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교황 니콜라오 2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니콜라오 2세는 1058년 대립 교황 베네딕토 10세에 대항하여 교황으로 선출된 인물이다. 그는 피렌체 주교였으며, 추기경들의 지지를 받아 시에나에서 선출되었다. 니콜라오 2세는 로마로 진입하여 베네딕토 10세를 폐위시키고, 노르만족과의 동맹을 통해 지위를 강화했다. 그는 교황 선출법을 개혁하여 추기경에게 선거권을 부여하고, 밀라노를 로마 교황청에 종속시키는 등 교회 개혁을 추진했다. 이러한 개혁은 신성 로마 제국과의 갈등을 초래했으며, 그는 1061년에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061년 사망 - 스피티흐네프 2세
    스피티흐네프 2세는 브르제티슬라프 1세의 아들이자 1055년부터 1061년까지 보헤미아 공작으로, 신성 로마 제국에 충성하면서도 반독일 정책을 추진하고 교황과의 관계 강화, 모라비아 귀족 권리 박탈 등으로 통치했다.
  • 1061년 사망 - 이자연 (고려)
    이자연은 고려 문신으로, 문종의 장인이자 세 딸을 왕비로 들여 조정의 실세가 되었으며, 흥왕사 건립을 주도하여 불교를 융성시키고 인천 이씨 가문이 고려 최고 문벌로 성장하는 기반을 마련했다.
  • 11세기 프랑스 사람 - 교황 우르바노 2세
    교황 우르바노 2세는 1088년부터 1099년까지 재위하며 제1차 십자군 파병을 호소하여 십자군 운동을 촉발하고, 개혁을 추진하며 교황권을 강화하다가 제1차 십자군이 예루살렘을 점령하기 직전에 사망한 인물이다.
  • 11세기 프랑스 사람 - 피에르 레르미트
    피에르 레르미트는 11세기 말 제1차 십자군 당시 빈민 십자군을 이끈 프랑스 은둔자이자 설교가로, 예루살렘으로 향하는 무장 순례를 주도하며 민중을 이끌었으나 군사적 실패 후 제후 십자군에 합류하여 사기를 고무하는 역할을 했으며, 그에 대한 평가는 다양하고 대중문화 작품에 영감을 주었다.
  • 10세기 프랑스 사람 - 위그 카페
    위그 카페는 987년부터 996년까지 프랑크 왕국의 왕으로 재위하며 카페 왕조의 시조가 되었고, 왕위 계승을 위해 아들 로베르 2세를 공동 왕으로 임명하여 카페 왕조 세습의 기반을 다졌다.
  • 10세기 프랑스 사람 - 아르눌푸스 레멘시스
    아르눌푸스 레멘시스는 랭스 대성당 사제이자 랭스 대주교로 임명되었으나, 정치적 격변 속에서 반역을 시도하다 폐위 후 복권되었으며, 이후 정치적 현실에 순응하며 카롤링거 가문의 멸망을 가속화했다.
교황 니콜라오 2세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니콜라오 2세
본명제라르 드 부르고뉴
출생990년 - 995년 사이
출생지신성 로마 제국 부르고뉴 왕국 사부아메르퀴리셰브롱 성
사망1061년 7월 27일
사망지신성 로마 제국 토스카나 변경령 피렌체
교황 정보
직위로마 교황
재임 시작1059년 1월 24일
재임 종료1061년 7월 27일
이전 교황스테파노 9세
다음 교황알렉산데르 2세
추가 정보
기타니콜라우스

2. 교황 선출

교황 스테파노 9세가 1058년 3월 피렌체에서 선종하자, 투스쿨룸 백작의 주도로 로마 귀족들은 벨레트리의 주교 요한을 베네딕토 10세로 선출하였다. 그러나 대다수 추기경들은 뇌물 매수 의혹과 전임 교황 스테파노 9세가 독일 궁정에 간 힐데브란트(훗날 교황 그레고리오 7세)가 돌아오기 전까지 새 교황을 선출하지 않겠다고 서약한 것을 어겼다는 이유로 베네딕토 10세를 인정하지 않았다.[10]

힐데브란트는 베네딕토 10세의 선출에 반발하여 부르고뉴 출신의 제라르를 지지하였다. 1058년 12월, 시에나에 모인 추기경들은 제라르를 새 교황으로 선출하였고, 제라르는 삼층관의 전신인 카멜라우쿰을 쓰고 교황좌에 등극하여 '''니콜라오 2세'''로 명명되었다. 이는 역사상 처음 있는 일이었다.

