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담 (삼국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고담은 삼국 시대 동오의 인물로, 오군 고씨 가문 출신이다. 조부 고옹은 동오의 승상이었으며, 손권의 사위이자 손책의 외손자였다. 젊은 시절 손등의 사우로 발탁되어 중서자와 보정도위를 역임하며 손등을 보좌했고, 이후 좌절도, 선조상서 등을 지냈다. 손권의 총애를 받았으나, 노왕 손패와 태자 손화의 후계 다툼에 연루되어 교주로 유배되었고, 246년에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오군 고씨 - 고옹
채옹의 제자이자 학문적 재능을 인정받은 고옹은 손권 휘하에서 회계태수 대행, 좌사마, 상서령 등을 역임하고 승상까지 오른 오나라의 정치가이다. - 오군 고씨 - 고소 (삼국지)
고소는 삼국시대 오나라의 인물로 강동 명문가 출신이며 손책의 딸과 혼인했고 예장군 태수를 지내며 치적을 쌓고 인재를 등용하는 등 뛰어난 능력을 발휘했다. - 동오의 정치인 - 사일
사일은 후한 말부터 삼국시대 초 교주 지역에서 활동하며 정궁을 보좌하여 두각을 나타냈고 합포 태수를 역임했으나, 손권에게 귀순 후 사휘의 반란에 연루되어 처형당하며 격변기의 사씨 가문의 흥망성쇠를 보여주는 인물이다. - 동오의 정치인 - 제갈근
제갈근은 후한 말부터 삼국시대 오나라의 무장으로 손권의 신임을 받았으며, 촉한의 제갈량과 조위의 제갈탄과 함께 삼국시대에 걸쳐 명성을 떨친 인물이다. - 3세기 중국 사람 - 제갈량
제갈량은 삼국 시대 촉한의 정치가이자 전략가로, 유비의 삼고초려로 촉한에 합류하여 승상이 되었고, 섭정으로서 남정을 통해 촉한의 기반을 다졌으며, 북벌을 통해 위나라를 공격했으나 실패했으며, 법치주의와 인재 등용을 중시하고 경제 정책을 통해 국력을 강화했다. - 3세기 중국 사람 - 유비
유비는 후한 말 평민 출신으로 시작하여 관우, 장비와 의형제를 맺고 여러 세력을 거치며 활동하다 제갈량을 영입하여 촉한을 건국하고 초대 황제가 되었으나, 이릉 전투 패배 후 병사하였다.
고담 (삼국지)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고담 (顧譚) |
자 | 자모 (子默) |
출생 | 약 205년 |
사망 | 약 246년 (41세) |
출생지 | 쑤저우, 장쑤성 |
사망지 | 하노이, 베트남 |
아버지 | 고소 |
어머니 | 손책의 딸 |
친척 | 고승 (형) 오나라 고씨 참조 |
관직 경력 | |
봉거도위 (奉車都尉) | 재임 기간 미상 |
선조상서 (選曹尚書) | 재임 기간: 242년 ~ 244년 |
선조상서 전임 | 설종 |
태상 (太常) | 재임 기간: 244년 ~ 245년 |
군주 | 손권 |
승상 | 육손 |
2. 가계 배경
고담은 오군 고씨 가문 출신으로, 그의 선조의 고향은 현재의 장쑤성 쑤저우시에 해당하는 오현(吳縣)이었다.[1] 당시 오군과 강남/강동 지역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4대 가문 중 하나였다.
고담은 젊은 시절부터 그 재능을 인정받아 손권의 주목을 받았다. 손권은 고담의 상소를 읽고 그의 재능을 칭찬하며, 당시 총애하던 측근 서상보다 뛰어나다고 평가했다. 손권은 고담에게 특별한 대우와 선물을 내리며 그의 능력을 높이 샀다.[11]
고담의 할아버지 고옹은 동오의 제2대 승상이었고, 아버지 고소는 후한 말 군벌 손권 휘하에서 예장군(豫章郡, 현재의 장시성 난창시 일대)의 태수를 지냈다. 고담의 어머니는 손권의 형이자 강동 지역을 다스린 군벌이었던 손책의 딸이었다.[2]
3. 생애
고담은 성격이 곧고 강직하여 타인과 쉽게 어울리지 않았지만, 업무 능력은 매우 뛰어났다. 장부를 검사할 때 주판을 사용하지 않고 암산으로 처리하는 능력이 뛰어나 부하들의 신뢰를 얻었다.[12]
가화 6년(237년), 부모의 복상 때문에 직무를 포기하는 자가 끊이지 않자, 엄벌에 처해야 할지 여부에 대한 논의가 있었다. 이때 고담은 자신의 의견을 진술하기도 했다.
