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김현종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김현종은 대한민국의 변호사, 외교관, 교수이다. 1959년 서울에서 태어나 컬럼비아 대학교에서 학사, 석사 학위를, 컬럼비아 로스쿨에서 법학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삼성전자 해외법무 사장, 한국외국어대학교 교수, 세계무역기구 상소기구 위원 등을 역임했다. 노무현 정부에서 통상교섭본부장과 주유엔 대한민국 대표부 특명전권대사를 지내며 한미 FTA 타결을 추진했고, 문재인 정부에서 통상교섭본부장과 국가안보실 제2차장을 역임했다. 2021년에는 대통령 외교안보 특별보좌관을 지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통상교섭본부장 - 한덕수
    한덕수는 경제 관료 출신 정치인으로, 제47대 국무총리를 역임했으며, 윤석열 정부에서 국무총리로 임명되어 의사 파업 대응과 의료 개혁을 추진했고, 대통령 탄핵 이후 권한대행을 맡았으나 탄핵소추로 직무가 정지되었다.
  • 통상교섭본부장 - 안덕근
    안덕근은 대한민국의 경제학자이자 정무직 공무원으로, 서울대학교와 미시간 대학교에서 학위를 받고 세계무역기구, KDI, 서울대학교 등에서 활동했으며, 윤석열 정부에서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을 역임하고 있다.
  • 대한민국의 국가안보실 차장 - 김규현
    김규현은 대한민국의 외교관이자 관료로, 외무고시 합격 후 외교통상부 북미1과장, 주미국 대사관 참사관 등을 거쳐 박근혜 정부에서 외교부 제1차관, 국가안보실 제1차장 등을 역임했고 윤석열 정부에서 국가정보원장에 임명되었으나 사퇴했다.
  • 대한민국의 국가안보실 차장 - 서주석
    서주석은 서울대학교 외교학과를 졸업하고 정치학 박사 학위를 받은 대한민국의 정치학자이자 외교안보 전문가로, 한국국방연구원에서 근무하며 민주당계 정권에서 외교안보 정책 수립에 관여했고, 노무현 정부와 문재인 정부에서 각각 청와대 통일외교안보정책 수석비서관, 국방부 차관, 국가안보실 제1차장을 역임하며 남북 합의 도출에 기여했으나, 5.18 민주화운동 왜곡 활동에 참여했다는 비판도 받는다.
  • 유엔 주재 대한민국 대사 - 박동진 (1922년)
    박동진은 대구 출신으로 주오대학을 졸업하고 국무총리 비서, 대통령 비서를 거쳐 외무부 차관, 주베트남 대사, 주브라질 대사, 주제네바 대사, 유엔 대사, 외무부 장관, 민주정의당 소속 국회의원, 국토통일원 장관, 주미 대사, 한국전력공사 사장 등을 역임한 대한민국의 외교관이자 정치인이다.
  • 유엔 주재 대한민국 대사 - 조태열
    조태열은 서울대 법대와 옥스퍼드 대학을 졸업하고 외무고시 합격 후 외교관으로 활동하며 WTO 분쟁패널 의장, 외교부 제2차관, 주 유엔 대사 등을 역임하고 2024년 외교부 장관으로 임명되었으며, G7 가입 추진 및 한중 관계 개선 등 활발한 외교 활동을 펼치고 있는 시인 조지훈의 아들이자 독립운동가 조헌영의 손자이다.
김현종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김현종
로마자 표기Kim Hyeon-jong
출생일1959년 9월 27일
학력컬럼비아 대학교 (학사, 석사, 법무박사)
직책
직책대통령 외교안보 특별보좌관
대통령문재인
임기 시작2021년 1월 20일
이전 직책
직책국가안보실 2차장
임기 종료2021년 1월 20일
임기 시작2019년 2월 28일
대통령문재인
직책국가안보실 2차장
임기 종료2019년 2월 27일
임기 시작2017년 7월 31일
대통령문재인
국무총리이낙연
후임유명희
이전 직책
직책통상교섭본부장
전임황두연
대통령노무현
국무총리이해찬, 한명숙
후임김종훈
임기 종료2007년 8월 8일
임기 시작2004년 7월 28일
전임정의용
후임김형진
기타
참고 자료
참고 자료대한민국, 새 통상부 장관 및 국가 안보실 부국장 임명
참고 자료김현종의 다음 행보는 무엇인가?
참고 자료한국과 일본 간의 가장 큰 분쟁의 배후에 있는 불같은 협상가를 만나보세요
참고 자료김현종: 엘리트 통상 협상가가 이제 국가 안보 설계자가 되다
참고 자료'또' 살아남은 김현종, 대통령 외교안보특보로 자리 이동
참고 자료영향력 있는 선수: 김현종 통상부 장관
참고 자료OECD 김현종 이력