2. 1. 초기 생애

제라르 드 부르고뉴는 990년과 995년 사이에 부르고뉴의 사보이 귀족 집안이자 현재 사부아에 있는 셰브론에서 태어났다.[10][2] 그는 리에주의 캐논이었다. 1045년에 피렌체주교로 서임되어 착좌하였다.[10] 그곳에서 그는 많은 교회의 성직자들 사이에서 정규적인 삶을 회복시켰다.[3][4]

2. 2. 대립교황 베네딕토 10세와의 갈등

교황 스테파노 9세가 1058년 3월 피렌체에서 선종하자, 투스쿨룸 백작의 주도로 로마 귀족들은 벨레트리의 주교 요한을 교황 베네딕토 10세로 선출하였다. 그러나 대다수 추기경들은 뇌물 매수 의혹과 전임 교황 스테파노 9세가 독일 궁정에 간 힐데브란트(훗날 교황 그레고리오 7세)가 돌아오기 전까지 새 교황을 선출하지 않겠다고 서약한 것을 어겼다는 이유로 베네딕토 10세를 인정하지 않았다.[10]

힐데브란트는 베네딕토 10세의 선출에 반발하여 부르고뉴 출신의 제라르를 지지하였다. 1058년 12월, 시에나에 모인 추기경들은 제라르를 새 교황으로 선출하였고, 제라르는 삼층관의 전신인 카멜라우쿰을 쓰고 교황좌에 등극하여 '''니콜라오 2세'''로 명명되었다. 이는 역사상 처음 있는 일이었다.

니콜라오 2세는 로마로 가는 길에 수트리에서 시노드를 소집, 베네딕토 10세를 대립교황으로 선언하고 파문하였다.[5] 이후 고드푸르아 공작의 군대와 함께 로마에 진입하여 시가전을 벌여 로마를 장악하였다.[11] 베네딕토 10세는 갈레리아의 제라르드가 있는 성으로 도망쳤다.

1059년 초, 캄파냐 전투에서 니콜라오 2세는 완전한 승리를 거두지 못했으나, 그해 말 그의 군대는 프레네스테, 투스쿨룸, 누멘타눔을 정복하고, 가을에는 갈레리아를 점령하여 베네딕토 10세가 교황직을 포기하도록 강요하였다.

3. 교황 선출법 개혁

1059년 니콜라오 2세는 라테라노 시노드에서 교황 선거 방식을 개혁했다. 이전까지 교황 선출은 로마 귀족들과 신성 로마 제국 황제의 영향을 크게 받았으나, 니콜라오 2세는 대립교황 베네딕토 10세와의 권력 투쟁을 겪으면서 이러한 폐단을 없애고자 했다.

1058년 베네딕토 10세에 대항하여 시에나에서 교황으로 선출된 니콜라오 2세는 로마로 진격하면서 베네딕토 10세를 폐위하고 파문했으며, 노르만족의 도움을 받아 그의 세력을 제압했다.

이러한 배경에서 니콜라오 2세는 113명의 주교를 로마로 소집하여 콘클라베 절차를 포함한 여러 개혁안을 논의했다. 이 개혁을 통해 교회는 로마 세속 세력으로부터 독립을 선언했으며, 이후 교황은 로마에서 열리는 추기경 회의에서 선출되게 되었다.

