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체 로켓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고체 로켓은 화약에서 시작하여 현대의 우주 발사체에 이르기까지 널리 사용되는 로켓의 한 종류이다. 10세기 중국에서 화약 기반의 무유도탄으로 시작되었으며, 18세기에는 마이소르 왕국에서 주철 튜브 로켓이 개발되었다. 2차 세계 대전 이후 미국과 소련의 대륙간 탄도 미사일 개발 경쟁을 통해 기술이 발전했으며, 일본과 대한민국에서도 자체적인 고체 로켓 개발이 이루어졌다. 고체 로켓은 구조가 간단하고 장기간 보관이 가능하며 즉응성이 뛰어나 군사용 미사일에 주로 사용되지만, 연소 제어가 어렵고 추력 조절이 어렵다는 단점도 있다. 주요 구성 요소로는 모터 케이스, 추진제, 노즐, 점화기가 있으며, 추진제는 흑색 화약에서 복합 추진제로 발전했다. 고체 로켓은 군사용 미사일, 우주 발사체 부스터, 과학 관측 로켓, 모형 로켓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며, 친환경 연료, 가변 추력 설계, 하이브리드 로켓 등 미래 기술 연구가 진행 중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고체연료 로켓 - MGM-140 ATACMS
MGM-140 ATACMS는 고체 연료 로켓을 사용하는 지대지 미사일로, 최대 사거리가 300km이며, 걸프 전쟁에서 실전 사용되었고, 대한민국을 포함한 여러 국가에서 운용한다. - 고체연료 로켓 - MGM-134 미지트맨
MGM-134 미지트맨은 소련 해군 잠수함 발사 탄도 미사일에 대응하기 위해 미국이 이동성을 통해 생존성을 높이려 개발한 이동식 대륙간 탄도 미사일이었으나 냉전 종식으로 개발이 취소되었고, 개발 기술은 델타, 페가수스 로켓 개발에 활용되었으며 미니트맨 미사일보다 가볍다. - 로켓 추진 - 비추력
비추력은 추진 시스템의 효율을 나타내는 척도로, 단위 질량 또는 무게의 추진제가 생성하는 충격량을 초 단위로 측정하며, 추진제 종류, 엔진 설계, 작동 환경에 따라 달라지고 연료 효율과 관련이 깊다. - 로켓 추진 - 부스터
부스터는 발사체의 초기 가속을 돕는 장치로, 고체 또는 액체 연료를 사용하며, 재사용 기술 개발을 통해 우주 발사 비용 절감 및 미사일 초기 가속에 기여한다. - 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분류 - 공 (악기)
공은 금속으로 제작된 타악기로, 다양한 문화권에서 의식, 신호, 음악 연주 등에 사용되며, 형태와 용도에 따라 여러 종류로 나뉜다. - 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분류 - 국무회의
국무회의는 대한민국 대통령을 의장으로, 예산, 법률안, 외교, 군사 등 국정 현안을 심의하는 중요한 기관이며, 대통령, 국무총리, 국무위원으로 구성되고, 정례회의는 매주 1회, 임시회의는 필요에 따라 소집된다.
고체 로켓 | |
---|---|
개요 | |
![]() | |
유형 | 로켓 |
추진제 유형 | 고체 추진제 |
용도 | 미사일 로켓 발사체 로켓 부스터 |
특징 | |
구조적 단순성 | 추진제와 연소실이 통합되어 구조가 단순함. |
높은 추력 | 짧은 시간에 높은 추력을 낼 수 있음. |
보관 용이성 | 추진제를 장기간 보관할 수 있음. |
즉시 발사 가능 | 추진제 주입 과정 없이 즉시 발사 가능함. |
추력 조절의 어려움 | 일단 점화되면 추력 조절이 어렵고, 정지가 불가능함. |
낮은 비추력 | 액체 추진 로켓에 비해 비추력이 낮음. |
높은 연소 온도 | 연소 온도가 높아 특수 내열 재료가 필요함. |
작동 원리 | |
점화 | 점화 장치를 통해 추진제에 점화를 시작함. |
연소 | 고체 추진제가 연소하면서 고온, 고압의 가스를 생성함. |
추력 발생 | 노즐을 통해 고속으로 분사되는 가스가 추력을 발생시킴. |
연소 형태 | 추진제의 형상에 따라 다양한 연소 형태를 구현할 수 있음 (예: 축 방향 연소, 방사 방향 연소). |
장점 및 단점 | |
장점 | 구조가 간단하고 신뢰성이 높음 장기간 보관이 가능하며 즉시 발사할 수 있음 액체 로켓에 비해 취급이 용이함 |
단점 | 추력 조절이 어렵고, 일단 점화되면 정지할 수 없음 액체 로켓에 비해 비추력이 낮음 고체 추진제의 특성상 성능 향상에 제약이 있음 |
구성 요소 | |
추진제 | 연소 가능한 고체 물질 (예: APCP, 복합 추진제) |
연소실 | 추진제가 연소하는 공간 |
노즐 | 고온, 고압의 가스를 가속시켜 추력을 발생시키는 부분 |
점화 장치 | 추진제에 점화를 시작하는 장치 (예: 파이로테크닉 점화기) |
활용 분야 | |