2. 생애

김현종은 1959년 서울특별시에서 태어났다. 아버지 김병연(金炳連)은 1930년 전라남도 순천에서 태어나 서울대학교 사학과를 졸업하고, 코리아헤럴드 내외경제신문 회장을 지냈으며, 우루과이·노르웨이 대사를 역임하였다. 아버지를 따라 어린 시절 외국 거주를 거쳐 초등학교 3·4학년을 서울에서 다니고 나머지는 외국에서 마쳤다. 1977년 컬럼비아 대학교에 진학해 정치학을 전공으로 학부과정과 석사과정을 마치고 1982년 컬럼비아 로스쿨에 들어가 1985년 법무박사(J.D.) 학위를 취득하며 졸업하고 뉴욕주 변호사 자격증을 땄다.[16] 미국 대형로펌에서 4년 동안 일하고 대한민국에 돌아와 단기 석사장교로 군 복무를 마쳤다. 김·신&유 법률사무소에서 일하며 국제 상사 중재와 국내 기업의 해외투자 관련 법률상담, 지적 재산권 업무 등을 주로 맡았다. 1993년 홍익대학교 경영대 조교수로 일했다. 1995년 외교통상부WTO 분쟁해결 대책반’ 고문변호사로 위촉되었다.[16]

2003년 세계무역기구(WTO) 수석변호사로서 노무현 대통령 당선자에게 세계 통상현안에 관해 브리핑을 한 것을 계기로 노무현 정부에서 발탁되었다.[16] 노무현 정부에서 외교통상부 통상교섭본부장주유엔 대한민국 대표부 특명전권대사를 역임하며 한미FTA 타결을 추진했다. 캐나다, 인도, 멕시코, MERCOSUR, GCC, 싱가포르, EFTA, ASEAN, 미국 등 여러 국가나 국가연합과 자유무역협정(FTA) 협상을 진행했다. 그 중 싱가포르, EFTA, ASEAN, 미국과의 협상은 2007년 8월 유엔 대사로 옮기기 전에 체결했다.[16]

2009년부터 2011년까지 삼성전자 해외법무 사장을 역임하고, 한국외국어대학교 LT학부 교수와 세계무역기구 상소기구 위원을 맡았다.[16]

2016년 2월 18일 더불어민주당에 입당했고, 2월 25일 제 20대 총선에서 인천광역시 계양 갑 선거구 출마를 선언했다. 문재인 정부에서 2017년 통상교섭본부장으로 재임명되었고, 2019년 국가안보실 제2차장으로 임명되었다.[16]

주요 경력은 다음과 같다.[9]

연도내용
1959년서울특별시에서 출생. 아버지가 외교관이었기에 유년 시절에는 한국, 미국, 일본을 오가며 생활.
1981년컬럼비아 대학교에서 국제정치학 학사 학위 취득.
1985년컬럼비아 대학교 로스쿨에서 통상법 박사 학위 취득.
1993년~1998년홍익대학교 경영학과에서 국제무역 조교수로 재직.
1999년~2003년세계무역기구 사무국 근무.
2003년한국 외교통상부 통상협상조정관.
2004년통상협상본부장으로 승진. 한미 FTA 체결에 기여.
2007년 7월~2008년 5월유엔 대사.
2009년삼성전자 사장(해외법무 담당) 겸 최고법무책임자.
시기 불명한국외국어대학교 법률통역학과 교수.
2016년 12월세계무역기구 상소기구 위원.
2017년산업통상자원부 통상협상본부장.
2019년 2월한국 대통령비서실 국가안보실 제2차장.
2021년 1월 20일대통령 외교안보 특별보좌관으로 발령. 같은 날 강경화 외교부 장관 교체도 발표되었으며, 외교 라인 교체에 따른 인사. 후임에는 김형진 내정.[10]


3. 경력

김현종은 법조계, 학계, 기업, 대한민국 정부, 정치 등 다양한 분야에서 경력을 쌓았다.

