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나이는 출생일을 기준으로 계산하는 만 나이, 새해를 기준으로 한 살씩 더하는 세는 나이, 현재 연도에서 출생 연도를 뺀 연 나이 등 여러 가지 계산법이 있다. 대한민국은 2023년 6월 28일부터 법적으로 만 나이 사용을 통일했다. 한국과 일본을 포함한 여러 문화권에서는 나이에 따라 다양한 호칭이 존재하며, 사회적 기대와 역할이 부여된다. 일본에서는 연령 제한이 고용, 스포츠, 시설 이용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되며, 연령에 따라 권리, 의무, 자격 등이 부여되거나 제한된다. 한국 사회에서는 나이에 따른 행동을 기대하는 '나잇값' 문화가 존재하며, 연령 차별 문제도 나타날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나이 | |
---|---|
지도 정보 | |
나이 | |
정의 | 사람이 태어나서 살아온 해의 수 |
사회적 의미 | 사회적 역할, 권리, 의무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 |
계산 방법 | 만 나이, 세는 나이, 연 나이 등 다양한 계산 방식이 존재 |
문화적 차이 | 나이를 세는 방식이나 나이에 대한 인식은 문화마다 다를 수 있음 |
관련 용어 | 연령 만 나이 세는나이 연나이 출생 노화 |
기타 | |
참고 | 나이는 사람이 출생 이후 살아온 시간을 나타내는 개념 |
2. 나이 계산법
2. 1. 만 나이
만 나이는 출생일을 기준으로 0세로 시작하여, 생일마다 한 살씩 더하는 방식이다. 전 세계 대부분의 국가에서 사용하는 국제 표준 방식이다. 대한민국에서는 2023년 6월 28일부터 법적으로 만 나이 사용이 통일되었으며, 법률, 행정, 계약, 보험 등 다양한 분야에서 만 나이가 적용된다.대한민국에서는 19세에 이르면 성년이 되고, 선거권을 행사할 수 있다. 청소년보호법에서는 "19세가 되는 해의 1월 1일을 맞이한 사람"은 청소년에서 제외한다. 따라서 만 19세가 되기 전이라도 그 해의 1월 1일부터는 술, 담배의 구입, 청소년 출입금지장소의 출입 등이 가능하다.
나이 | 이름 |
---|---|
16세 | Sweet Sixteen |
2. 2. 세는나이
'''세는나이'''는 태어나면서부터 한 살로 시작해서 새해 1월 1일을 맞이할 때마다 한 살씩 더 먹는 나이 계산법이다. 태어나서 몇 번째 해에 이르렀는지 나타낸다. 과거에는 북한, 중국, 일본, 베트남, 몽골에서도 썼으나, 현재는 대한민국 외에는 쓰는 곳이 없다. 대한민국에서는 "한국 나이"로 불리기도 한다.2023년 6월 28일부터 대한민국에서도 만 나이로 통일되었고 법적으로는 2023년 7월 1일부터 만나이가 적용되었다.
나이에 따른 다른 표현은 다음과 같다.
나이 | 이름 | 성별 | 유래 |
---|---|---|---|
15세 | 지학(志學) | 남성 | ‘吾十有五而志於學’ (논어) |
16세 | 파과지년(破瓜之年) | 여성 | 과(瓜) 자를 풀면 팔(八)이 두 개이므로 더하면 16이 되기 때문. 줄여서 파과라고도 함. |
20세 | 약관(弱冠) | 남성 | ‘二十曰弱冠’[81] (예기) |
30세 | 이립(而立) | 남성 | ‘三十而立’ (논어) |
40세 | 불혹(不惑) | 남성 | ‘四十而不惑’ (논어) |
강사(強仕) | 남성 | ‘四十曰強,而仕’, 나이 마흔에 처음으로 벼슬을 하게 된다는 뜻, 예기 곡례편(曲禮篇) | |
초로 | 공통 | ||
48세 | 상년(桑年) | 공통 | 상(桑) 자의 속자를 풀면 십(十) 자가 넷이고 팔(八) 자가 하나이기 때문 |
50세 | 지천명(知天命) | 남성 | ‘五十而知天命’ (논어) |
애년(艾年) | 공통 | ‘五十曰艾’, 머리털이 약쑥같이 희어진다는 뜻(예기) | |
장가(杖家) | 공통 | 집 안에서 지팡이를 짚을 만한 나이 | |
60세 | 육순(六旬) | 공통 | |
이순(耳順) | 남성 | ‘六十而耳順’ (논어) | |
장향(杖鄕) | 공통 | 중국 주나라 때에, 노인이 60세 되던 해부터 고향에서 지팡이 짚는 것을 허락했던 데서 유래(예기) | |
하수(下壽) | 공통 | ||
