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계양군 (중국)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계양군은 중국의 옛 행정 구역으로, 전한 고제 때 설치되었다. 형주에 속했으며, 11개의 현을 관할했다. 이후 왕망 때 남평군으로 개칭되었다가 후한 시대에 다시 계양군으로 불렸으며, 서진, 남조 송, 남제 시대를 거치며 관할 현의 변화를 겪었다. 수나라 때 폐지되었다가, 당나라 시기에 천주로 개칭되었다. 계양군에는 침현, 뇌양현, 임무현 등이 속해 있었다.

2. 역사

전한 고조 때 계양군(桂陽郡)이 설치되었다. 왕망 때 남평군(南平郡)으로 개칭되었다가, 후한이 건국되자 다시 계양군으로 불리게 되었다.[1] 서진 시대에는 천, 뇌양, 편, 임무, 진녕, 남평의 6개 현을 관할했다.[3] 남조 송 시대에는 상주에 속했으며, 천, 뇌양, 남평, 임무, 여성, 진녕의 6개 현을 관할했다.[4] 남제 시대에는 천, 임무, 남평, 뇌양, 진녕, 여성의 6개 현을 관할했다.[5]

589년(개황 9년), 수나라가 남조 진을 멸망시키자 계양군은 폐지되어 천주에 통합되었다. 607년(대업 3년)에 주(州)가 폐지되고 군(郡)이 설치되면서 천주는 계양군으로 개칭되었다. 이때 계양군은 천, 임무, 로양의 3개 현을 관할했다.[6]

621년(무덕 4년), 당나라가 소선을 평정하자 계양군은 천주로 개칭되었고, 천, 로양, 의장, 임무, 평양, 진흥의 6개 현을 관할했다. 742년 (천보 원년), 천주는 계양군으로 개칭되었다. 758년 (건원 원년), 계양군은 다시 천주로 개칭되면서 계양군이라는 명칭은 사라졌다.[7]

2. 1. 전한

전한 고조 때 계양군(桂陽郡)이 설치되었다.[1] 형주(荊州)에 속하였으며, 호구 28,119호, 인구 156,488명이었다. 다음 11개 현(10개 현, 1개 후국)을 두었다.[8]

현명한자대략적 위치비고
침현郴縣천저우시뇌산(耒山)에서 뇌수(耒水)가 나와 남서로 상남(湘南)에 이르러 상수로 들어간다. 의제(義帝)가 도읍으로 삼은 곳이다.
임무현臨武縣천저우시 린우현 동진수(秦水)가 남동으로 정양(湞陽)에 이르러 회수(滙水){혹 광수(洭水)}로 들어간다.
편현便縣천저우시 융싱현
남평현南平縣융저우시 란산현 북동
뇌양현耒陽縣헝양시 레이양시용산(舂山)에서 용수(舂水)가 나와 북으로 영(酃)에 이르러 상수로 들어가니, 계양·장사 두 군을 지나 780리를 간다.
계양현桂陽縣칭위안시 롄저우시회수(혹 광수)가 남으로 사회(四會)에 이르러 울수(郁水)로 들어간다.
양산현陽山縣칭위안시 양산현 남동
곡강현曲江縣사오관시 남동
함광현含洭縣칭위안시 잉더시 서응소에 따르면 광수(洭水)가 나와서 북동으로 원수(沅水)로 들어간다.
정양현湞陽縣칭위안시 잉더시 동응소에 따르면 정수(湞水)가 남해(南海) 용천(龍川)에서 나와서 서로 진수(秦水)로 들어간다.
음산후국陰山侯國헝양시 헝둥현 남

[8]

왕망 때 남평군(南平郡)으로 개칭되었다.[1]

2. 2. 신

왕망을 건국했을 때, 현의 이름을 아래와 같이 고쳤다.

전한
선풍
임무대무
편병
뇌양남평정
곡강제로
정양기무

[1]

2. 3. 후한, 동오

형주에 속하였으며 11개 성, 135,029호, 551,403명을 거느렸다. 265년(오 손호 감로 원년), 계양군의 남부지방이 시흥군으로 분리되었다.[9][10]

이름한자비고
침현郴縣객령산(客嶺山)이 있었다.
편현便縣
뇌양현耒陽縣철의 산지였다.
음산현陰山縣상동군으로 분리되었다.
남평현南平縣
임무현臨武縣
계양현桂陽縣265년 시흥군으로 분리되었다.
함광현含洭縣265년 시흥군으로 분리되었다.
정양현湞陽縣영산(領山)이 있었다. 265년 시흥군으로 분리되었다.
곡강현曲江縣《계양태수주경공훈명》(桂陽太守周憬功勳銘)
한녕현漢寧縣영화 원년(136년)에 설치하였다. 229년(오 대제 황무 9년) 양안현(陽安縣)으로 개명되었다.