3. 1. 교황 선출권 변화

1059년 4월 13일, 예수 부활 대축일에 라테라노에서 소집된 시노드에서 니콜라오 2세는 칙서 《주님의 이름으로》(In nomine Domini)를 공표하여 개혁 조치를 단행하였다.[12] 개혁의 가장 핵심적인 사항은 성직자와 평신도(로마 귀족, 신성 로마 제국 황제)들이 가지고 있었던 교황 선거권을 원로 성직자인 추기경에게만 부여하는 조치였다.[13] 다른 성직자는 추기경의 선정과 동의가 있어야만 참여할 수 있었으며, 신성 로마 제국 황제는 추기경들이 선출한 교황을 승인하는 권리만 가지게 하였다.

이 칙령으로 선포된 교황 선거 방식의 개혁은 교회의 입장에서 볼 때 사실상 독립 선언이나 다름없었다. 이전까지 신임 교황 선출권은 로마 귀족들과 성직자들에게 있었다. 실질적으로는 성직자들보다는 로마의 유력 귀족들이나 특히 신성 로마 제국 황제의 입김에 많이 좌우되곤 했다.

대립교황 베네딕토 10세와의 투쟁 경험은 이러한 상황을 타개하기 위해서 교황 선거 방식의 개혁이 필요하다고 절감하게 만들었고, 이는 개혁의 직접적인 계기가 되었다. 이외에도 여러 개혁 조치가 함께 추진되었다. 교황 선출에 관한 개혁 법령은 1061년 공석이 된 교황을 선출할 때부터 실행에 옮겼다. 또한 황제와 로마 귀족들의 반발에 대비하여 남부 이탈리아의 신생 세력인 노르만족과의 관계를 개선하여 교회의 비호 세력으로 만들었고, 북부 이탈리아의 가장 큰 교구인 밀라노를 종속시켰다.[14]

본래 추기경은 로마 교회의 교구 사제에게 명목상 부여되었던 직급이었는데,[15] 이번 개혁으로 교황 선거인단이 된 추기경들은 책임과 권한이 강화되어 권위가 상승하는 계기가 되었다.

3. 2. 개혁의 배경과 의의

1059년 4월 13일, 예수 부활 대축일에 라테라노에서 소집된 시노드에서 니콜라오 2세는 칙서 《주님의 이름으로》를 공표하여 개혁조치를 단행하였다.[12] 개혁의 가장 핵심적인 사항은 성직자와 평신도(로마 귀족, 황제)들이 가지고 있었던 교황 선거권을 원로 성직자인 추기경들에게만 부여하는 조치였다.[13] 다른 성직자는 추기경의 선정과 동의가 있어야만 참여 할 수 있었으며, 신성 로마 제국의 황제는 추기경들이 선출한 교황을 승인하는 권리만을 가지게 하였다.

칙령으로 선포된 교황 선거 방식의 개혁은 교회의 입장에서 볼 때 사실상 독립 선언이나 다름 없었다. 이전까지만 해도 신임 교황 선출권은 로마 귀족들과 성직자들에게 있었다. 실질적으로는 성직자들 보다는 로마의 유력 귀족들이나 특히 신성 로마 제국의 황제의 입김에 많이 좌우되곤 했다.

대립교황 베네딕토 10세와의 투쟁경험은 이러한 상황을 타개하기 위해서 교황 선거 방식의 개혁이 필요하다고 절감하게 만들었고 개혁의 직접적인 계기가 되었다. 1058년 초, 투스쿨룸의 투스쿨라니 가문 등 귀족들의 지지를 받은 베네딕토 10세가 교황으로 선출되었으나, 일부 추기경들은 매수가 있었다며 선거의 부당성을 주장하며 로마에서 추방되었다. 힐데브란트(후의 그레고리오 7세)는 베네딕토 10세에 대한 대항을 표명하고 제라르에 대한 지지 확보에 나섰다. 그리하여 반 베네딕토 10세파 추기경들은 시에나에서 제라르를 대립 교황 '''니콜라오 2세'''로 옹립했다. 니콜라오 2세는 로마로 진격하는 도중 스트리에서 회의를 열고 베네딕토 10세의 폐위와 파문을 선언했다. 그 후, 니콜라오 2세의 지지자들이 로마를 제압, 베네딕토 10세는 도망쳤으며, 이로써 그의 교황직은 사실상 상실된 것으로 여겨진다.

