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동 주택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공동주택은 대한민국 주택법에 따라 대지 및 건물의 일부 또는 전부를 함께 사용하며, 각 세대가 독립된 주거 생활을 할 수 있는 구조로 된 주택을 의미한다. 아파트, 연립 주택, 기숙사 등이 있으며, 오피스텔, 마이크로 아파트 등 다양한 형태가 존재한다. 공동주택은 산업 혁명 이후 도시화와 인구 증가와 함께 발전했으며, 아파트 건설은 한국의 주택 부족 문제를 해결하는 데 기여했다. 하지만 층간 소음, 사생활 침해, 획일적인 주거 문화, 투기 과열, 아파트 브랜드 선호 현상 등 사회적 문제도 야기한다. 미래에는 스마트 홈 기술과 친환경 건축 기술을 통해 발전할 것으로 예상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공동 주택 | |
---|---|
정의 | |
정의 | 다가구 주택은 여러 가구가 독립적으로 거주할 수 있도록 설계된 주거용 건물 유형이다. 단독 주택과 달리, 다가구 주택은 여러 개의 주거 단위를 하나의 건물 안에 포함하며, 각 단위는 개별 가구 또는 개인에게 임대 또는 판매될 수 있다. |
유형 | |
아파트 | 아파트는 일반적으로 여러 층으로 구성된 건물 내에 있는 개별 주거 단위이다. 아파트는 다양한 크기와 구조로 제공되며, 임대 또는 소유가 가능하다. |
콘도미니엄 | 콘도미니엄은 아파트와 유사하지만, 각 주거 단위가 개별적으로 소유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콘도미니엄 소유자는 건물 공용 공간에 대한 공동 소유권을 갖는다. |
타운하우스 | 타운하우스는 일반적으로 여러 층으로 구성된 주택으로, 벽을 공유하는 다른 타운하우스와 나란히 연결되어 있다. 타운하우스는 일반적으로 개별 출입구와 작은 마당 또는 정원을 갖는다. |
플렉스 | 플렉스는 여러 개의 주거 단위를 포함하는 건물로, 일반적으로 2~4개의 단위로 구성된다. 플렉스는 종종 주택 소유자가 한 단위를 점유하고 다른 단위를 임대하는 데 사용된다. |
코하우징 | 코하우징은 주민들이 의도적으로 협력적인 커뮤니티를 형성하기 위해 설계된 주거 형태이다. 코하우징 커뮤니티는 일반적으로 개별 주거 단위 외에도 공유 공간과 시설을 갖추고 있다. |
기숙사 | 기숙사는 일반적으로 대학 또는 기타 교육 기관에서 학생들을 위해 제공하는 주거 시설이다. 기숙사는 일반적으로 여러 개의 침실과 공용 공간을 갖추고 있다. |
협동 주택 | 협동 주택은 주민들이 건물을 공동으로 소유하고 관리하는 주거 형태이다. 협동 주택은 일반적으로 비영리 단체로 운영되며, 주민들은 주택 운영에 참여한다. |
장점 | |
경제성 | 다가구 주택은 단독 주택에 비해 경제적인 주거 옵션이 될 수 있다. 아파트 또는 콘도미니엄의 임대료 또는 구매 가격은 일반적으로 단독 주택보다 낮다. |
편리함 | 다가구 주택은 종종 편리한 위치에 있으며, 대중 교통, 상점, 레스토랑 및 기타 편의 시설에 쉽게 접근할 수 있다. |
유지 보수 | 다가구 주택의 유지 보수는 일반적으로 건물 소유자 또는 관리 회사가 담당하므로, 거주자는 주택 유지 관리에 대한 부담을 덜 수 있다. |
커뮤니티 | 다가구 주택은 거주자 간의 커뮤니티 의식을 조성할 수 있다. 아파트 건물 또는 콘도미니엄 단지에서 이웃과 교류하고 친구를 사귈 수 있는 기회가 많다. |
단점 | |
소음 | 다가구 주택은 소음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벽과 바닥을 공유하는 이웃의 소리가 들릴 수 있으며, 건물 외부의 소음도 실내로 유입될 수 있다. |
사생활 | 다가구 주택은 단독 주택에 비해 사생활 보호가 어려울 수 있다. 다른 거주자와 공용 공간을 공유해야 하며, 이웃의 활동에 노출될 수 있다. |
제한 | 다가구 주택은 종종 애완 동물, 주차, 소음 등에 대한 제한이 있다. 이러한 제한은 거주자의 자유를 제한할 수 있다. |
관리비 | 콘도미니엄 또는 협동 주택의 소유자는 건물 유지 관리 및 수리에 대한 비용을 충당하기 위해 매월 관리비를 지불해야 한다. |
2. 정의 및 기준
대한민국 주택법에 따르면 공동주택은 대지 및 건물의 벽, 복도, 계단, 그 외 설비 등의 전부 또는 일부를 공동으로 사용하며, 각 세대가 하나의 건축물 안에서 독립된 주거 생활을 영위할 수 있는 구조로 된 주택을 의미한다.[15] 종류와 범위는 대통령령으로 정해진다.
공동주택은 다양한 형태로 존재하며, 다음과 같은 종류가 있다.
- '''아파트''': 주택으로 쓰이는 층수가 5개 층 이상인 주택이다. 아파트 건물은 크기가 다양하며, 각 층에 여러 개의 아파트가 있을 수 있고, 여러 층이 있는 경우가 많다. 각 아파트에는 내부 복도와 내부 입구가 있는 경우가 많지만, 각 아파트의 외부 입구도 가능하다. 아파트 건물은 한 쪽에서 소유할 수 있으며 각 아파트는 세입자에게 임대되거나 각 아파트는 별도의 당사자가 공동 주택으로 소유할 수 있다.
- '''연립 주택''': 주택으로 쓰이는 1개 동의 연면적(지하 주차장 면적 제외)이 660m2를 초과하고, 층수가 4개 층 이하인 주택이다. 뉴욕시에서는 브라운스톤이라는 용어가 연립 주택을 지칭하기도 한다.
- '''기숙사''': 학교 또는 공장 등의 학생 또는 종업원 등을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서 공동 취사 등을 할 수 있는 구조이되, 독립된 주거 형태를 갖추지 않은 것이다.
이 외에도 다양한 형태의 공동주택이 존재한다. 복합 용도 건물은 상업, 비즈니스 또는 사무실 용도와 주거 용도를 모두 위한 공간이 있는 건물을 말하며, 아파트 커뮤니티는 일반적으로 하나의 개체가 소유한 인접한 토지 조각에 있는 아파트 건물 모음이다. 또한, 각자 개별 아파트를 소유하고 모든 공용 구역을 지분으로 공유하는 공동 주택도 공동주택의 한 형태이다.
최근에는 다양한 형태의 공동주택이 등장하고 있다. 오피스텔은 특히 대한민국에서 하나의 장소에서 업무와 생활 공간을 결합한 작은 아파트를 의미하며, 마이크로 아파트는 주방, 욕실, 침실 구역 등이 한 곳에 있는 작은 단일 객실 주거 시설을 의미한다.
공동주택의 종류와 범위에 대한 자세한 기준은 대통령령으로 정해져 있다.[15]
2. 1. 대한민국 법령상 정의
대한민국 주택법에서는 공동주택을 "대지 및 건물의 벽·복도·계단 기타 설비 등의 전부 또는 일부를 공동으로 사용하는 각 세대가 하나의 건축물 안에서 각각 독립된 주거 생활을 영위할 수 있는 구조로 된 주택"으로 정의한다. 즉, 여러 세대가 함께 거주하되, 각 세대가 독립적인 생활을 유지할 수 있도록 설계된 주거 형태를 의미한다. 이는 단독주택과 대비되는 개념으로, 아파트, 연립주택, 다세대주택 등이 공동주택에 해당한다.2. 2. 공동 주택의 기준
공동주택의 종류와 범위는 대통령령으로 정하고 있다.[15]- 아파트: 주택으로 쓰이는 층수가 5개 층 이상인 주택
- 연립 주택: 주택으로 쓰이는 1개 동의 연면적(지하 주차장 면적 제외)이 660제곱미터를 초과하고, 층수가 4개 층 이하인 주택
- 기숙사: 학교 또는 공장 등의 학생 또는 종업원 등을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서 공동 취사 등을 할 수 있는 구조이되, 독립된 주거 형태를 갖추지 않은 것이다.
3. 역사
공동주택은 산업 혁명 이전에는 드물었으며, 역사적인 도시 중심지에만 존재했다. 고대 로마에서는 이를 ''인술라''라고 불렀으며, 시밤 하드라무트의 마천루[4], 마드리드의 카사스 알라 말리시아, 알제리 카스바의 카스바 등이 그 예이다.