분야주요 경력
법조계
학계
기업
대한민국 정부
정치



각 분야별 세부 경력은 하위 섹션에서 자세히 다룬다.

3. 1. 법조계 및 학계 경력

김현종은 1985년 컬럼비아 로스쿨에서 법무박사(J.D.) 학위를 취득하고 뉴욕주 변호사 자격증을 땄다.[16] 미국 대형로펌에서 4년 동안 일하고 대한민국에 돌아와 단기 석사장교로 군 복무를 마쳤다.[16] 김·신&유 법률사무소에서 일하며 국제 상사 중재와 국내 기업의 해외투자 관련 법률상담, 지적 재산권 업무 등을 주로 맡았다.[16] 1993년 홍익대학교 경영대 조교수로 일했다.[16] 1995년 외교통상부 ‘WTO 분쟁해결 대책반’ 고문변호사로 위촉되었다.[16]

김현종의 법조계 및 학계 주요 경력은 다음과 같다.[9]

연도내용
1985년 10월미국 밀뱅크트위드 법률사무소 변호사
1986년 10월미국 스카텐아르프스 법률사무소 변호사
1989년 11월김신유 법률사무소 변호사
1993년 8월 ~ 1998년홍익대학교 경영대학 무역학과 조교수
1995년 5월외무부 고문변호사
시기 불명한국외국어대학교 법률통역학과 교수
1999년~2003년세계무역기구 사무국 근무
2016년 12월세계무역기구 상소기구 위원


3. 2. 대한민국 정부 경력

2003년 세계무역기구(WTO) 수석변호사로서 노무현 대통령 당선자에게 세계 통상현안에 관해 브리핑을 한 것을 계기로 노무현 정부에서 발탁되었다.[16] 노무현 정부에서 외교통상부 통상교섭본부장주유엔 대한민국 대표부 특명전권대사를 역임하며 한미FTA 타결을 추진했다. 캐나다, 인도, 멕시코, MERCOSUR, GCC, 싱가포르, EFTA, ASEAN, 미국 등 여러 국가나 국가연합과 자유무역협정(FTA) 협상을 진행했다. 그 중 싱가포르, EFTA, ASEAN, 미국과의 협상은 2007년 8월 유엔 대사로 옮기기 전에 체결했다.

문재인 정부에서 2017년 통상교섭본부장으로 재임명되었고, 2019년 국가안보실 제2차장으로 임명되었다.

김현종의 대한민국 정부 주요 경력은 다음과 같다.

기간직책
2003년 5월 ~ 2004년 7월외교통상부 통상교섭조정관
2004년 7월 ~ 2007년 8월제3대 외교통상부 통상교섭본부 본부장
2005년 11월아시아 태평양 경제협력체 합동각료회의 공동의장
2005년 12월제6차 세계무역기구 한국측 수석대표
2007년 8월제21대 유엔 (UN) 주재대사
2007년 10월유엔 (UN) 아주그룹 의장
2008년 1월국제연합경제사회이사회 부의장
2017년 7월 ~ 2019년 2월산업통상자원부 통상교섭본부장
2019년 2월 28일 ~ 2021년 1월 20일국가안보실 제2차장
2021년 1월 21일 ~ 2021년 4월대통령실 외교안보특별보좌관

[9]