미사일 | 군사적 목적으로 사용되는 다양한 종류의 미사일 |
로켓 발사체 | 인공위성, 탐사선 등을 궤도에 진입시키는 데 사용되는 로켓 발사체의 부스터 |
우주 탐사 | 심우주 탐사를 위한 로켓의 추진 시스템 |
참고 자료 | |
서적 | Rocket Propulsion Elements, 7th Edition, George P. Sutton, Oscar Biblarz |
웹사이트 | "NASA - LADEE: Lunar Atmosphere Dust and Environment Explorer" "Space-Travel.com: LockMart And ATK Athena Launch Vehicles Selected As A NASA Launch Services Provider" |
2. 역사
고체 로켓의 역사는 매우 오래되었으며, 10세기경 중국에서 화약 무기인 화전으로 처음 등장했다. 화전은 흑색 화약을 연료로 사용한 무유도탄으로, 현대의 로켓 불꽃놀이와 유사한 형태였다. 당시 화약 조제 기술은 미발달하여 신뢰성이 높지 않았지만, 무기가 스스로 비행한다는 점은 획기적이었으며, 심리전에 유리하게 사용되었다. 몽골군과의 전투와 원나라의 일본 침략 당시에도 사용되었다는 기록이 남아있다.[37]
18세기에는 마이소르 왕국에서 주철 튜브를 사용한 로켓이 개발되어 제2차 앵글로-마이소르 전쟁에서 영국군에게 큰 타격을 주었다. 이 로켓은 최대 1.6km 떨어진 표적까지 도달할 수 있었다. 마이소르 로켓의 성공은 영국, 프랑스 등에서 로켓 연구를 촉발시켰고, 1804년 콩그리브 로켓이 개발되는 계기가 되었다.[8]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RATO(로켓 보조 추진 이륙)를 위해 각국에서 고체 연료 로켓이 개발되었다. 소련에서는 가스 역학 연구소와 반응 과학 연구소(RNII)가 고체 추진 로켓 개발을 주도하여 RS-82 및 RS-132 로켓을 개발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BM-13/카츄샤 로켓 발사기를 개발하였다. 제2차 세계 대전 말까지 약 10,000기의 카츄샤 로켓 발사기와 1,200만 기의 RS형 로켓이 생산되었다.[14]
미국에서는 1942년 잭 파슨스가 아스팔트와 과염소산 칼륨을 사용한 현대적인 복합 고체 로켓 모터를 발명하였다. 이후 찰스 바틀리는 합성 고무를 사용하여 더욱 크고 안정적인 고체 로켓 모터를 개발하는 데 기여했다. 1954년에는 애틀랜틱 리서치 코퍼레이션이 추진제에 분말 알루미늄을 첨가하여 성능을 크게 향상시켰다.[15]
전후 소련과 미국은 대륙간 탄도 미사일(ICBM) 개발과 함께 고체 연료 로켓 기술을 발전시켰다. 1980년대 후반부터는 정부 주도 프로그램에 의해 궤도 우주 비행에 고체 로켓 부스터가 활용되기 시작했다.
일본에서는 이토카와 히데오의 주도로 펜슬 로켓, 카파 로켓, 람다 로켓, 뮤 로켓 등이 개발되었으며, 1970년에는 일본 최초의 인공위성 오스미 위성을 발사하였다.
2. 1. 대한민국
대한민국은 1970년대부터 고체 연료 로켓 개발을 시작하였다. 1990년대 한국형 1단 고체 과학로켓 KSR-I, KSR-II 개발에 성공하였고, 나로호 개발 과정에서 킥모터를 개발하여 세계 최고 수준의 비추력을 달성하였다.[17] 2020년 7월 28일, 청와대 김현종 국가안보실 2차장은 브리핑을 통해 "한미 미사일 지침 (제4차) 개정으로 우주 발사체에 대한 고체연료 사용 제한이 해제됐다"고 밝혔다.미국은 일본에는 고체연료 우주로켓 개발을 규제하지 않았으나, 한국에는 계속 규제해 오다가 2020년에 규제를 해제했다.
3. 특징
고체 로켓은 액체 연료 로켓에 비해 구조가 간단하고 저렴하며, 장기간 보관할 수 있다는 특징이 있다. 추진제가 상온에서 증발하거나 확산되지 않아 독성 문제에서 비교적 자유로우며, 제조 후 점검이 거의 필요 없고 즉응성이 뛰어나 군사용 미사일 등에 사용된다.[4]
고체 로켓 모터는 케이싱, 노즐, 그레인(추진제 덩어리), 점화기로 구성된다. 점화 후에는 연소를 중단하거나 재점화, 추력 조절을 하는 것이 어렵다. 또한, 모터 케이스가 연소실을 겸하므로 높은 압력과 온도에 견뎌야 한다. 이러한 이유로 챌린저호 폭발 사고나 브라질 로켓 폭발 사고의 원인이 되기도 했다.[4]
비추력은 액체 연료 로켓에 비해 낮지만, 추진제 밀도가 커서 로켓 전체 크기를 작게 할 수 있고, 추력이 큰 로켓을 비교적 쉽게 제조할 수 있다. 이러한 특성 때문에 대형 위성 발사 로켓의 추력 보강을 위한 부스터나, 위성을 궤도에 투입하는 아포지 킥 모터 등에 사용된다.
고체 로켓 추진제는 연소실 내 노출된 추진제 표면에서 급격하게 연소한다. 추진제 형태는 연소 가스에 노출되는 추진제 표면적을 변화시켜 모터 성능에 영향을 준다.
