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종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전종은 오나라 대제 손권의 사위로, 삼국 시대 오나라의 장군이자 중신이었다. 그는 젊은 시절 쌀을 백성들에게 나눠준 일화로 명성을 얻었고, 방통으로부터 한 시대의 뛰어난 인물이라는 평가를 받았다. 이후 산월 토벌과 관우 토벌에 기여하여 무공을 세웠으며, 석정 전투에서 조휴를 격파하는 등 주요 전투에 참여했다. 손권 사후에는 손패를 지지하여 이궁의 변에 연루되었고, 말년에는 우대사마, 좌군사로 승진했다. 전종은 온화하고 공손한 성품으로 평가받았으나, 아들들의 행실과 이궁의 변 연루로 인해 비판을 받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오군 전씨 - 전서 (동오)
전서는 삼국시대 동오의 장군으로 전종의 아들이며, 작피 전투와 동흥 전투에서 공을 세웠고 양무장군과 우저독을 겸임하다 진북장군에 임명되었으며, 44세에 사망했다. - 오군 전씨 - 전역 (동오)
전역은 오나라의 장수로, 제갈탄의 난에 연루되어 위나라에 항복하여 평동장군에 임명된 인물이다. - 196년 출생 - 조충 (창서)
조충은 후한 말 조조의 아들로, 어려서부터 총명하여 조조의 총애를 받았으나 13세에 요절, 조조의 후계 구도에 영향을 미친 인물이다. - 196년 출생 - 석포
석포는 발해군 남피현 출신으로 위나라와 서진 시대에 활약하며 사마씨 정권에서 중용되어 동흥 전투와 제갈탄의 난에서 공을 세웠고, 대사마에 임명되었다가 면직된 후 사도로 농업 진흥에 기여하다 272년에 사망했다. - 198년 출생 - 육개
육개는 손권과 손호 치세에 여러 요직을 역임하고 백성을 위한 정치를 펼쳤으며, 수춘 전투에 참여하고 좌승상에 이르렀으며, 간언을 서슴지 않다가 72세에 사망한 강직하고 청렴한 관리이다. - 198년 출생 - 두서
두서는 삼국시대 위나라의 관료이자 학자로, 두기의 아들이며 풍락정후 작위를 받았고, 유주자사, 건위장군, 산기황문시랑 등을 역임했으나, 정희와의 갈등으로 탄핵받아 평민으로 강등된 후 유배지에서 저술 활동을 하다 생을 마감했다.
전종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본명 | 전종 |
출생 | 196년 또는 198년 |
출생지 | 항저우, 저장 성 |
사망 | 247년 또는 249년 (51세) |
자 | 자황(子璜) |
작위 | 첸탕후(錢塘侯) |
가족 관계 | 이 섹션 참조 |
아버지 | 전유 |
배우자 | 손노반 |
자녀 | 전서 전기 전이 전오 |
직업 | 군사 장군 |
관직 | |
좌군사 | 임기 시작: 246년 9월 또는 10월 임기 종료: 247년 또는 249년 군주: 손권 |
우대사마 | 임기 시작: 246년 9월 또는 10월 임기 종료: 247년 또는 249년 군주: 손권 |
서주목 (명목상) | 임기 시작: 229년 임기 종료: 246년 9월 또는 10월 군주: 손권 |
좌호군 | 임기 시작: 229년 임기 종료: 246년 9월 또는 10월 군주: 손권 |
위장군 | 임기 시작: 229년 임기 종료: 246년 9월 또는 10월 군주: 손권 |
동안태수 | 임기 시작: 226년 임기 종료: 229년 군주: 손권 |
구강태수 | 임기 시작: 223년 임기 종료: 226년 군주: 손권 |