3. 3. 기업 경력

김현종은 1985년 10월 미국 밀뱅크트위드 법률사무소 변호사로 경력을 시작했다.[9] 1986년 10월에는 미국 스카텐아르프스 법률사무소 변호사로 자리를 옮겼다.[9] 1989년 11월, 대한민국으로 돌아와 김신유 법률사무소 변호사로 일했다.[9] 2009년 3월부터 2011년 12월까지는 삼성전자 해외법무 사장을 역임했다.[9]

3. 4. 정치 경력

2003년 세계무역기구(WTO) 수석변호사로서 노무현 대통령 당선자에게 세계 통상현안에 관해 브리핑을 한 것을 계기로 노무현 정부에서 발탁되었다.[16] 노무현 정부에서 외교통상부 통상교섭본부장주유엔 대한민국 대표부 특명전권대사를 역임하며 한미 FTA 타결을 추진했다. 캐나다, 인도, 멕시코, MERCOSUR, GCC, 싱가포르, EFTA, ASEAN, 미국 등 여러 국가나 국가연합과 자유무역협정(FTA) 협상을 진행했다. 그 중 싱가포르, EFTA, ASEAN, 미국과의 협상은 2007년 8월 유엔 대사로 옮기기 전에 체결했다.

2016년 2월 18일 더불어민주당에 입당했고, 2월 25일 제20대 총선에서 인천광역시 계양 갑 선거구 출마를 선언했다. 문재인 정부에서 2017년 통상교섭본부장으로 재임명되었고, 2019년 국가안보실 제2차장으로 임명되었다.

4. 한미 FTA 협상

2004년 7월, 외교통상부 통상교섭본부장에 취임하여 노무현 정부 임기 내내 한미 FTA 협상 책임자를 맡았다. 김현종은 협상 초기 높은 수준의 자유화를 제시하고, 미국이 꺼리는 반덤핑법 문제를 제기하며 미국을 견제했다. 미국 측이 협상을 파기할 가능성이 없다고 판단한 후, 최종 단계에서 더 많은 양보를 이끌어내는 동시에 소고기 수입 자유화를 저지하는 데 성공했다. 오랜 미국 생활과 미국의 법률 사무소에서 쌓은 국제 감각을 바탕으로 강경 협상가의 면모를 보이며 한국의 국익을 지켜냈다는 평가를 받는다.[11]

4. 1. 위키리크스 폭로 및 해명

위키리크스가 공개한 문서에 따르면, 2006년 7월 25일 미국 대사관은 당시 한국의 FTA 협상 대표였던 김현종 외교통상부 통상교섭본부장이 버시바우 대사에게 전화를 걸어 "'약가 적정화 방안'을 담은 건강보험법 개정을 입법 예고하지 않도록 필사적으로 싸웠다(fighting like hell)"라고 말했다고 보고했다. '약가 적정화 방안'은 미국 초국적 제약회사에 불리한 정책이었는데, 김 본부장이 이 정책이 시행되지 않도록 노력했고 청와대에서 논의 중이라는 사실을 미국 대사관에 미리 귀띔까지 해줬다는 것이다.[17]

2016년 3월 김현종은 자신의 블로그를 통해 위 내용에 대해 다음과 같이 해명하였다. "국제무대에서 상대국과 협상할 때는 국익을 챙기는 것이 최대 목표입니다. 그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상대 국가에 허위정보를 흘릴 수도 있습니다. 미국이 자기네 의약품 최저가격을 보장해 달라고 했을 때 “제가 최선을 다했다. 그러나 관철이 되지 않았다”고 포기하라는 차원에서 강조했습니다. 그래서 미국은 그 요구를 포기했습니다. 중요한 것은 한미 FTA 결과에서 우리 국익을 보호할 수 있었고 그들의 요구는 관철되지 않았다는 것입니다."[17]

5. 한일 관계

2019년 7월, 일본이 수출 관리 제도 강화를 발표하자 한국은 DRAM 수출 제한 옵션이 있다는 등의 발언으로 일본을 견제했다. 한일 군사정보보호협정 파기 및 연장 결정과 관련해서도 핵심 인물로 알려졌다.[12] 11월 18일에는 미국을 방문하여 백악관 고위 관계자를 만나 이 문제와 주한미군 방위비 분담금 문제에 대해 설명했다.[13]