후한이 건국되자, 계양군으로 다시 불리게 되었다. 계양군은 천, 편, 뇌양, 음산, 남평, 임무, 계양, 함광, 정양, 곡강, 한녕의 11개 현을 관할했다.[2]

2. 4. 진, 송

291년(진 혜제 원강 원년), 강주에 편입되었다가 307년(서진 회제 영가 원년), 신설된 상주로 편입되었다. 이후 상주가 건강정부의 형주 통제 정책에 의해 폐지, 설치가 반복되면서 형주, 상주로 소속이 바뀌었다. 유송대에는 6현 2,219호 22,192명을 거느렸는데, 당시 기준 상주의 치소인 장사까지 수로로 1,400리, 건강까지 수로로 4,940리 거리였다.[11][12]

계양군(진, 송)의 속현
이름한자현급비고
침현郴縣백상
뇌양현耒陽縣자상
편현便縣colspan="2" |
임무현臨武縣
진녕현晉寧縣280년 양안현에서 진녕현으로 개명되었다.
남평현南平縣
여성현汝城縣317년(동진 원제 건무 원년) 신설되었다.



서진 때, 계양군은 침현, 뇌양현, 편현, 임무현, 진녕현, 남평현의 6개 현을 관할했다.[3]

남조 송 때, 계양군은 상주에 속했으며, 침현, 뇌양현, 남평현, 임무현, 여성현, 진녕현의 6개 현을 관할했다.[4]

2. 5. 남제

남제 때 계양군은 천, 임무, 남평, 뇌양, 진녕, 여성의 6개 현을 관할했다.[5]

2. 6. 수, 당

589년(개황 9년), 수나라가 남조 진을 멸망시키자 계양군은 폐지되어 천주에 통합되었다. 607년(대업 3년)에 주(州)가 폐지되고 군(郡)이 설치되면서, 천주가 계양군으로 개칭되었다. 계양군은 천, 임무, 로양의 3개 현을 관할했다.[6]

621년(무덕 4년), 당나라가 소선을 평정하자, 계양군은 천주로 개칭되었고, 천, 로양, 의장, 임무, 평양, 진흥의 6개 현을 관할했다. 742년(천보 원년), 천주는 계양군으로 개칭되었다. 758년(건원 원년), 계양군은 다시 천주로 개칭되면서, 계양군이라는 명칭은 사라졌다.[7]

3. 속현

전한, 후한, 서진, 남조 송·남제, 수나라, 당나라 시대에 현(縣)을 관할했다.

계양군의 속현
시기
전한, 임무, 편, 남평, 뇌양, 계양, 양산, 곡강, 함광, 정양, 음산
후한천, 편, 뇌양, 음산, 남평, 임무, 계양, 함광, 정양, 곡강, 한녕
서진천, 뇌양, 편, 임무, 진녕, 남평
남조 송천, 뇌양, 남평, 임무, 여성, 진녕
남제천, 임무, 남평, 뇌양, 진녕, 여성
수나라천, 임무, 로양
당나라천, 로양, 의장, 임무, 평양, 진흥



589년(개황 9년), 수나라가 남조 진을 멸망시키자 계양군은 폐지되어 천주에 통합되었다. 607년(대업 3년)에 주(州)가 폐지되고 군(郡)이 설치되면서 천주가 계양군으로 개칭되었다.[6] 621년(무덕 4년), 당나라가 소선을 평정하자 계양군은 천주로 개칭되었다. 742년(천보 원년), 천주는 계양군으로 개칭되었다. 758년(건원 원년), 계양군은 다시 천주로 개칭되면서 계양군이라는 명칭은 사라졌다.[7]

3. 1. 전한

전한 고조 때 계양군(桂陽郡)이 설치되었다.[1] 형주(荊州)에 속하였으며, 호구 28,119호, 인구 156,488명이었다. 다음 11개 현(10개 현, 1개 후국)을 두었다.[8]