응용 분야와 원하는 추력 곡선에 따라 여러 기하학적 구성이 사용된다.
형상 | 설명 |
---|---|
원형 보어 | BATES 구성, 점진적-감퇴형 추력 곡선 생성 |
엔드 버너 | 추진제가 한 축 끝에서 다른 쪽 끝으로 연소, 안정적인 장시간 연소, 열적 어려움, 무게 중심(CG) 이동 발생 |
C-슬롯 | 측면에서 큰 쐐기 모양으로 잘라낸 추진제, 비교적 긴 감퇴형 추력, 열적 어려움, 비대칭 CG 특성 |
문 버너 | 중심에서 벗어난 원형 보어, 점진적-감퇴형 장시간 연소, 약간의 비대칭 CG 특성 |
피노실 | 5-6개 다리가 달린 별 모양, 균일한 추력, 빠른 연소, 원형 보어보다 표면적 증가 |
모터 케이스는 고온 고압을 견뎌야 하며, 고장력강, 티타늄 합금, 섬유 강화 플라스틱 등이 사용된다. 특히, 섬유 강화 플라스틱제 모터 케이스는 대륙간 탄도 미사일(ICBM)이나 잠수함 발사 탄도 미사일(SLBM) 등에서 실용화되었으며, 현재는 소형 군용 로켓 모터나 위성 발사용 로켓에도 사용된다.
모터 케이스는 어블레이션 냉각 방식으로 연소 가스의 열로부터 보호된다. 노즐, 특히 스로트부는 흑연이나 탄소 섬유 강화 탄소 복합 재료 등 내열성이 뛰어난 재료가 사용된다.
4. 구성 요소
로켓 케이싱은 다양한 재료로 제작될 수 있다. 작은 흑색 화약 모형 모터에는 판지가 사용되며, 더 큰 복합 연료 취미용 모터에는 알루미늄이 사용된다. 우주왕복선 부스터에는 강철이, 고성능 모터에는 필라멘트 와인딩된 흑연 에폭시 케이싱이 사용된다. 케이싱은 로켓 모터의 압력과 응력, 고온을 견디도록 설계되어야 하며, 압력 용기로 간주된다. 부식성 고온 가스로부터 케이싱을 보호하기 위해 내부에 희생적인 열 라이너가 사용되기도 하는데, 이는 침식되어 케이싱의 수명을 연장한다.
수렴-발산 노즐은 배기 가스를 가속하여 추력을 발생시키는 장치로, 연소 가스의 열을 견딜 수 있는 무정형 흑연이나 탄소 섬유 강화 탄소 복합 재료와 같은 내열성 탄소 기반 재료로 구성된다.[4] 우주 왕복선 SRB처럼 노즐을 짐벌로 움직이거나, V-2 로켓처럼 배기구에 제트 베인을 사용하거나, 액체 분사 추력 벡터 제어(LITV)를 하는 등 배기 방향 제어가 포함되기도 한다. 모터 하부 노즐, 특히 스로트부는 직접 가스와 접촉하여 극심한 열에 노출되므로 흑연이나 탄소 섬유 강화 탄소 복합 재료 등 내열성 재료나 어블레이션 냉각이 사용된다.
고체 로켓 점화기는 추진제에 불을 붙이는 장치로,[4] 화공 점화기가 추진제 표면을 연소시킨다.
4. 1. 추진제
로켓 추진제는 연료와 산화제가 혼합된 고체 상태의 물질이다. 로켓 연료는 크게 액체 연료와 고체 연료로 나뉘는데, 일반적으로 고체 연료라고 하면 고체 추진제를 의미한다. 고체 추진제는 연료 성분과 산화 성분이 균질하게 결합된 더블베이스형과 산화제를 연료로 반죽하여 굳게 한 콤포지트형으로 나뉜다.[63]# 고체 연료-산화제 혼합물(추진제)이 로켓에 채워져 있으며, 가운데에는 원통형 구멍이 있다.
# 점화기가 추진제 표면을 연소시킨다.
# 추진제의 원통형 구멍은 연소실 역할을 한다.
# 뜨거운 배기는 목에서 조절되며, 이는 무엇보다도 생성되는 추력의 양을 결정한다.
# 배기가 로켓에서 배출된다.
]]
초기 고체 로켓 모터에는 흑색 화약이 사용되었다. 사이타마현지치부시에 있는 구라 신사에서 매년 10월에 열리는 예대제(류세이 축제)에서 현재에도 발사되는 류세이 로켓은 목재를 대나무 타가로 조이고 내부에 흑색 화약을 다져 넣은 단면 연소 로켓이다.
이후, 니트로셀룰로스와 니트로글리세린을 주체로 한 더블 베이스 화약이 등장하여, 구 일본군의 로켓 병기에 사용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의 특공 병기인 벚꽃의 로켓 엔진은 추력 800kg의 4식 1호 분진기 20형이 3개 묶여 각각 9초 동안 사용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에는 과염소산 암모늄(AP), 부틸 고무, 폴리우레탄, 폴리부타디엔 등의 합성 고무계 재료, 알루미늄(Al) 등의 금속 분말, 과망간산 칼륨등의 산화제를 혼련한 복합 추진제가 개발되었다. 고무 기제는 연료이자 결합제이며, 연료의 기계적 성질을 결정한다. 우주항공연구개발기구(JAXA) H-IIA 로켓의 SRB(고체 연료 로켓 부스터)는 AP/말단 수산기 폴리부타디엔(HTPB) 계 복합 추진제를 사용하며, HTPB 14%, Al 18%, AP 68%와 산화철 등 첨가물로 구성된다.
