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전적 수반 행렬
"오늘의AI위키" 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 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목차 보기/숨기기
1. 개요
고전적 수반 행렬은 가환환 R 위의 n × n 정사각 행렬 M에 대해 정의되며, 여인자 행렬의 전치 행렬이다. 수반 행렬은 행렬식의 미분, 크라메르 공식, 케일리-해밀턴 정리 등 다양한 분야에 응용된다. 특히, 2x2 행렬의 수반 행렬은 쉽게 계산할 수 있으며, 3x3 행렬의 수반 행렬은 여인자 행렬의 전치 행렬을 통해 구할 수 있다. 수반 행렬은 외대수를 사용하여 추상적인 관점에서 이해할 수 있으며, 고차 수반 행렬과 반복 수반 행렬과 같은 확장된 개념도 존재한다.
2. 정의
가환환 R 위의 n\times n 정사각 행렬 M\in\operatorname{Mat}(n;R) 의 '''고전적 수반 행렬'''은 여인자 행렬의 전치 행렬 이다. 즉, \operatorname{adj}M 의 (i,j) -성분은 M 의 j 번째 행 및 i 번째 열을 지운 여인자이다. 여기서 \det 는 행렬식 이다. 좀 더 자세히 설명하면, R 이 단위적 + 가환환 이고, \mathbf{A} 가 R 의 원소를 갖는 n \times n 행렬이라고 가정한다. \mathbf{M}_{ij} 로 표시되는 \mathbf{A} 의 (i, j) -소행렬식은 \mathbf{A} 의 i 행과 j 열을 삭제하여 얻은 (n - 1) \times (n - 1) 행렬의 행렬식이다. \mathbf{A} 의 여인수 행렬 \mathbf{C} 는 (i, j) 번째 원소가 \mathbf{A} 의 (i, j) -여인수인 n \times n 행렬로, 이는 (i, j) -소행렬식에 부호 인수를 곱한 것이다. :\mathbf{C} = \left((-1)^{i+j} \mathbf{M}_{ij}\right)_{1 \le i, j \le n}. \mathbf{A} 의 수반 행렬은 \mathbf{C} 의 전치 행렬, 즉, (i, j) 번째 원소가 \mathbf{A} 의 (j, i) 여인수인 n \times n 행렬이다. :\operatorname{adj}(\mathbf{A}) = \mathbf{C}^\mathsf{T} = \left((-1)^{i+j} \mathbf{M}_{ji}\right)_{1 \le i, j \le n}. 가환환 R 위의 n 차 정사각 행렬 A = (a_{i,j}) 의 수반 행렬은 (i, j) 성분이 (j, i) 여인수인 n 차 정사각 행렬이며, 기호로는 \operatorname{adj}(A) 등으로 나타낸다. [7]A 의 (i,j) 소행렬식을 M_{i,j} 로 나타내기로 한다. 이것은 A 의 제i 행, 제j 열을 제외하고 남은 (n - 1) 차 소정사각 행렬의 행렬식이다. :\operatorname{adj}(A) = (b_{i,j}), \quad b_{i,j} =(-1)^{i+j} M_{j,i} A 의 (i,j) 여인수를 \widetilde{a}_{i,j} 로 나타내면, :\widetilde{a}_{i,j} = (-1)^{i+j} M_{i,j} :\operatorname{adj}(A) = (b_{i,j}), \quad b_{i,j} = (\widetilde{a}_{j,i}) A 를 여인수 전개하면, A 의 수반 행렬 \widetilde{A} 에 의해,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A\widetilde{A} = \widetilde{A}A = (\det (A))I 여기서 I 는 단위 행렬이다.A 가 특히 가역 행렬일 때, A 의 역행렬은 수반 행렬 \widetilde{A} 로 나타낼 수 있다. :A^{-1} = \frac{1}{\det(A)} \widetilde{A}
3. 성질