현명한자대략적 위치비고
침현郴縣천저우시뇌산(耒山)에서 뇌수(耒水)가 나와 남서로 상남(湘南)에 이르러 상수로 들어간다. 의제가 도읍을 삼은 곳이다.
임무현臨武縣천저우시 린우현 동진수(秦水)가 남동으로 정양(湞陽)에 이르러 회수(滙水){혹 광수(洭水)}로 들어간다.
편현便縣천저우시 융싱현
남평현南平縣융저우시 란산현 북동
뇌양현耒陽縣헝양시 레이양시용산(舂山)에서 용수(舂水)가 나와 북으로 영(酃)에 이르러 상수로 들어가니, 계양·장사 두 군을 지나 780리를 간다.
계양현桂陽縣칭위안시 롄저우시회수(혹 광수)가 남으로 사회(四會)에 이르러 울수(郁水)로 들어간다.
양산현陽山縣칭위안시 양산현 남동
곡강현曲江縣사오관시 남동
함광현含洭縣칭위안시 잉더시 서응소에 따르면 광수(洭水)가 나와서 북동으로 원수(沅水)로 들어간다.
정양현湞陽縣칭위안시 잉더시 동응소에 따르면 정수(湞水)가 남해(南海) 용천(龍川)에서 나와서 서로 진수(秦水)로 들어간다.
음산후국陰山侯國헝양시 헝둥현 남

[8]

왕망 때 남평군(南平郡)으로 개칭되었다.[1]

3. 2. 후한

후한이 건국되자, 계양군이 다시 설치되었다. 후한의 계양군은 형주에 속했으며 11개 현, 135,029호, 551,403명을 거느렸다. 265년(오 손호 감로 원년), 계양군의 남부 지방이 시흥군으로 분리되었다.[9][10]

이름한자비고
침현郴縣객령산(客嶺山)이 있었다.
편현便縣
뇌양현耒陽縣철의 산지였다.
음산현陰山縣상동군으로 분리되었다.
남평현南平縣
임무현臨武縣
계양현桂陽縣265년 시흥군으로 분리되었다.
함광현含洭縣265년 시흥군으로 분리되었다.
정양현湞陽縣영산(領山)이 있었다. 265년 시흥군으로 분리되었다.
곡강현曲江縣《계양태수주경공훈명》(桂陽太守周憬功勳銘)
한녕현漢寧縣영화 원년(136년)에 설치하였다. 229년(오 대제 황무 9년) 양안현(陽安縣)으로 개명되었다.


3. 3. 진

291년(진 혜제 원강 원년), 강주에 속했다가 307년(서진 회제 영가 원년), 새롭게 설치된 상주로 소속이 변경되었다.[11][12] 이후 상주는 건강정부의 형주 통제 정책에 의해 폐지와 설치가 반복되면서 형주, 상주로 소속이 바뀌었다. 유송대에는 6현 2,219호 22,192명을 거느렸는데, 당시 기준 상주의 치소인 장사까지 수로로 1,400리, 건강까지 수로로 4,940리 거리였다.[11][12]

이름한자현급비고
침현郴縣백상
뇌양현耒陽縣자상
편현便縣colspan="2" |
임무현臨武縣
진녕현晉寧縣280년 양안현에서 진녕현으로 이름이 바뀌었다.
남평현南平縣
여성현汝城縣317년(동진 원제 건무 원년) 신설되었다.


4. 군수·태수

계양군의 군수·태수에 대한 자세한 연혁은 기록되어 있지 않다. 후한 시대에는 장륭과 난파가, 조위 시대에는 장료가 계양군을 다스렸다는 기록이 있다.[13]

4. 1. 후한


  • 장륭張隆|장륭중국어(25년 무렵)
  • 난파

4. 2. 조위

장료[13]

참조

[1] 서적 漢書
[2] 서적 後漢書
[3] 서적 晋書
[4] 서적 宋書
[5] 서적 南斉書
[6] 서적 隋書
[7] 서적 旧唐書
[8] 서적 汉书地理志汇释 安徽教育出版社 2006-06
[9] 서적 후한서 112권 제 22 군국 4 형주 계양군 https://zh.wikisourc[...]
[10] 서적 삼국지 48권 오서 제 3 3폐주전 손호 https://zh.wikisourc[...]
[11] 서적 진서 15권 지 제5 지리지 下 형주 계양군 https://zh.wikisourc[...]
[12] 서적 송서 27권 지 제 27 주군3 상주 계양태수 https://zh.wikisourc[...]
[13] 서적 수신기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