복합 추진제 기재로는 열경화성 수지인 HTPB 외에 열가소성 수지(LT)를 사용한 추진제(LTP)가 제안되고 있다. 열가소성 수지는 가열하면 연화되므로 성형이 쉽고 비용 절감으로 이어진다는 기대가 있다.
현재 사용되는 과염소산염 암모늄계 복합 추진제는 연소 시 대량의 염화수소를 발생시켜 발사 후 독성 가스가 확산된다. 케네디 우주 센터에서는 우주 왕복선 발사 시 풍향에 따라 관객 장소를 제한하고, 조정지에 배수하여 알칼리 투입으로 중화한다. 염소는 오존층에 악영향을 미치고, 미국 방위 산업 공장 부근에서는 과염소산염의 환경 방출 및 인체 독성이 우려되어 대체 산화제가 요구되지만, 아직 연구 중이다.
염화수소 발생 방지 방법으로는, 중화제(마그네슘 등)를 섞어 염소를 염화 마그네슘으로 배출하는 중화형, 질산나트륨 등 알칼리 질산염을 섞어 염소를 염화 나트륨으로 배출하는 소기형 추진제가 있으나, 효과가 충분하지 않다.[51]
가장 이상적인 것은 과염소산염 대체 산화제 사용이며, 암모늄 디니트라미드(ADN)이 대체제로 기대된다.[51]
4. 1. 1. 추진제 종류
흑색 화약(목탄, 질산 칼륨, 유황으로 구성)은 초기 고체 로켓에 사용되었다.[30][31] 흑색 화약은 에스테스와 같은 저출력 모형 로켓에 사용되는데, 이는 저렴하고 생산이 비교적 쉽기 때문이다. 그러나 성능이 낮고(비추력 약 80초), 잘 부스러지기 때문에 현재는 추력 40 Ns 이상에서는 사용되지 않는다.이중 기저 추진제(Double-base propellants)는 니트로글리세린과 니트로셀룰로스를 주성분으로 하는 추진제이다.[62] 연기가 적게 나면서도 약 235isp의 중간 정도 비추력이 필요한 곳에 사용된다.
복합 추진제(Composite propellants)는 과염소산 암모늄(APCP) 또는 질산 암모늄(ANCP)을 산화제로 사용하고, 금속 분말(주로 알루미늄)을 연료로, 고무질 바인더를 결합제로 사용하는 추진제이다.[62] 과염소산 암모늄 복합 추진제(APCP)는 우주, 군사 및 아마추어 로켓에 널리 사용되는 반면, 더 저렴하고 효율성이 떨어지는 ANCP는 아마추어 로켓 및 가스 발생기에 사용된다.
고에너지 복합 추진제(High-energy composite propellants)는 복합 추진제에 RDX나 HMX와 같은 고에너지 폭발물을 첨가한 추진제이다. 비추력은 약간 증가하지만, 고폭약 첨가제로 인한 위험성 증가 때문에 실용화는 제한된다.
저감도 추진제는 CL-20(China Lake compound #20)을 사용하여 연기 발생을 최소화하고, 안정성을 높인 추진제이다.[50] CL-20은 획기적인 고체 연료 추진 기술로 여겨지지만, 가격이 비싸 아직 널리 사용되지는 못하고 있다.
연료 | ||
---|---|---|
분자식 | 분자 구조 | |
폴리부타디엔 (polybutadiene) | (‐[C4H6]‐)n | 110px |
폴리우레탄 (polyurethane) | - | 220px |
폴리에스터 (polyester) | - | |
폴리아크릴로니트릴 (polyacrylonitrile) | (‐[C3NH3]‐)n | 100px |
산화제 | ||
분자식 | 분자 구조 | |
과염소산 암모늄 (ammonium perchlorate) | NH4ClO4 | |
질산 암모늄 (ammonium nitrate) | NH4NO3 | 180px |
니트로글리세린 (nitroglycerin) | C3H5(ONO2)3 | 150px |
니트로셀룰로스 (nitrocellulose) | C6.0H7.55O2(NO2)2.45 | 260px |
4. 2. 모터 케이스
모터 케이스는 고온, 고압을 견뎌야 한다. 일반적인 미사일·로켓이나 중량 감소 요구가 크지 않은 위성 발사 로켓의 부스터 등에는 저렴하고 강도가 높은 고장력강이 사용되지만, 상단 킥 모터와 같이 경량화 요구가 있는 경우에는 티타늄 합금 등이 사용된다.[4] 더욱 가벼운 유리 섬유나 탄소 섬유의 필라멘트를 원통형으로 감은 섬유 강화 플라스틱제도 사용되고 있다.[4]초기에 고성능이 요구되는 대륙간 탄도 미사일(ICBM)이나 잠수함 발사 탄도 미사일 (SLBM) 등의 군사용 대형 고체 로켓에서 실용화된 섬유 강화 플라스틱제 모터 케이스는, 현재는 더 소형의 군용 로켓 모터나, 미국의 아테나 로켓, 일본의 H-IIA의 부스터 SRB-A, M-V의 2단·3단, 그 후속기인 엡실론 로켓 등의 위성 발사용 로켓에서 폭넓게 사용되고 있다.[4]
4. 3. 노즐
수렴-발산 노즐은 배기 가스를 가속하여 추력을 발생시키는 장치이다. 노즐은 연소 가스의 열을 견딜 수 있는 재료로 구성되어야 한다. 주로 무정형 흑연이나 탄소 섬유 강화 탄소 복합 재료와 같은 내열성 탄소 기반 재료가 사용된다.[4]일부 설계에는 배기 방향 제어가 포함된다. 이는 우주 왕복선 SRB처럼 노즐을 짐벌로 움직이거나, V-2 로켓처럼 배기구에 제트 베인을 사용하거나, 액체 분사 추력 벡터 제어(LITV)를 사용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LITV는 노즐 목 이후 배기 흐름에 액체를 주입하는 방식이다. 액체는 증발하고, 대부분의 경우 화학적으로 반응하여 배기 흐름의 한쪽에 질량 흐름을 추가해 제어 모멘트를 만든다. 예를 들어 타이탄 IIIC 고체 부스터는 LITV를 위해 사산화 질소를 주입했다.[18]
모터 하부의 노즐, 특히 개구 면적이 가장 좁아지는 스로트부는 직접 가스와 접촉하여 극심한 열에 노출된다. 따라서 흑연이나 탄소 섬유 강화 탄소 복합 재료 등 내열성이 뛰어난 재료나 어블레이션 냉각이 사용된다.