산업 혁명 이후, 급격한 도시화와 인구 증가로 인해 공동주택이 발전하기 시작했다. 특히 노동자 계층을 위한 주거 공간 마련이 중요한 사회 문제로 대두되면서, 다양한 형태의 공동주택이 등장했다. 19세기 후반, 독일의 베를린에서는 좁은 공간에 많은 세대를 수용하기 위한 다세대 주택인 '미츠카제르네'(Mietskaserne)라는 형태의 공동주택이 건설되었는데, 이는 열악한 주거 환경 문제를 야기하기도 했다.
영국에서는 이 시기에 공영 주택 사업이 시작되었다. 런던의 바운다리 스트리트(Boundary Street)는 대표적인 초기 공영 주택 단지로, 빈민 지역을 재개발하여 건설되었다. 이러한 공영 주택은 노동자들의 주거 환경 개선에 기여했지만, 여전히 많은 문제점을 안고 있었다.
한국의 공동주택은 1960년대 이후 산업화와 도시화가 본격화되면서 빠르게 확산되었다. 특히 아파트 단지 건설은 주택 부족 문제를 해결하고, 도시의 모습을 변화시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초기에는 정부 주도의 주공아파트 건설이 활발하게 이루어졌으며, 이후 민간 건설사들의 참여가 증가하면서 다양한 형태의 아파트가 등장했다.
3. 1. 초기 역사
산업 혁명 이전에는 공동 주택 사례가 드물었으며, 역사적인 도시 중심지에만 존재했다. 고대 로마에서는 이를 '인술라'라고 불렀다. 또한 예멘의 시밤 하드라마우트에는 마천루 형태의 공동 주택이 있었고,[4] 스페인 마드리드에는 카사스 알라 말리시아, 알제리 카스바에는 카스바가 있었다.3. 2. 근현대 역사
산업 혁명 이후, 급격한 도시화와 인구 증가로 인해 공동주택이 발전하기 시작했다. 특히 노동자 계층을 위한 주거 공간 마련이 중요한 사회 문제로 대두되면서, 다양한 형태의 공동주택이 등장했다.19세기 후반, 독일의 베를린에서는 '미츠카제르네'(Mietskaserne)라는 형태의 공동주택이 건설되었다. 이는 좁은 공간에 많은 세대를 수용하기 위한 다세대 주택으로, 열악한 주거 환경 문제를 야기하기도 했다.
영국에서는 이 시기에 공영 주택 사업이 시작되었다. 런던의 바운다리 스트리트(Boundary Street)는 대표적인 초기 공영 주택 단지로, 빈민 지역을 재개발하여 건설되었다. 이러한 공영 주택은 노동자들의 주거 환경 개선에 기여했지만, 여전히 많은 문제점을 안고 있었다.
한국의 공동주택은 1960년대 이후 산업화와 도시화가 본격화되면서 빠르게 확산되었다. 특히 아파트 단지 건설은 주택 부족 문제를 해결하고, 도시의 모습을 변화시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초기에는 정부 주도의 주공아파트 건설이 활발하게 이루어졌으며, 이후 민간 건설사들의 참여가 증가하면서 다양한 형태의 아파트가 등장했다.
4. 유형 및 특징
공동 주택은 다양한 유형과 건축 양식을 가지고 있다.
아파트 건물 또는 플랫: 여러 개의 아파트가 있는 건물로, 각 층에 여러 아파트가 존재하며 층수도 다양하다. 아파트 건물은 크기가 다양하며, 소수의 아파트만 있는 경우부터 수백 개의 아파트가 있는 경우까지 존재한다. 각 아파트는 내부 복도와 내부 입구를 갖는 경우가 많지만, 외부 입구도 가능하다. 소유 형태는 한 사람이 소유하여 임대하는 경우와 각 아파트를 개인이 소유하는 공동 주택 방식이 있다.
복합 용도 건물: 상업, 비즈니스, 사무실 용도와 주거 용도가 결합된 건물이다. 1층이나 저층부는 상업/비즈니스 용도로 사용하고, 상층부는 아파트나 주거 공간으로 활용하는 방식이 일반적이다. 공간은 소유자가 사용하거나 임대할 수 있으며, 공동 소유도 가능하다.
아파트 커뮤니티: 하나의 법인이 소유한 인접한 토지에 여러 아파트 건물이 모여 있는 형태이다. 수영장, 주차 공간, 커뮤니티 클럽하우스 등 공용 시설을 공유하며, 임대 사무소가 커뮤니티 내에 위치한다.
브라운스톤: 뉴욕에서 사용되는 연립 주택 용어이다. 연립 주택 문서를 참고한다.
침대 겸 거실: 큰 집을 세분화하여 만든 단일 객실 주거 시설을 의미하는 영국의 표현이다. 침실/거실 공간에 간이 주방이 있으며, 욕실과 화장실은 여러 객실이 공유한다.
클로즈: 1800년대 글래스고의 고밀도 슬럼 주택을 지칭하는 용어이다. 3~4층의 테라스형 주택이 좁은 막다른 골목 주변에 위치한다.
클러스터 하우스: Q형 주택의 구형 형태이다.
공동 주택: 각 세대가 개별 아파트를 소유하고, 복도, 계단, 로비 등 공용 공간을 공유하는 소유 형태이다. 타운하우스나 아파트가 공동 소유 형태로 관리되는 경우도 있다.
코트: 1800년대 영국에서 지어진 고밀도 슬럼 주택을 의미한다. 짧은 골목을 따라 2층 이상의 테라스형 주택이 뒷면을 맞대고 있는 형태이다.[8]
데크 접근: 요소에 노출된 보도에서 접근할 수 있는 아파트 건물이다.
딩뱃: 아파트 건물 스타일의 하나이다. 딩뱃 문서를 참고한다.
듀플렉스 (미국 영어), 투 플랫 (영국 영어): 대지에 지어진 건물로, 각 층에 하나씩 두 채의 주택이 있거나, 각각 1개 또는 여러 층으로 된 한 쌍의 독립형 주택으로 구성된다. 지하실, 현관, 계단실 등 공용 공간을 공유할 수 있다. 듀플렉스 문서를 참고한다.
플랫: 영국과 아일랜드에서 "아파트"와 같은 의미로 사용된다. 샌프란시스코에서는 오래된 빅토리아 시대 건축물에서 개조된 대형 주택의 전체 층을 차지하는 아파트를 의미한다. 아일랜드에서는 일반적으로 더 작거나 가치가 낮은 아파트를 지칭한다.
2 플랫, 3 플랫, 4 플랫 하우스: 각각 2개, 3개, 4개의 플랫이 있는 주택 또는 건물이다. 각 플랫은 해당 주택의 전체 층을 차지하는 경우가 많다. 모든 플랫에 접근할 수 있도록 앞면과 뒷면에 공용 계단이 있다.
포 플러스 원: 주차장 위에 4층으로 구성된 아파트 건물이다. 4개 층은 목조 구조와 조적조로 구성되어 있다.
차고 아파트: 차고 위에 있는 아파트를 의미한다. 차고가 연결된 경우 아파트는 주택과 별도의 입구를 갖는다. 차고 문서를 참고한다.
갈로우: "차고"와 "방갈로"의 합성어이다. 차고 아파트와 유사하지만 아파트와 차고가 같은 층에 있다.
정원 아파트: 각 층이 별도의 아파트인 2층의 반독립형 건물이다.
정원 플랫: 다층 주택 또는 아파트 건물에서 정원(지면) 층에 있는 플랫을 의미한다. 조지 왕조 시대와 빅토리아 시대 테라스 주택을 별도 주거 시설로 세분화한 경우가 많다.
주택 협동 조합: 비영리 법인이 전체 아파트 건물 또는 개발을 소유하고, 거주자가 해당 아파트 및 공용 구역의 비율에 해당하는 법인 주식을 소유하는 형태이다. 호주에서는 "회사 소유" 아파트에 해당한다.
로프트 또는 창고 개조: 이전 공장이나 창고 건물을 개조한 아파트이다. 높은 층고를 가진 구조 내에서 수직으로 공간을 분할하여 유닛을 구성한다.
메조네트: 내부 계단이 있거나 길가에 자체 입구가 있는 2층 아파트/플랫이다.
메스: 세입자당 침실 1개와 공용 시설(화장실, 부엌)이 있는 건물 또는 플랫이다. 인도 아대륙에서 학생, 독신자, 저임금 근로자에게 인기가 있다. 영국에서는 침대 겸 거실과 유사하다.
장모님 아파트: 메인 하우스의 뒷면, 지하실, 상층에 있는 작은 아파트이다. 별도 구조인 경우 '할머니 코티지'라고도 한다. 일반적으로 주방 시설을 갖춘 효율적인 공간이다. 장모님 아파트 문서를 참고한다.