가환환 R 위의 n\times n 정사각 행렬 M\in\operatorname{Mat}(n;R) 에 대하여, 다음 항등식이 성립한다. [8] :M\operatorname{adj}M=(\operatorname{adj}M)M=(\det M)1_{n\times n} 특히, \det M\in R 가 가역원 인 경우(R 가 체 인 경우 \det M\ne 0 조건과 같다), M 의 역행렬은 다음과 같다. :M^{-1}=(\det M)^{-1}\operatorname{adj}M 이 외에도 다음 항등식들이 성립한다. :\det(\operatorname{adj}M)=(\det M)^{n-1} :\operatorname{adj}(M^\top)=\operatorname{adj}M 수반 행렬은 \mathbf{A} 와 그 수반 행렬의 곱이 대각 성분이 행렬식 \det(\mathbf{A}) 인 대각 행렬 이 되도록 정의된다. 즉, :\mathbf{A} \operatorname{adj}(\mathbf{A}) = \operatorname{adj}(\mathbf{A}) \mathbf{A} = \det(\mathbf{A}) \mathbf{I}, 여기서 \mathbf{I} 는 n \times n 항등 행렬이다. 이는 행렬식의 라플라스 전개 결과이다. 위 공식은 행렬 대수학의 기본 결과 중 하나이며, \mathbf{A} 는 \det(\mathbf{A}) 가 R 의 가역원일 경우에만 가역 행렬이다. 이 조건이 충족되면 위 방정식은 다음과 같다. :\begin{align} \operatorname{adj}(\mathbf{A}) &= \det(\mathbf{A}) \mathbf{A}^{-1}, \\ \mathbf{A}^{-1} &= \det(\mathbf{A})^{-1} \operatorname{adj}(\mathbf{A}). \end{align} \mathbf{A} 가 가역 행렬일 때, \mathbf{A} 의 역행렬은 수반 행렬 \widetilde{\mathbf{A}} 로 나타낼 수 있다. :A^{-1} = \frac{1}{\det(A)} \widetilde{A}
\operatorname{adj}(O) = O (O 는 영 정방 행렬)\operatorname{adj}(I) = I (I 는 단위 행렬)\operatorname{adj}(cA) = c^{n-1}\operatorname{adj}(A) (c 는 스칼라)\operatorname{adj}(A^\mathsf{T}) = \operatorname{adj}(A)^\mathsf{T} (\mathsf{T} 는 전치 를 나타낸다)\det(\operatorname{adj}(A)) = (\det A)^{n-1} A 가 정칙이면, \operatorname{adj}(A) = (\det A) A^{-1} 이로부터 다음이 유도된다. \operatorname{adj}(A) 는 정칙이고, 그 역행렬은 (\det A)^{-1}A \operatorname{adj}(A^{-1}) = \operatorname{adj}(A)^{-1} .\operatorname{adj}(A) 의 각 성분은 A 성분의 다항식이다. 특히, 실수체 또는 복소수체 상에서 \operatorname{adj}(A) 의 각 성분은 A 성분의 매끄러운 함수 이다.복소수체 상에서, \operatorname{adj}(\overline{A}) = \overline{\operatorname{adj}(A)} (\overline{A} 는 복소 공액을 나타낸다)\operatorname{adj}A^* = (\operatorname{adj}A)^* (A^* 는 수반 행렬을 나타낸다)
3. 1. 추가 성질
임의의 n \times n 행렬 '''A'''에 대해, 복소수 상에서 '''B'''가 다른 n \times n 행렬이고, '''A'''가 '''B'''와 가환한다고 가정한다. 항등식 1=\mathbf{AB} = \mathbf{BA} 에 adj(\mathbf{A}) 를 왼쪽과 오른쪽에 곱하면 다음이 증명된다. [8]\operatorname{adj}(AB) = \operatorname{adj}(B)\operatorname{adj}(A) :\operatorname{adj}(A^k) = (\operatorname{adj} A)^k (k는 0 이상의 정수)A\operatorname{adj}(A+B)B=B\operatorname{adj}(A+B)A
4. 예제
2×2 행렬 \(\mathbf{A} = \begin{bmatrix} a & b \\ c & d \end{bmatrix}\)의 수반 행렬 은 다음과 같다. :\(\operatorname{adj}(\mathbf{A}) = \begin{bmatrix} d & -b \\ -c & a \end{bmatrix}\) 직접 계산하면 다음과 같다. :\(\mathbf{A} \operatorname{adj}(\mathbf{A}) = \begin{bmatrix} ad - bc & 0 \\ 0 & ad - bc \end{bmatrix} = (\det \mathbf{A})\mathbf{I}\) 이 경우, \(\det(\operatorname{adj}(\mathbf{A})) = \det(\mathbf{A})\)이며, \(\operatorname{adj}(\operatorname{adj}(\mathbf{A})) = \mathbf{A}\)도 성립한다.