설종이 선조상서에서 퇴임하게 되자, 고담은 후임 선조상서가 되었다. 손권은 자신의 조카딸을 고옹의 조카에게 시집보낼 때, 고옹과 함께 혼인 잔치에 참여했다. 이 자리에서 고담은 술에 취해 지나치게 흥분하여 춤을 췄고, 이를 고옹에게 "집안을 망칠 자"라고 질책받았다.[33]
적오 4년(241년), 황태자였던 손등이 사망했다. 손등은 유언에서 기용해야 할 인재 중 한 명으로 고담의 이름을 언급했다.
고담은 손권의 아들들인 손화와 손패 사이의 후계 다툼에서 손화의 편에 섰다. 그는 적자와 서자의 구분을 명확히 해야 한다고 주장하며 손패와 대립했다. 또한 손패를 지지하던 전종 일가와도 갈등을 빚었다. 결국 전종 일가의 참소로 인해 교주로 유배되었고, 그곳에서 생을 마감했다.[33]
3. 1. 초기 경력
고담은 약관의 나이에 제갈각, 장휴, 진표와 함께 손권의 장남 손등의 사우(四友)가 되었다.[3][4] 중서자, 보정도위를 역임하며 손등을 보좌했다.[5] 손등은 제갈각과 고담을 가장 총애했으며, 다른 측근들보다 더 높이 평가했다.[6]
229년, 손등이 비서 호종(胡綜중국어)에게 자신의 네 명의 참모에 대한 논평을 쓰도록 명령했을 때, 호종은 고담이 기회를 포착하는 데 뛰어나고 깊고 세밀한 사고를 가지고 있다고 적었다.[7] 호종이 논평을 공개한 후, 양도(羊衜[8])는 개인적으로 네 사람의 단점에 대해 호종에게 논평했다. 양도는 고담에 대해 "자모(고담의 자)는 영리하지만 무자비하다"고 비판했다.[9]
3. 2. 중기 경력
적오 연간(238년 ~ 251년), 제갈각의 뒤를 이어 좌절도로 임명되었다.[10] 장부를 검사할 때 주산을 쓰지 않고 손가락과 암산으로 의심스럽거나 잘못된 부분을 모두 찾아내어 부하들을 복종시켰다. 봉거도위 관직이 더해졌다.[12] 설종이 선조상서(選曹尙書, 현재의 인사부장에 해당) 자리를 양보하려 했으나,[13] 설종 사후 그를 대신하여 선조상서가 되었다.
손권의 조카딸 혼인 잔치에서 술에 취해 춤을 춘 일로 조부 고옹에게 "집안을 망칠 자"라고 질책받았다.
