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고르디아누스 3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고르디아누스 3세는 238년에 로마 황제가 된 인물이다. 235년 알렉산데르 세베루스 황제가 살해된 후 막시미누스 트락스가 황위에 올랐고, 이에 반발한 고르디아누스 1세와 2세가 아프리카 속주에서 반란을 일으켰으나 진압되었다. 이후 원로원은 푸피에누스와 발비누스를 공동 황제로 선출했으나, 이들이 인기가 없자 고르디아누스 3세를 카이사르로 지명했다. 막시미누스의 죽음 이후 푸피에누스와 발비누스 역시 살해당하고 고르디아누스 3세가 단독 황제가 되었다. 그는 친위대장 티메시테우스의 딸과 결혼했으나, 티메시테우스가 사망한 후 사산 제국과의 전쟁에서 패배하고 살해당했다. 고르디아누스 3세는 네르바-안토니누스 왕조와 인척 관계를 맺고 있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25년 출생 - 종회
    종회는 위나라의 정치가이자 장군으로, 사마씨 정권에서 활동하며 제갈탄의 난 진압과 촉한 멸망에 기여했으나, 사마소에게 반기를 들다 실패하여 강유와 함께 사망했다.
  • 225년 출생 - 라우렌시오
    3세기 로마의 수석 부제 라우렌시오(로렌스)는 교회 재산을 가난한 자들에게 나누어주다 발레리아누스 황제의 박해로 순교한 성인으로, 로마 가톨릭교회와 성공회에서 그를 기념하며, 다양한 직업의 수호성인으로 숭배받고, 그의 이름은 여러 지명과 건축물에 사용되었다.
  • 안토니우스 씨족 - 마르쿠스 안토니우스
    마르쿠스 안토니우스는 기원전 83년경 로마에서 태어나 율리우스 카이사르 휘하에서 갈리아 전쟁에 참전하여 두각을 나타낸 로마의 장군이자 정치가로, 카이사르 암살 후 옥타비아누스와 권력 다툼을 벌이다 클레오파트라 7세와의 관계로 옥타비아누스와 갈등, 악티움 해전 패배 후 자결했다.
  • 안토니우스 씨족 - 고르디아누스 2세
    고르디아누스 2세는 고르디아누스 1세의 아들로 238년 아버지와 공동 황제가 되었으나, 누미디아 총독의 반란으로 카르타고 전투에서 전사하며 짧은 통치를 마쳤고, 그의 죽음은 정치적 혼란기를 반영하며 조카 고르디아누스 3세가 황제가 되는 발판이 되었다.
  • 244년 사망 - 유리 (촉한)
    촉한 황제 유비의 아들 유리는 유선의 이복 동생으로, 양왕에 봉해졌다가 안평왕으로 개봉되었으며 사망 후 도왕으로 추증되었고, 그의 사후 아들과 손자가 안평왕위를 계승했으나 요절하여 유비의 다른 아들 유기가 왕위를 이었다.
  • 244년 사망 - 배잠
    배잠은 후한 말부터 삼국 시대 위나라의 관료로, 유표의 빈객으로 지내다 조조에게 발탁되어 관직 생활을 시작, 대군 태수를 지내며 오환족을 안정시키는 등 치적을 쌓았고, 조비, 조예 시대를 거치며 요직을 역임, 상서령으로 인사 제도 개혁을 주도했으며 진수는 그를 "국가의 기둥이 될 만한 인재"라고 평했다.
고르디아누스 3세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고르디아누스 3세 흉상
242–244년 흉상
로마자 표기Marcus Antonius Gordianus
이름마르쿠스 안토니우스 고르디아누스
전체 이름임페라토르 카이사르 마르쿠스 안토니우스 고르디아누스 아우구스투스
통치
직위로마 황제
즉위238년 8월 경
퇴위244년 2월 경
유형아우구스투스
선임자푸피에누스발비누스
후임자필리푸스 아라브스
카이사르238년 5월 – 8월 경
개인 정보
출생일225년 1월 20일
출생지로마, 이탈리아
사망일244년 2월 경 (19세)
사망지자이타
배우자트란퀼리나
가문
왕조고르디아누스 왕조
아버지유니우스 발부스
어머니안토니아 고르디아나

2. 황제 즉위와 암살

235년, 알렉산데르 세베루스 황제가 게르마니아 수페리오르 로마 속주의 수도인 모군티아쿰(현재 마인츠)에서 살해된 후, 막시미누스 트락스가 황제로 추대되었다.[6] 몇 년 동안, 로마 원로원과 로마 인구 대다수는 막시미누스에 대한 반대 여론이 커져갔다. 238년, 고르디아누스 1세2세가 공동 황제로 선포된 아프리카 속주에서 반란이 일어났다.[6] 이 반란은 한 달 안에 진압되었지만, 원로원은 푸피에누스발비누스를 공동 황제로, 고르디아누스 3세를 카이사르 (황위 계승자)로 선출했다. 막시미누스는 진군 중 제2군단 파르티카에 의해 살해되었고, 이후 민중 봉기, 군대 불만, 로마 대화재 등으로 푸피에누스와 발비누스도 프라이토리아니에게 살해당하면서 고르디아누스 3세가 단독 황제가 되었다.

