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고트 성경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고트 성경은 4세기에 고트족의 기독교 개종을 위해 울필라스 주교를 중심으로 번역된 성경이다. 고트어 문자로 기록되었으며, 현재 불가리아 지역에서 번역된 것으로 추정된다. 이 번역은 고트족이 서로마 제국을 정복한 후에도 고트 기독교를 유지하는 데 기여했으며, 스페인에서는 톨레도 공의회 이후 가톨릭으로 개종하기 전까지 2세기 동안 지속되었다. 현존하는 주요 필사본으로는 코덱스 아르겐테우스, 코덱스 암브로시아누스, 코덱스 카롤리누스 등이 있으며, 고대 동게르만어 연구에 중요한 자료로 활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고트 성경 - 울필라스
    울필라스는 4세기에 활동한 고트족 출신의 아리우스파 주교로서, 고트 문자를 창안하고 성경을 고트어로 번역했으며, 고티아의 주교로 임명되어 아리우스파 교리를 전파하다가 콘스탄티노폴리스에서 사망했다.
  • 고트 성경 - 은의 서
    은의 서는 6세기경에 제작된 고트어 성경 필사본으로, 자주색 양피지에 금색과 은색 잉크로 기록되었으며, 현재는 웁살라 대학교 도서관에 보관되어 있다.
  • 기독교 성경 - 성서무오설
    성서무오설은 성경이 하나님의 영감으로 기록되어 오류가 없다는 기독교 교리로, 신앙, 역사, 과학 등 모든 면에서 완전한 진리를 가르친다는 입장부터 구원에 필요한 핵심 교리에 한해서만 오류가 없다는 입장을 포괄하며, 기독교 내에서 폭넓게 지지받지만 다른 종교에서는 다양한 해석과 비판이 존재한다.
  • 기독교 성경 - 안티레고메나
    안티레고메나는 초기 기독교에서 정경으로 인정받는 데 논란이 있었던 책들을 지칭하는 용어로, 유세비우스에 의해 처음 사용되었으며, 히브리서, 야고보서, 유다서, 요한계시록 등이 이에 속하고, 현대 신학에서는 초기 기독교의 다양한 관점을 보여주는 중요한 자료로 연구된다.
  • 아리우스파 - 제1차 니케아 공의회
    325년 콘스탄티누스 1세가 소집한 제1차 니케아 공의회는 아리우스 논쟁 해결, 부활절 날짜 확정, 교회 규율 문제 논의를 위해 개최되었으며, 특히 니케아 신경 채택을 통해 삼위일체 교리 확립에 기여했다.
  • 아리우스파 - 나지안조스의 그레고리오스
    나지안조스의 그레고리오스는 4세기 카파도키아 출신의 기독교 신학자, 주교, 시인으로, 대 바실리오스, 니사의 그레고리오스와 함께 카파도키아 교부 중 한 명이며 삼위일체 교리 발전에 기여, 콘스탄티노폴리스 대주교를 역임했고, 동방 정교회에서 '신학자'로 존경받는다.
고트 성경
개요
Codex Argenteus의 6세기 페이지 사본
Codex Argenteus의 6세기 페이지 사본
종류성경 번역
언어고트어
날짜4세기
저자울필라스 (전통적 견해)
원천 텍스트코이네 그리스어 성경
번역고트어
역사적 맥락
종교적 중요성아리우스주의
중요 사본코덱스 아르겐테우스
기타 사본암브로시아나 팔림프세스트
카롤리누스 코덱스
아레초 팔림프세스트
번역 범위
번역 범위 설명신약성경의 상당 부분, 구약성경 단편
복음서마태복음
마가복음
누가복음
요한복음
바울 서신대부분의 바울 서신
구약느헤미야기 일부
특징
특징 설명고트어로 된 가장 오래된 중요한 문서 중 하나
추가 정보
같이 보기울필라스
코덱스 아르겐테우스
고트어
성경 번역