수남장군 | 임기 시작: 223년 임기 종료: 229년 군주: 손권 |
편장군 | 임기 시작: 220년 임기 종료: 223년 군주: 손권 |
분위교위 | 임기 시작: ? 임기 종료: 220년 군주: 손권 |
2. 생애
전종은 대제의 사위였다.[91] 주유 사후, 방통은 전종을 “베푸는 것을 좋아하고 명성을 흠모”한다고 평했다.[91]
이후 손권은 전종을 분위교위에 임명하여 산월을 토벌하게 했고, 전종은 이를 통해 정병 1만 명을 얻어 편장군으로 승진했다.[91] 219년 관우를 습격할 때, 전종은 상소를 올려 토벌 계책을 올렸고, 손권은 관우를 체포한 후 전종을 양화정후로 봉했다.[91]
222년 위나라가 동구로 쳐들어오자 서성과 함께 적장 윤로를 베는 공을 세워 수남장군, 전당후로 승진했다.[91][93] 225년 구강태수를 겸했고,[91] 228년 석정 전투에서는 좌독으로 참전하여 조휴를 격파했다.[91][94] 이후 동안군 태수를 맡아 상벌을 밝히 하고 투항을 권유하여 수 년 만에 1만여 명을 얻었다.[91]
229년 손권이 동오를 건국하고 제위에 오르자, 전종은 위장군, 좌호군, 서주목으로 승진했고, 손노반을 아내로 맞이했다.[91] 가화 2년(233년) 육안을 공격했고, 적오 4년(241년) 회남을 공략하여 작피를 무너뜨렸으나 왕릉에게 패했다.[91][95]
전종은 공손하고 언사에 능했으나,[91] 손화와 손패의 후계 다툼에서 손패를 지지하고, 육손과 대립했으며, 고담, 고승, 장휴를 무고하는 등 과오도 있었다.[91][96][97][98][99][100]
246년 우대사마, 좌군사로 승진했다.[91] 249년 또는 247년, 52세의 나이로 사망했고, 아들 전역이 지위와 병사를 이었다.[91][101]
2. 1. 초기 생애와 명성
전종(全琮)은 오군 전당현(현재의 중국 저장성 항저우) 출신이다.[1] 아버지 전유(全柔)는 후한 영제 때 효렴으로 천거되어 벼슬을 시작했다.[2]전종은 아버지의 명령으로 쌀 수천 석을 배에 싣고 오군으로 가서 물건과 바꾸려 했다. 그러나 전종은 오군에서 쌀을 백성들에게 나누어 주고 빈손으로 돌아왔다.[91] 전유는 분노했다.[91] 전종은 "바꾸려 한 물건은 긴요한 것이 아니지만, 사대부들이 고난에 닥쳤기에 미처 알리지 못하고 구제했습니다"라고 답했다. 전유는 이를 기이하게 여겼다.[91]
당시 전쟁으로 황폐해진 중국 중부에서 피난 온 많은 난민들이 양쯔강을 건너 남쪽으로 피신해 있었다. 전종은 수백 명의 난민을 받아들여 그들에게 필요한 물품을 제공하는 데 자신의 모든 가산을 썼다. 그는 그의 선행으로 유명해졌다.[9]
210년, 주유가 죽었을 때, 방통이 주유의 상여를 운구하여 오에 이르렀다가 돌아가는 길에 창문(昌門)에서 육적, 고소, 전종을 만났다.[92] 방통은 이 세 사람을 평했는데, 전종에게는 “경은 베푸는 것을 좋아하고 명성을 흠모하니, 여남의 번자소(樊子昭)와 비슷한 것이 있습니다. 비록 지력은 많지 않으나, 역시 한 시대의 뛰어난 인물입니다.”라고 평했다.[91]
2. 2. 손권 휘하에서의 활약
손권에게 등용되어 분위교위, 편장군 등을 역임하며 산월 토벌에 공을 세웠다.[91]219년, 관우가 번성을 공격할 때, 전종은 손권에게 관우를 토벌할 계책을 상소했다.[91] 손권은 비밀이 새어나갈 것을 우려하여 답하지 않았으나, 관우를 사로잡은 후 전종을 치하하고 양화정후에 봉했다.[91]全琮上疏|전종 상소중국어의 내용은 유비와의 동맹을 깨고 형주를 점령할 기회로 삼자는 내용이었다.[12]