60세 | 화갑(華甲) | 공통 | 화(華)자를 풀면 십(十) 자 여섯 개와 일(一) 자 하나로 되기 때문 |
61세 | 환갑(還甲), 회갑(回甲) | 공통 | 간지가 60년마다 한바퀴 돌기 때문 |
62세 | 진갑(進甲) | 공통 | |
64세 | 파과지년(破瓜之年) | 남성 | 과(瓜) 자를 풀면 팔(八)이 두 개이므로 곱하면 64가 되기 때문. 줄여서 파과라고도 함. |
66세 | 미수(美壽) | 공통 | 미(美) 자를 풀면 육십육(六十六)이 되기 때문 |
70세 | 칠순(七旬) | 공통 | |
고희(古稀) | 공통 | ‘人生七十古来稀’ (두보의 시 《곡강(曲江)》) | |
종심(從心) | 남성 | ‘七十而從心所欲,不踰矩’ (논어) | |
희수(稀壽) | 공통 | ||
77세 | 희수(喜壽) | 공통 | 희(喜) 자의 초서체를 풀면 칠십칠(七十七)이 되기 때문 |
80세 | 팔순(八旬) | 공통 | |
산수(傘壽) | 공통 | 산(傘) 자의 약자를 풀면 팔십(八十)이 되기 때문 | |
중수(中壽) | 공통 | (중수는 80살 또는 100살을 뜻한다) | |
88세 | 미수(米壽) | 공통 | 미(米) 자를 풀면 팔십팔(八十八)이 되기 때문 |
90세 | 구순(九旬) | 공통 | |
동리(凍梨) | 공통 | ||
졸수(卒壽) | 공통 | 졸(卒) 자의 초서체를 풀면 구십(九十)이 되기 때문 | |
91세 | 망백(望百) | 공통 | 백 살을 바라본다는 뜻 |
99세 | 백수(白壽) | 공통 | 백(百) 자에서 일(一)을 빼면 백(白)이 되기 때문 |
100세 | 백수(百壽) | 공통 | |
중수(中壽) | 공통 | (중수는 80살 또는 100살을 뜻한다) | |
100세 이상 | 상수(上壽) | 공통 | |
120세 | 상수(上壽) | 공통 | 춘추좌씨전 |
2. 3. 연 나이
'''연 나이'''는 현재 연도에서 출생 연도를 뺀 나이이다. 생일이 지났는지와 관계없이 계산하는 방식이다.3. 나이 관련 표현 (일본)
3. 1. 연령 표현
나이 표현에는 만 나이와 수에 나이가 있다. 만 나이는 생일을 기준으로 태어난 후의 햇수를 세는 방법이다.[1] 일본 법률에서는 생일 전날의 만료를 기준으로 나이를 계산한다.[1] 반면 수에 나이는 태어난 해를 “1세”로 하고, 원단을 맞이할 때마다 나이를 더하는 방식이다.[1]서구 국가에서는 만 나이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1] 일본에서는 전통적으로 수에 나이를 사용해 왔으나, 1902년(메이지 35년) 年齢計算ニ関スル法律 시행 및 1950년(쇼와 25년) 年齢のとなえ方に関する法律 시행에 따라 만 나이 표기가 제도화되었다.[1] 만 나이 표현은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이후 정착되었다.[1] 그러나 종교, 전통 행사, 장례식(향년), 점 등에서는 여전히 수에 나이가 사용되는 경우도 있다.[1]
이 외에도 생명 보험 분야의 '''보험 나이''',[2] 인사노무 분야의 '''졸업 나이''',[3] 건강 진찰이나 건강 검진 분야의 '''연도 나이''' 또는 '''검진 나이'''[4] 등의 표현이 사용되기도 한다. 일본 법령에서는 대부분 만 나이를 기준으로 하지만, 법률상 자격의 유효기간·갱신 기간에는 자격자의 생일을 기준으로 하는 경우도 있다.[5]
3. 2. 연령 표기
일본에서는 나이를 표기할 때 '歳'와 '才' 두 가지 한자를 모두 사용한다.[6] '才'는 일본 고유의 용법으로, 초등학교에서 배우는 교육 한자이기 때문에 교육적인 배려 차원에서 사용되기도 한다.[6] 중국에서는 '歳'와 '才'는 발음과 억양이 다른 글자였지만, 일본에서는 모두 '사이'로 동음이의어가 되어 '才'가 '歳'의 약자로 사용되게 되었다.[6] 에도 시대에는 '歳'와 동음이어서 '才'를 사용한 것이 아니라 '歳'의 글자 형태 일부를 빼고 '才'를 사용하게 되었다는 설도 있다.[6]마찬가지로 '년령' 대신 '년령'이 사용된다. '歳'라는 글자의 의미는 '년'과 거의 같은 '토시'이며, 연수를 세는 단위에는 '년', 나이를 세는 단위에는 '세'가 주로 사용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종종 혼용된다(예: 연말=세말).
