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연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고연수는 고구려 말기의 북부 욕살로, 645년 당 태종의 안시성 공격 당시 고구려와 말갈 연합군 15만 명을 이끌고 안시성 구원에 나섰다. 고정의의 조언을 무시하고 당나라 군대에 맞서다 아사나사이가 이끄는 돌궐 기병에 유인되어 패배했다. 이후 당나라에 항복하여 홍려경에 임명되었으나, 안시성 공략에 대한 건의가 받아들여지지 않고 장안으로 향하던 중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고구려의 욕살 - 고혜진
고혜진은 7세기 중반 고구려-당 전쟁에서 고연수와 함께 15만 명의 군사를 이끌고 당나라에 맞섰으나 패배 후 항복하여 당나라의 사농경에 임명된 고구려 장수이다. - 645년 사망 - 소가노 이루카
소가노 이루카는 아스카 시대의 정치가로, 소가 씨의 권력을 강화하고 국정을 주도하며 실질적인 최고 권력자였으나 을사의 변으로 암살당했다. - 645년 사망 - 소가노 에미시
소가노 에미시는 스이코 천황 말년부터 고교쿠 천황 시대에 대신으로 권력을 행사하며 백제 왕족을 받아들이고 고구려, 신라와 등거리 외교를 펼치다 아들 소가노 이루카 암살 후 자결했다. - 당나라의 관료 - 안사고
안사고는 6세기 후반에서 7세기 전반에 활동한 당나라의 학자이자 관료로, 훈고학에 정통하여 《한서》 주석을 남겼으며, 《오경정의》 편찬에 참여하고 고구려 원정 중 사망했다. - 당나라의 관료 - 고혜진
고혜진은 7세기 중반 고구려-당 전쟁에서 고연수와 함께 15만 명의 군사를 이끌고 당나라에 맞섰으나 패배 후 항복하여 당나라의 사농경에 임명된 고구려 장수이다.
고연수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작위 | 고구려의 북부욕살 |
재임 기간 | 645년 ~ ? |
재상 | 연개소문 |
재상 칭호 | 대막리지 |
군주 | 고구려 국왕 |
군주 칭호 | 국왕 |
작위 | 당나라의 홍려경 |
군주 | 중국 황제 |
군주 칭호 | 황제 |
재임 기간 | 645년 ~ ? |
국적 | 고구려 → 당나라 |
성별 | 남성 |
출생일 | 미상 |
출생지 | 미상 |
사망일 | 645년 |
사망지 | 미상 |
가문 | 미상 |
아버지 | 미상 |
어머니 | 미상 |
배우자 | 미상 |
형제자매 | 미상 |
자녀 | 미상 |
친인척 | 미상 |
종교 | 미상 |
군사 복무 | |
소속 | 고구려군 |
지휘 | 고구려 말갈 연합군 |
참전 | 고구려-당 전쟁 주필산 전투 |
이름 | |
이름 | 고연수 |
원어 이름 | 高延壽 |
2. 생애
2. 1. 안시성 전투 이전
고연수는 고구려 말기 북부 욕살의 지위에 있었다. 645년 당 태종의 군대가 고구려의 여러 성을 정복하고 안시성까지 진군하였다. 연개소문은 북부 욕살 고연수와 남부 욕살 고혜진에게 고구려와 말갈의 혼성 병력 15만 명을 주어 안시를 구원하게 하였다. 나이가 많아 경험이 풍부한 대로(對盧) 고정의가 고연수에게 이르기를 "당 태종은 안으로는 군웅을 제거하고 밖으로는 오랑캐를 굴복시켜 황제에 오른 자로 세상을 구할 만한 인재이다. 지금 당나라의 군사들에게 대적할 수는 없다. 일단 싸우지 말고 여러 날을 대치만 하면서 별동대로 그들의 군량 수송로를 차단하는 것만 못하다. 군량이 떨어지면 싸우려 해도 싸울 수 없고 돌아가려 해도 길이 없으니 우리가 이길 수 있다."고 하였다.고연수는 이를 듣지 않고 곧바로 나아가 안시성을 40리 앞두었다. 태종은 아사나사이(阿史那社爾, 阿史那社尒)에게 돌궐 기병 1,000명을 이끌고 거짓으로 패하여 고구려군을 유인하라 하였다. 고연수가 이에 속아 안시성 동남방 8리되는 곳까지 추격해서는 산을 의지해 진쳤다. 그 길이가 40리에 이르렀으므로 태종도 자못 긴장하였다.
