곤충분류체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곤충분류체계는 곤충의 분류에 대한 내용을 다룬다. 곤충은 절지동물문 육각아문에 속하는 동물로, 머리, 가슴, 배 세 부분으로 나뉘며 다리가 6개이다. 육각아문에는 곤충강 외에 내구상강에 속하는 톡토기강, 낫발이강, 좀붙이강이 포함된다. 곤충강은 무시아강, 단관절구아강, 이관절구아강으로 나뉘며, 이관절구아강은 좀목과 유시아강으로 나뉜다. 유시아강은 고시하강과 신시하강으로 나뉘며, 고시하강에는 하루살이목과 잠자리목이 속하고, 신시하강은 광시상목, 흡기상목, 내시상목으로 나뉜다. 최근 분자 계통학적 연구를 통해 곤충 분류 체계가 더욱 정교하게 발전하고 있으며, 과거에는 하나의 목으로 취급되던 풀잠자리목, 약대벌레목, 뱀잠자리목이 현재는 각각 독립된 목으로 분류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곤충분류체계 | |
---|---|
곤충 분류 체계 | |
![]() | |
동물 계 | 동물계 |
문 | 절지동물문 |
아문 | 육각아문 |
강 | 곤충강(Insecta) |
강 명명 | Linnaeus, 1758 |
하위 링크 | 아강 및 목 |
하위 분류 |
2. 곤충의 정의와 특징
'''곤충'''은 절지동물 육각아문에 속하는 동물로, 몸은 머리, 가슴, 배 세 부분으로 나뉘며, 가슴에는 세 쌍(여섯 개)의 다리가 달려 있다.
2. 1. 곤충강과 내구강
절지동물 육각아문에 속하는 동물의 분류군인 곤충강은 곤충의 대부분을 포함한다. 육각아문에는 곤충강 외에도 내구상강(Entognatha)에 속하는 톡토기강, 낫발이강, 좀붙이강이 포함된다.
- '''육각아문'''(Hexapoda)
- * 내구상강(Entognatha)
- ** 톡토기강(Collembola)
- ** 낫발이강(Protura)
- ** 좀붙이강(Diplura)
- * '''곤충강'''(Insecta/Ectognatha)
- ** 무시류(Apterygota) (=돌좀목+좀목)
- ** 단관절구아강(Monocondylia)
돌좀목(Archaeognatha)
- ** 이관절구아강(Dicondylia)
좀목(Zygentoma)
유시아강(Pterygota)
내구강은 톡토기강, 낫발이강, 좀붙이강을 포함하며, 곤충강과는 다른 특징을 가진다.
3. 곤충의 계통 분류
'''육각아문'''(Hexapoda)은 내구상강(Entognatha)과 '''곤충강'''(Insecta/Ectognatha)으로 나뉜다. 내구상강에는 톡토기강, 낫발이강, 좀붙이강이 속한다. 곤충강은 다시 무시아강, 단관절구아강, 이관절구아강으로 나뉜다.
최근의 곤충 계통분류체계는 위 그림과 같다.
- 내구상강(Entognatha)
- * 톡토기강(Collembola)
- * 낫발이강(Protura)
- * 좀붙이강(Diplura)
- '''곤충강'''(Insecta/Ectognatha)
- * 무시류(Apterygota) (=돌좀목+좀목)
- * 단관절구아강(Monocondylia)
- ** 돌좀목(Archaeognatha)
- * 이관절구아강(Dicondylia)
- ** 좀목(Zygentoma)
- ** '''유시아강'''(Pterygota)
외시류(Exopterygota) (=고시하강+광시상목+흡기상목=불완전변태군)
* 고시하강(Paleoptera)
** 하루살이목(Ephemeroptera)
** 잠자리목(Odonata)
* 신시하강(Neoptera)
** 광시상목(Polyneoptera)
*** 강도래목(Plecoptera)
*** 흰개미붙이목(Embioptera)
*** 민벌레목(Zoraptera)
*** 집게벌레목(Dermaptera)
*** 메뚜기목(Orthoptera)
*** 대벌레목(Phasmatodea)
*** 무시귀뚜라미붙이목(Notoptera)
귀뚜라미붙이(아)목(Grylloblattodea)
대벌레붙이(아)목(Mantophasmatodea)
*** 바퀴목(Blattodea)
흰개미차상과(Termitoidae, 옛 Isoptera)
*** 사마귀목(Mantodea)
* 흡기상목(Paraneoptera)
** 다듬이목(Psocodea)
*** 다듬이벌레류(Psocoptera)
*** 이류, 털이류(Phthiraptera)
** 총채벌레목(Thysanoptera)
** 노린재목(Hemiptera)
내시류(Endopterygota) (=내시상목=완전변태군)
* 내시상목(Endopterygota)
** 벌목(Hymenoptera)
** 부채벌레목(Strepsiptera)
** 딱정벌레목(Coleoptera)
** 풀잠자리목(Neuroptera)
** 뱀잠자리목(Megaloptera)
** 약대벌레목(Raphidioptera)
** 날도래목(Trichoptera)
** 나비목(Lepidoptera)
** 파리목(Diptera)
** 벼룩목(Siphonaptera)
** 밑들이목(Mecoptera)
** † Protodiptera
3. 1. 무시아강과 유시아강
무시아강(Apterygota)은 날개가 없는 원시적인 곤충으로, 돌좀목과 좀목이 여기에 속한다. 유시아강(Pterygota)은 날개를 가진 곤충으로, 곤충 대부분을 차지한다.3. 1. 1. 고시하강과 신시하강
고시하강(Paleoptera)은 날개를 접을 수 없는 원시적인 곤충으로, 하루살이목과 잠자리목이 여기에 속한다. 신시하강(Neoptera)은 날개를 접을 수 있는 곤충으로, 대부분의 현생 곤충이 여기에 속한다.4. 한국의 곤충상
한국은 곤충 다양성이 높은 국가 중 하나이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