4. 나이에 따른 호칭 (한국, 일본)
4. 1. 한국
한국에서는 세는나이를 기준으로 특정 나이를 가리키는 다양한 호칭이 있다. 이러한 호칭은 유교 문화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나이에 따른 역할과 책임을 강조하는 의미를 담고 있다.나이 | 이름 | 성별 | 유래 |
---|---|---|---|
15세 | 지학(志學) | 남성 | ‘吾十有五而志於學’ (논어) |
16세 | 파과지년(破瓜之年) | 여성 | 과(瓜) 자를 풀면 팔(八)이 두 개이므로 더하면 16이 되기 때문. 줄여서 파과라고도 함. |
20세 | 약관(弱冠) | 남성 | ‘二十曰弱冠’[81] (예기) |
30세 | 이립(而立) | 남성 | ‘三十而立’ (논어) |
40세 | 불혹(不惑) | 남성 | ‘四十而不惑’ (논어) |
강사(強仕) | 남성 | ‘四十曰強,而仕’, 나이 마흔에 처음으로 벼슬을 하게 된다는 뜻, 예기 곡례편(曲禮篇) | |
초로 | 공통 | ||
48세 | 상년(桑年) | 공통 | 상(桑) 자의 속자를 풀면 십(十) 자가 넷이고 팔(八) 자가 하나이기 때문 |
50세 | 지천명(知天命) | 남성 | ‘五十而知天命’ (논어) |
애년(艾年) | 공통 | ‘五十曰艾’, 머리털이 약쑥같이 희어진다는 뜻(예기) | |
장가(杖家) | 공통 | 집 안에서 지팡이를 짚을 만한 나이 | |
60세 | 육순(六旬) | 공통 | |
이순(耳順) | 남성 | ‘六十而耳順’ (논어) | |
장향(杖鄕) | 공통 | 중국 주나라 때에, 노인이 60세 되던 해부터 고향에서 지팡이 짚는 것을 허락했던 데서 유래(예기) | |
하수(下壽) | 공통 | ||
60세 | 화갑(華甲) | 공통 | 화(華)자를 풀면 십(十) 자 여섯 개와 일(一) 자 하나로 되기 때문 |
61세 | 환갑(還甲), 회갑(回甲) | 공통 | 간지가 60년마다 한바퀴 돌기 때문 |
62세 | 진갑(進甲) | 공통 | |
64세 | 파과지년(破瓜之年) | 남성 | 과(瓜) 자를 풀면 팔(八)이 두 개이므로 곱하면 64가 되기 때문. 줄여서 파과라고도 함. |
66세 | 미수(美壽) | 공통 | 미(美) 자를 풀면 육십육(六十六)이 되기 때문 |
70세 | 칠순(七旬) | 공통 | |
고희(古稀) | 공통 | ‘人生七十古来稀’ (두보의 시 《곡강(曲江)》) | |
종심(從心) | 남성 | ‘七十而從心所欲,不踰矩’ (논어) | |
희수(稀壽) | 공통 | ||
77세 | 희수(喜壽) | 공통 | 희(喜) 자의 초서체를 풀면 칠십칠(七十七)이 되기 때문 |
80세 | 팔순(八旬) | 공통 | |
산수(傘壽) | 공통 | 산(傘) 자의 약자를 풀면 팔십(八十)이 되기 때문 | |
중수(中壽) | 공통 | (중수는 80살 또는 100살을 뜻한다) | |
88세 | 미수(米壽) | 공통 | 미(米) 자를 풀면 팔십팔(八十八)이 되기 때문 |
90세 | 구순(九旬) | 공통 | |
동리(凍梨) | 공통 | ||
졸수(卒壽) | 공통 | 졸(卒) 자의 초서체를 풀면 구십(九十)이 되기 때문 | |
91세 | 망백(望百) | 공통 | 백 살을 바라본다는 뜻 |