2. 역사적 맥락

3세기 동안 고트족은 현재의 우크라이나, 불가리아, 루마니아로마 제국의 북동쪽 국경에서 살았다. 4세기 동안 울필라스 주교의 노력으로 고트족은 기독교로 개종했으며, 성경을 고트어로 번역하는 작업은 오늘날 북부 불가리아의 니코폴리스 아드 이스트룸에서 이루어진 것으로 보인다. 이 번역의 일부분은 고트어로 쓰여진 주요 텍스트로 남아있다.[8]

5세기 동안 고트족은 이탈리아, 남부 프랑스, 스페인을 포함한 서로마 제국의 일부 지역을 침략했다. 고트 기독교는 가톨릭 교회가 다시 세력을 얻기 전까지 2세기 동안 이 지역에서 지배적이었으며, 특히 스페인에서는 589년 톨레도 제3차 공의회 이후 대규모 고트족이 가톨릭으로 개종할 때까지 영향력을 유지했다.[8]

2. 1. 고트족과 기독교

3세기 동안 고트족은 현재의 우크라이나, 불가리아, 루마니아로마 제국의 북동쪽 국경에서 살았다.[8] 4세기 동안 울필라스 주교의 노력으로 고트족이 기독교로 개종되었다. 울필라스 주교는 고트 문자를 발명한 것으로 여겨진다. 성경을 고트어로 번역한 것은 오늘날 북부 불가리아의 니코폴리스 아드 이스트룸에서 행해진 것으로 생각된다. 전통적으로 울필라스의 업적으로 여겨지지만, 실제로는 한 무리의 학자들이 번역했다.[8] 이 번역의 일부분은 고트어로 쓰여진 주요 생존 텍스트에 쓰일 수 있다.[8]

2. 2. 울필라스의 역할

4세기, 울필라스 주교는 고트족을 기독교로 개종시키는 데 큰 역할을 했다. 울필라스는 고트 문자를 창안하고, 성경고트어로 번역했다.[8][5] 성경 번역은 오늘날 불가리아 북부의 니코폴리스 아드 이스트룸에서 이루어진 것으로 추정된다. 울필라스의 번역은 단독 작업이 아닌, 여러 학자들의 협업으로 이루어졌을 가능성이 크다.[8][5]

2. 3. 고트 기독교의 확산과 쇠퇴

5세기 동안 고트족은 이탈리아, 프랑스 남부, 스페인을 포함한 서로마 제국의 일부 지역을 침략했다. 고트 기독교는 이 지역에서 2세기 동안 지배적인 종교였으나, 가톨릭 교회가 다시 세력을 확장하면서 쇠퇴했다. 특히 스페인에서는 톨레도 제3차 공의회 이후 589년에 고트족이 대규모로 가톨릭으로 개종하면서 고트 기독교는 쇠퇴하였다.[8][5]

3. 현존하는 필사본 (Codices)

울필라스 성경의 현존하는 파편들은 5세기에서 8세기에 걸쳐 제작된 코덱스신약성경의 상당 부분, 구약성경의 일부를 포함하는 납 판본 하나로 구성되어 있으며, 대부분 이탈리아에서 작성되었다. 현존하는 주요 필사본들은 다음과 같다.[1]


  • 코덱스 아르겐테우스: 가장 길고 유명한 필사본이다.
  • 코덱스 암브로시아누스 A에서 코덱스 암브로시아누스 E까지: 여러 개의 필사본으로 구성되어 있다.
  • 코덱스 카롤리누스: 고트어-라틴어 이중 언어 팔림세스트이다.
  • 코덱스 기센시스: 고트어-라틴어 이중 언어 필사본이다.
  • ''고티카 보로넨시아'' (''코덱스 보니엔시스''라고도 함): 2009년에 발견된 팔림세스트 조각이다.
  • ''프라그멘타 판노니카'' (''Hács-Béndekpuszta 파편'' 또는 ''Tabella Hungarica''라고도 함): 1mm 두께의 납 판으로 구성되어 있다.

3. 1. 코덱스 아르겐테우스 (Codex Argenteus)

코덱스 아르겐테우스는 가장 길고 유명한 필사본으로, 웁살라에 보관되어 있다.