마이크로 아파트: 주방, 욕실, 침실 구역 등이 한 공간에 있는 작은 단일 객실 주거 시설이다. 주로 다층 건물에 위치한다.
오피스텔: 대한민국에서 업무와 생활 공간을 결합한 작은 아파트를 의미한다. 오피스텔 문서를 참고한다.
원플러스 파이브: 콘크리트 기반 위에 목조 구조로 된 4~5층 아파트 건물이다.
펜트하우스: 다층 건물의 최상층 아파트를 의미한다. 펜트하우스 문서를 참고한다.
플라텐바우 (동독) / 파넬라크 (체코, 슬로바키아): 콘크리트 슬래브를 조립하여 만든 공산주의 시대의 고층 건물이다.
Q형: 20세기 후반 영국 주택 단지에 주로 건설된 타운하우스이다. 주택은 블록으로 배열되어 있으며, 각 주택은 블록의 모서리에 위치한다.
철도 아파트: 복도 구분 없이 방이 직접 연결된 아파트 유형이다. 기차 객차와 유사한 구조를 갖는다.
하숙집: 세탁, 부엌 등 시설이 거주자 간에 공유되는 단일 객실 점유 건물이다. 거실과 식당도 공유할 수 있으며, 식사가 제공될 수도 있다.
연립 주택 (미국), 테라스 주택 (미국), 타운하우스: 인접한 이웃과 벽을 공유하는 3개 이상의 주택이다. 일반적으로 여러 층으로 구성된다. 뉴욕시에서 "브라운스톤"은 연립 주택을 의미한다.
상점 주택: 동남아시아에서 거리 수준에 상점 또는 공공 활동 공간이 있고, 상층에 주거 시설이 있는 2~5층 건물을 의미한다.
단일 객실 점유 (SRO): 스튜디오 아파트와 유사하며, 공공 주택으로 사용하기 위해 지어진 경우가 많다. 주방 시설을 갖추고 있을 수도 있고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
식스팩: 뉴잉글랜드에서는 6개의 아파트 블록인 나무 구조를 의미한다. 호주에서는 1960년대 이후 건설된 아파트 스타일을 의미하며, 4~8개의 아파트를 포함하는 단일 조적조 블록으로 구성된다.
독립형: 두 개의 별도 "주택"으로 구성된 건물로, 각 주택에는 별도의 입구가 있다.
스튜디오 아파트 (영국), 배칠러 아파트: 거실/침실로 사용되는 단일 객실이 있는 스위트룸으로, 간이 주방과 욕실이 있다. 1인 또는 커플을 위해 설계되었다.
테넌트: 여러 아파트(대형 아파트 건물)로 구성된 다중 유닛 주거 시설이다. 일반적으로 엘리베이터가 없다.
thumb 맨체스터 모스 사이드의 후기 빅토리아 시대 테라스의 예.]]
테라스 주택: 동일한 개별 주택이 줄지어 연결된 주택 스타일이다. 주거 시설 사이에 공유 벽이 있으며, 균일한 전면과 높이가 특징이다.
백투백: 테라스 뒤쪽에도 두 번째 테라스가 있는 테라스 주택이다. 산업 혁명 기간 동안 영국 노동자들의 일반적인 주거 형태였다. 백투백 문서를 참고한다.
타워 블록 또는 아파트 타워: 고층 아파트 건물이다.
타운하우스: 연립 주택이라고도 한다. 영국에서는 런던의 상류층 주택에 대한 전통적인 용어이며, 현재는 3층 이상이고 1층에 차고가 포함될 수 있는 새로운 테라스 주택에 대한 용어로 사용된다.
스택 타운하우스: 유닛이 서로 위에 쌓여 있는 형태이다. 모든 유닛은 외부에서 직접 접근할 수 있다.
3 가족 주택 또는 3 가족 주택: 3개의 아파트 유닛이 모두 서로 위에 쌓여 있는 형태이다. 트리플 데커 문서를 참고한다.
트라이플렉스 (미국 영어), 쓰리 플랫 (영국 영어): 듀플렉스와 유사하지만 3층인 건물이다.
투 데커: 유사하거나 동일한 평면도를 갖는 쌓인 아파트로 구성된 2가족 주택이다.
타인사이드 플랫: 타인사이드, 북동부 잉글랜드에서 발견되는 2층 테라스에 있는 1층 플랫 2개로, 거리에 두 개의 별도 정문이 있다.
쿼드플렉스 (미국 영어), 포 플랫 (영국 영어): 3 플랫과 유사하지만 4개의 플랫이 있는 건물이다.
통라오: 중국 남부와 홍콩의 오래된 지역에서 발견되는 상점 주택 유형이다. 1층에 상점이 있고, 3~4층 높이이다. 통라오(唐樓 / 騎樓) 문서를 참고한다.
이쑤시개 아파트: 약 10~20층 높이의 아파트 유형으로, 각 층에 하나의 플랫이 있다.
유닛: 호주와 뉴질랜드에서 발견되는 중밀도 주택 유형이다. 유닛 문서를 참고한다.
바타라: 주로 인도 카르나타카의 도시에서 발견되는 주택 단지로, 아파트 단지와 유사하지만 대부분 2층이고 각 층에 주택이 있다.
집합 주택은 이용 관계에 따라 분양 주택과 임대 주택으로 나뉜다.[14] 사택과 기숙사도 공동 주택의 범주에 포함될 수 있다.
집합 주택은 주동 형식에 따라 계단실형, 편복도형, 중복도형, 보이드형, 센터 코어형, 트윈 콜리도어형 등으로 구분된다.[14]
4. 1. 주거 형태에 따른 분류
공동 주택은 다양한 주거 형태를 포함하며, 종류와 범위는 대통령령으로 정한다.[15]- '''아파트''': 주택으로 쓰이는 층수가 5개 층 이상인 주택이다. 아파트 건물 또는 플랫은 여러 개의 아파트가 있는 건물이며, 각 층에 여러 개의 아파트가 있을 수 있고, 여러 층이 있는 경우가 많다. 아파트 건물은 크기가 다양하며, 아파트가 몇 개만 있는 경우도 있고, 여러 층에 수백 개의 아파트가 있는 경우도 있으며, 그 중간 크기도 있다. 각 아파트에는 내부 복도와 내부 입구가 있는 경우가 많지만, 각 아파트의 외부 입구도 가능하다. 아파트 건물은 한 쪽에서 소유할 수 있으며 각 아파트는 세입자에게 임대되거나 각 아파트는 별도의 당사자가 공동 주택으로 소유할 수 있다. 아파트 커뮤니티는 일반적으로 하나의 개체가 소유한 인접한 토지 조각에 있는 아파트 건물 모음이다. 건물은 종종 수영장, 주차 공간 및 커뮤니티 클럽하우스와 같은 공용 부지와 편의 시설을 공유하며 커뮤니티의 임대 사무소로 사용된다.
- '''연립 주택''': 주택으로 쓰이는 1개 동의 연면적(지하 주차장 면적 제외)이 660m2를 초과하고, 층수가 4개 층 이하인 주택이다. 뉴욕시에서는 연립 주택을 "브라운스톤"이라고도 부른다.
- '''타운하우스''': 인접한 이웃과 "공용" 벽을 공유하는 3개 이상의 주택을 의미한다. 뉴욕시에서 "브라운스톤"은 연립 주택이다. 연립 주택은 일반적으로 여러 층이다. 영국에서는 타운하우스라는 용어가 더 널리 사용되고 있지만, 테라스 하우스(테라스 주택 아님)가 더 일반적이다.
- '''오피스텔''': 특히 대한민국에서 하나의 장소에서 업무와 생활 공간을 결합한 작은 아파트를 의미한다. 이는 업무와 주거를 동시에 해결하려는 현대인의 라이프스타일을 반영한 주거 형태이다.
- '''기숙사''': 학교 또는 공장 등의 학생 또는 종업원 등을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서 공동 취사 등을 할 수 있는 구조이되, 독립된 주거 형태를 갖추지 않은 것이다.
- '''복합 용도 건물''': 상업, 비즈니스 또는 사무실 용도와 주거 용도를 모두 위한 공간이 있는 건물이다. 가능한 배치로는 1층 또는 처음 몇 층에 상업/비즈니스 용도로 사용하고 상층에 하나 이상의 아파트 또는 주거 공간이 있다. 또 다른 가능성은 상업/비즈니스 구역을 앞쪽에 두고 주거 구역을 뒤쪽에 두는 것이다. 일부 또는 전부의 공간은 소유자가 사용하거나 일부 또는 모든 비즈니스 및 주거 유닛은 소유자가 임대할 수 있다. 공동 소유도 가능하다.