4. 4. 점화기
고체 로켓의 점화기는 추진제에 불을 붙이는 장치이다.[4] 화공 점화기가 추진제 표면을 연소시킨다.5. 성능
로켓 연료의 효율성을 나타내는 단위로, 1kg의 연료가 1초 동안 연소될 때의 추력을 비추력이라고 한다. 단위는 초(s)로 나타내며, 기호는 Isp이다. 비추력은 추진제의 성능을 나타내는 중요한 지표이며, 값이 클수록 더 좋은 성능을 의미한다.[19]
고체 로켓 추진제는 연소실 내에서 노출된 추진제 표면에서 급격하게 연소된다. 추진제의 기하학적 구조는 로켓 모터의 성능에 큰 영향을 미치는데, 추진제 표면이 연소되면서 형태가 변하고, 이는 연소 가스에 노출되는 추진제 표면적을 변화시킨다. 추진제 부피는 단면적()에 연료 길이를 곱한 값이며, 부피 추진제 소비율은 단면적에 선형 연소율()을 곱한 것이다. 순간 질량 유량()은 부피율에 연료 밀도()를 곱하여 계산한다.
:
원하는 추력 곡선과 응용 분야에 따라 다양한 기하학적 구성이 사용된다.
- 원형 보어: BATES 구성에서 점진적-감퇴형 추력 곡선을 만든다.
- 엔드 버너: 추진제가 한쪽 끝에서 다른 쪽 끝으로 연소되며, 안정적인 장시간 연소를 제공하지만 열적 문제와 무게 중심(CG) 이동이 발생한다.
- C-슬롯: 측면에 큰 쐐기 모양으로 잘라낸 추진제로, 비교적 긴 감퇴형 추력을 생성하지만 열적 문제와 비대칭 CG 특성이 있다.
- 문 버너: 중심에서 벗어난 원형 보어는 점진적-감퇴형 장시간 연소를 생성하지만 약간의 비대칭 CG 특성이 있다.
- 피노실: 5개 또는 6개의 다리가 달린 별 모양으로, 원형 보어보다 표면적이 넓어 균일한 추력을 생성하고 연소 속도가 빠르다.

일반적인 과염소산 암모늄 복합 추진제(APCP) 1단 모터는 최대 285.6isp의 진공 비추력을 가질 수 있다(Titan IVB SRMU).[19] 이는 케로신/액체 산소 조합(RD-180)의 339.3isp와 액체 수소/액체 산소 조합(Block II RS-25)[21]의 452.3isp와 비교된다. 상단 비추력은 더 높아, APCP(Orbus 6E)는 303.8isp, 케로신/액체 산소(RD-0124)는 359isp, 액체 수소/액체 산소(RL10B-2)는 465.5isp에 이른다.[24]
추진제 분율은 (분할되지 않은) 고체 추진제 1단이 상단보다 약간 더 높다. Castor 120 1단은 92.23%의 추진제 질량 분율을 갖는 반면, Castor 30 상단은 91.3%의 추진제 분율을 갖는다.
고체 로켓은 저렴한 비용으로 높은 추력을 낼 수 있어 로켓의 초기 단계(예: 우주 왕복선)에 사용되며, 높은 비추력 엔진, 특히 질량이 적은 수소 연료 엔진은 높은 단계에 사용된다. 또한 고체 로켓은 단순성, 신뢰성, 소형성, 높은 질량 분율 덕분에 인공위성의 최종 부스터 단계로 오랫동안 사용되었다.[25]
더 높은 성능의 고체 로켓 추진제는 대형 전략 미사일에 사용된다. HMX, C4H8N4(NO2)4는 과염소산 암모늄보다 더 많은 에너지를 가진 니트라민으로, Peacekeeper ICBM의 추진제 및 트라이던트 II D-5 함대 탄도 미사일에 사용되는 NEPE-75 추진제의 주요 성분이다.[26]
6. 설계
단순한 고체 로켓 모터는 케이싱, 노즐, 그레인(추진제 덩어리), 점화기로 구성된다.