3. 2. 코덱스 암브로시아누스 (Codex Ambrosianus)

코덱스 암브로시아누스(Codex Ambrosianus)는 A부터 E까지 여러 개의 필사본으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에는 서신, 스케이레이스((''코덱스 암브로시아누스 E''의 조각, ''코덱스 바티카누스 라티누스 5750''로 알려짐)) 그리고 느헤미야기 5–7장 등이 포함되어 있다.[1]

3. 3. 코덱스 카롤리누스 (Codex Carolinus)

코덱스 카롤리누스(Codex Carolinus)는 고트어-라틴어 이중 언어 팔림세스트(palimpsest)로, 로마서 11-14장을 포함한다.

3. 4. 코덱스 기센시스 (Codex Gissensis)

고트어-라틴어 이중 언어로, 누가복음의 단편을 포함한다.

3. 5. 코티카 보로넨시아 (Codex Bononiensis)

2009년에 발견된 팔림세스트 조각으로, 설교로 추정된다. 울필라스 성경 번역에서 직접 가져온 성경 구절과 시편, 창세기 등 이전에 알려지지 않은 부분을 포함한다.[1]

3. 6. 프라그멘타 판노니카 (Fragmenta Pannonica)

프라그멘타 판노니카(''Hács-Béndekpuszta 파편'' 또는 ''Tabella Hungarica''라고도 함)는 복음서 구절의 단편적인 잔해를 담고 있는 1mm 두께의 납 판으로 구성되어 있다.[1]

4. 현대적 중요성

울필라스 성경은 고트어로 쓰여진 유일하게 방대한 문서이자, 모든 게르만어파 중에서 가장 초기의 문서 중 하나이다. 다른 동게르만어군 텍스트는 스케이린스를 제외하면 그 범위가 매우 제한적이므로, 이 언어 연구에 매우 중요하다.[1]

4. 1. 언어학적 가치

울필라스 성경은 단편적이지만, 고대 동게르만어로는 유일하게 방대한 문서이며, 게르만어 중에서는 가장 초기의 문서 가운데 하나이다. 다른 동게르만어 문헌은 스케이린스를 제외하면 그 범위가 매우 제한적이므로, 이들 언어 연구에 매우 중요하다.[1]

5. 울필라스 성경의 주님의 기도

울필라스가 번역한 고트 성경에 나오는 주님의 기도는 다음과 같다.

고트 문자로 기록된 주님의 기도

5. 1. 고트어 원문 및 음역

atta unsar þu in himinam,

weihnai namo þein.

qimai þiudinassus þeins.

wairþai wilja þeins,

swe in himina jah ana airþai.

hlaif unsarana þana sinteinan gif uns himma daga.

jah aflet uns þatei skulans sijaima,

swaswe jah weis afletam þaim skulam unsaraim.

jah ni briggais uns in fraistubnjai,

ak lausei uns af þamma ubilin;

unte þeina ist þiudangardi jah mahts jah wulþus in aiwins.

amen.got

𐌰𐍄𐍄𐌰 𐌿𐌽𐍃𐌰𐍂 𐌸𐌿 𐌹𐌽 𐌷𐌹𐌼𐌹𐌽𐌰𐌼,

𐍅𐌴𐌹𐌷𐌽𐌰𐌹 𐌽𐌰𐌼𐍉 𐌸𐌴𐌹𐌽.

𐌵𐌹𐌼𐌰𐌹 𐌸𐌹𐌿𐌳𐌹𐌽𐌰𐍃𐍃𐌿𐍃 𐌸𐌴𐌹𐌽𐍃.

𐍅𐌰𐌹𐍂𐌸𐌰𐌹 𐍅𐌹𐌻𐌾𐌰 𐌸𐌴𐌹𐌽𐍃,

𐍃𐍅𐌴 𐌹𐌽 𐌷𐌹𐌼𐌹𐌽𐌰 𐌾𐌰𐌷 𐌰𐌽𐌰 𐌰𐌹𐍂𐌸𐌰𐌹.

𐌷𐌻𐌰𐌹𐍆 𐌿𐌽𐍃𐌰𐍂𐌰𐌽𐌰 𐌸𐌰𐌽𐌰 𐍃𐌹𐌽𐍄𐌴𐌹𐌽𐌰𐌽 𐌲𐌹𐍆 𐌿𐌽𐍃 𐌷𐌹𐌼𐌼𐌰 𐌳𐌰𐌲𐌰.

