탐구한다.5. 7. 생태 회복 센터 (Center for Ecological Regeneration)
생태 회복 센터는 생태신학 연구, 교육 및 형성을 위한 기회를 제공한다.6. 주요 동문
- 에드셀 앨버트 아몬스 (B.D., 1956) – 연합감리교회의 감독
- 호바트 바우만 암스투츠 (B.D.) – 감리교의 감독
- 제임스 할 콘 (목회학 석사 및 철학 박사) – 흑인 해방 신학의 선구자
- 돈 웬델 홀터 (B.D., 1930) – 연합감리교회의 감독
- 브루스 존슨 – 시카고에서 영 로드와 긴밀히 협력한 감리교 목사
- 조나단 D. 키턴 (목회학 석사, 1971; 신학 박사, 1979) – 연합감리교회의 감독
- 데이비드 J. 로슨 (B.D., 1959) – 연합감리교회의 감독
- 조지 맥거번 (학위 없음, 1946) – 역사가, 정치인, 1972년 민주당 대통령 후보
- J. 고든 멜튼 (M.Div., 1968) – 종교 및 신종교 운동 연구 전문가
- 스모키 노플 (출석) – 미국의 가스펠 가수이자 피아니스트, 2004년 제47회 그래미 어워드 베스트 컨템포러리 소울 가스펠 앨범 수상자
- 로이드 존 오길비 (신학 석사) – 장로교 목사이자 작가, 전 미국 상원 원목
- 브루스 R. 오우 (M.Div., 1978) – 연합감리교회의 감독
- 헨리 C. 섀데버그 (B.D., 1941) – 정치인
- 라일 E. 셜러 (B.D., 1957) – 교회 컨설턴트, 교회 성장 전문가
- 존 S. 스탐 (일리노이주 네이퍼빌의 에반젤리컬 신학대학교 졸업 [E.T.S.]) – 복음주의 교회의 감독
- 존 맥켄드리 스프링거 (B.D., 1901) – 아프리카의 선구적인 감리교 선교사이자 감독
- 에밀리 타운스 (Ph.D., 1989) – 여성주의 신학자이자 밴더빌트 대학교 신학대학원 학장
- 엘머 타운스 (M.R.E.) – 리버티 대학교 공동 설립자
- 제임스 즈웨르그 – 신학대학교 입학 전 프리덤 라이더스 활동가
7. 교수진 (과거 및 현재)
1957–1967 (학장)
1967–1972 (총장)
1972–
'어린이를 위한 월간 잡지 THE SUNDAY-SCHOLARS MIRROR'' 편집 (1850–18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