- '''침대 겸 거실''': 더 큰 집을 세분화하여 만든 단일 객실 주거 시설에 대한 영국의 표현(침실과 거실의 합성어)이다. 표준 유형은 침실/거실 공간에 주방 또는 기본 조리 시설이 있으며, 여러 객실 간에 공유되는 별도의 욕실과 화장실이 있다. 영국 도시의 오래된 빅토리아 시대 건물에서 한때 흔했지만, 임대 개혁, 부동산 가격, 개조 보조금으로 인해 이러한 부동산을 임대 판매용 독립형 아파트로 개조하는 것을 선호하게 되면서 1980년대 이후에는 덜 흔하게 발견된다.
- '''클로즈''': 1800~1870년에 지어진 고밀도 슬럼 주택에 대한 글래스고에서 사용되는 용어이다. 테넌트는 일반적으로 3~4층, 테라스형, 뒷면이 좁은 막다른 골목 주변에 있다.
- '''클러스터 하우스''': '''Q형 주택'''의 구형 형태이다.
- '''공동 주택''': 각자 개별 아파트를 소유하고 모든 공용 구역(복도, 홀, 계단, 로비, 휴게실, 현관, 옥상, 건물 부지의 모든 야외 구역)을 지분으로 공유하는 소유 형태이다. 공동 소유 형태로 소유된 타운하우스와 아파트는 종종 "공동 주택" 또는 "콘도"라고 불린다.
- '''코트''': 1800~1870년 영국에서 지어진 고밀도 슬럼 주택이다. 메인 스트리트에 직각으로 꺾인 짧은 골목을 따라 2층 이상, 테라스형, 뒷면이 맞닿아 있다. 리버풀[8] 및 리즈와 같은 도시에서 한때 흔했다.
- '''데크 접근''': 요소에 노출된 보도에서 접근할 수 있는 "플랫" 건물이다.
- '''딩뱃''': 아파트 건물 스타일이다.
- '''듀플렉스''': (미국 영어), 투 플랫 (영국 영어) - 일반적으로 대지에 지어진 건물로, 각 층에 하나씩 있는 두 채의 주택, 또는 각각 1개 또는 여러 층으로 된 한 쌍의 독립형 주택으로 구성된다. 두 주택에서 공유하는 공용 공간에는 지하실, 현관, 계단실, 또는 현관이 포함될 수 있다.
- '''플랫''': 영국과 아일랜드 일부 지역에서 이는 "아파트"와 정확히 같은 의미이다. 캘리포니아주 샌프란시스코와 그 주변 지역에서 이 용어는 오래된 빅토리아 시대 건축물에서 개조된 대형 주택의 전체 층을 차지하는 아파트를 의미한다. 아일랜드에서는 "플랫"이라는 용어는 일반적으로 더 작거나 가치가 낮은 아파트를 의미하며, 아파트라는 용어는 더 큰 개인 소유 주택에 사용된다.
- '''2 플랫''', '''3 플랫''', '''4 플랫''' 하우스: 각각 2개, 3개 또는 4개의 플랫이 있는 주택 또는 건물(특히 각 플랫이 해당 주택의 전체 층을 차지하는 경우)이다. 모든 플랫에 접근할 수 있도록 앞면과 뒷면에 공용 계단이 있다. 2 플랫과 때로는 3 플랫은 특정 오래된 동네에서 흔하다.
- '''포 플러스 원''': 주차장 위에 4층으로 구성된 아파트 건물이다. 아파트 유닛이 있는 4개 층은 목조 구조와 조적조로 구성되어 있다. 특히 1960년대와 1970년대에 시카고에서, 특히 도시의 북쪽에서 인기가 있었다.
- '''차고 아파트''': 차고 위에 있는 아파트이다. 차고가 연결된 경우 아파트는 주택과 별도의 입구를 갖는다.
- '''갈로우''': "차고" + "방갈로"의 합성어이다. 차고 아파트와 유사하지만 아파트와 차고가 같은 수준에 있다.
- '''정원 아파트''': 일반적으로 각 층이 별도의 아파트인 2층, 반독립형 건물로 특징지어지는 건물 스타일이다.
- '''정원 플랫''': 다층 주택 또는 아파트 건물에서 정원(지면) 수준에 있는 플랫, 특히 조지 왕조 시대와 빅토리아 시대 테라스 주택을 별도 주거 시설로 세분화한 경우이다.
- '''주택 협동 조합''' (또는 '''협동 조합'''): 비영리 법인이 전체 아파트 건물 또는 개발을 소유하고 거주자가 해당 아파트 및 공용 구역의 비율에 해당하는 법인 주식을 소유하는 소유 형태이다. 호주에서는 "회사 소유" 아파트에 해당한다.
- '''로프트''' 또는 '''창고 개조'''는 유닛의 일부, 일반적으로 침실과/또는 두 번째 침실 레벨 욕실로 구성되며, 이전 공장 또는 창고 건물의 구조적으로 높은 베이 내의 구조적 층 사이에서 수직으로 세분화된 아파트 건물일 수 있다. 이러한 곳에서 만들어진 로프트는 기둥 및 지지 벽으로 지역적으로 지지되며 전체 원래 하중 지지 구조의 일부가 아니다.
- '''메조네트''': 내부 계단이 있거나 길가에 자체 입구가 있는 2층 아파트/플랫이다.
- '''메스''': 세입자당 침실 1개와 화장실, 부엌과 같은 공용 시설이 있는 건물 또는 플랫이다. 이들은 인도 아대륙에서 학생, 독신자 또는 저임금 근로자에게 인기가 있다. 영국에서는 침대 겸 거실과 유사하다. 일부 변형은 침실당 여러 세입자를 포함하고 중앙 집중식 메이드 서비스 또는 임대료와 함께 조리된 식사를 포함한다.
- '''장모님 아파트''': 메인 하우스의 뒷면, 지하실 또는 상층에 있는 작은 아파트(영국, 오스트레일리아, 뉴질랜드 및 남아프리카 공화국에서 "그랜드마 플랫"으로도 알려짐)이다. 메인 하우스와 별도의 구조인 경우 '할머니 코티지' 또는 '도디 하우스'라고 한다. 이러한 '''보조 스위트'''는 종종 효율적이거나 2실 아파트이지만 항상 주방 시설을 갖추고 있다(이는 일반적으로 모든 아파트의 법적 요구 사항임).
- '''마이크로 아파트''': 마이크로 하우스가 인기 있는 국가에서 꽤 흔하다. 이러한 작은 단일 객실 주거 시설에는 주방, 욕실, 침실 구역 등이 한 곳에 있으며, 일반적으로 다층 건물에 있다.
- '''원플러스 파이브''': 콘크리트 포디엄 위에 목조 구조로 된 4~5층으로 구성된 중층 아파트 또는 공동 주택 건물이다. 이러한 유형의 건설은 2010년대에 북미 도시에서 폭발적인 인기를 얻었다.
- '''펜트하우스''': 다층 건물의 최상층이다.
- '''Q형''': 20세기 후반부터 영국 주택 단지에 주로 건설된 타운하우스이다. 주택은 블록으로 배열되어 있으며 각 주택은 블록의 모서리에 있다. 이전의 '''클러스터 하우스'''와 유사하다.
- '''철도 아파트''' (또는 '''철도 플랫'''): 복도 구분 없이 객실이 직접 연결된 아파트 유형으로, 일렬로 배열된 기차 객차와 유사하다.
- '''하숙집''': 대부분의 세탁, 부엌 및 세탁 시설이 거주자 간에 공유되는 단일 객실 점유 건물 유형으로, 거실과 식당의 공통 스위트도 공유할 수 있으며 식사 준비가 있을 수도 있고 없을 수도 있다. 식사가 제공되는 경우(더 이상 일반적이지 않음) 공통 식사 시간 및 일정이 집주인이 부과하며, 이러한 경우 집주인은 일종의 여관 주인 역할도 한다. 호주와 미국에서는 침실이 4개 이상인 모든 주택을 각 침실이 개별 임대 계약의 대상인 경우 하숙집으로 간주할 수 있다. 미국에서 하숙집 임대 계약은 일반적으로 매우 짧은 기간(보통 주 단위 또는 며칠 단위) 동안 진행된다. 장기 임대에 대한 임시 주택 배열은 지역 법률이 허용하는 경우 사례별로 "라이더"로 구현된다.
- '''상점 주택''': 동남아시아에서 거리 수준에서 상점 또는 기타 공공 활동이 있고 상층에 주거 시설이 있는 2~5층 도시 건물을 지칭하는 이름이다.
- '''단일 객실 점유''' 또는 '''SRO''': 스튜디오 아파트, 일반적으로 많은 유사한 아파트 블록에서 발생하며 공공 주택으로 사용하기 위한 것이다. 자체 세탁, 세탁 및 주방 시설을 갖추고 있을 수도 있고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 미국에서 주방 시설이 없으면 "아파트"라는 용어를 사용할 수 없으므로, 하숙집 또는 호텔로 분류된다.