고체 그레인 덩어리는 예측 가능한 방식으로 연소되어 배기 가스를 생성하며, 그 흐름은 테일러-컬릭 유동으로 설명된다. 노즐 치수는 연소실 압력을 유지하는 동시에 배기 가스에서 추력을 생성하도록 계산된다. 점화되면 단순한 고체 로켓 모터는 연소를 위한 모든 필수 성분을 연소실 내에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끌 수 없다.
고체 로켓 추진제는 연소실 내 노출된 추진제 표면에서 급격하게 연소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로켓 모터 내부 추진제의 기하학적 구조는 전체 모터 성능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추진제 표면이 연소되면서 형태가 변화하며(내부 탄도학 연구의 대상), 대부분 연소 가스에 노출되는 추진제 표면적을 변화시킨다. 추진제 부피는 단면적 에 연료 길이를 곱한 것과 같으므로, 부피 추진제 소비율은 단면적에 선형 연소율 을 곱한 것이며, 생성되는 연소 가스의 순간 질량 유량은 부피율에 연료 밀도 를 곱한 것과 같다.
:
응용 분야와 원하는 추력 곡선에 따라 여러 기하학적 구성이 종종 사용된다.
- 원형 보어: BATES 구성의 경우, 점진적-감퇴형 추력 곡선을 생성한다.
- 엔드 버너: 추진제가 한 축 끝에서 다른 쪽 끝으로 연소하여 안정적인 장시간 연소를 생성하지만, 열적 어려움과 무게 중심(CG) 이동이 발생한다.
- C-슬롯: 측면(축 방향)에서 큰 쐐기 모양으로 잘라낸 추진제로, 비교적 긴 감퇴형 추력을 생성하지만, 열적 어려움과 비대칭 CG 특성이 있다.
- 문 버너: 중심에서 벗어난 원형 보어는 점진적-감퇴형 장시간 연소를 생성하지만, 약간의 비대칭 CG 특성이 있다.
- 피노실: 일반적으로 5개 또는 6개의 다리가 달린 별 모양으로, 원형 보어보다 표면적이 증가하여 매우 균일한 추력을 생성하며 약간 더 빠른 연소를 보인다.
7. 제조
추진제는 원통형으로 성형되며, 연소 중 추력 패턴을 조절하기 위해 다양한 형태(원통형, 별 모양, 슬롯형 등)로 가공된다. 추진제 제조 과정에서 기포 혼입이나 균열 발생을 방지해야 한다.[4]
응용 분야와 원하는 추력 곡선에 따라 여러 기하학적 구성이 사용된다.
형상 | 설명 |
---|---|
원형 보어 | BATES 구성의 경우, 점진적-감퇴형 추력 곡선을 생성한다. |
엔드 버너 | 추진제가 한 축 끝에서 다른 쪽 끝으로 연소하여 안정적인 장시간 연소를 생성하지만, 열적 어려움과 무게 중심(CG) 이동이 발생한다. |
C-슬롯 | 측면(축 방향)에서 큰 쐐기 모양으로 잘라낸 추진제로, 비교적 긴 감퇴형 추력을 생성하지만, 열적 어려움과 비대칭 CG 특성이 있다. |
문 버너 | 중심에서 벗어난 원형 보어는 점진적-감퇴형 장시간 연소를 생성하지만, 약간의 비대칭 CG 특성이 있다. |
피노실 | 일반적으로 5개 또는 6개의 다리가 달린 별 모양으로, 원형 보어보다 표면적이 증가하여 매우 균일한 추력을 생성하며 약간 더 빠른 연소를 보인다. |
초기 고체 로켓 모터에는 흑색 화약이 사용되었다. 사이타마현지치부시에 있는 구라 신사에서 매년 10월에 열리는 예대제(류세이 축제)에서 현재에도 발사되는 류세이 로켓은 목재를 대나무 타가로 조이고 내부에 흑색 화약을 다져 넣은 단면 연소 로켓이다.
그 후, 니트로셀룰로스와 니트로글리세린을 주체로 한 흑색 화약보다 성능이 좋은 더블 베이스 화약이 등장하여, 구 일본군의 로켓 병기에서는 이것이 사용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의 특공 병기로 알려진 벚꽃의 로켓 엔진은 추력 800kg의 4식 1호 분진기 20형이 3개 묶여 각각 9초 동안 사용할 수 있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에는 복합 추진제가 개발되었고, 이는 부틸 고무, 폴리우레탄, 폴리부타디엔 등의 합성 고무계 재료를 알루미늄(Al) 등의 금속 분말 및 산화제와 혼련한 것으로, 산화제로는 과망간산 칼륨이나 과염소산 암모늄(AP) 등이 사용된다. 고무의 기제는 그 자체가 연료가 될 뿐만 아니라, 산화제나 금속 분말의 결합제, 그리고 연료의 기계적 성질을 결정한다. 우주항공연구개발기구(JAXA)의 H-IIA 로켓에 사용되는 SRB(고체 연료 로켓 부스터)에서 사용하는 복합 추진제는 산화제로 AP, 고무의 기제로는 말단 수산기 폴리부타디엔(HTPB)이 사용되고 있으며, AP/HTPB 계 복합 추진제라고 부른다. JAXA의 SRB가 사용하는 복합 추진제는 HTPB가 14%, Al이 18%, AP가 68%와 산화철 등 약간의 첨가물로 구성된다.
