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교황 비오 2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교황 비오 2세는 1405년 이탈리아에서 태어난 인문주의자이자 외교관으로, 1458년부터 1464년까지 로마 가톨릭교회 교황으로 재임했다. 그는 바젤 공의회에 참여하여 교회 정치에 입문했으며, 이후 외교관으로 활동하며 신성 로마 제국 황제 프리드리히 3세의 궁정에서 계관 시인으로 임명되기도 했다. 교황으로 선출된 후에는 오스만 제국에 대항하는 십자군을 추진했으나, 여러 요인으로 인해 실패했다. 또한, 고향 코르시냐노를 피엔차로 개명하고 도시 계획을 시행하는 등 다양한 업적을 남겼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시에나도 출신 - 안젤로 폴리치아노
    안젤로 폴리치아노는 이탈리아 르네상스 시대의 고전학자이자 시인으로, 로렌초 데 메디치의 후원을 받았으며 고전 문헌 연구에 문헌학적 방법을 적용하여 학계에 영향을 미쳤고, 다양한 라틴어 및 이탈리아어 작품을 남겼다.
  • 시에나도 출신 - 교황 요한 1세
    교황 요한 1세는 523년부터 526년까지 재임한 53대 교황으로, 동고트족 아리우스파 왕 테오도리크 대왕에 의해 동로마 제국에 파견되어 아리우스파 관련 임무를 수행 후 투옥되어 사망했으며, 라벤나와 토스카나에서 공경받고, 축일은 5월 18일이다.
  • 피콜로미니가 - 교황 비오 3세
    교황 비오 3세는 1503년 짧게 재임한 교황으로, 비오 2세의 조카였으며 알렉산데르 6세의 후임으로 선출되었지만 건강 악화로 26일 만에 사망하여 교회 개혁에 큰 영향을 미치지 못했고, 그의 선출 과정은 교황청 내 파벌 간 복잡한 역학 관계를 보여준다.
  • 피콜로미니가 - 말피의 공작부인
    말피의 공작부인은 존 웹스터가 1612-1614년경에 쓴 자코비안 시대 비극 희곡으로, 과부인 공작부인이 오빠들의 반대 속에 궁궐 집사와 비밀 결혼하면서 벌어지는 비극적인 사건과 권력 남용, 여성의 지위 등을 다룬다.
  • 1405년 출생 - 콘스탄티노스 11세 팔레올로고스
    콘스탄티노스 11세 팔레올로고스는 1405년에 태어나 1449년 황제가 되었으며, 오스만 제국의 위협 속에서 동서 교회의 통합을 시도했으나 실패하고 1453년 콘스탄티노폴리스 함락과 함께 최후를 맞이하며 동로마 제국의 종말을 가져왔다.
  • 1405년 출생 - 우고 데스테
    우고 데스테는 페라라 후작의 사생아로 태어나 후계자로 여겨졌으나 새어머니와의 부적절한 관계가 발각되어 처형당했으며, 그의 비극적인 이야기는 여러 예술 작품의 소재가 되었다.
교황 비오 2세
기본 정보
이름교황 비오 2세
라틴어 이름Pius PP. II
이탈리아어 이름Pio II
본명에네아 실비오 바르톨로메오 피콜로미니
라틴어 본명Aeneas Silvius Bartholomeus
이탈리아어 본명Enea Silvio Piccolomini
비오 2세의 초상
"판 헨트와 베루게테의 '비오 2세의 초상' 세부 묘사 (1472-76년경, 우르비노 공작 궁전)"
직책
직함로마 주교
교회가톨릭교회
임기 시작1458년 8월 19일
임기 종료1464년 8월 14일
선임자교황 갈리스토 3세
후임자바오로 2세
서품 및 서임
사제 서품1447년 3월 4일
주교 서임1447년 8월 15일
주교 서임자후안 카르바할
추기경 서임1456년 12월 17일
추기경 서임자교황 갈리스토 3세
개인 정보
출생일1405년 10월 18일
출생지시에나 공화국 코르시냐노
사망일1464년 8월 14일
사망 장소교황령 마르케 주 안코나
기타비오
문장
교황 피콜로미니 문장
문장

2. 교황 선출 이전

에네아 실비오 피콜로미니는 1405년 이탈리아 코르시냐노(현재의 피엔차)에서 몰락한 귀족 가문의 자제로 태어났다. 그는 시에나 대학교와 피렌체 대학교에서 인문학과 법학을 공부했다.