- '''식스팩''': 뉴잉글랜드 (미국)에서는 6개의 아파트 블록인 나무 구조를 의미하며, 나란히 지어진 (이중으로 된) 2개의 3층 트리플 데커를 공유하며 벽, 공통 지붕, 대지, 마당(정원 및 잔디밭이 있는 경우), 주차 시설, 지하실을 공유하지만 전기, 개별 온수 및 난방 또는 에어컨은 개별 계량된다. 호주에서는 1960년대, 70년대 및 80년대 초에 건설된 아파트 스타일을 의미하며, 일반적으로 4~8개의 보도 아파트(때로는 훨씬 더 많음)를 포함하는 단일 조적조 블록으로 구성되며 높이는 2~3층이며 측면 또는 후면에 주차 공간이 있다.
- '''스튜디오 아파트''' 또는 '''스튜디오 플랫''' (영국), 또는 '''배칠러 아파트''' 또는 '''효율 아파트''': 거실/거실과 침실로 사용되는 단일 객실이 있는 스위트룸으로, 한쪽으로 좁은 주방과 욕실이 있다. 이 유닛은 1인 또는 커플을 위해 설계되었다. 특히 캐나다와 남아프리카 공화국에서는 매우 작은 경우 ''배칠러'' 또는 ''배칠로레트''라고도 한다.
- '''테넌트''': 여러(일반적으로 4~6개보다 훨씬 더 많은) 아파트(즉, 대형 아파트 건물)로 구성된 다중 유닛 주거 시설로, 일반적으로 골조 구조이며 벽돌 베니어 처리된 경우가 많으며 최대 5층까지 가능하다. 테넌트는 일반적으로 엘리베이터가 없다. 미국에서는 때때로 낡거나 관리가 잘 되지 않은 건물을 의미하는 함축적 의미가 있다. 종종 19세기 후반에서 20세기 초 시대에 도시 또는 회사 도시에 건설된 매우 큰 아파트 건물을 의미한다.
- '''테라스 주택''': 18세기 후반부터 (일반적으로) 동일한 개별 주택이 줄로 연결된 주택 스타일 - 주거 시설 사이에 공유 벽이 있는 주택 라인으로, 균일한 전면과 균일한 높이가 "연립 주택"보다 더 세련된 앙상블을 만들었다. 그러나 이것은 주택이 동일하든 아니든 관계없이 "연립 주택"에 대한 영국의 용어이기도 하다.
- '''타워 블록''' 또는 '''아파트 타워''': 고층 아파트 건물이다.
- '''스택 타운하우스''': 유닛이 서로 위에 쌓여 있다. 유닛은 다층일 수 있다. 모든 유닛은 외부에서 직접 접근할 수 있다.
- '''3 가족 주택''' 또는 '''3 가족 주택''': 다음을 포함한 여러 구성의 아파트 분류 주택 건물에 대한 미국의 부동산 및 광고 용어이다.
- '''트리플 데커''': 일반적으로 골조 구조로 된 3가족 아파트 주택으로, 세 개의 아파트 유닛이 모두 서로 위에 쌓여 있다.
- '''트라이플렉스''': (미국 영어), 쓰리 플랫 (영국 영어) - 듀플렉스와 유사하지만 3층인 건물이다. 2 플랫 및 아마도 3 플랫 건물은 특정 도시의 특정 오래된 동네에서 상당히 흔하다.
- '''투 데커''': 종종 유사하거나 동일한 평면도를 갖는 쌓인 아파트로 구성된 2가족 주택이다. 일부 투 데커, 일반적으로 단독 주택으로 시작하는 주택은 하나 또는 두 개 층이 세분화되어 있으므로 3 또는 4가구 주택이다. 일부는 완전히 별도의 입구를 제공하는 외부 계단이 있고, 일부는 일반적으로 단독 주택이었던 주택이 현재 세분화되어 ''메조네트'' 계획과 유사하지만 공통 외부 '주 출입구' 문 및 잠금 장치가 있는 주요 내부 홀을 공유하고 별도의 아파트로 연결되는 계단이 있다.
- '''타인사이드 플랫''': 타인사이드, 북동부 잉글랜드에서 특히 발견되는 2층 테라스에 있는 1층 플랫 2개로, 공유 로비 대신 거리에 두 개의 별도 정문이 있다.
- '''쿼드플렉스''': (미국 영어), 포 플랫 (영국 영어) - 3 플랫과 유사하지만 4개의 플랫이 있는 건물이다. 어떤 경우에는 아파트의 배열이 다를 수 있고 대지 크기가 일반 주택보다 클 수 있다.
- '''통라오''': 중국 남부와 홍콩의 오래된 지역에서 발견되는 상점 주택 유형이다. 1층에 상점이 있고, 지하실, 차고가 없으며, 약 3~4층이다. 홍콩의 통라오는 구 카이탁 공항과 매우 가까워야 했지만, 현재는 크루즈 터미널이며, 그곳에는 더 새롭고 더 높은 건물이 생겨났다. 정부는 또한 오래된 통라오를 파괴하고 재건축하고 있다.
- '''"이쑤시개 아파트"''': 약 10~20층 높이의 아파트 유형으로, 일반적으로 각 층에 하나의 플랫이 있다. 매우 얇으며, 더 짧은 여러 개의 다른 건물(통라오)로 둘러싸여 있으므로 "이쑤시개 아파트"라는 별명이 붙었다. 홍콩에 있으며, 대부분 개인 아파트이다. 약 1~3개의 주차 공간이 있다.
- '''유닛''': 호주와 뉴질랜드에서 발견되는 중밀도 주택 유형이다.
- '''바타라''': 주로 인도 카르나타카의 도시에서 발견되는 주택 단지로, 아파트 단지와 유사하지만 대부분 2층이고 각 층에 주택이 있다.
- '''독립형''': 두 개의 별도 "주택"으로 구성된 건물, 일반적으로 나란히 있으며 각 주택에는 별도의 입구가 있으며 일반적으로 공용 내부 구역이 없다. 두 주택은 각각 별도의 소유자를 갖는 것이 일반적이다.
4. 2. 이용 관계에 따른 분류
집합 주택은 이용 관계에 따라 분양 주택과 임대 주택으로 나뉜다.[14]- 사택
- 기숙사
4. 3. 주동 형식에 따른 분류
집합 주택은 주동 형식에 따라 계단실형, 편복도형, 중복도형, 보이드형, 센터 코어형, 트윈 콜리도어형 등으로 구분된다.[14]5. 공동주택을 나타내는 용어
공동주택을 나타내는 용어는 다양한 언어와 지역에서 사용되며, 각기 다른 의미를 내포하고 있다.
북미에서는 집합주택을 "아파트먼트(apartment)"라고 부르며, 각 세대의 구획뿐 아니라 건물 전체를 지칭할 때도 사용된다. 일본에서 흔히 쓰이는 "맨션"과 유사한 개념이다. "아파트(apart)"는 "아파트먼트"를 줄인 일본식 표현으로, 규모가 작은 임대 주택에 한정되어 사용된다. 목조 건물에는 주로 '''○○장'''이라는 명칭이 붙는다.
영국 및 영연방 국가에서는 "플랫(flat)"이라는 용어가 "아파트먼트" 대신 사용된다. "평평하다"는 의미처럼 각 세대가 하나의 층에 위치한 형태를 의미하며, 건물 전체를 가리킬 때는 복수형으로 사용한다. "맨션(mansion)"은 영어에서 "큰 저택"을 의미하지만, 집합 주택을 지칭하는 일반적인 용어로는 사용되지 않는다. 일본에서는 "맨션"이 철근 콘크리트조 집합 주택을 의미하는 특유의 표현으로 자리 잡았다.
"콘도미니엄(condominium)"은 "공동 관리"를 뜻하는 라틴어에서 유래되었으며, 분양 형식의 주택을 의미한다. "메종(maison)"은 프랑스어로 "집" 또는 "건물"을 의미하며, 집합 주택이라는 특별한 의미는 없다. 어원은 영어 "mansion"과 같지만, 대저택에 한정되지 않는다. 타운하우스(townhouse)는 2개 이상의 주택을 1동으로 지어 연립한 형태로, 각 주택이 벽을 공유하고 별도의 출입구를 가진다. 연립주택 또는 "테라스 하우스"라고도 불린다. "메조네트(maisonnette)"는 프랑스어로 "작은 maison"을 의미하며, 한 가구의 주택을 구획하여 임대하는 형태로, 일반적으로 각 가구가 여러 층에 걸쳐 있다.