또한 복합 추진제의 기재에는 열경화성 수지인 HTPB 외에 열가소성 수지(LT)를 사용한 추진제(LTP)가 제안되고 있다. 일정 시간(48시간 정도)에 경화되어 재성형이 불가능한 열경화성 수지와 달리 열가소성 수지는 가열하면 연화되므로 더 성형하기 쉽고 비용 절감으로 이어진다는 기대를 받고 있다.
현재 사용되고 있는 과염소산염 암모늄계 복합 추진제는 연소 시 대량의 염화수소를 발생시키기 때문에, 발사 후 독성이 강한 가스가 다량으로 확산된다. 케네디 우주 센터에서의 우주 왕복선 발사에서는 풍향에 따라 관객의 장소 제한을 바꾸고 있다. 케네디 우주 센터에서는 조정지에 배수되어 알칼리 투입으로 중화하고 있다. 과염소산 암모늄의 염소 성분은 오존층에 악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미국의 방위 산업 공장 부근에서는 과염소산염이 환경으로 다량으로 방출되고 있는 것이 확인되어, 최근에는 과염소산염 자체의 인체 독성이 우려되기 시작한 점 등도 있어, 대체 산화제가 요구되고 있지만 아직 연구 중에 있다.
염화수소 가스 발생 방지 방법으로는, 중화제가 되는 마그네슘 등의 금속을 추진제에 섞어, 무해한 염화 마그네슘으로 염소를 배출하는 중화형 추진제, 질산나트륨 등 알칼리 질산염을 섞어 무해한 염화 나트륨으로 염소를 배출하는 소기형 추진제가 고안되었지만, 충분한 효과를 거두지 못했다.[51]
가장 이상적인 것은 과염소산염을 대체하는 산화제를 사용하는 것으로, 암모늄 디니트라미드(ADN)이 대체제로 기대되고 있다.[51]
8. 주요 사고
챌린저호 폭발 사고와 브라질 로켓 폭발 사고처럼 고체 추진제에 기인하는 사고가 여러 차례 발생했다. 일본에서도 1962년 5월 24일에 K8-10호기 폭발 사고가 발생했으며, 2015년 11월 13일에는 VS-40M V03가 브라질 알칸타라 발사 기지에서 발사 직후 폭발했다[57].
9. 활용 분야
고체 로켓은 다음과 같은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 '''군사용 미사일:''' 높은 신뢰성과 즉응성 덕분에 AIM-9 사이드와인더, AIM-54 피닉스와 같은 공대공 미사일, 제리코, 세질과 같은 탄도 미사일, LGM-30 미니트맨, UGM-133 트라이던트 II와 같은 대륙간 탄도 미사일(ICBM) 등 다양한 군사용 미사일에 널리 사용된다.[11]
- '''우주 발사체:''' 고체 로켓 부스터는 아리안 5, 아틀라스 V와 같은 액체 연료 로켓의 초기 추력을 높이는 데 사용된다. 페가수스, 미노타우르와 같이 소형 위성을 궤도에 올리는 발사체나, 스타 48과 같은 상단 로켓에도 고체 연료가 사용된다.
- '''과학 관측 로켓:''' 블랙 브란트, VSB-30과 같은 사운딩 로켓은 고고도 과학 관측에 사용된다.
- '''아마추어 로켓:''' 모형 로켓은 흑색 화약이나 복합 추진제를 사용하며, 일반인도 쉽게 접근할 수 있다. 중급 및 고출력 로켓에는 상업적으로 제작된 APCP 모터가 사용된다.
10. 향후 연구
플라스티졸 고체 추진제의 한 종류로, 전류를 가하여 점화하고 추력을 조절할 수 있는 전기 고체 추진제(ESPs)는 정확한 간격과 지속 시간으로 안정적으로 점화할 수 있다. 움직이는 부품이 필요 없으며 추진제는 불꽃이나 전기 스파크에 민감하지 않다.[36]
향후 연구는 다음과 같다.
참조
[1]
서적
Blazing the trail: the early history of spacecraft and rocketry
AIAA
[2]
웹사이트
LADEE - Lunar Atmosphere Dust and Environment Explorer
http://www.nasa.gov/[...]
2015-06-16
[3]
웹사이트
LockMart And ATK Athena Launch Vehicles Selected As A NASA Launch Services Provider
http://www.space-tra[...]
[4]
웹사이트
Solid propellant rocket motor having self-extinguishing propellant grain and systems therefrom
https://patents.goog[...]
[5]
서적
Space Science in China
CRC Press
[6]
서적
Powered Flight: The Engineering of Aerospace Propulsion
Springer
[7]
서적
Blast Off!: Rocketry for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P
Libraries Unlimited
[8]
서적
Rockets and Missiles: The Life Story of a Technology
The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9]
웹사이트
Gas Dynamics Laboratory
http://www.russiansp[...]
2022-05-29
[10]
서적
Developments of Rocketry and Space Technology in the USSR
https://www.amazon.c[...]
Novosti Press Pub. House
1973-01-01
[11]
웹사이트
Russian Rocket Projectiles – WWII
https://weaponsandwa[...]