4. 1. 1 × 1 일반 행렬
0이 아닌 1×1 행렬 (실수 혹은 허수 )의 수반행렬은 \mathbf{I} = \begin{bmatrix} 1 \end{bmatrix} 이고, adj(0) = 0으로 정의한다. 1 × 1 행렬 (복소수 )의 수반 행렬은 \mathbf{I} = \begin{bmatrix} 1 \end{bmatrix} 이다. \mathbf{A} \operatorname{adj}(\mathbf{A}) = \operatorname{adj}(\mathbf{A})\mathbf{A} = (\det \mathbf{A}) \mathbf {I}. 임을 알 수 있다.
4. 2. 2 × 2 일반 행렬
2×2 행렬 \(\mathbf{A} = \begin{bmatrix} a & b \\ c & d \end{bmatrix}\)의 수반행렬은 다음과 같다. :\(\operatorname{adj}(\mathbf{A}) = \begin{bmatrix} d & -b \\ -c & a \end{bmatrix}\) 직접 대입을 통해 다음을 보일 수 있다. :\(\mathbf{A} \operatorname{adj}(\mathbf{A}) = \begin{bmatrix} ad - bc & 0 \\ 0 & ad - bc \end{bmatrix} = (\det \mathbf{A})\mathbf{I}\) 이 경우 \(\det(\operatorname{adj}(\mathbf{A})) = \det(\mathbf{A})\)가 성립하고, \(\operatorname{adj}(\operatorname{adj}(\mathbf{A})) = \mathbf{A}\)이다. 구체적인 예시는 다음과 같다. :\(\operatorname{adj}\!\begin{bmatrix}3 & 2 & -5 \\ 1 & 0 & -2 \\ 3 & -4 & 1 \end{bmatrix} = \begin{bmatrix}8 & 18 & -4 \\ 5 & 12 & -1 \\ 4 & -6 & 2 \end{bmatrix}\) 이는 수반 행렬이 역행렬에 행렬식 -6을 곱한 것과 같다는 것을 보여준다. 수반 행렬의 두 번째 행, 세 번째 열의 -1은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mathbf{A}\)의 (3,2) 여인자는 원래 행렬에서 세 번째 행과 두 번째 열을 제거한 부분 행렬 을 사용하여 계산한다. :\(\begin{bmatrix} -3 & -5 \\ -1 & -2 \end{bmatrix}\) (3,2) 여인자는 이 부분 행렬의 행렬식에 부호를 곱한 값이다. :\((-1)^{3+2}\operatorname{det}\!\begin{bmatrix}-3&-5\\-1&-2\end{bmatrix} = -(-3 \cdot -2 - -5 \cdot -1) = -1\) 이것이 수반 행렬의 (2,3) 항목이다. 2차 정방 행렬 \(\mathbf{A} = \begin{bmatrix} a & b \\ c & d \end{bmatrix}\)의 여인수 행렬은 다음과 같다. :\(\operatorname{adj}(\mathbf{A}) = \begin{bmatrix} d & -b \\ -c & a \end{bmatrix}\) 2차 정사각 행렬에서는 \(\operatorname{adj}(\operatorname{adj}(\mathbf{A})) = \mathbf{A}\)가 성립한다.