222년, 위나라가 동구로 쳐들어오자 서성과 함께 위나라 장수 윤로를 베는 등 큰 공을 세워[91][93] 수남장군, 전당후로 승진했다.[91]
225년, 구강태수를 겸임했고,[91] 228년 석정 전투에서는 좌독으로 참전하여 조휴를 격파했다.[91][94]
동안군 태수를 역임하며 산월을 회유하고 귀순시키는 데 큰 역할을 했다.[91]
2. 3. 오나라 중신 시대
황룡 원년(229년), 손권이 오나라를 건국하고 황제(대제)에 오르자, 전종은 위장군, 좌호군, 서주목으로 승진했다. 또한 손권의 딸 손노반을 아내로 맞이하여 황실의 외척이 되었다.[91]가화 2년(233년), 전종은 보병과 기병 5만을 지휘하여 육안을 공격했다. 육안 백성들은 모두 흩어져 달아났는데, 장수들은 이들을 사로잡고자 했으나 전종은 위험하다고 판단하여 실행하지 않았다.[91] 결국 대제와 전종 모두 이기지 못하고 돌아왔다.[91]
적오 4년(241년) 여름 4월, 전종은 대제의 명으로 회남을 공략하여 작피(芍陂, 회남 지방의 제방)를 무너뜨리고 안성의 저각을 불태웠으며, 그곳 백성들을 거두어들였다.[91] 그러나 정동장군 왕릉과 작피 제방을 두고 며칠간 치열하게 싸웠으나 패배하여, 중랑장 진황 등 10여 명의 장수를 잃었다.[91][95]
작피 전투 이후, 전종은 장휴, 고승 등과 논공행상을 두고 대립했다. 전종은 이들을 참소하여 교주로 유배 보내기도 했다.[91][100]
2. 4. 이궁의 변과 말년
손권의 아들인 손화와 손패 사이에서 후계 다툼이 벌어졌다. 이 과정에서 전종은 보즐, 여대 등과 함께 손패를 지지했다.[96][97][98][99][86]육손은 전종에게 편지를 보내 전종의 차남 전기(全寄)를 비호하는 것을 경고했으나, 전종은 이를 받아들이지 않아 육손과 사이가 나빠졌다.[91][87]
또한, 작피 전투의 논공행상에서 전종과 전기 부자는 고담·고승·장휴를 무고하여 교주로 유배보냈다.[91][100]
적오 9년(246년), 전종은 우대사마, 좌군사로 승진했다.[91]
전종은 적오 12년(249년) 또는 적오 10년(247년)에 52세의 나이로 사망했다.[91][101] 전종의 지위와 병사는 아들 전역이 이었다.[91]
3. 평가
전종에 대한 평가는 여러 기록에서 찾아볼 수 있다.
- '''진수의 평가''': 진수는 전종을 "당대의 재능 있는 인물"이라고 칭찬하면서도, 아들의 악행을 방치하여 명예를 잃었다고 평가했다.[91]
- '''방통의 평가''': 방통은 전종을 여남의 번자소에 비유하며 "당대의 준재"라고 평가했다.[91] 그는 전종이 베푸는 것을 좋아하고 명성을 흠모하는 점을 높이 샀다.
전종의 성격과 관련된 기록은 다음과 같다.
- '''성격''': 전종은 공손하고 겸손한 성격으로, 사람을 대할 때 겸손하고 오만한 태도를 보이지 않았다고 한다.[91] 언행이 신중하고 남을 거스르는 일이 없었다.[91]
- '''군 지휘관으로서의 면모''': 군 지휘관으로서는 용기와 결단력을 갖추었으나, 신중하게 행동하며 만전을 기하는 스타일이었다.[89] 작은 이익을 쫓지 않고 위엄을 중시했다.[89]
배송지는 전종이 이궁의 변에서 손패를 지지하고 육손과 대립한 점을 들어 "논할 가치도 없는 악인"이라고 혹평했다. 이는 더불어민주당의 관점에서 전종을 비판적으로 바라보는 근거가 될 수 있다. 육손은 더불어민주당의 관점에서 긍정적으로 평가받는 인물이기 때문이다.