2018-11-18
[12]
서적
Research Center named after M.V. Keldysh. 1933-2003 : 70 years at the forefront of rocket and space technology (in Russian).
https://elibrary.ru/[...]
[13]
서적
Soviet Tanks and Combat Vehicles of World War Two
https://archive.org/[...]
Arms and Armour Press
[14]
웹사이트
History of the Rocket Research Institute, RNII
http://www.russiansp[...]
[15]
서적
The Evolution of Rocket Technology
Native Planter, SLC
2012
[16]
간행물
The 260 - The Largest Solid Rocket Motor Ever Tested
https://ntrs.nasa.go[...]
1999-06
[17]
서적
Encyclopedic Dictionary of Pyrotechnics: (and Related Subjects)
https://books.google[...]
Journal of Pyrotechnics
2012-10
[18]
서적
Rocket Propulsion Elements
Wiley-Interscience
2000
[19]
웹사이트
ATK Space Propulsion Products Catalog, p.30
http://www.ltas-vis.[...]
Alliant Techsystems (ATK)
2008-05
[20]
문서
http://www.pw.utc.co[...]
[21]
웹사이트
Pratt & Whitney Rocketdyne
http://www.pw.utc.co[...]
[22]
웹사이트
Titan IVB - Specifications
http://www.spaceandt[...]
[23]
문서
http://www.russiansp[...]
[24]
웹사이트
RL10B-2 brochure
http://www.pw.utc.co[...]
Pratt & Whitney Rocketdyne
[25]
웹사이트
Solid
http://www.astronaut[...]
[26]
웹사이트
Trident II D-5 Fleet Ballistic Missile FBM / SLBM - United States
http://www.globalsec[...]
[27]
문서
Minotaur IV User's Guide, Release 1.0
2005-01
[28]
문서
http://www.navair.na[...]
[29]
문서
The Evolution of ROCKET TECHNOLOGY
Native Planter, SLC
2012
[30]
웹사이트
Model Rocketry Resources and Components
https://www.apogeero[...]
[31]
웹사이트
Quest Black Powder Model Rocket Engines
http://www.asp-rocke[...]
[32]
웹사이트
Polaris A1 - United States Nuclear Forces
https://fas.org/nuke[...]
[33]
웹사이트
Shuttle Solid Rocket Boosters
http://science.ksc.n[...]
NASA
[34]
웹사이트
Solid Rocket Boosters
http://www.nasa.gov/[...]
NASA
[35]
뉴스
NASA Tests Engine With an Uncertain Future
https://www.nytimes.[...]
2010-08-30
[36]
서적
49th AIAA/ASME/SAE/ASEE Joint Propulsion Conference
American Institute of Aeronautics and Astronautics
2013-07-12
[37]
문서
荻野流小筒ヨリ大筒迄火箭矢栫傅書
http://www2.lib.hoku[...]
[38]
웹사이트
「できっこない」と言われるくらいでないと燃えません
https://www.isas.jax[...]
2024-03-23
[39]
웹사이트
北海道スペースポートで小型ロケットの弾道飛行試験に成功|ロケット量産化技術の獲得へ、革新的固体燃料LTPの飛行を実証
https://prtimes.jp/m[...]
2024-03-21
[40]
간행물
ATK Space Propulsion Products Catalog
2008-05
[41]
웹사이트
http://www.pw.utc.co[...]
[42]
웹사이트
http://www.pw.utc.co[...]
[43]
웹사이트
アーカイブされたコピー
http://www.spaceandt[...]
[44]
웹사이트
http://www.russiansp[...]
[45]
웹사이트
http://www.pw.utc.co[...]
[46]
웹사이트
Solid
http://www.astronaut[...]
2013-12-19
[47]
웹사이트
M-Vロケット推進系研究開発を振り返って
https://www.isas.jax[...]
[48]
웹사이트
http://www.globalsec[...]
[49]
간행물
Minotaur IV User's Guide, Release 1.0
Orbital Sciences Corp.
2005-01
[50]
웹사이트
http://www.navair.na[...]
[51]
학술
固体ロケット推進薬研究の方向性
https://jaxa.repo.ni[...]
2011-03
[52]
웹사이트
http://www.nasa.gov/[...]
[53]
학술
Aluminum-Ice (ALICE) Propellants for Hydrogen Generation and Propulsion
http://pdf.aiaa.org/[...]
2009-08-05
[54]
뉴스
NASA, AFOSR test environmentally-friendly rocket propellant, Eurekalert August 21, 2009
http://www.eurekaler[...]
Eurekalert
2009-08-21
[55]
뉴스
AFOSR and NASA Launch First-Ever Test Rocket Fueled by Environmentally-Friendly, Safe Aluminum-Ice Propellant
http://www.wpafb.af.[...]
[56]
뉴스
How to Make a (More) Environmentally Friendly Rocket Fuel, September 11, 2009
http://www.popularme[...]
2009-09-11
[57]
뉴스
Foguete VS40M - Explode no Lançamento no CLA
http://www.defesanet[...]
[58]
문서
290kg라는 자료
https://web.archive.[...]
[59]
문서
고도1000km의 원궤도
[60]
문서
250×500km타원궤도
[61]
문서
제4단은 옵션
[62]
서적
미사일의 책
닛칸공업신문 발행
2004-09-30
[63]
문서
고체 로켓, 《글로벌 세계 대백과》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