242년, 고르디아누스 3세는 가이우스 율리우스 사비니우스 아킬라 티메시테우스의 도움을 얻어 사산 제국샤푸르 1세를 격파하였다. 3세기 로마 제국의 국경은 라인강과 도나우강을 사이에 둔 게르만족의 부족에 의해 약화되었고, 유프라테스강 너머에서는 사산 제국의 공격이 증가하고 있었다. 페르시아가 샤푸르 1세의 지휘 아래 메소포타미아를 침공하자, 고르디아누스 3세는 야누스 신전의 문을 열고 동방으로 향했다. 야누스 신전의 문을 여는 것은 고대 로마에서 전시를 의미했지만, 이 때 문을 연 것이 역사에 기록된 마지막 사례가 되었다. 페르시아군은 유프라테스강 반대편으로 밀려났고 레세나 전투 (243년)에서 패배했다. 원정은 성공적이었고, 고르디아누스는 적지에 대한 침공을 계획했지만, 이 때 장인 티메시테우스가 불분명한 상황 속에서 사망했다. 티메시테우스를 잃으면서 원정과 고르디아누스 3세의 안전은 위험에 처하게 되었다.

필리푸스 아라부스가 후임 프라에펙투스 프라에토리오가 되었고, 원정은 계속되었다. 244년 초, 페르시아군은 반격을 가해왔다(미시케 전투). 페르시아 측 사료(낙쉬 로스탐의 릴리프)에 따르면, 현재 팔루자 근처에서 페르시아와 로마의 전투가 있었고, 로마는 이 전투에서 대패했으며, 고르디아누스 3세는 이 전투에서 사망했다. 로마 측 사료는 이 전투에 대해 언급하지 않고, 고르디아누스는 이보다 더 멀리, 유프라테스강 상류에서 사망했다고 한다. 고르디아누스 3세의 사인은 불분명하지만, 필리푸스 아라부스가 종종 살인자로 언급된다. 필리푸스는 고르디아누스 3세의 뒤를 이어 황제가 되었다. 향년 19세.

어리고 성격이 좋았던 고르디아누스 3세는 조부와 숙부, 그리고 자신의 비극적인 운명으로 인해 오랫동안 로마인들에게 존경받았다. 신 황제 필리푸스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고르디아누스 3세는 사후 신격화되었다. 이는 민중의 환심을 사고 폭동을 피하기 위한 것이었다.

2. 1. 초기 통치와 섭정

238년 7월 29일, 원로원에서 선출된 공동 황제 발비누스푸피에누스가 근위대에 의해 살해당했다. 이후 238년 8월경, 고르디아누스 3세가 황제 자리에 올랐다.[6] 그러나 그의 즉위 연대기는 논란의 여지가 있다.[6][7][8][9]

아우레우스 고르디아누스 3세. 명문: IMP. CAES. M. ANT. GORDIANVS AVG.


고르디아누스 3세는 알렉산데르 세베루스 황제가 암살된 후 막시미누스 트락스가 황제가 되자, 원로원은 막시미누스에 대항하여 238년 고르디아누스 1세고르디아누스 2세를 공동 황제로 추대했다. 그러나 이들은 한 달 만에 진압되었고, 원로원은 푸피에누스발비누스를 공동 황제로, 고르디아누스 3세를 카이사르 (황위 계승자)로 선출했다. 막시미누스는 진군 중 제2군단 파르티카에 의해 살해되었고, 이후 민중 봉기, 군대 불만, 로마 대화재 등으로 푸피에누스와 발비누스도 프라이토리아니에게 살해당하면서 고르디아누스 3세가 단독 황제가 되었다.

고르디아누스 3세는 나이가 어렸기 때문에 초기에는 그의 어머니가, 241년 이후에는 장인이자 친위대장인 티메시테우스(Timesitheus)가 섭정하였다. 241년 프라에펙투스 프라에토리오 티메시테우스의 딸과 결혼하면서 티메시테우스가 사실상 로마 제국을 지배하게 되었다.

3. 사산 제국과의 전쟁

3세기 무렵, 로마의 국경은 라인강과 도나우강을 사이에 둔 게르만족의 부족에 의해 약화되었다. 또한 유프라테스강 너머에서는 사산 제국 (페르시아)의 공격이 증가하고 있었다. 샤푸르 1세가 이끄는 사산 왕조가 메소포타미아를 침공하자, 젊은 황제 고르디아누스 3세는 야누스 신전의 문을 열고 대규모 군대를 동쪽으로 보냈다. 야누스 신전의 문을 여는 것은 고대 로마에서 전시를 의미했지만, 이 때 문을 연 것이 역사에 기록된 마지막 사례가 되었다. 사산 왕조유프라테스강 너머로 밀려났고, 레사에나 전투 (243년)에서 패배했다.[6] 이 원정은 성공적이었고, 군대에 합류했던 고르디아누스 3세는 적의 영토를 침공할 계획을 세우고 있었다.[6] 원정의 성공으로 고르디아누스 3세는 개선식을 축하하고 원로원에 자신의 업적을 자랑했다.[6]