4. 3. 3 × 3 일반 행렬
다음 3 × 3 행렬에서 : \mathbf{A} = \begin{bmatrix} a_{11} & a_{12} & a_{13} \\ a_{21} & a_{22} & a_{23} \\ a_{31} & a_{32} & a_{33} \end{bmatrix}. 여인자_행렬은 다음과 같이 구한다. : \mathbf{C} = \begin{bmatrix} +\begin{vmatrix} a_{22} & a_{23} \\ a_{32} & a_{33} \end{vmatrix} &\begin{vmatrix} a_{21} & a_{23} \\ a_{31} & a_{33} \end{vmatrix} & +\begin{vmatrix} a_{21} & a_{22} \\ a_{31} & a_{32} \end{vmatrix} \\ \\\begin{vmatrix} a_{12} & a_{13} \\ a_{32} & a_{33} \end{vmatrix} & +\begin{vmatrix} a_{11} & a_{13} \\ a_{31} & a_{33} \end{vmatrix} &\begin{vmatrix} a_{11} & a_{12} \\ a_{31} & a_{32} \end{vmatrix} \\ \\ +\begin{vmatrix} a_{12} & a_{13} \\ a_{22} & a_{23} \end{vmatrix} &\begin{vmatrix} a_{11} & a_{13} \\ a_{21} & a_{23} \end{vmatrix} & +\begin{vmatrix} a_{11} & a_{12} \\ a_{21} & a_{22} \end{vmatrix} \end{bmatrix}, 여기서 : \begin{vmatrix} a_{im} & a_{in} \\ a_{jm} & a_{jn} \end{vmatrix} =\det\begin{bmatrix} a_{im} & a_{in} \\ a_{jm} & a_{jn} \end{bmatrix} . 수반 행렬은 이 여인자 행렬의 전치 행렬 이므로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 \operatorname{adj}(\mathbf{A}) = \mathbf{C}^\mathsf{T} = \begin{bmatrix} +\begin{vmatrix} a_{22} & a_{23} \\ a_{32} & a_{33} \end{vmatrix} &\begin{vmatrix} a_{12} & a_{13} \\ a_{32} & a_{33} \end{vmatrix} & +\begin{vmatrix} a_{12} & a_{13} \\ a_{22} & a_{23} \end{vmatrix} \\ & & \\\begin{vmatrix} a_{21} & a_{23} \\ a_{31} & a_{33} \end{vmatrix} & +\begin{vmatrix} a_{11} & a_{13} \\ a_{31} & a_{33} \end{vmatrix} &\begin{vmatrix} a_{11} & a_{13} \\ a_{21} & a_{23} \end{vmatrix} \\ & & \\ +\begin{vmatrix} a_{21} & a_{22} \\ a_{31} & a_{32} \end{vmatrix} &\begin{vmatrix} a_{11} & a_{12} \\ a_{31} & a_{32} \end{vmatrix} & +\begin{vmatrix} a_{11} & a_{12} \\ a_{21} & a_{22} \end{vmatrix} \end{bmatrix}.
4. 4. 3 × 3 행렬 수치 계산 예
다음 행렬의 수반행렬은 아래와 같이 구해진다. :\operatorname{adj} \begin{bmatrix}3 & 2 & -5 \\ 1 & 0 & -2 \\ 3 & -4 & 1 \end{bmatrix} = \begin{bmatrix}8 & 18 & -4 \\ 5 & 12 & -1 \\ 4 & -6 & 2 \end{bmatrix}. 이 수반행렬은 원래 행렬의 역행렬에 행렬식 -6을 곱한 것과 같다는 것을 쉽게 보일 수 있다. 수반행렬의 (2행, 3열) 값 -1은 다음과 같이 구해진다. 수반행렬의 (2행, 3열) 값은 여인자 행렬의 (3행, 2열) 값이다. 여인자는 해당 행과 열을 없앤 부분_행렬, :\begin{bmatrix} -3 & -5 \\ -1 & -2 \end{bmatrix}. 과 (3행, 2열)에 해당하는 부호값을 이용하여 다음과 같이 구해진다. :(-1)^{3+2}\operatorname{det}\begin{bmatrix}-3&-5\\-1&-2\end{bmatrix}=-(-3 \cdot -2 - -5 \cdot -1)=-1, 그러므로 수반행렬의 (2행,3열)값은 -1이다.