"코포"는 "코퍼레이트 하우스(corporate house)"를 줄인 일본식 표현으로, 철근 콘크리트조나 철골조의 맨션보다 작은 규모의 임대 집합 주택을 지칭하는 건물명으로 사용된다. "코퍼레이티브 하우스"의 약칭이라는 설도 있지만, 일반적으로는 관련이 없다. 흐루쇼프카хрущёвкаru는 1960년대 소비에트 연방에서 대량으로 건설한 저비용 집합 주택으로, 니키타 흐루쇼프의 주도하에 건설되었다. 원래는 주택 부족을 해결하기 위한 임시 주택으로 계획되었으나, 현재까지도 많은 사람들이 거주하고 있다. 는 주로 구 동독에서 건설된 조립식 공법의 집합 주택이다. 단지(단지)는 비슷한 용도의 건물 등이 모인 구역을 의미한다.
대한민국에서는 높은 인구 밀도와 도시 집중화로 인해 공동주택이 주거 형태의 주류를 이루고 있다. 특히 아파트는 한국 사회에서 단순한 주거 공간을 넘어 사회적 지위와 경제적 능력을 상징하는 중요한 지표로 여겨지며, "아파트 공화국"이라는 비판적인 시각도 존재한다. 아파트 선호 현상은 투기 과열, 가격 상승, 지역 간 불균형 심화 등 다양한 사회 문제를 야기하며, 정부는 임대주택 공급 확대, 재건축·재개발 규제 등 다양한 부동산 정책을 시행하고 있지만, 실효성에 대한 논란은 끊이지 않고 있다. 최근에는 1인 가구 증가, 고령화 사회 진입 등 인구 구조 변화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공동주택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으며, 정부는 뉴스테이 (기업형 임대주택), 행복주택 (청년층 대상 공공임대주택) 등 새로운 주거 모델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아파트 중심 주거 문화를 대체하기에는 역부족이라는 평가도 있으며, 층간소음, 주차 문제, 노후 시설 관리 등 공동주택 거주 과정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문제점들은 해결해야 할 과제로 남아있다.
일본에는 역사적인 공동 주택들이 존재한다. 1916년에는 군함도에 일본 최고(最古)의 철근 콘크리트(RC)조 아파트인 "30호동"이 건설되었고, 미야마스자카 빌딩(1953년 준공)은 일본 최초의 분양 아파트이며 (분양주: 도쿄도), 요츠야 코포라스(1956년 준공)는 일본 최초의 민간 분양 아파트이다. 일본건축학회상 작품상을 수상한 공동 주택으로는 사쿠라다이 코트 빌리지, GAZEBO, 넥서스 월드 렘 콜하스 동, 요가 A 플랫, 구마모토현영 류자헤이 단지, 나카지마 가든, 구마모토현립 농업대학교 학생 기숙사, W-HOUSE, 센조쿠의 연립 주택 등이 있다. 그 외에 하루미 단지 고층 아파트, 니시나가호리 아파트, 시영 기마치 고층 아파트 등도 유명하다.
중국에서는 도시화와 경제 성장에 따라 공동주택이 급속도로 발전했으며, 1990년대 후반부터 주택 시장화 정책이 시행되면서 공동주택 건설이 더욱 활발해졌다. 중국의 공동주택은 크게 상품방(商品房)과 보장성 주택(保障性住房)으로 나눌 수 있다. 상품방은 시장에서 자유롭게 거래되는 주택으로, 주로 중산층 이상이 거주하며, 보장성 주택은 저소득층을 위해 정부나 공공기관이 공급하는 주택으로, 저렴한 가격으로 제공된다. 중국 공동주택 시장은 급격한 성장 과정에서 여러 문제점을 드러내기도 했는데, 과도한 개발로 인한 주택 공급 과잉, 투기 과열, 높은 집값 등이 사회 문제로 대두되었다. 또한, 부실 공사로 인한 안전 문제, 관리 부실, 주민 간 갈등 등도 발생하고 있으며, 중국 정부는 공동주택 시장의 안정화를 위해 다양한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서구권 국가들의 공동주택은 각 나라의 역사, 문화, 경제적 상황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발전해 왔다. 독일의 베를린 모더니즘 주택 단지는 유네스코 세계 유산으로 등재되었으며, 20세기 초반의 건축 및 도시 계획의 중요한 사례로 평가받는다. 프랑스의 마르세유에 위치한 유니테 다비타시옹 또한 중요한 공동주택 사례이다. 르 코르뷔지에가 설계한 이 건물은 현대 건축의 중요한 이정표로 여겨지며, 주거, 상업, 문화 시설을 통합하여 '수직 도시' 개념을 구현하고자 했다. 이 외에도 다양한 서구권 국가에서 독특한 형태의 공동주택이 존재하며, 각 지역의 특성과 시대적 요구를 반영하고 있다.
6. 주요 국가별 현황
주요 국가별 현황
일본에는 역사적으로 의미 있는 공동 주택들이 존재한다. 1916년에는 군함도에 일본 최고(最古)의 철근 콘크리트(RC)조 아파트인 "30호동"이 건설되었다. 또한 미야마스자카 빌딩(1953년 준공)은 일본 최초의 분양 아파트이며 (분양주: 도쿄도), 요츠야 코포라스(1956년 준공)는 일본 최초의 민간 분양 아파트이다.
일본건축학회상 작품상을 수상한 공동 주택은 다음과 같다.
준공년도 | 작품명 | 설계자 | 소재지 |
---|---|---|---|
1969년 | 사쿠라다이 코트 빌리지 | 우치이 쇼조 | 가나가와현요코하마시아오바구 |
1986년 | GAZEBO | 야마모토 리켄 | 가나가와현요코하마시가나가와구 |
1991년 | 넥서스 월드 렘 콜하스 동 | 렘 콜하스 | 후쿠오카현후쿠오카시히가시구 |
1993년 | 요가 A 플랫 | 하야카와 구니히코 | 도쿄도세타가야구 |
1994년 | 구마모토현영 류자헤이 단지 | 모토쿠라 마코토 | 구마모토현구마모토시 |
1999년 | 나카지마 가든 | 마츠나가 야스미츠 | 시즈오카현후지시 |
2000년 | 구마모토현립 농업대학교 학생 기숙사 | 후지모리 데루노부 | 구마모토현고시시 |
2000년 | W-HOUSE | 와타나베 아키라 | 도쿄도메구로구 |
2006년 | 센조쿠의 연립 주택 | 키타야마 히사시・카네다 카츠노리 | 도쿄도오타구 |
그 외에 유명한 공동 주택으로는 하루미 단지 고층 아파트(도쿄도주오구, 1958년, 마에카와 구니오, 현존하지 않음), 니시나가호리 아파트(오사카부오사카시니시구, 1958년), 시영 기마치 고층 아파트(히로시마현히로시마시나카구, 1978년, 오타카 마사토, DOCOMOMO JAPAN 선정 일본의 모던・무브먼트의 건축 선정) 등이 있다.
중국에서는 도시화와 경제 성장에 따라 공동주택이 급속도로 발전했다. 특히 1990년대 후반부터 주택 시장화 정책이 시행되면서 공동주택 건설이 더욱 활발해졌다. 중국의 공동주택은 크게 상품방(商品房)과 보장성 주택(保障性住房)으로 나눌 수 있다. 상품방은 시장에서 자유롭게 거래되는 주택으로, 주로 중산층 이상이 거주한다. 보장성 주택은 저소득층을 위해 정부나 공공기관이 공급하는 주택으로, 저렴한 가격으로 제공된다. 중국 공동주택 시장은 급격한 성장 과정에서 과도한 개발로 인한 주택 공급 과잉, 투기 과열, 높은 집값 등의 문제점을 드러내기도 했다. 이에 중국 정부는 주택 구매 제한 정책, 부동산세 도입, 보장성 주택 공급 확대 등을 통해 시장 안정을 도모하고 있다.
서구권 국가들의 공동주택은 각 나라의 역사, 문화, 경제적 상황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발전해 왔다. 독일의 베를린 모더니즘 주택 단지는 유네스코 세계 유산으로 등재되었으며, 20세기 초반의 건축 및 도시 계획의 중요한 사례로 평가받는다. 이 단지는 바이마르 공화국 시대에 건설되었으며, 당시 사회적 요구를 반영한 혁신적인 디자인과 기능을 선보였다. 프랑스 마르세유에 위치한 유니테 다비타시옹 또한 중요한 공동주택 사례이다. 르 코르뷔지에가 설계한 이 건물은 현대 건축의 중요한 이정표로 여겨진다. 유니테 다비타시옹은 주거, 상업, 문화 시설을 통합하여 '수직 도시' 개념을 구현하고자 했다.