피콜로미니는 교사로 일하다 페르모의 교구장 도메니코 카프라니카 주교의 비서로 발탁되어 바젤 공의회에 참석했다. 이후 니콜로 알베르가티 추기경의 비밀 임무를 받고 스코틀랜드와 잉글랜드를 방문하기도 했다. 그는 바젤 공의회에서 교황과 대립하는 공의회파에 섰으며, 대립교황 펠릭스 5세를 지지했다.

이후 신성 로마 제국 황제 프리드리히 3세의 궁정에 들어가 계관 시인으로 임명되었고, 황제의 외교관으로서 로마 교황청과의 관계 개선에 힘썼다. 1445년 황제의 명을 받고 로마로 파견되어 교황 에우제니오 4세와 독일 선제후들 사이의 갈등을 중재했다.

1447년 교황 니콜라오 5세에 의해 트리에스테 주교로 임명되었으며, 이후 시에나 주교, 1456년에는 추기경에 서임되었다. 바르미아 주교를 겸직하기도 하였다. 그는 외교관으로서 1450년에는 포르투갈, 1451년에는 보헤미아에 파견되기도 했다.

2. 1. 초기 생애와 교육

에네아 실비오 피콜로미니는 1405년 10월 18일 코르시냐노에서 태어났다. 그의 아버지는 군인이었던 실비오 피콜로미니였고, 어머니는 비토리아 포르테구에리였다. 피콜로미니 가문은 슬하에 총 18명의 자녀를 두었으나, 대부분 어린 나이에 사망하였다.[105] 18세가 된 에네아는 시에나 대학교에서 인문학과 법학을 공부하기 시작했으며,[3] 피렌체 대학교에서는 프란체스코 필렐포 등 저명한 학자들로부터 가르침을 받았다.[7]

이후 시에나에서 교사 생활을 하다가, 페르모의 교구장이었던 도메니코 카프라니카 주교의 비서로 채용되어 바젤 공의회에서 그를 보좌하였다. 카프라니카 주교는 교황 에우제니오 4세에 대한 항의로 추기경 서임을 거부당하기도 하였다. 에네아는 보수가 적다는 이유로 카프라니카와 결별하고 다른 주인들을 찾아 나섰다.

1435년, 에네아는 니콜로 알베르가티 추기경의 비밀 임무를 받고 스코틀랜드를 방문했다. 그는 스코틀랜드와 잉글랜드에서 여러 위험한 일을 겪은 뒤 보고서를 남겼다. 스코틀랜드 여정 중에는 다리 통증으로 고생하기도 했다.[106] 스코틀랜드에 머무는 동안 한 아이의 아버지가 되었지만, 아이는 얼마 지나지 않아 사망하였다.[105]

2. 2. 바젤 공의회와 초기 경력

에네아 피콜로미니는 시에나 대학교에서 공부를 마친 후, 페르모의 교구장 도메니코 카프라니카 주교의 비서로 채용되어 바젤 공의회에 참석했다.[8] 카프라니카 주교는 교황 마르티노 5세에 의해 추기경으로 서임되었으나, 새로 선출된 교황 에우제니오 4세가 이를 거부하자 항의의 표시로 추기경 서임을 거부했다. 에네아는 카프라니카를 따라 제노바에서 배를 타고 험난한 항해를 거쳐 바젤에 도착했으나, 적은 보수 때문에 결별하고 다른 주군들을 섬겼다.[8]