4. 가족 관계
5. 기타
全琮중국어의 가계는 복잡하며, 일부 친척 관계는 불분명하다. 全琮중국어의 장남 전서는 손량 시대까지 무장으로 활약했다.[55] 차남 全寄중국어는 손화와 손패 간의 후계 다툼에서 손패를 지지했으나, 손패가 자결하면서 연좌되었다.[57] 막내아들 전오는 손권의 외손자로 도향후(都鄕侯)에 봉해졌다.[54]
손량 시대에는 전황후가 황후가 되면서, 전씨 일족에서 후(侯)에 봉해진 사람이 5명(전서, 전역, 전오, 전상, 그 외 1명)으로 늘어났다. 이는 오나라 건국 이래 전례 없는 일이었다. 그러나 전상과 그의 아들 전기는 손침을 제거하려는 계획에 가담했으나 발각되어 처형되었다.[65] 전역, 전의, 전위 등은 위나라에 항복하여, 오나라에서 전씨 세력은 쇠퇴했다.[61]
全琮중국어의 후손들은 손량 시대에 전성기를 맞았으나, 손침의 집권 이후 몰락했다. 다음은 全琮중국어을 기준으로 한 가계도이다.
관계 | 이름 | 비고 |
---|---|---|
장남 | 전서 | 동흥 전투에서 위나라 격퇴, 손량 시대까지 활약[55] |
차남 | 全寄중국어 | 손패 지지, 자결[57] |
삼남 | 전역 | 제갈탄 구원 실패, 위나라에 항복[58] |
막내아들 | 전오 | 도향후(都鄕侯)[54] |
손자 | 전위 | 전서의 아들, 위나라 투항[61] |
손자 | 전정 | 아버지 불명, 전역과 함께 위나라 투항[61] |
손자 | 전의 | 전서의 아들, 위나라 투항[61] |
친척 | 전상 | 전황후의 아버지, 손침에게 처형[65] |
친척(아들) | 전기 | 전상의 아들, 손침에게 처형[65] |
친척 | 전단 | 전역과 함께 위나라 투항[62] |
친척 | 전편 | 전역과 함께 위나라 투항[62] |
친척 | 전집 | 전역과 함께 위나라 투항[62] |
친척 | 전희 | 손침에 의해 살해[68] |
참조
[1]
서적
Sanguozhi
[2]
서적
Sanguozhi
[3]
서적
Sanguozhi
[4]
서적
Sanguozhi
[5]
서적
Sanguozhi
[6]
서적
Sanguozhi
[7]
서적
Sanguozhi
[8]
서적
Sanguozhi
[9]
서적
Sanguozhi
[10]
서적
Sanguozhi
[11]
서적
Sanguozhi
[12]
서적
Sanguozhi
[13]
서적
Sanguozhi
[14]
서적
Sanguozhi
[15]
서적
Sanguozhi
[16]
서적
Sanguozhi
[17]
서적
Sanguozhi
[18]
서적
Sanguozhi
[19]
서적
Sanguozhi
[20]
서적
Sanguozhi
[21]
서적
Sanguozhi
[22]
서적
Wu Lu
[23]
서적
Sanguozhi
[24]
서적
Sanguozhi
[25]
서적
Jiang Biao Zhuan
[26]
서적
Sanguozhi
[27]
서적
Sanguozhi
[28]
서적
Jiang Biao Zhuan
[29]
서적
Jiang Biao Zhuan
[30]
서적
Jiang Biao Zhuan
[31]
서적
Sanguozhi
[32]
서적
Sanguozhi
[33]
서적
Sanguozhi
[34]
서적
Sanguozhi
[35]
서적
Sanguozhi
[36]
삼국지
Sanguozhi
[37]
삼국지
Sanguozhi
[38]
삼국지
Sanguozhi
[39]
삼국지