6. 1. 대한민국
대한민국은 높은 인구 밀도와 도시 집중화로 인해 공동주택이 주거 형태의 주류를 이루고 있다. 특히 아파트는 한국 사회에서 단순한 주거 공간을 넘어 사회적 지위, 경제적 능력을 상징하는 중요한 지표로 여겨진다. 이러한 현상은 '아파트 공화국'이라는 비판적인 시각을 낳기도 했다.아파트 선호 현상은 투기 과열, 가격 상승, 지역 간 불균형 심화 등 다양한 사회 문제를 야기한다. 정부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임대주택 공급 확대, 재건축·재개발 규제 등 다양한 부동산 정책을 시행하고 있지만, 실효성에 대한 논란은 끊이지 않고 있다. 특히 보수 진영에서는 정부의 규제 위주 정책이 시장 기능을 저해하고, 오히려 집값 상승을 부추긴다는 비판이 제기되고 있다.
최근에는 1인 가구 증가, 고령화 사회 진입 등 인구 구조 변화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공동주택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정부는 이러한 변화에 발맞춰 뉴스테이 (기업형 임대주택), 행복주택 (청년층 대상 공공임대주택) 등 새로운 주거 모델을 제시하고 있지만, 기존의 아파트 중심 주거 문화를 대체하기에는 역부족이라는 평가도 있다. 또한, 층간소음, 주차 문제, 노후 시설 관리 등 공동주택 거주 과정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문제점들은 해결해야 할 과제로 남아있다.
6. 2. 일본
일본에는 역사에 남을 공동 주택들이 존재한다. 1916년에는 군함도에 일본 최고(最古)의 철근 콘크리트(RC)조 아파트인 "30호동"이 건설되었다. 또한, 미야마스자카 빌딩(1953년 준공)은 일본 최초의 분양 아파트이며 (분양주: 도쿄도), 요츠야 코포라스(1956년 준공)는 일본 최초의 민간 분양 아파트이다.일본건축학회상 작품상을 수상한 공동 주택은 다음과 같다.
준공년도 | 작품명 | 설계자 | 소재지 |
---|---|---|---|
1969년 | 사쿠라다이 코트 빌리지 | 우치이 쇼조 | 가나가와현요코하마시아오바구 |
1986년 | GAZEBO | 야마모토 리켄 | 가나가와현요코하마시가나가와구 |
1991년 | 넥서스 월드 렘 콜하스 동 | 렘 콜하스 | 후쿠오카현후쿠오카시히가시구 |
1993년 | 요가 A 플랫 | 하야카와 구니히코 | 도쿄도세타가야구 |
1994년 | 구마모토현영 류자헤이 단지 | 모토쿠라 마코토 | 구마모토현구마모토시 |
1999년 | 나카지마 가든 | 마츠나가 야스미츠 | 시즈오카현후지시 |
2000년 | 구마모토현립 농업대학교 학생 기숙사 | 후지모리 데루노부 | 구마모토현고시시 |
2000년 | W-HOUSE | 와타나베 아키라 | 도쿄도메구로구 |
2006년 | 센조쿠의 연립 주택 | 키타야마 히사시・카네다 카츠노리 | 도쿄도오타구 |
그 외에 유명한 공동 주택으로는 하루미 단지 고층 아파트(도쿄도주오구, 1958년, 마에카와 구니오, 현존하지 않음), 니시나가호리 아파트(오사카부오사카시니시구, 1958년), 시영 기마치 고층 아파트(히로시마현히로시마시나카구, 1978년, 오타카 마사토, DOCOMOMO JAPAN 선정 일본의 모던・무브먼트의 건축 선정) 등이 있다.
6. 3. 중국
중국에서는 도시화와 경제 성장에 따라 공동주택이 급속도로 발전했다. 특히 1990년대 후반부터 주택 시장화 정책이 시행되면서 공동주택 건설이 더욱 활발해졌다.중국의 공동주택은 크게 상품방(商品房)과 보장성 주택(保障性住房)으로 나눌 수 있다. 상품방은 시장에서 자유롭게 거래되는 주택으로, 주로 중산층 이상이 거주한다. 보장성 주택은 저소득층을 위해 정부나 공공기관이 공급하는 주택으로, 저렴한 가격으로 제공된다.
중국 공동주택 시장은 급격한 성장 과정에서 여러 문제점을 드러내기도 했다. 과도한 개발로 인한 주택 공급 과잉, 투기 과열, 높은 집값 등이 사회 문제로 대두되었다. 또한, 부실 공사로 인한 안전 문제, 관리 부실, 주민 간 갈등 등도 발생하고 있다.
이에 중국 정부는 공동주택 시장의 안정화를 위해 다양한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주택 구매 제한 정책, 부동산세 도입, 보장성 주택 공급 확대 등을 통해 시장 안정을 도모하고 있다. 또한, 공동주택 관리 규정을 강화하고, 주민자치 활성화를 지원하여 주거 환경 개선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6. 4. 서구권 국가들
서구권 국가들의 공동주택은 각 나라의 역사, 문화, 경제적 상황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발전해 왔다.독일의 베를린 모더니즘 주택 단지는 유네스코 세계 유산으로 등재되었으며, 20세기 초반의 건축 및 도시 계획의 중요한 사례로 평가받는다. 이 단지는 바이마르 공화국 시대에 건설되었으며, 당시 사회적 요구를 반영한 혁신적인 디자인과 기능을 선보였다.
프랑스의 마르세유에 위치한 유니테 다비타시옹 또한 중요한 공동주택 사례이다. 르 코르뷔지에가 설계한 이 건물은 현대 건축의 중요한 이정표로 여겨진다. 유니테 다비타시옹은 주거, 상업, 문화 시설을 통합하여 '수직 도시' 개념을 구현하고자 했다.
이 외에도 다양한 서구권 국가에서 독특한 형태의 공동주택이 존재하며, 각 지역의 특성과 시대적 요구를 반영하고 있다.
7. 사회적 영향 및 문제점
공동주택은 편리한 생활을 제공하지만, 층간소음, 사생활 침해, 공동체 의식 약화, 획일적인 주거 문화, 투기 과열, 가격 상승, 아파트 브랜드 선호 현상 및 부동산 계급 사회 심화 등 여러 가지 부정적인 영향과 문제점을 야기하기도 한다.
공동주택의 가장 큰 문제점으로 꼽히는 것은 층간소음이다. 특히 대한민국의 공동주택은 벽식 구조가 많아 소음 전달에 취약하며, 윗집의 발소리, 가구 끄는 소리 등이 아래층에 그대로 전달되어 갈등을 유발한다. 또한, 벽을 사이에 두고 다수의 가구가 밀집되어 있어 사생활 침해 문제도 발생한다.
과거 대한민국의 농경 사회에서는 마을 공동체를 중심으로 끈끈한 유대감을 형성했으나, 현대 사회의 공동주택에서는 개인주의적인 성향이 강해 이웃 간 소통이 부족하고 공동체 의식이 약화되는 경향이 있다. 이는 고립감, 외로움 등의 사회 문제로 이어질 수 있다.
대부분의 공동주택은 비슷한 구조와 디자인으로 건설되어 획일적인 주거 문화를 형성한다. 이는 개인의 개성과 취향을 반영하기 어렵게 만들고, 창의적인 공간 활용을 저해할 수 있다. 특히, 대한민국에서는 아파트 공화국이라는 말이 나올 정도로 아파트가 주된 주거 형태로 자리 잡으면서 이러한 문제가 더욱 심화되고 있다.
공동주택은 부동산 투기의 대상이 되기 쉽고, 이는 가격 상승을 부추겨 주거 불평등을 심화시킨다. 특히, 대한민국에서는 아파트 가격이 급등하면서 서민들의 내 집 마련의 꿈이 더욱 멀어지고 있다. 이는 사회적 불만을 야기하고, 계층 간 갈등을 심화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대한민국에서는 특정 아파트 브랜드에 대한 선호 현상이 강하게 나타나고 있다. 이는 아파트 브랜드가 사회적 지위와 경제력을 상징하는 수단으로 여겨지기 때문이다. 이러한 현상은 부동산 계급 사회를 심화시키고, 사회 구성원 간 위화감을 조성할 수 있다. 특히 강남에 위치한 특정 브랜드 아파트의 선호도는 매우 높게 나타나고 있다.
7. 1. 긍정적 영향
공동주택은 주택 공급을 확대하고 주거 안정을 도모하는 데 기여한다. 특히 인구 밀도가 높은 도시 지역에서 공동주택은 토지 이용 효율성을 높여 더 많은 사람들에게 주거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이는 도시의 과밀화를 해소하고 주택 가격 안정화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또한, 공동주택은 다양한 편의시설과 커뮤니티 공간을 제공하여 입주민들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데 기여한다.7. 2. 부정적 영향 및 문제점
공동주택은 편리한 생활을 제공하지만, 여러 가지 부정적인 영향과 문제점을 야기하기도 한다.층간소음 및 사생활 침해공동주택의 가장 큰 문제점으로 꼽히는 것은 층간소음이다. 특히, 대한민국의 공동주택은 벽식 구조가 많아 소음 전달에 취약하다. 윗집의 발소리, 가구 끄는 소리 등이 아래층에 그대로 전달되어 갈등을 유발한다. 또한, 벽을 사이에 두고 다수의 가구가 밀집되어 있어 사생활 침해 문제도 발생한다.