99세 | 백수(白壽) | 공통 | 백(百) 자에서 일(一)을 빼면 백(白)이 되기 때문 |
100세 | 백수(百壽) | 공통 | |
중수(中壽) | 공통 | (중수는 80살 또는 100살을 뜻한다) | |
100세 이상 | 상수(上壽) | 공통 | |
120세 | 상수(上壽) | 공통 | 춘추좌씨전 |
4. 2. 일본
일본에서도 연령에 따른 다양한 통칭이 존재하며, 주로 수에 세는 나이를 기준으로 한다.[76][77][78][79] 현대에는 만 나이로 말해지는 경우도 있다.10세는 예기 곡례상편에 따라 유학(幼學) 또는 주지발(츠지가미)이라고 불렸다. 15세는 논어 위정편에 따라 지학(志學)이라고 하며, 여성의 경우 예기 내칙편에 따라 처음으로 비녀를 꽂는 나이라는 뜻의 계년(笄年)이라고 불렸다. 16세 여성은 파과(破瓜)라고 하는데, 이는 '瓜'자를 나누면 '八'과 '八'이 되어 16이 되기 때문이다.
20세는 이십로(二十路, 후타소지) 또는 스무 살(이십, 하타치)이라고 하며, 남성은 예기 곡례상편에 따라 약관(若冠)이라고도 한다. 30세는 삼십로(三十路, 미소지), 이립(而立) 또는 장실(壯室)이라고 불린다. 40세는 사십로(四十路, 요소지), 초로(初老), 논어 위정편에 따라 불혹(不惑), 예기 곡례상편에 따라 강사(強仕)라고 한다. 48세는 桑의 옛 글자가 4개의 十과 八로 분해될 수 있어 상년(桑年)이라고 한다.
50세는 오십로(五十路, 이소지), 논어 위정편에 따라 천명(天命) 또는 지명(知命), 머리가 희어진다는 의미에서 아이년(艾年)이라고도 한다. 60세는 육십로(六十路, 무소지), 논어 위정편에 따라 이순(耳順)이라고 하며, 출생년도의 간지로 돌아온다는 의미에서 환갑(還甲)이라고도 한다. 61세는 환갑 외에 화수(華壽)라고도 한다. 66세는 일본백화점협회의 제안에 따라 녹수(緑寿)라고 한다.
70세는 칠십로(七十路, 나나소지)라고 하며, 두보의 시 고희(古稀)에서 유래한 고희, 논어 위정편에서 유래한 종심(従心)이라고도 부른다. 77세는 희수(喜寿)라고 하는데, 이는 喜의 초서체가 칠십칠처럼 보이기 때문이다. 80세는 팔십로(八十路, 야소지), 산수(傘寿), 하수(賀寿)라고 한다. 81세는 반수(半寿)라고 하며, 장기판이 9x9로 81칸이기 때문이기도 하다. 88세는 미수(米寿)라고 하는데, 이는 米자가 팔십팔로 분해되기 때문이다.
90세는 구십로(九十路, 코노소지), 졸수(卆寿)라고 한다. 99세는 백수(白寿)라고 하는데, 百에서 一을 빼면 白이 되기 때문이다. 100세는 백수(百寿) 또는 기수(紀寿)라고 하며, 1세기가 100년이기 때문이다. 108세는 다수(茶寿)라고 하는데, 이는 茶자를 분해하면 십, 십, 팔십팔이 되기 때문이다. 111세는 황수(皇寿)라고 하는데, 이는 皇자를 분해하면 백(=99), 일, 십, 일이 되기 때문이다. 120세는 대환갑(大還甲)이라고 하며, 두 번째 환갑을 맞이한다는 의미이다.
일정한 나이를 축하하는 연축하(賀壽)에 대해서는 하의 축하 문서를 참조하라.
5. 연령 제한 (일본)
일본에서는 2001년부터 고용대책법 제7조에서 "근로자의 모집·채용에 있어서 연령에 관계없이 평등하게 기회를 주도록 노력해야 한다"는 노력 의무가 규정되어 있다.