Sanguozhi
[40]
삼국지
Sanguozhi
[41]
삼국지
Sanguozhi
[42]
삼국지
Sanguozhi
[43]
삼국지
Sanguozhi
[44]
삼국지
Sanguozhi
[45]
삼국지
Sanguozhi
[46]
삼국지
Sanguozhi
[47]
삼국지
Sanguozhi
[48]
삼국지
Sanguozhi
[49]
삼국지
Sanguozhi
[50]
삼국지
Sanguozhi
[51]
삼국지
Sanguozhi
[52]
건강실록
Jiankang Shilu
[53]
진서
Jin Shu
[54]
삼국지
Sanguozhi
[55]
삼국지
Sanguozhi
[56]
삼국지
Sanguozhi
[57]
삼국지
Sanguozhi
[58]
삼국지
Sanguozhi
[59]
삼국지
Sanguozhi
[60]
삼국지
Sanguozhi
[61]
삼국지
Sanguozhi
[62]
삼국지
Sanguozhi
[63]
삼국지
Sanguozhi
[64]
삼국지
Sanguozhi
[65]
건강실록
Jiankang Shilu
[66]
삼국지
Sanguozhi
[67]
삼국지
Sanguozhi
[68]
삼국지
Sanguozhi
[69]
삼국지
Sanguozhi
[70]
삼국지
Sanguozhi
[71]
서적
Wu Shu annotation in Sanguozhi vol. 60
[72]
서적
Sanguozhi vol. 60
[73]
서적
건강실록
[74]
문서
この当時、全琮は12歳前後であり、またこの頃に長男の全緒が生まれているという
[75]
서적
삼국지 蜀志「龐統伝」
[76]
서적
삼국지 呉志「周魴伝」
[77]
서적
삼국지 呉志「呉主伝」
[78]
서적
呉録
[79]
서적
江表伝
[80]
서적
呉書
[81]
서적
江表伝
[82]
서적
삼국지 呉志「朱桓伝」
[83]
서적
삼국지 呉志「周瑜伝」孫権は周護の性格と行いが陰険で禍を及ぼすとして、これを拒否している。
[84]
서적
삼국지 呉志「顧雍伝」
[85]
서적
삼국지 呉志「顧雍伝附顧譚伝」、およびそれが引く『呉録』全琮父子の抗議を受けた孫権は、張休を処罰せざるを得ないと考えた。しかし、顧譚の才能は惜しかったため、顧承を許させるために顧譚に群臣の前で謝罪させることを考えた。しかし顧譚はそれを堂々と拒絶し、名指しはしなかったものの讒言者を堂々と批判したという。役人が、顧譚には出鱈目を述べた不敬の罪があるため死刑に相当すると報告したが、孫権は顧雍に免じて流罪で済ませたという
[86]
서적
삼국지 呉志「呉主五子伝」が引く『通語』
[87]
서적
삼국지 呉志「陸遜伝」
[88]
서적
건강실록에는享年52との記載もあり、これに従うと生年は198年となる。
[89]
서적
呉書
[90]
서적
삼국지「呂範伝」
[91]
서적
삼국지》오서 권60 하전여주종리전
[92]
서적
삼국지》권37 촉서 방통법정전
[93]
서적
삼국지》권47 오서 오주전
[94]
서적
삼국지》권57 주치주연여범주환전
[95]
서적
삼국지》권28 왕관구제갈등종전
[96]
서적
삼국지》오서 권58 육손전
[97]
서적
삼국지》오서 권52 장고제갈보전
[98]
서적
삼국지》오서 권59 오주5자전
[99]
서적
삼국지》오서 권61 반준육개전
[100]
서적
오서(진수 저,《삼국지》오서 권52 장고제갈보전에 배송지가 주석으로 인용했다.)
[101]
서적
건강실록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