공동체 의식 약화과거 대한민국의 농경 사회에서는 마을 공동체를 중심으로 끈끈한 유대감을 형성했으나, 현대 사회의 공동주택에서는 개인주의적인 성향이 강해 이웃 간 소통이 부족하고 공동체 의식이 약화되는 경향이 있다. 이는 고립감, 외로움 등의 사회 문제로 이어질 수 있다.
획일적인 주거 문화대부분의 공동주택은 비슷한 구조와 디자인으로 건설되어 획일적인 주거 문화를 형성한다. 이는 개인의 개성과 취향을 반영하기 어렵게 만들고, 창의적인 공간 활용을 저해할 수 있다. 특히, 대한민국에서는 아파트 공화국이라는 말이 나올 정도로 아파트가 주된 주거 형태로 자리 잡으면서 이러한 문제가 더욱 심화되고 있다.
투기 과열 및 가격 상승공동주택은 부동산 투기의 대상이 되기 쉽고, 이는 가격 상승을 부추겨 주거 불평등을 심화시킨다. 특히, 대한민국에서는 아파트 가격이 급등하면서 서민들의 내 집 마련의 꿈이 더욱 멀어지고 있다. 이는 사회적 불만을 야기하고, 계층 간 갈등을 심화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아파트 브랜드 선호 현상 및 부동산 계급 사회 심화대한민국에서는 특정 아파트 브랜드에 대한 선호 현상이 강하게 나타나고 있다. 이는 아파트 브랜드가 사회적 지위와 경제력을 상징하는 수단으로 여겨지기 때문이다. 이러한 현상은 부동산 계급 사회를 심화시키고, 사회 구성원 간 위화감을 조성할 수 있다. 특히 강남에 위치한 특정 브랜드 아파트의 선호도는 매우 높게 나타나고 있다.
8. 미래 전망
공동주택의 미래는 스마트 홈 기술과 친환경 건축 기술의 발전에 크게 영향을 받을 것으로 예상된다. 스마트 홈 기술을 통해 에너지 효율을 높이고, 입주민의 편의성을 증진시키는 방향으로 발전할 것이다. 또한, 친환경 건축 기술을 적용하여 탄소 배출량을 줄이고, 지속 가능한 주거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 중요한 과제가 될 것이다.
미래형 공동주택 모델은 커뮤니티 시설 확충을 통해 공동체 의식 회복에 기여할 수 있다. 다양한 주거 형태를 도입하여 입주민의 다양한 요구를 충족시키는 것도 필요하다. 정부는 이러한 변화를 지원하기 위해 정책적 제언을 제시하고, 관련 규제를 완화하는 등 적극적인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특히 대한민국의 주택 정책은 시대 변화에 발맞춰 유연하게 변화해야 한다.
9. 관련 통계
공동주택 관련 통계는 다음과 같다.
- 주택 보급률: 대한민국의 주택 보급률은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다. 이는 정부의 주택 공급 정책과 건설 경기 활성화 등에 힘입은 결과로 분석된다. 하지만 지역별, 소득 계층별 주택 보급률 격차는 여전히 해결해야 할 과제로 남아있다. 특히 수도권과 지방, 저소득층과 고소득층 간의 격차를 해소하기 위한 정책적 노력이 필요하다.
- 아파트 가격: 아파트 가격은 부동산 시장의 주요 지표 중 하나다. 최근 몇 년간 아파트 가격은 급등과 급락을 반복하며 변동성이 커지고 있다. 이는 금리 인상, 정부 규제, 시장 심리 등 다양한 요인의 영향을 받은 결과다. 특히 서울을 비롯한 수도권 지역의 아파트 가격 변동은 전국 부동산 시장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 주거 만족도: 주거 만족도는 삶의 질을 평가하는 중요한 지표다. 공동주택 거주자들의 주거 만족도는 다양한 요인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주택의 크기, 편의시설, 주변 환경, 이웃 관계 등이 주거 만족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최근에는 층간소음, 사생활 침해 등 공동주택의 문제점이 부각되면서 주거 만족도가 하락하는 경향도 나타나고 있다.
- 통계청, 국토교통부 등 정부기관은 주택 보급률, 아파트 가격, 주거 만족도 등 다양한 공동주택 관련 통계를 발표하고 있다. 이러한 통계 자료는 정책 수립, 시장 분석, 학술 연구 등에 활용될 수 있다.
10. 참고 문헌
- 박철수. 《아파트 공화국》. 현실문화연구. ISBN 9788965630372
- 송인호; 김준형; 김지혜; 서종균. 《공동주택의 가치, 어떻게 높일 것인가》. 한국개발연구원.
- 윤정란; 김혜정; 이승욱; 정주희; 김태오. 《건축자산으로서 노후 공동주택의 가치 향상 방안 연구》. 건축도시공간연구소.
- 이강훈. 《아파트와 제3의 공간》. 효형출판. ISBN 9788986361748
- 정재훈. 《아파트: 공적인, 너무나 공적인》. 돌베개. ISBN 9788971998026
- 국토교통부, 《공동주택 하자분쟁 해결사례집》, 국토교통부, 2014.
- 국토교통부, 《건축물 에너지절약설계기준 해설서》, 국토교통부, 2016-12.
- 한국주택관리협회, 《공동주택관리법령집》, 한국주택관리협회, 2023-03-31.
- 국토교통부, 《주택건설기준 등에 관한 규칙》.
- 박철수, 《아파트 공화국》, 현실문화연구, ISBN 9788965630372
- SBS 스페셜 - 아파트, 한국 사회의 욕망을 짓다 1부 : 40년 만의 고백, SBS STORY, 2019-04-26.
- SBS 스페셜 - 아파트, 한국 사회의 욕망을 2부 : 끝나지 않은 아파트 잔혹사, SBS STORY, 2019-05-03.
- 송인호, 김준형, 김지혜, 서종균, 《공동주택의 가치, 어떻게 높일 것인가》, 한국개발연구원.
- 윤정란, 김혜정, 이승욱, 정주희, 김태오, 《건축자산으로서 노후 공동주택의 가치 향상 방안 연구》, 건축도시공간연구소.
- 이강훈, 《아파트와 제3의 공간》, 효형출판, ISBN 9788986361748
- 정재훈, 《아파트: 공적인, 너무나 공적인》, 돌베개, ISBN 9788971998026
11. 같이 보기
참조
[1]
웹사이트
How are single-family and multifamily buildings defined?
https://www.economy.[...]
Moody's Analytics
2017-08-14
[2]
뉴스
What is A Multifamily Real Estate Property - Apartment Syndication Companies
https://capital.theb[...]
BAM Capital
2022-02-26
[3]
간행물
The fiscal externality of multifamily housing and its impact on the property tax: Evidence from cities and schools, 1980–2010
https://doi.org/10.1[...]
2016
[4]
뉴스
Shibam: Los rascacielos de adobe
https://elpais.com/e[...]
2021-09-06
[5]
웹사이트
Definition of BROWNSTONE
https://www.merriam-[...]
2019-08-02
[6]
웹사이트
The Old Closes and Streets of Glasgow
http://special.lib.g[...]
Special.lib.gla.ac.uk
2016-05-16
[7]
웹사이트
English Heritage Online thesauruswebsite=Thesaurus.english-heritage.org.uk
http://thesaurus.eng[...]
2016-05-20
[8]
웹사이트
Liverpool Court Dwellings
http://liverpoolhist[...]
Liverpool Historical Society
2009-10-15
[9]
웹사이트
Defining the Four Plus One | Forgotten Chicago | History, Architecture, and Infrastructure
http://forgottenchic[...]
Forgotten Chicago
2016-05-20
[10]
웹사이트
Garlows, the Modern Type of Temporary Home — Twin Cities Bungalow Club
https://bungalowclub[...]
2019-07-19
[11]
웹사이트
Definition of garden apartment {{!}} Dictionary.com
https://www.dictiona[...]
2019-07-26
[12]
웹사이트
GARDEN FLAT {{!}} definition in the Cambridge English Dictionary
https://dictionary.c[...]
2019-08-02
[13]
서적
路地研究 もうひとつの都市の広場
鹿島出版会
[14]
문서
第2章 集合住宅の建て方および住まい方に関する調査
https://www.kenken.g[...]
国立研究開発法人建築研究所
2021-01-16
[15]
저널
http://www.law.go.kr[...]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전기세 아까워" 에어컨 꺼놓고…"차 열기 덥다" 주차 금지?
"모두 평온하길"…천사 이웃의 깜짝 선물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