1435년, 에네아는 에우제니오 4세의 공의회 특사인 니콜로 알베르가티 추기경의 비밀 임무를 받고 스코틀랜드로 파견되었다.[9] 그는 스코틀랜드뿐만 아니라 잉글랜드도 방문하여 많은 위험과 역경을 겪었고, 이에 대한 기록을 남겼다. 스코틀랜드로 가는 여정은 매우 험난하여, 에네아는 가장 가까운 성모 순례지까지 맨발로 걸어가겠다고 맹세했을 정도였다. 그는 뉴캐슬에 도착하고 나서야 "문명화된 세계"로 돌아왔다고 느꼈으며, 스코틀랜드와 잉글랜드 북쪽 지방은 "야생적이고 황량하며 겨울에는 해가 비치지 않는 곳"이라고 묘사했다.[10]

바젤로 돌아온 에네아는 교황과 대립하는 공의회를 적극적으로 지지했다.[13] 그는 여전히 평신도였음에도 공의회의 여러 활동에 참여했다. 그는 대립교황 펠릭스 5세 (사보이의 아메데우스 공작)를 지지하고 그의 대관식에도 참석했다.[15] 1440년에는 바젤 공의회의 권위를 옹호하는 ''일반 공의회의 권위와 바젤 공의회 행적에 관한 대화집(Libellus dialogorum de generalis concilii auctoritate et gestis Basileensium)''을 저술하기도 했다.[16]

이후 에네아는 스트라스부르로 파견되었고, 그곳에서 브르타뉴 여성과의 사이에서 아들을 얻었으나, 아이는 14개월 만에 사망했다.[11][17] 1442년에는 프랑크푸르트 제국 회의에 사절로 파견되었으며, 프리드리히 3세로부터 계관 시인 칭호를 받고 그의 비서로 임명되었다.[18] 1443년 1월, 에네아스는 황제 재무처의 비서이자 원장으로 임명되어 황제의 재무관인 카스파르 슐릭의 후원을 받았다.[19]

1445년, 에네아는 교황에게 새 공의회 소집을 설득한다는 명목으로 로마에 파견되었으나, 실제로는 교황을 돕겠다는 약속을 하고 교회의 징계를 면제받았다.[22] 그는 뛰어난 외교적 수완을 발휘하여 로마 교황청과 독일 제후들 사이의 갈등을 원만하게 해결했다.[23] 1447년에는 죽음을 앞둔 교황 에우제니오 4세가 독일 제후들의 화해 제안을 받아들이도록 설득하여, 바젤 공의회와 대립교황이 지지 기반을 잃게 만드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24]

2. 3. 신성 로마 제국 궁정에서의 활동

에네아 피콜로미니는 1442년 프리드리히 3세 황제의 궁정에 들어가 계관 시인으로 임명되었으며,[18] 황제의 고문관인 카스퍼 슐리크의 후원을 받았다.[19]

그는 황제의 외교관으로서 로마 교황청과의 관계 개선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1445년 황제의 명을 받고 로마로 파견되어 교황 에우제니오 4세에게 사면을 받고 독일로 돌아와,[22] 로마와 독일 선제후들 사이의 갈등을 중재했다.[23] 1447년, 에우제니오 4세가 죽기 직전에 독일 제후들의 제안을 받아들여 양측의 화해가 이루어지는데 큰 공헌을 하여, 그 결과 바젤 공의회와 대립 교황은 지지 기반을 잃게 되었다.[24]

이후 에네아는 교황 니콜라오 5세에 의해 1447년에 트리에스테의 주교로 임명되었고,[29] 나중에는 시에나의 주교가 되었다.[31]

2. 4. 외교 활동과 주교 서임

1450년 에네아는 프리드리히 3세 황제와 포르투갈의 엘레오노라 공주 사이의 혼담을 성사시키기 위해 신성 로마 제국의 대사 자격으로 포르투갈에 파견되었다.[31] 1451년에는 후스파의 지도자 이르지 스 포데브라트와 교섭하기 위해 보헤미아로 파견되었다.[32] 1452년에는 프리드리히 3세와 함께 로마를 방문하여, 교황이 집전하는 프리드리히 3세와 엘레오노라 공주의 혼인 미사와 황제 대관식에 참석하였다. 이 자리에서 에네아는 황제의 이름으로 발언하며 공의회 이론을 부인하고 교황과 추기경이 최고의 회의라고 주장했다.[32]