5. 응용
행렬 의 특성 다항식은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p(s) = \det(s\mathbf{I} - \mathbf{A}) = \sum_{i=0}^n p_i s^i \in R[s]. 의 첫 번째 나눗셈 차분은 차수 의 대칭 다항식 이다. :\Delta p(s, t) = \frac{p(s) - p(t)}{s - t} = \sum_{0 \le j + k < n} p_{j+k+1} s^j t^k \in R[s, t]. 에 수반 행렬을 곱하고 케일리-해밀턴 정리 를 적용하면 이므로, 다음을 얻는다. :\operatorname{adj}(s\mathbf{I} - \mathbf{A}) = \Delta p(s\mathbf{I}, \mathbf{A}). 의 해법은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R(z; \mathbf{A}) = (z\mathbf{I} - \mathbf{A})^{-1}, 위의 공식에 의해, 이는 다음과 같다. :R(z; \mathbf{A}) = \frac{\Delta p(z\mathbf{I}, \mathbf{A})}{p(z)}.
5. 1. 열 치환과 크라메르 공식
의 열 벡터 표기를 :A = (\boldsymbol{a}_1 \ \cdots \ \boldsymbol{a}_n) 로 하고, 를 차 열 벡터로 한다. 고정된 에 대해, 의 제 열을 로 바꾼 행렬을 다음 기호로 정의한다. :(A \stackrel{j}{\leftarrow} \boldsymbol{b})\ \stackrel{\text{def}}{=}\ \begin{pmatrix} \boldsymbol{a}_1 &\cdots &\boldsymbol{a}_{j-1} &\boldsymbol{b} &\boldsymbol{a}_{j+1} &\cdots & \boldsymbol{a}_n \end{pmatrix} 이 행렬의 행렬식을 제열에 관해 여인수 전개하고, 그것들을 모아서 만들 수 있는 열 벡터는 곱 와 같게 된다. :\left(\det(A \stackrel{j}{\leftarrow} \boldsymbol{b})\right)_{j=1}^n = \operatorname{adj}(A)\boldsymbol{b} 이 등식은 구체적인 결과를 낳는다. 선형 방정식 :A\boldsymbol{x} = \boldsymbol{b} 를 생각한다. 를 정칙 행렬이라고 가정한다. 이 방정식에 왼쪽에 를 곱하고, 로 나누면 :\boldsymbol{x} = \frac{1}{\det A} (\operatorname{adj}A) \boldsymbol{b} 여기서 클라머 공식을 적용하면, :x_i = \frac{\det(A \stackrel{i}{\leftarrow} \boldsymbol{b})}{\det A} 여기서 는 의 제 성분이다.