고르디아누스 3세의 은색 안토니니아누스, 로마 조폐국, 서기 238–239년; 앞면: IMP CAES M ANT GORDIANVS AVG, 방사형, 장식된 갑옷을 입은 흉상 오른쪽; 뒷면: VIRTVS AVG, 군복을 입은 비르투스(Virtus)가 정면을 바라보며 서 있고, 머리는 왼쪽, 방패와 창을 들고 있음; 참조: RIC 6, RSC 381

3. 1. 죽음과 논란

242년 사산 제국샤푸르 1세를 격파하는데 도움을 준 장인 티메시테우스가 갑자기 죽자, 필리푸스 아라부스가 친위대장에 임명되었고 그에게 살해되었다.[6]

고르디아누스 3세의 정확한 죽음과 관련해서는 여러 논란이 있다. 우선 미시케 전투에서 사망했을 가능성이 가장 높다. 샤푸르 1세가 세운 비문에 따르면 현대 팔루자 (이라크) 근처의 전투에서 로마군이 대패하고 고르디아누스 3세가 사망했으며,[6] 이후 필리푸스가 50만 디나르로 평화를 샀다고 한다.[8] 반면 로마 측 자료에 따르면, 병사들이 필리푸스를 황제로 선포했고, 그가 "수치스러운" 조건으로 샤푸르와 평화를 맺었으며, 로마군이 서쪽으로 떠날 때 고르디아누스 3세가 사망했다고 한다.[8] 조나라스는 고르디아누스 3세가 전투 중 말에서 떨어져 사망했다고 말한다.[8] 한 견해에 따르면 고르디아누스 3세는 자이타에서 사망했으며, 좌절한 군대에 의해 살해되었고, 필리푸스의 역할은 알려지지 않았다.[6] 학문적 분석은 사산 왕조의 버전을 시사하는데, "결함이 있지만, 우월하다"는 평을 받는 로마 버전은 승리한 로마 군대가 왜 불리한 조건으로 평화를 맺어야 했는지에 대한 설명을 제공하지 않는다.[8]

고르디아누스 3세의 시신 처리 또한 논쟁의 대상이다. 데이비드 S. 포터에 따르면, 필리푸스는 사망한 황제의 시신을 로마로 옮겨 신격화를 준비했다.[6] 에드웰, 도지온, 리유는 필리푸스가 사산 왕조에 대한 원정이 실패로 끝난 후 고르디아누스 3세를 자이타에 묻었다고 진술한다.

4. 가계

고르디아누스 1세의 딸이자 고르디아누스 2세의 누이인 안토니아 고르디아나의 아들이다. 아버지의 이름은 유니우스 리키니우스 발부스였으며, 아마 238년에 할아버지의 이름을 따기 전에는 아버지와 같은 이 이름을 사용했을 것으로 보인다. 아버지 유니우스 리키니우스 발부스의 부모는 유니우스 리키니우스 발부스(140년경 - ?)와 세르빌리아 케이오니아(145년경 - ?)이며, 세르빌리아의 부모는 퀸투스 세르빌리우스 푸덴스(120년경 - 166년 이후)와 케이오니아 플라우티아(122년경 - ?)이다.

4. 1. 네르바-안토니누스 왕조와의 관계

고르디아누스 1세의 딸이자 고르디아누스 2세의 누이인 안토니아 고르디아나의 아들이다. 고르디아누스 3세는 네르바-안토니누스 왕조의 황제 중 한 명이자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의 공동 황제였던 루키우스 베루스의 증손녀(조카손녀)였다. 또한, 루키우스 베루스의 아버지이자 황제 하드리아누스의 양자였던 루키우스 아일리우스 카이사르의 현손이었다. 이처럼 고르디아누스 3세의 일족은 네르바-안토니누스 왕조와 인척, 혈연 관계로 모두 연결되어 있었다.

참조

[1] 간행물 Chronograph of 354 https://www.tertulli[...] Furius Dionysius Filocalus
[2] 서적 Römische Kaisertabelle https://archive.org/[...] WBG
[3] 웹사이트 Epitome de Caesaribus https://web.archive.[...]
[4] 웹사이트 Herodian 8.8 https://www.livius.o[...]
[5] 논문 Gordian III and Philip II on coin obverses with two face-to-face busts depicting Sarapis/Theos Megas https://www.academia[...] 2017
[6] 서적 Roman Imperial Titulature and Chronology, A.D. 235–284 https://archive.org/[...] Gieben
[7] 논문 Dies imperii de Gordien III (le) : une inscription inédite de Syrie https://www.persee.f[...] 1984
[8] 서적 Roman imperial chronology and early-fourth-century historiography https://www.steiner-[...] Steiner 2014
[9] 간행물 O. Leid. 144 and the Chronology of A.D. 238 http://www.jstor.org[...] 197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