𐌾𐌰𐌷 𐌰𐍆𐌻𐌴𐍄 𐌿𐌽𐍃 𐌸𐌰𐍄𐌴𐌹 𐍃𐌺𐌿𐌻𐌰𐌽𐍃 𐍃𐌹𐌾𐌰𐌹𐌼𐌰,

𐍃𐍅𐌰𐍃𐍅𐌴 𐌾𐌰𐌷 𐍅𐌴𐌹𐍃 𐌰𐍆𐌻𐌴𐍄𐌰𐌼 𐌸𐌰𐌹𐌼 𐍃𐌺𐌿𐌻𐌰𐌼 𐌿𐌽𐍃𐌰𐍂𐌰𐌹𐌼.

𐌾𐌰𐌷 𐌽𐌹 𐌱𐍂𐌹𐌲𐌲𐌰𐌹𐍃 𐌿𐌽𐍃 𐌹𐌽 𐍆𐍂𐌰𐌹𐍃𐍄𐌿𐌱𐌽𐌾𐌰𐌹,

𐌰𐌺 𐌻𐌰𐌿𐍃𐌴𐌹 𐌿𐌽𐍃 𐌰𐍆 𐌸𐌰𐌼𐌼𐌰 𐌿𐌱𐌹𐌻𐌹𐌽;

𐌿𐌽𐍄𐌴 𐌸𐌴𐌹𐌽𐌰 𐌹𐍃𐍄 𐌸𐌹𐌿𐌳𐌰𐌽𐌲𐌰𐍂𐌳𐌹 𐌾𐌰𐌷 𐌼𐌰𐌷𐍄𐍃 𐌾𐌰𐌷 𐍅𐌿𐌻𐌸𐌿𐍃 𐌹𐌽 𐌰𐌹𐍅𐌹𐌽𐍃.

𐌰𐌼𐌴𐌽.got

아따 운사르 þu ïn 히미남,

weihnai namo þein.

퀴마이 þiudinassus þeins.

와이르þai 빌야 þeins.

스웨 ïn 히미나 야흐 아나 에이르þai.

흘라이프 운사라나 þa나 신테ï나나 기프 운스 히마 다가,

야흐 아플레트 운스 þa테이 스쿨란스 시야이마,

스와스웨 야흐 웨이스 아플레탐 þaim 스쿨람 운사라이임,

야흐 니 브리그가이스 운스 ïn 프라이스투브냐이,

아크 라우세이 운스 아프 þa마 우빌린;

운테 þeina ïst þiudangardi

야흐 마흐츠 야흐 훌þ스 ïn 에이윈스.

아멘.

5. 2. 현대 한국어 번역

𐌰𐍄𐍄𐌰 𐌿𐌽𐍃𐌰𐍂 𐌸𐌿 𐌹𐌽 𐌷𐌹𐌼𐌹𐌽𐌰𐌼, 𐍅𐌴𐌹𐌷𐌽𐌰𐌹 𐌽𐌰𐌼𐍉 𐌸𐌴𐌹𐌽|아따 운사르 쑤 인 히미남, 웨이흐나이 나모 쎄인.got

𐌵𐌹𐌼𐌰𐌹 𐌸𐌹𐌿𐌳𐌹𐌽𐌰𐍃𐍃𐌿𐍃 𐌸𐌴𐌹𐌽𐍃|퀴마이 쓔디나쑤스 쎄인스.got

𐍅𐌰𐌹𐍂𐌸𐌰𐌹 𐍅𐌹𐌻𐌾𐌰 𐌸𐌴𐌹𐌽𐍃|와이르따이 윌랴 쎄인스.got

𐍃𐍅𐌴 𐌹𐌽 𐌷𐌹𐌼𐌹𐌽𐌰 𐌾𐌰𐌷 𐌰𐌽𐌰 𐌰𐌹𐍂𐌸𐌰𐌹|스웨 인 히미나 야흐 아나 아이르따이.got

𐌷𐌻𐌰𐌹𐍆 𐌿𐌽𐍃𐌰𐍂𐌰𐌽𐌰 𐌸𐌰𐌽𐌰 𐍃𐌹𐌽𐍄𐌴𐌹𐌽𐌰𐌽 𐌲𐌹𐍆 𐌿𐌽𐍃 𐌷𐌹𐌼𐌼𐌰 𐌳𐌰𐌲𐌰|흘라이프 운사라나 싸나 신테이나나 기프 운스 힘마 다가.got