5. 2. 특성 다항식
'''A'''의 특성 다항식을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p(s) = \det(sI-A) = \textstyle\sum\limits_{i=0}^n p_i s^i \in R[s] 에 수반 행렬을 곱하면 케일리-해밀턴 정리 에 의해 이므로, 다음을 얻는다. :\operatorname{adj}(sI-A) = \Delta p(sI,A)
5. 3. 야코비 공식
수반 행렬은 야코비 공식에도 나타나는데, 이는 행렬식의 미분 에 대한 공식이다. Continuously differentiable|연속적으로 미분 가능영어 한 행렬 ''A''(''t'')에 대해, 다음이 성립한다. :\frac{d}{dt}(\det A(t)) = \operatorname{tr}\left(\operatorname{adj}(A(t)) A'(t)\right) 따라서, 행렬식의 전미분 은 수반 행렬의 전치 행렬 과 같다. :d(\det A)_{A_0} = \operatorname{adj}(A_0)^{\mathsf{T}}
5. 4. 케일리-해밀턴 정리
행렬 의 특성 다항식을 라고 할 때, 케일리-해밀턴 정리 에 따르면 다음이 성립한다. :p_{\mathbf{A}}(\mathbf{A}) = \mathbf{0}. 상수항을 분리하고 식에 를 곱하면 와 의 계수에만 의존하는 수반 행렬에 대한 식이 나온다. 이 계수들은 완전 지수 벨 다항식 을 사용하여 의 거듭제곱의 대각합으로 명시적으로 표현할 수 있다. 결과 공식은 다음과 같다. :\operatorname{adj}(\mathbf{A}) = \sum_{s=0}^{n-1} \mathbf{A}^{s} \sum_{k_1, k_2, \ldots, k_{n-1}} \prod_{\ell=1}^{n-1} \frac{(-1)^{k_\ell+1}}{\ell^{k_\ell}k_{\ell}!}\operatorname{tr}(\mathbf{A}^\ell)^{k_\ell}, 여기서 은 의 차원이며, 합은 와 선형 디ophantine 방정식을 만족하는 의 모든 수열에 대해 취해진다. :s+\sum_{\ell=1}^{n-1}\ell k_\ell = n - 1. 2 × 2 행렬의 경우, 다음을 얻는다. :\operatorname{adj}(\mathbf{A})=\mathbf{I}_2(\operatorname{tr}\mathbf{A}) - \mathbf{A}. 3 × 3 행렬의 경우, 다음을 얻는다. :\operatorname{adj}(\mathbf{A})=\frac{1}{2}\mathbf{I}_3\!\left( (\operatorname{tr}\mathbf{A})^2-\operatorname{tr}\mathbf{A}^2\right) - \mathbf{A}(\operatorname{tr}\mathbf{A}) + \mathbf{A}^2 . 4 × 4 행렬의 경우, 다음을 얻는다. :\operatorname{adj}(\mathbf{A})= \frac{1}{6}\mathbf{I}_4\!\left( (\operatorname{tr}\mathbf{A})^33\operatorname{tr}\mathbf{A}\operatorname{tr}\mathbf{A}^2 + 2\operatorname{tr}\mathbf{A}^{3} \right)\frac{1}{2}\mathbf{A}\!\left( (\operatorname{tr}\mathbf{A})^2 - \operatorname{tr}\mathbf{A}^2\right) + \mathbf{A}^2(\operatorname{tr}\mathbf{A}) 위의 표시식은, 의 특성 다항식을 효율적으로 구할 수 있는 파데예프-레베리에 알고리즘의 마지막 단계에서도 직접적으로 유도할 수 있다.
6. 외대수와의 관계
수반 행렬은 외대수 를 사용하여 추상적인 관점에서 볼 수 있다. 이 표준 기저 를 갖는 경우, 선형 변환 의 행렬이 이면, 의 수반 행렬은 의 수반 행렬과 같다.\wedge^{n-1} \mathbf{R}^n 에 다음과 같은 기저를 부여한다. :\{\mathbf{e}_1 \wedge \dots \wedge \hat\mathbf{e}_k \wedge \dots \wedge \mathbf{e}_n\}_{k=1}^n. 의 기저 벡터 를 고정하면, \phi 아래에서 의 이미지는 다음과 같이 결정된다. :\phi_{\mathbf{e}_i}(\mathbf{e}_1 \wedge \dots \wedge \hat\mathbf{e}_k \wedge \dots \wedge \mathbf{e}_n) = \begin{cases} (-1)^{i-1} \mathbf{e}_1 \wedge \dots \wedge \mathbf{e}_n, &\text{if}\ k = i, \\ 0 &\text{otherwise.} \end{cases} 기저 벡터에서 차 외력 는 다음과 같다. :\mathbf{e}_1 \wedge \dots \wedge \hat\mathbf{e}_j \wedge \dots \wedge \mathbf{e}_n \mapsto \sum_{k=1}^n (\det A_{jk}) \mathbf{e}_1 \wedge \dots \wedge \hat\mathbf{e}_k \wedge \dots \wedge \mathbf{e}_n. 이러한 각 항은 \phi_{\mathbf{e}_i} 아래에서 0으로 매핑되지만 항은 예외이다. 따라서 \phi_{\mathbf{e}_i} 의 당김은 다음과 같은 선형 변환이다. :\mathbf{e}_1 \wedge \dots \wedge \hat\mathbf{e}_j \wedge \dots \wedge \mathbf{e}_n \mapsto (-1)^{i-1} (\det A_{ji}) \mathbf{e}_1 \wedge \dots \wedge \mathbf{e}_n, 즉, 다음과 같다. :\sum_{j=1}^n (-1)^{i+j} (\det A_{ji})\phi_{\mathbf{e}_j}. \phi 의 역을 적용하면 의 수반 행렬은 다음과 같은 선형 변환임을 알 수 있다. :\mathbf{e}_i \mapsto \sum_{j=1}^n (-1)^{i+j}(\det A_{ji})\mathbf{e}_j. 결과적으로, 이의 행렬 표현은 의 수반 행렬이다.