이외에도 여러 개혁 조치가 함께 추진되었다. 교황 선출에 관한 개혁 법령은 1061년 공석이 된 교황을 선출할 때부터 실행에 옮겼다. 또한 황제와 로마 귀족들의 반발에 대비하여 남부 이탈리아의 신생세력인 노르만족과의 관계를 개선하여 교회의 비호세력으로 만들었고 북부 이탈리아의 가장 큰 교구인 밀라노를 종속시켰다.[14]

본래 추기경은 로마교회의 교구 사제에게 명목상 부여되었던 직급이었는데,[15] 이번 개혁으로 교황 선거인단이 된 추기경들은 책임과 권한이 강화되어 권위가 상승하는 계기가 되었다.

4. 노르만족과의 관계

1059년 니콜라오 2세의 불라 인장


니콜라오 2세는 자신의 지위를 확고히 하고 개혁에 대한 반발에 대비하기 위해 노르만족과의 관계 개선을 추진했다.[16] 시칠리아를 탈환하고자 했던 교황에게 이탈리아 남부를 장악한 노르만족은 적합한 동맹 세력이었다.[17]

1059년 8월, 멜피에서 로마와 노르만족 간의 새로운 동맹이 체결되었다. 니콜라오 2세는 로베르 기스카르를 풀리아, 칼라브리아, 시칠리아의 공작으로, 아베르사의 리샤르를 카푸아 공작으로 임명하고, 이들로부터 교회에 대한 충성과 보호를 맹세받았다.

이 동맹을 통해 교황은 노르만족의 군사적 지원을 받아 대립교황 베네딕토 10세를 제거하고, 로마 귀족들의 영향력에서 벗어나 신성 로마 제국동로마 제국으로부터 독립적인 위치를 확보할 수 있게 되었다.

4. 1. 동맹의 배경

교황 니콜라오 2세는 자신의 지위를 확고히 하고 과감한 개혁이 격렬한 반발에 부딪칠 경우를 대비하기 위해 노르만족과 관계를 개선했다.[16] 또한 이슬람교도에게 정복당한 시칠리아를 탈환하기를 바랐던 그는 노르만족이 이를 실천하기에 알맞은 세력이라고 판단했다.[17] 당시 노르만족은 이탈리아 남부를 완전히 자신들의 세력권 아래 편입한 상황이었다.

이로써 위조 문서인 '콘스탄티누스의 기증장'[18] 밖에는 변변한 기반이 없었던 니콜라오 2세는 더 이상 교황이 로마인 귀족들의 권세에 휘둘리지 않아도 되었다. 이는 교황권이 신성 로마 제국동로마 제국 등 두 제국으로부터 독립적인 위치를 점하게 되는 계기가 되었다.

4. 2. 멜피 협약

니콜라오 2세는 노르만족과 관계를 개선했다. 이는 자신의 지위를 확고히 하고, 과감한 개혁이 격렬한 반발에 부딪칠 경우를 대비한 조치였다.[16] 또한 이슬람교도들에게 정복당한 시칠리아를 탈환하기를 바랐던 그는 노르만족을 이를 실천하기에 알맞은 세력으로 보았다.[17] 당시 노르만족은 이탈리아 남부를 완전히 자신들의 세력권 아래 편입한 상황이었다. 1059년 8월, 멜피에서 로마와 노르만족 사이에 새로운 동맹이 맺어졌다.

니콜라오 2세는 힐데브란도와 훔베르트 추기경, 몬테카시노 수도원의 아빠스 데시데리우스를 대동하고, 로베르 기스카르를 풀리아, 칼라브리아, 시칠리아의 공작으로 책봉하는 장엄한 예식을 주재하였다. 그리고 아베르사의 리샤르를 카푸아의 공작에 책봉하였다. 이를 통해 니콜라오 2세는 노르만족 지도자들로부터 앞으로 교회에 충성을 바치며 보호하겠다는 맹세를 받아냈다.

이 협정은 위조된 "콘스탄티누스의 기증"에 기반을 둔 것으로, 교황청이 동로마와 서로마 제국으로부터 독립하도록 만들 운명이었다.