1455년 8월, 에네아는 신성 로마 제국의 대사 자격으로 다시 로마를 방문하여 새 교황 갈리스토 3세에게 독일의 순명을 약속했다. 이 의식은 8월 12일 공개 회의에서 열렸다.[34] 그는 프리드리히 3세와 라슬로 5세로부터 추기경으로 추천받았으나, 교황이 자신의 조카들을 먼저 추기경에 서임하기로 결정하면서 지연되었다.[35]

마침내 1456년 12월 17일, 에네아는 추기경에 임명되었고, 다음날 아벤티노 언덕의 산타 사비나 명목 교회를 배정받았다.[36] 그는 시에나 교구를 유지하도록 허락받았으며, 1457년 8월 12일 바르미아 주교를 겸직했다.[37]

3. 교황 선출

1458년 교황 갈리스토 3세가 선종한 후, 콘클라베가 소집되어 새 교황을 선출하게 되었다. 프랑스 출신의 기욤 데스투트빌 추기경이 유력한 후보였으나, 에네아 실비오 피콜로미니(훗날의 교황 비오 2세)는 이탈리아 추기경들의 지지를 얻어 2차 투표에서 만장일치로 교황으로 선출되었다. 그의 교황 대관식은 1458년 9월 3일에 성대하게 거행되었다.[44]

영국의 작가이자 저널리스트인 마이클 드 라 베도예르는 새 교황이 선출되면서 바티칸에 진보적이고 이교적인 시대가 도래할 것으로 예상했지만, 교황 비오 2세는 교회의 쇄신을 단행하고 십자군 원정에 큰 열의를 보였다고 평가했다.[107]

4. 교황으로서의 정치 활동

비오 2세는 교황으로 재위하는 동안 오스만 제국에 대항하는 십자군 원정을 가장 중요한 과제로 삼았다. 이를 위해 나폴리 왕국의 왕위를 주장하던 아라곤 왕국의 페르난도 2세와 동맹을 맺었다.[108] 또한 오스만 제국의 위협에 맞서기 위해 만토바에서 기독교 국가 군주들의 대표자 회의를 소집할 것을 제안하였다.

1459년 9월 26일, 비오 2세는 오스만 제국에 대항하는 새로운 십자군 원정을 요청하였고, 1460년 1월 14일에는 3년간의 성전을 공식적으로 선포하였다. 그러나 십자군 원정 계획은 큰 호응을 얻지 못했다. 비오 2세는 오스만 제국의 술탄 메흐메트 2세에게 기독교로 개종할 것을 권유하는 서한을 보내기도 했지만, 답신을 받지 못했다.[77]

한편, 비오 2세는 나폴리 왕국 왕위 계승 분쟁에서 아라곤 왕국의 페르난도 2세를 지지하였고,[48] 리미니의 영주 시지스몬도 판돌포 말라테스타와 갈등을 겪었다. 폴란드와 튜튼 기사단 사이의 13년 전쟁 중재에 실패하여 양측 모두를 단죄하기도 했다. 브레사노네의 주교 니콜라우스 쿠자누스의 체포 문제로 오스트리아 대공 지기스문트와도 대립하였다.[72]

교회 내부적으로는 1461년 시에나의 가타리나를 성녀시성하였고,[73] 프랑스루이 11세에게 부르주 국본조칙을 철폐하도록 설득하였으나, 루이 11세는 곧 이를 다시 도입하였다. 1462년에는 신성 로마 제국 황제 프리드리히 3세의 류블랴나 교구 설정을 승인하였다.