7. 고차 수반 행렬
'''A'''를 행렬이라 하고 r을 고정하자. '''r차 고차 수반 행렬'''은 \binom{n}{r} \!\times\! \binom{n}{r} 행렬이며, 로 표기한다. r차 고차 수반 행렬의 (I, J) 원소는 다음과 같다. :(-1)^{\sigma(I) + \sigma(J)}\det \mathbf{A}_{J^c, I^c}, 여기서 와 는 각각 와 의 원소의 합이다. 와 는 각각 와 의 여집합을 나타낸다. 또한 \mathbf{A}_{I^c, J^c} 는 각각 와 에 인덱스가 있는 행과 열을 포함하는 '''A'''의 부분 행렬을 나타낸다. 고차 수반 행렬의 기본적인 성질은 다음과 같다:
\operatorname{adj}_r(\mathbf{A})C_r(\mathbf{A}) = C_r(\mathbf{A})\operatorname{adj}_r(\mathbf{A}) = (\det \mathbf{A})I_{\binom{n}{r}} , 여기서 는 r차 합성 행렬을 나타낸다. 고차 수반 행렬은 일반적인 수반 행렬과 유사한 방식으로 추상대수학 적 용어로 정의될 수 있으며, \wedge^r V 와 \wedge^{n-r} V 를 각각 V 와 \wedge^{n-1} V 대신 사용한다.
8. 반복 수반 행렬
반복적으로 가역 행렬 '''A'''의 수반 행렬을 ''k''번 취하면 다음을 얻는다. :\overbrace{\operatorname{adj}\dotsm\operatorname{adj}}^k(\mathbf{A})=\det(\mathbf{A})^{\frac{(n-1)^k-(-1)^k}n}\mathbf{A}^{(-1)^k} :\det(\overbrace{\operatorname{adj}\dotsm\operatorname{adj}}^k(\mathbf{A}))=\det(\mathbf{A})^{(n-1)^k} 예를 들어, :\operatorname{adj}(\operatorname{adj}(\mathbf{A})) = \det(\mathbf{A})^{n - 2} \mathbf{A} :\det(\operatorname{adj}(\operatorname{adj}(\mathbf{A}))) = \det(\mathbf{A})^{(n - 1)^2}
참조
[1]
서적
The Theory of Matrices
https://books.google[...]
Chelsea
[2]
서적
Linear Algebra and its Applications
Harcourt Brace Jovanovich
[3]
간행물
On predicting the response of non-conservative linear vibrating systems by using dynamical matrix solutions
[4]
간행물
A characteristic matrix approach for analyzing resonant ring lattice devices
[5]
서적
The Theory of Matrices in Numerical Analysis
Dover Books on Mathematics
[6]
서적
The Theory of Matrices
https://books.google[...]
Chelsea
[7]
서적
線型代数入門
東京大学出版会
1966-03-31
[8]
서적
Linear Algebra
https://archive.org/[...]
Prentice-Hall
197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