3. 3. 후계 다툼과 유배
241년, 황태자 손등이 사망하였다.[33] 243년, 조부 고옹이 사망하자, 고담은 태상이 되었으며, 평상서사를 겸임했다.[33] 244년경에는 승상이었던 할아버지 고옹이 맡았던 비서감 감독 업무도 맡게 되었다.[14]
이때 노왕(魯王) 손패가 손권의 총애를 받아 태자 손화와 같은 대우를 받자, 고담은 상소를 올려 적자와 서자의 구분을 명확히 할 것을 주장하여 손패와 사이가 벌어졌다.[16][17] 그는 황태자인 손화가 더 높은 지위에 있으며, 손패에 비해 더 큰 명예와 특권을 받아야 한다고 주장했다.[16]
손패의 측근 전기와는 원래 사이가 좋지 않았는데, 241년 작피 전투의 논공행상 과정에서 전기 일가와 대립하게 되었다.[18][19] 작피 전투에서 오나라 군대는 초기에 조위 군대에 고전하였으나, 고담의 형 고승과 친구 장휴가 분전하여 적의 진격을 막았다.[19] 이후 전종의 아들 전서와 전단이 위군을 격퇴하였으나, 손권은 적의 진격을 막은 고승과 장휴의 공을 더 높게 평가했다.[20] 이로 인해 전기 일가는 고담에게 더욱 앙심을 품게 되었다.[20]
245년, 전기 일가의 참소로 인해 고담은 고승, 장휴와 함께 교주로 유배되었다.[33] 당시 손권은 고담의 재능을 아껴 그에게 공개 사과를 요구하면 용서하려 했으나, 고담은 이를 거부했다.[24] 결국 손권은 고옹과의 관계를 고려하여 고담을 사형 대신 유배형에 처했다.[25]
유배 중 고담은 자신의 처지를 슬퍼하며 《신언》(新言) 20편을 저술했다.[26] 유배된 지 2년 만인 246년, 교지에서 42세의 나이로 사망했다.[26] 유배 당시 고담의 집에는 사사로이 모은 재산이 없었고, 노비도 열 명이 채 되지 않았다고 한다.[33]
4. 평가
육기는 "선태자(손등)는 동궁으로서 위를 바르게 하고, 천자(손권)는 훈도의 뜻을 드높이려고 준수한 선비를 간발하여 측근에서 강학하게 했다. 이때 사방의 준걸들이 모여 태부 제갈각 등은 웅장하고 기이한 점으로 뭇사람을 덮었지만, 고담은 청렴하고 식견이 뛰어났으며, 특히 존중받았다. 태위 범신, 사경, 양휘는 모두 그 이름이 빼어났다고 칭송되었지만, 모두 고담 아래에 놓였다"라고 칭찬했다.
설종은 선조상서의 자리를 물려줄 때 "고담은 세심한 배려와 정밀함을 갖추고, 정도를 관철하여 교화를 미치며, 재능은 인물을 비추고, 덕은 뭇사람의 기대를 충족시킨다."라고 평했다.
손등에게 높은 평가를 받았지만, 태자빈우가 된 남양의 양도는 "자묵정이기흔(고담은 정확하지만 냉혹하다)"라고 평가했다.
5. 친족 관계
참조
[1]
서적
Sanguozhi vol. 52
[2]
서적
Sanguozhi vol. 52
[3]
서적
Sanguozhi vol. 52
[4]
서적
Sanguozhi, vol.59
[5]
서적
Sanguozhi vol. 59
[6]
서적
Gu Tan Zhuan annotation in Sanguozhi vol. 52
[7]
서적
Jiang Biao Zhuan annotation in Sanguozhi vol.59
[8]
문서
[9]
서적
Jiang Biao Zhuan annotation in Sanguozhi, vol.59
[10]
서적
Sanguozhi vol. 52
[11]
서적
Wu Shu annotation in Sanguozhi vol. 52
[12]
서적
Sanguozhi vol. 52
[13]
서적
Sanguozhi vol. 52
[14]
서적
Sanguozhi vol. 52
[15]
서적
Sanguozhi vol. 52
[16]
서적
Sanguozhi vol. 52
[17]
서적
Sanguozhi vol. 52
[18]
서적
Sanguozhi vol. 52
[19]
서적
Sanguozhi vol. 52
[20]
서적
Sanguozhi vol. 52
[21]
서적
Sanguozhi vol. 52
[22]
서적
Wu Lu annotation in Sanguozhi vol. 52
[23]
서적
Wu Lu annotation in Sanguozhi vol. 52
[24]
서적
Wu Lu annotation in Sanguozhi vol. 52
[25]
서적
Jiang Biao Zhuan annotation in Sanguozhi vol. 52
[26]
서적
Sanguozhi vol. 52
[27]
서적
三国志巻52裴注に呉書
[28]
서적
三国志巻52裴注に呉書
[29]
서적
晋書巻57
[30]
서적
晋書巻57, 晋書巻76
[31]
서적
晋書巻76
[32]
서적
晋書巻83
[33]
서적
고담별전(顧譚別傳)
[34]
서적
허장사세보(許長史世譜)
[35]
서적
수서(隨書) 경적지(經籍志)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