4. 1. 만토바 공의회

1459년, 요하네스 베사리온 추기경의 노력으로 유럽 각국에 호소하여 만토바 공의회를 소집하고, 오스만 제국에 대한 십자군 원정을 주장했다.[104] 신성 로마 제국 황제 프리드리히 3세를 비롯한 여러 군주들에게 강경한 태도로 참가를 종용했으나, 이에 호응하는 군주나 국가는 거의 없었다.

비오 2세는 재위기간 동안 오스만 제국에 대항하여 십자군을 일으키는 일을 가장 열성적으로 추진하였다. 이를 위해 나폴리 왕국의 왕위를 주장하던 아라곤 왕국의 페르난도 2세와 동맹을 맺고, 오스만 제국의 위협에 대한 공동 대책을 논의하기 위해 만토바에서 모든 기독교 국가 군주들의 대표자 회의를 제안하였다.

1459년 9월 26일, 비오 2세는 오스만 제국군과 싸울 새로운 십자군 원정 소집을 요청하였으며, 1460년 1월 14일에는 3년 동안 성전을 지속하기로 공식적으로 선언하였다. 그러나 1459년에 소집된 만토바 공의회는 십자군 원정 계획이 호응을 얻지 못하면서, 기독교 세계의 무력함이 전적으로 교황의 잘못만은 아니라는 것이 드러났다.

비오 2세는 다른 기독교 국가 군주들과는 달리 오스만 제국에 대항하기 시작한 가시 공작 블라드에 대해서는 깊은 존경심을 갖게 되었다.[108] 1463년, 십자군을 권고하는 교서를 다시 발표하고, 1464년에는 십자군의 출발지로 결정된 안코나로 갔으나, 같은 해 8월에 서거했다. 원정은 즉시 중단되었다.

4. 2. 십자군 원정 추진과 좌절

비오 2세가 재위 기간 동안 가장 열성적으로 추진한 일은 오스만 제국에 대항하여 십자군을 일으키는 것이었다.[108] 그는 1459년 만토바 교회 회의에서 오스만 제국에 대한 십자군 원정을 주장했다. 1459년 9월 26일 오스만 제국군과 싸울 새로운 십자군 원정 소집을 요청하였으며, 1460년 1월 14일 3년 동안 성전을 지속하기로 공식적으로 선언하였다. 그러나 신성 로마 제국 황제 프리드리히 3세를 비롯하여 이에 호응하는 군주나 국가는 거의 존재하지 않았다.

만토바 공의회는 당초 목적이었던 십자군 원정 계획이 호응을 얻는데 실패하면서, 최소한 기독교 세계의 무력함이 전적으로 교황의 잘못만은 아니라는 것이 드러났다. 1463년 11월, 교황 비오 2세는 오스만 제국에 대항하는 십자군을 조직하려 했으며, 모든 기독교 귀족에게 참여를 요청했고, 베네치아는 즉각 호응했다. 알바니아 저항 세력의 지도자였던 스칸데르베그 역시 1463년 11월 27일 오스만 제국에 선전포고를 하고 오흐리드 인근에서 그들의 군대를 공격했다. 비오 2세가 계획한 십자군은 타란토에 2만 명의 병사를 집결시키고, 스칸데르베그가 2만 명을 추가로 모을 계획이었다. 이들은 스칸데르베그의 지휘 하에 두라초에서 집결하여 오스만 제국에 맞서는 중앙 전선을 형성할 예정이었다.

교황은 오스만 제국의 통치자 메흐메트 2세에게 기독교로 개종할 것을 촉구하는 서한을 보냈다.[77] 교황은 메흐메트가 개종할 경우 그를 "그리스 및 동방 황제"로 인정하겠다고 제안했다.[78] 그러나 이 서한이 오스만 제국에 보내졌다고 믿는 역사학자들도 있다.[79] 예상대로, 만약 전달되었다면 이 초대는 성공하지 못했다.[80]

비오 2세는 황제와 헝가리 왕의 화해를 이끌어냈으며,[82] 1459년경 교황령의 톨파(Tolfa)에서 명반(alum) 광산이 발견되어 큰 격려와 재정적 이점을 얻었다.[83] 그러나 프랑스는 소원해졌고, 부르고뉴 공작은 긍정적인 약속을 어겼으며, 밀라노(Milan)는 제노바(Genoa)를 점령하려 애썼다. 피렌체는 교황에게 터키와 베네치아가 서로 지치도록 내버려두라고 냉소적으로 조언했다.