𐌾𐌰𐌷 𐌰𐍆𐌻𐌴𐍄 𐌿𐌽𐍃 𐌸𐌰𐍄𐌴𐌹 𐍃𐌺𐌿𐌻𐌰𐌽𐍃 𐍃𐌹𐌾𐌰𐌹𐌼𐌰|야흐 아플레트 운스 싸테이 스쿨란스 시야이마.got

𐍃𐍅𐌰𐍃𐍅𐌴 𐌾𐌰𐌷 𐍅𐌴𐌹𐍃 𐌰𐍆𐌻𐌴𐍄𐌰𐌼 𐌸𐌰𐌹𐌼 𐍃𐌺𐌿𐌻𐌰𐌼 𐌿𐌽𐍃𐌰𐍂𐌰𐌹𐌼|스와스웨 야흐 웨이스 아플레탐 싸임 스쿨람 운사라임.got

𐌾𐌰𐌷 𐌽𐌹 𐌱𐍂𐌹𐌲𐌲𐌰𐌹𐍃 𐌿𐌽𐍃 𐌹𐌽 𐍆𐍂𐌰𐌹𐍃𐍄𐌿𐌱𐌽𐌾𐌰𐌹|야흐 니 브리그가이스 운스 인 프라이스툽냐이.got

𐌰𐌺 𐌻𐌰𐌿𐍃𐌴𐌹 𐌿𐌽𐍃 𐌰𐍆 𐌸𐌰𐌼𐌼𐌰 𐌿𐌱𐌹𐌻𐌹𐌽|아크 라우세이 운스 아프 싸마 우빌린.got

𐌿𐌽𐍄𐌴 𐌸𐌴𐌹𐌽𐌰 𐌹𐍃𐍄 𐌸𐌹𐌿𐌳𐌰𐌽𐌲𐌰𐍂𐌳𐌹|운테 쎄이나 이스트 쓔단가르디.got

𐌾𐌰𐌷 𐌼𐌰𐌷𐍄𐍃 𐌾𐌰𐌷 𐍅𐌿𐌻𐌸𐌿𐍃 𐌹𐌽 𐌰𐌹𐍅𐌹𐌽𐍃|야흐 마흐츠 야흐 울쑤스 인 아이윈스.got

𐌰𐌼𐌴𐌽|아멘.got

하늘에 계신 우리 아버지,

이름이 거룩히 여김을 받으시오며,

나라가 임하시오며,

뜻이 하늘에서 이루어진 것 같이 땅에서도 이루어지이다.

오늘 우리에게 일용할 양식을 주시옵고,

우리가 우리에게 죄 지은 자를 사하여 준 것 같이 우리 죄를 사하여 주시옵고,

우리를 시험에 들게 하지 마시옵고,

다만 악에서 구하시옵소서.

나라와 권세와 영광이 아버지께 영원히 있사옵나이다.

아멘.

참조

[1] 서적 The Gothic Version of the Gospels and Pauline Epistles: Cultural Background, Transmission and Character https://www.degruyte[...] de Gruyter 2018-04-08
[2] 간행물 Greek ἀρχιερεύς in Gothic translation: Linguistics and theology at a crossroads https://benjamins.co[...] 2018
[3] 서적 The Oxford Gothic grammar https://global.oup.c[...] Oxford University Press 2019
[4] 문서 "Zum gotischen Fragment aus Bologna II: Berichtigungen und neue Lesungen" 2017
[5] 서적 História de Portugal Verbo 1979
[6] 서적 The Gothic Version of the Gospels and Pauline Epistles: Cultural Background, Transmission and Character https://www.degruyte[...] de Gruyter 2020-09-15
[7] 저널 Greek ἀρχιερεύς in Gothic translation: Linguistics and theology at a crossroads https://benjamins.co[...] 2018
[8] 서적 História de Portugal Verbo 197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