5. 1. 고용
5. 2. 스포츠 및 직업
국제적인 스포츠 경기에서 연령 제한을 두는 경우가 있다. 하계 올림픽의 남자 축구 경기는 대회 개최 연도 1월 1일을 기준으로 23세 이하의 선수만 출전할 수 있다.[7]일본의 경우, 공무원 시험 응시 자격에 연령 제한을 두는 경우가 많다. 프로 장기 기사나 바둑 기사의 경우에도 연령 제한이 있으며, 자세한 내용은 신진 기사 육성회를 참조하면 된다. 복싱 아마추어 경기는 35세 미만, 일본 복싱 위원회의 프로 선수 라이선스는 기본적으로 37세에 만료된다.[8] 유원지의 놀이기구 탑승에도 연령 제한이 있는데, 예를 들어 롤러코스터는 4세 또는 5세 미만은 탑승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8]
5. 3. 시설 이용
유원지의 롤러코스터와 같은 일부 시설은 안전을 위해 4세 또는 5세 미만은 탑승할 수 없도록 연령 제한이 설정되어 있다.[8] 이러한 제한은 유원지마다 다를 수 있다.[8]6. 연령별 목록 (일본)
일본에서는 연령에 따라 다양한 권리, 의무, 자격 등이 부여되거나 제한된다.
- 0세: 민법 제3조에 따라 권리와 의무의 주체가 된다.
- 6세: 제26조 제2항, 학교교육법 제22조에 따라 의무교육이 시작되어 초등학교에 입학한다.
- 13세: 성적 합의 연령에 도달한다. (단, 본인과 상대의 나이 차이가 5세 미만인 경우에 한함.[20][21][13])
- 14세: 형법 제41조에 따라 형사 책임을 물을 수 있게 된다.
- 15세: 민법 961조에 따라 유언을 할 수 있게 된다.[14] 영화의 등급 제도에 따라 R-15 등급(15세 미만 관람 금지) 영화를 시청할 수 있다.
- 16세: 성적 동의 연령에 도달한다 (이 적용에 한해서는 본인과 상대의 나이 차이에 제한이 없다)[20][21] [13]
- 18세: 민법 제4조에 따라 성년이 된다.[29][34][35] 선거권이 부여되며,[40][41] 각종 계약이 가능해진다. 특정 면허 및 자격 취득이 가능해진다.
- 20세: 국민연금 가입 의무가 발생한다. 음주 및 흡연이 가능해지며,[64] 공영경마(경마・경륜・경정・오토레이스)의 투표권을 구입할 수 있다.[64]
- 25세: 피선거권이 부여된다. (중의원 의원(총선거), 도도부현 의회 의원, 시정촌장, 시정촌 의회 의원, 공직선거법 제10조).
- 30세: 피선거권이 부여된다. (참의원 의원(통상선거), 도도부현지사의 선거권, 공직선거법 제10조).
- 40세: 사법원법 제41조에 따라 대법원 재판관의 취임 하한 연령이다.
- 65세: 연금 수급 개시 연령이며,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상의 고령자 하한선이다.
- 75세: 노인 장기요양보험제도상의 후기고령자 하한이다.
7. 사회적 인식 (한국)
7. 1. 나잇값
한국 사회에서는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더욱 신중하고 현명한 행동을 해야 한다는 사회적 기대가 존재한다. 이러한 기대를 충족시키지 못하는 경우, '나잇값을 못한다'는 비판을 받기도 한다. 나이를 먹을수록 더 차분하고 자중해야 한다는 사회적 인식과 반대로 경박하거나 어리석은 모습을 보일 때 '나잇값을 하지 못한다'라고 한다.7. 2. 연령 차별
참조
[1]
서적
日本人の数え方がわかる小事典
PHP
[2]
텍스트
[3]
텍스트
[4]
텍스트
[5]
법률
[6]
웹사이트
漢字の現在 第8回 「はたち」を過ぎたら「才」は「歳」?
https://dictionary.s[...]
2008-01-14
[7]
텍스트
[8]
웹사이트
遊園地のりもの一覧 | 日本モンキーパーク(愛知県犬山)
http://www.japan-mon[...]
[9]
텍스트
[10]
텍스트
[11]
텍스트
[12]
서적
ハディース 5 イスラーム伝承集成
中央公論新社
[13]
법률
성적 동의 연령에 관한 조건
[14]
법률
민법 제961조 및 제962조
[15]
논문
現代民俗の形成と批判―「成人式」問題をめぐる一考察―
2018
[16]
법률
[17]
텍스트
[18]
법률
[19]
법률
[20]
웹사이트
성범죄 관계의 법개정 등 Q&A
https://www.moj.go.j[...]