4. 3. 동맹의 결과

노르만족의 지원을 받은 니콜라오 2세는 대립교황 베네딕토 10세와 그의 지지 세력들을 소탕하기 위한 전투를 벌였다. 1059년 캄파냐에서 벌어진 첫 전투에서 니콜라오 2세는 완전한 승리를 거두지는 못했다. 하지만 같은 해 하반기에 니콜라오 2세의 군대는 프라에네스테와 투스쿨룸, 누멘타눔을 정복했다. 1059년 가을에는 갈레리아를 정복하고 초토화시킨 후 베네딕토 10세를 체포하여 사제직을 박탈하고 투옥시켰다.[16]

이로써 위조 문서인 '콘스탄티누스의 기증장'[18] 외에는 뚜렷한 기반이 없었던 니콜라오 2세는 더 이상 교황이 로마 귀족들의 권세에 휘둘리지 않아도 되었다. 이는 교황권이 신성 로마 제국동로마 제국 등 두 제국으로부터 독립적인 위치를 점하게 되는 계기가 되었다.[17]

5. 밀라노의 종속

교황 니콜라오 2세는 밀라노에서 파타레노와 대주교 및 성직자 간의 갈등을 중재하기 위해 베드로 다미아노와 루카의 안셀모를 교황 사절로 파견했다. 파멸적인 교회 갈등에 직면한 비도 대주교는 교황 사절단의 조건에 굴복하여 밀라노를 로마에 종속시켰다. 1059년 4월 라테라노 궁전에서 소집된 교회 회의에 비도를 포함한 밀라노 주교들을 강제 참석시켜 이러한 관계를 공표했다.[19][20][21]

5. 1. 파타리노 운동

밀라노에서는 파타리노 운동이라 불리는 민중 종교 개혁 운동이 벌어졌다. 파타리노 운동은 타락한 대주교와 성직자들을 비판하고 성직자들이 첩을 두거나 결혼하는 것을 허용했던 당시의 교회 제도에 반대하여 1058년경 기술자, 상인, 농민들과 같은 평신도들이 밀라노의 파타리노에서 일으킨 종교개혁 운동이다.[19] 이들은 평신도와 성직자에 의해서 선출되고 교황에게 인준되는 방식 이외의 주교 임명에 대해서도 반대하였으며 매우 과격하고 혁명적인 요소를 포함하고 있었다. 교황은 이들을 지지하고 부추겨서 황제가 임명한 주교에 대해 반란을 일으키게 했다.[20]

교황은 베드로 다미아노와 루카의 안셀모를 교황 사절로 밀라노에 파견하였다.[21] 걷잡을 수 없을 정도로 운동이 확산되자, 당시 밀라노 대교구장이었던 위도 대주교는 교황 사절들이 제시한, 앞으로 밀라노 대교구는 로마 교구에 예속된다는 내용이 포함된 조건에 따를 수밖에 없었다. 로마와 밀라노 간의 새로운 관계는 1059년 4월 위도 대주교를 포함한 밀라노 대교구 소속 주교들이 라테라노 궁전으로 소환되어 의도치 않게 교회 회의에 참석함으로써 세간에 널리 알려지게 되었다.

5. 2. 교황 사절 파견

베드로 다미아노와 루카의 안셀모는 교황 사절로서 밀라노에 파견되었다.[21] 당시 밀라노에서는 파타리노 운동이라는 민중 종교 개혁 운동이 일어나고 있었다. 이 운동은 타락한 대주교와 성직자들을 비판하고, 성직자들의 혼인을 허용하는 제도에 반대하는 운동이었다.[19]

운동이 걷잡을 수 없이 확산되자, 밀라노 대교구장 비도는 교황 사절단에게 굴복하여 밀라노를 로마에 종속시켰다. 1059년 4월, 비도를 포함한 밀라노 대교구 소속 주교들은 라테라노 궁전에서 열린 교회 회의에 강제적으로 참석해야 했다. 이를 통해 로마와 밀라노 간의 새로운 관계가 널리 알려지게 되었다.

