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고승 (삼국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고승은 삼국 시대 동오의 인물로, 오현 출신의 명문가 출신이다. 그는 기도위, 오군 서부도위, 소의중랑장, 시중 등을 역임하며 손권의 인정을 받았다. 241년 장휴와 함께 작피 전투에서 위나라 군대를 막아내 분위장군에 임명되었으나, 전종과의 갈등으로 인해 형 고담과 함께 교주로 유배되어 그곳에서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오군 고씨 - 고옹
    채옹의 제자이자 학문적 재능을 인정받은 고옹은 손권 휘하에서 회계태수 대행, 좌사마, 상서령 등을 역임하고 승상까지 오른 오나라의 정치가이다.
  • 오군 고씨 - 고담 (삼국지)
    고담은 삼국 시대 동오의 인물로, 승상 고옹의 손자이자 손권의 사위이며 손등을 보좌하다가 손패와 손화의 후계 다툼에 연루되어 교주로 유배된 인물이다.
  • 동오의 시중 - 손준
    손준은 삼국시대 오나라의 황족이자 정치인으로, 손권의 신임을 받아 요직을 역임하고 손권 사후 권력을 장악했으나, 전횡을 일삼아 민심을 잃고 사후 손휴에 의해 종실에서 축출되었다.
  • 동오의 시중 - 감택
    감택은 삼국시대 오나라의 학자이자 관료로, 손권의 신임을 받아 조정에 기여했으며 유학에 밝아 황자들을 교육하고 역법에 통달하여 건상력의 오차를 해소하는 데 기여했다.
  • 3세기 중국 사람 - 제갈량
    제갈량은 삼국 시대 촉한의 정치가이자 전략가로, 유비의 삼고초려로 촉한에 합류하여 승상이 되었고, 섭정으로서 남정을 통해 촉한의 기반을 다졌으며, 북벌을 통해 위나라를 공격했으나 실패했으며, 법치주의와 인재 등용을 중시하고 경제 정책을 통해 국력을 강화했다.
  • 3세기 중국 사람 - 유비
    유비는 후한 말 평민 출신으로 시작하여 관우, 장비와 의형제를 맺고 여러 세력을 거치며 활동하다 제갈량을 영입하여 촉한을 건국하고 초대 황제가 되었으나, 이릉 전투 패배 후 병사하였다.
고승 (삼국지) - [인물]에 관한 문서
인물 정보
이름고승
원어 이름顧承
자직 (子直)
출생지쑤저우, 장쑤성
사망지하노이, 베트남
아버지고소
어머니육손의 여동생
형제고담 (형)
관직
시중 (侍中)? ~ 241년
소의중랑장 (昭義中郎將)? ~ 241년
분위장군 (奮威將軍)241년 ~ 245년
경하독 (京下督)241년 ~ 245년
오군 서부도위 (吳郡西部都尉)?
기도위 (騎都尉)?

2. 가계 배경

고옹


고승(顧承)의 본관은 오현, 오군으로, 현재의 장쑤성 쑤저우시이다.[1] 고씨 가문은 당시 오군과 강동 지역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4대 가문 중 하나였다. 당시 오군의 4대 가문은 고(顧), 육(陸), 주(朱), 장(張)씨 가문이었고, 강동 지역의 4대 가문은 고(顧), 육(陸), 우(虞), 위(魏)씨 가문이었다.

고승의 아버지 고사후한 말 군벌 손권 휘하에서 예장군 태수를 지냈다. 고승의 할아버지 고옹은 동오의 두 번째 재상이었다. 고승의 어머니는 육모와 동오의 세 번째 재상 육손의 누이였다.[2]

2. 1. 가계도

wiki

고봉
고옹
고소, 고담
고승
고유 (고목), 고우
고제, 고영, 고비
고휘[16], 고유
고향, 고제[17], 고언
고례
고겸
고비, 고참[18]
고수[19]
고중[20], 고창
고회
고용, 고상, 고화[21], 고순


3. 생애

가화 연간(232~238)에 외숙 육모와 함께 초빙되어 기도위에 임명되고 우림병을 지휘했다. 오군 서부도위로 임명되어 제갈각(諸葛恪) 등과 함께 산월을 침략하여 정병 8천 명을 얻었고, 장원에 돌아와 군대를 주둔시켰다. 소의중랑장으로 임명되었고, 중앙으로 들어가 시중이 되었다.[22]

손권은 고승의 할아버지 고옹에게 편지를 써서 "그대의 손자 자지(子之)는 재능으로 유명하다. 내가 그를 만난 후, 내가 들었던 것보다 그가 더 재능 있다는 것을 깨달았다. 그대는 그를 자랑스러워해야 한다."라고 하였다.[3]

이후 고승은 "소의중랑장"(昭義中郎將)이라는 칭호로 중랑장으로 승진했다. 그는 또한 시중(侍中)으로 겸임되었다.[5]

이궁의 변 와중에 손패파였던 전종 부자에게 참소를 당해 형인 고담, 장휴, 요신 등과 함께 교주로 유배되었고, 37세에 사망하였다.[15]

3. 1. 작피 전투와 유배

241년, 장휴(張休)와 함께 수춘을 공략할 때, 총대장인 위위장군 전종(全琮)은 의 왕릉과 작피에서 싸웠으나, 형세가 불리했다. 고승은 장휴와 함께 위군에 맞서 분투하여 이를 막아냈다. 이 공으로 분위장군에 임명되고 경하독을 겸했다.[22]

그러나, 이때 전씨 일가의 전단(全端), 전서(全緖)는 진격을 멈춘 위군에 진격하여 왕릉을 후퇴하게 했는데, 장휴·고승보다 공적이 낮다고 평가받았다. 이로 인해 고씨와 전씨 일족의 사이는 더욱 벌어졌다.[22]

당초 장휴와 고승의 형 고담은 당시 대립하던 태자 손화와 노왕 손패 중 손화파의 중핵이었고, 전종의 아들이며 손패파의 중핵인 전기(全寄)와는 사이가 나빴다.[23] 몇 년 후, 전종과 전기 부자는 작피 전투의 논공행상에서 장휴와 전군 진순(陳恂)과 짰다고 참소했고, 고승은 장휴·고담 등과 함께 교주로 유배되었다.[22][23] 고승은 유배 중 37세로 죽었다.[23]

참조

[1] 서적
[2] 서적
[3] 서적
[4] 서적
[5] 서적
[6] 서적
[7] 서적
[8] 서적
[9] 서적
[10] 서적
[11] 서적
[12] 서적
[13] 서적
[14] 서적
[15] Citation 三国志全人名事典 徳間書店
[16] 서적
[17] 서적
[18] 서적
[19] 서적
[20] 서적
[21] 서적
[22] 위키문헌 삼국지 권52 오서7 장고제갈보전
[23] 서적 삼국지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