5. 1. 한일 군사정보보호협정 (GSOMIA) 관련

2019년 7월, 일본이 수출 관리 제도 강화를 발표하자 한국은 DRAM 수출 제한 옵션이 있다는 등의 발언으로 일본을 견제했다. 한일 군사정보보호협정 파기 및 연장 결정과 관련해서도 핵심 인물이 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12] 11월 18일에는 미국을 방문하여 백악관 고위 관계자를 만나 한일 군사정보보호협정 및 후술하는 주한미군 방위비 분담금 문제에 대해 집중적으로 설명했다고 전해진다.[13]

5. 2. 주한미군 방위비 분담금 특별협정 (SMA) 협상 관련

2019년 11월 5일, 주한미군 방위비 분담금 특별협정 협상을 위해 방한한 미 국무부 키스 크라크(Keith Krach|키스 크라크영어) 경제성장·에너지·환경 담당 차관보와 제임스 드하트(James DeHart|제임스 드하트영어) 방위비 분담 특별협정 협상 수석대표 등과 회담을 가졌다.[14][15]

6. 학력

7. 저서


  • The Trend of Block Economy and NAFTA|블록 경제와 NAFTA의 추세영어 (1995)
  • When are Government Loans Subsidies? Hanbo Steel and the Application of the WTO Subsidies Agreement|정부 대출이 언제 보조금이 되는가? 한보철강과 WTO 보조금 협정의 적용영어 (1998)
  • 《김현종, 한미 FTA를 말하다》 (홍성사, 2010)

8. 수상

참조

[1] 뉴스 S. Korea appoints new trade minister, deputy directors of security office https://en.yna.co.kr[...]
[2] 웹사이트 What's next for Kim Hyun-chong? https://www.koreatim[...] 2020-07-31
[3] 웹사이트 Meet the fiery negotiator behind South Korea's biggest disputes with Japan https://www.japantim[...] 2020-01-29
[4] 웹사이트 Kim Hyun-chong: Elite Trade Negotiator is Now a NatSec Architect. https://www.blueroof[...] 2020-08-24
[5] 웹사이트 '또' 살아남은 김현종, 대통령 외교안보특보로 자리 이동 https://www.hankooki[...] 2021-01-20
[6] 뉴스 Impact Player: Trade Minister Kim Hyun-chong https://www.csis.org[...]
[7] 웹사이트 Hyun Chong KIM https://www.oecd.org[...]
[8] 웹사이트 Hyun Chong KIM https://www.oecd.org[...]
[9] 웹사이트 文在寅が最も頼りにする男、金鉉宗氏とはどんな人物か? https://agora-web.jp[...] アゴラ 2019-07-24
[10] 웹사이트 국가안보실 제2차장이 교체 한국 대통령실의 외교 담당 https://jp.yna.co.kr[...] 聯合ニュース 2021-01-20
[11] 웹사이트 文在寅外交のキーパーソン――金鉉宗とは誰か https://www.ide.go.j[...] JETRO 2019-09
[12] 웹사이트 GSOMIA破棄で“大ウソ”連発…韓国の国家安保室第2次長はどんな人物? サムスン電子社長だった過去、対米工作で失敗も https://www.zakzak.c[...] zakzak 2019-08-29
[13] 웹사이트 청와대 국가안보실 제2차장, GSOMIA의 종료를 앞두고 극비 방미…방위비 분담금을 설명 https://japanese.joi[...] 2019-11-20
[14] 웹사이트 미국무차관보, GSOMIA유지 요구 우회적 압력…청와대 “견해 변함없다” http://www.chosunonl[...] 朝鮮日報 2019-11-07
[15] 웹사이트 미 최고대표, 분담금 외에 홀름즈 파병도 한국에 요구 http://www.chosunonl[...] 朝鮮日報 2019-11-08
[16] 뉴스 동아일보, 논설위원이 만난 사람/홍권희-김현종 전 통상교섭본부장 http://news.donga.co[...] 동아일보
[17] 웹인용 김현종이 꿈꾸는 위대한 대한민국 http://blog.naver.co[...]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