법무성
2023-07-13
[21]
일반
[22]
일반
[23]
일반
[24]
웹사이트
特定小型原動機付自転車(いわゆる電動キックボード等)に関する交通ルール等について|警察庁Webサイト
http://www.npa.go.jp[...]
2023-04-30
[25]
일반
[26]
일반
[27]
일반
[28]
일반
[29]
웹사이트
法務省:民法の一部を改正する法律(成年年齢関係)について
https://www.moj.go.j[...]
2019-02-06
[30]
일반
[31]
법률
민법 개정에 따른 혼인 적령 연령 및 성년 연령 변화
2022-04-01
[32]
법률
2022년 민법 개정 이전 혼인 및 성년
2022-04-01
[33]
법률
2022년 민법 개정 이후 혼인에 의한 성년 미성년자 제도
2022-04-01
[34]
법률
민법 개정
2022-04-01
[35]
법률
2022년 민법 개정 이전 성년 연령
2022-04-01
[36]
법률
성년의 법적 책임
[37]
법률
법적 근거
[38]
법률
성년 자녀의 부양
[39]
법률
미성년자의 소비자 금융 이용
[40]
법률
공직선거법 개정 및 18세 선거권
2015-06-00
[41]
뉴스
選挙権年齢「18歳以上」に 改正公選法が成立
https://web.archive.[...]
2015-06-17
[42]
일반
[43]
일반
[44]
일반
[45]
일반
[46]
일반
[47]
일반
[48]
일반
[49]
일반
[50]
일반
[51]
위키피디아
児童自立生活援助事業 및 자립지원홈 이용 연령
[52]
일반텍스트
[53]
위키피디아
본인 확인
[54]
법률
미성년자의 노동계약
[55]
웹사이트
법제심의회 소년법·형사법(소년연령·범죄자처우관계부회 제27회 회의 의사록
https://www.moj.go.j[...]
[56]
위키피디아
출입 제한 업종
[57]
위키피디아
출입 제한 업종 (2)
[58]
일반텍스트
음식점 관련 규제
[59]
일반텍스트
업종별 연령 제한
[60]
일반텍스트
연령 제한 변경
[61]
법률
少年法等の一部を改正する法律(令和三年法律第四十七号)による改正少年法の施行
2022-04-01
[62]
법률
불량행위소년에 대한 적용
2022-04-01
[63]
법률
자위대용 자동차 운전면허
2007
[64]
법률
18세 성년 시행 후에도 현행 유지
[65]
법률
운전면허 취득 조건
2007
[66]
법률
특대형 자동차 운전면허
2007
[67]
웹사이트
ヒューモニー特別連載第57回子供の新型コロナウイルス感染症
https://humonyinter.[...]
[68]
보고서
令和3版働く女性の実情 付属統計 付表98~113表 付表98 人口動態の推移
https://www.mhlw.go.[...]
2023-08-20
[69]
웹사이트
국제연합 사무국 영 프로페셔널 프로그램(YPP)
https://www.mofa-irc[...]
2023-08-20
[70]
웹사이트
JPO 파견 제도
https://www.mofa-irc[...]
2023-08-20
[71]
보고서
World Health Oraganization > THE GLOBAL HEALTH OBSERVATORY >World Health Statistics>Life expectancy and life tables >Life expectancy at birth (years)
https://www.who.int/[...]
2021-03-18
[72]
보고서
令和4年簡易生命表 結果の概要 3 平均寿命の国際比較
https://www.mhlw.go.[...]
2023-08-20
[73]
보고서
令和4年簡易生命表 結果の概要 1 主な年齢の平均余命
https://www.mhlw.go.[...]
2023-08-20
[74]
보도자료
国内最高齢者 ご逝去について
https://www.mhlw.go.[...]
厚生労働省老健局
2023-08-20
[75]
뉴스
田中さんが国内最高齢更新 117歳261日
https://www.nikkei.c[...]
2023-08-20
[76]
웹사이트
年齢の別名
http://www.ss.iij4u.[...]
[77]
뉴스
「人生一世紀」 8月3日
http://sankei.jp.msn[...]
2022-11-15
[78]
목록
[79]
목록
[80]
웹사이트
https://blog.lxinter[...]
[81]
서적
약관의 의미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