2. 2. 안시성 전투
645년 당 태종의 군대가 고구려의 여러 성을 정복하고 안시성까지 진군하였다. 연개소문은 북부 욕살 고연수와 남부 욕살 고혜진에게 고구려와 말갈의 혼성 병력 15만 명을 주어 안시를 구원하게 하였다. 나이가 많아 경험이 풍부한 대로(對盧) 고정의가 고연수에게 이르기를 "당 태종은 안으로는 군웅을 제거하고 밖으로는 오랑캐를 굴복시켜 황제에 오른 자로 세상을 구할 만한 인재이다. 지금 당나라의 군사들에게 대적할 수는 없다. 일단 싸우지 말고 여러 날을 대치만 하면서 별동대로 그들의 군량 수송로를 차단하는 것만 못하다. 군량이 떨어지면 싸우려 해도 싸울 수 없고 돌아가려 해도 길이 없으니 우리가 이길 수 있다."고 하였다.고연수는 이를 듣지 않고 곧바로 나아가 안시성을 40리 앞두었다. 태종은 아사나사이(阿史那社爾, 阿史那社尒)에게 돌궐 기병 1,000명을 이끌고 거짓으로 패하여 고구려군을 유인하라 하였다. 고연수가 이에 속아 안시성 동남방 8리되는 곳까지 추격해서는 산을 의지해 진쳤다. 그 길이가 40리에 이르렀으므로 태종도 자못 긴장하였다.
2. 2. 1. 전투의 경과
태종이 사자를 파견해와 거짓으로 “너희 나라의 권력이 막강한 신하가 그 주인을 시해했기에 내가 그 죄를 물으려온 것이지 교전에 이른 것은 나의 본심이 아니다. 국경을 넘어 꼴과 식량을 구하기 어려워 몇 개 성을 취했는데 너희 나라가 신하의 예를 갖춘다면 잃었던 것들이 반드시 회복될 것이다.”라 하였다. 이것이 거짓말인 줄도 모르고 고연수는 방비를 느슨히 하였다. 태종이 밤중에 작전을 세워 이세적은 보기 15,000명으로 서쪽 고개에 자리하고, 장손무기와 우진달(牛進達)은 정예병 11,000명으로 산 북쪽에서부터 좁은 골짜기를 타고 내려와 고구려군의 뒤를 기습하라 하였다. 태종 자신은 4,000명으로 산에 올랐으며 북과 나팔을 울리면 전부대가 일제히 분격하라 명하였다. 별똥별이 고연수의 진영에 떨어졌다.이튿날 아침, 고연수가 이세적의 군세가 적은 것을 보고는 들이치려 하였다. 태종은 장손무기군에서 먼지가 일어나는 것을 보자마자 북과 나팔을 울리고 기치를 들어올렸다. 당나라군이 일제히 몰려들자 당황한 고연수는 부대를 나누어 막으려 했으나 이미 진영은 혼란에 빠지고 천둥과 번개마저 내리쳤다. 크게 무너져 3만여 명이 죽었다. 남은 병사를 지휘하여 방어에 임했지만 포위당한 데다 장손무기가 모든 교량을 끊어 퇴로조차 사라졌다. 결국 남아있던 36,800명을 데리고 항복했으며 홍려경(鴻臚卿)에 임명되었다.
2. 2. 2. 항복과 이후
고연수는 남은 병력 36,800명과 함께 당나라에 항복했다. 홍려경(鴻臚卿)에 임명되었다.안시성주는 안시성에서 오래도록 농성하였다. 고연수와 고혜진은 당 태종에게 "저희가 이미 대국에 몸을 맡겼으니 그 정성을 바치지 않을 수 없습니다. 천자께서 얼른 큰 업적을 이루어 우리가 처자식과 만나기를 바랍니다. 안시성 사람들은 그 가족을 아끼는 마음에 자진하여 싸우기 때문에 바로 공략하기가 어렵습니다. 저희는 10여만 명을 거느리고도 황제의 깃발을 바라보고는 허물어졌으며, 고구려 사람들의 간담도 작아졌습니다. 오골성(烏骨城)의 욕살은 노쇠하여 수비가 건실하지 못합니다. 군대를 그곳으로 돌린다면 아침에 도착하여 저녁이면 뚫을 것이며 도중의 작은 성들은 위풍만 보고도 궤주할 것입니다. 그렇게 물자와 양식을 노획하고 북을 치며 전진한다면 평양도 틀림없이 함락될 것입니다."라며 건의하였다. 많은 장수들도 같은 의견이었지만 장손무기가 ‘건안성(建安城)과 신성을 배후에 둔 채 친격하면 친정군이 만전을 기할 수 없다’며 반대해 채택되지 않았다. 고연수는 항복한 후 늘 탄식하며 괴로워하다 장안에 다다르기도 전에 죽었다.
2. 3. 최후
고연수는 항복한 후 늘 탄식하며 괴로워하다 장안에 다다르기도 전에 죽었다.3. 평가
4. 기타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