5. 3. 라테라노 공의회

1059년 4월, 라테라노 궁전에서 열린 공의회에 밀라노 대교구비도를 포함한 주교들을 소환하여 로마 교황청의 우위를 확립하였다.[20] 이는 밀라노에서 벌어진 파타리노 운동을 중재하기 위해 페트루스 다미아니와 루카의 안셀무스를 파견한 결과였다. 밀라노의 위도 대주교는 교황 특사 앞에서 복종하였고, 1059년 부활절에 라테라노 궁전에서 개최한 공의회에 위도 등 밀라노인 주교들을 강제 참석시킴으로써, 로마의 밀라노에 대한 우위를 확립하고 널리 알렸다.[19]

이 공의회에서는 성직매매와 성직자들의 혼인을 금지하고, 주교좌 성당 소속 사제들의 공동 생활을 복구하며, 교회 재산 관리를 쇄신하여 남용과 부당한 양도를 금지하는 등 사제들의 규율을 강화하여 힐데브란트(훗날 교황 그레고리오 7세)가 주장한 개혁을 이어갔다. 또한 혼인법을 개정하여 혼인 유효와 무효, 친족 혼인 조당 등을 결정했으며, 훗날 교황직의 역사에 신기원을 여는 차기 교황 선거에 대한 법령이 통과되었다.[21]

6. 신성 로마 제국과의 갈등

교황청의 급격한 권력 확대를 추진한 니콜라오 2세는 당연한 결과로 신성 로마 제국과의 대립을 피할 수 없었다. 이탈리아 지배권을 주장하는 황제 하인리히 4세와 격렬하게 충돌했지만, 그 다툼의 와중에 니콜라오 2세는 1061년 6월, 중병에 걸려 죽음을 직감했다. 그리하여 그는 시칠리아 왕국과 노르만인의 지지하에 알렉산데르 2세를 후계자로 지명하고 7월 27일에 사망했다. 그러나 하인리히 4세의 어머니이자 섭정인 아그네스 폰 푸아투는 대립 교황 호노리우스 2세를 옹립하여 교황 자리는 1064년까지 다시 분열되었다. 신성 로마 제국과 교황청의 대립은 그 후에도 이어졌으며, 니콜라오 2세의 측근이었던 힐데브란트가 그레고리오 7세로서 알렉산데르 2세의 뒤를 이으면서 양자는 결정적인 정면 충돌을 맞이하게 된다.

참조

[1] 서적 Vicars of Christ: A History of the Popes Citadel Press 2003
[2] 서적 Histoire des communes savoyardes Éditions Horvath
[3] 서적 Die Besetzung der Bistümer Reichsitaliens unter den sächsischen und salischen Kaisern: mit den Listen der Bischöfe, 951-1122 B.G. Teubner 1907
[4] 논문 Nicholas II, Pope http://dx.doi.org/10[...] Religion Past and Present 2013
[5] 웹사이트 Pope Nicholas II." The Catholic Encyclopedia http://www.newadvent[...] Robert Appleton Company 1911-12-24
[6] 방송 The Normans BBC-TV
[7] 서적 Vicars of Christ: A History of the Popes Citadel Press 2003
[8] 기타
[9] 서적 교황연대기 바다출판 2014-08-05
[10] 서적 옥스퍼드 교황사전 분도출판사 2014-01
[11] 서적 교황연대기 바다출판 2014-08-05
[12] 서적 옥스퍼드 교황사전 분도출판사 2014-01
[13] 서적 교황연대기 바다출판 2014-08-05
[14] 서적 중세 유럽의 정치사상 혜안 2016-01-25
[15] 서적 교황연대기 바다출판 2014-08-05
[16] 서적 서양 중세사 집문당 1989-05-20
[17] 방송 The Normans BBCTV
[18] 서적 중세 유럽의 정치사상 혜안 2016-01-25
[19] 서적 중세의 빛과 그림자 까치글방 2000-04-20
[20] 서적 중세 유럽의 정치사상 혜안 2016-01-25
[21] 서적 옥스퍼드 교황사전 분도출판사 2014-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