1463년 십자군을 권고하는 교서를 다시 발표했다. 비오 2세는 자신의 종말이 다가오고 있음을 알고 있었고, 그의 질병은 아마도 1464년 6월 18일, 십자군을 직접 지휘하기 위해 십자군 깃발을 들고 안코나(Ancona)로 떠나는 열정적인 조급함을 자극했을 것이다.[84] 열병에 시달렸음에도 불구하고 교황 비오 2세는 1464년 6월 18일 로마를 떠나 안코나에 도착했으며, 7월 18일에 도착했다.[92] 그는 십자군 군대의 사기를 높이고자 했다. 그러나 수송 부족과 역병 발생으로 인해 안코나에서 군대가 흩어졌고, 마침내 도제 크리스토포로 모로가 이끄는 베네치아 함대가 도착했을 때, 죽어가는 교황은 창문 밖으로 바라볼 수밖에 없었다. 그는 이틀 뒤인 1464년 8월 14일에 사망했다.

안코나의 추기경들은 교황의 갈레라선을 다음 교황에게 넘겨주겠다는 조건으로 베네치아의 도제에게 넘기기로 결정했다. 또한 비오 2세가 십자군을 위해 가지고 있던 48000두카트를 헝가리의 마차시에게 보냈다. 비오 2세의 십자군은 종말을 맞이했다.[93]

4. 3. 이탈리아 내 분쟁과 중재

비오 2세는 나폴리 왕국의 왕위를 두고 아라곤 왕가와 앙주 왕가가 다투는 분쟁에서 아라곤의 페르난도 2세와 동맹을 맺었으며, 이 전쟁은 페르난도 2세의 승리로 끝났다.[108][71]

비오 2세는 리미니의 영주이자 콘도티에로인 시지스몬도 판돌포 말라테스타와의 전쟁으로 재위 기간 대부분을 보냈다.[108]

폴란드와 튜튼 기사단 간의 13년 전쟁(1454 - 1466)이 발발하자, 비오 2세는 양측의 화해를 위해 중재에 나섰으나 실패했다. 결국 그는 폴란드와 프로이센 양국을 모두 단죄하였다.[108]

또한, 비오 2세는 브레사노네의 주교 니콜라우스 쿠자누스의 파문과 체포 문제와 관련하여 보헤미아 국왕 게오르그 폰 포디브라트와 오스트리아 대공 지기스문트 사이의 갈등에 적극적으로 관여하였다.[108] 지기스문트는 니콜라우스 쿠자누스를 체포한 혐의로 파문당했다.[72]

4. 4. 교회 정치와 외교

비오 2세는 재위기간 동안 오스만 제국에 대항하여 십자군을 일으키는 데 힘썼다. 1459년 9월 26일 오스만 제국과의 성전을 위한 십자군 원정을 요청했고, 1460년 1월 14일에는 3년 동안 성전을 지속할 것을 공식 선언했다. 그러나 1459년 소집된 만토바 공의회는 십자군 원정 계획이 호응을 얻지 못했다. 다만, 가시 공작 블라드는 오스만 제국에 대항하는 모습을 보여 비오 2세의 존경을 받았다.[108]

1461년 7월, 비오 2세는 시에나의 가타리나를 성녀시성하였다. 같은 해 10월에는 프랑스루이 11세를 설득하여 부르주 국본조칙을 철폐하도록 하였다. 그러나 루이 11세는 교황이 나폴리 왕위에 대한 자신의 권리를 지지해주지 않자 국본조칙을 다시 도입했다. 1462년 9월, 비오 2세는 신성 로마 제국 황제 프리드리히 3세가 류블랴나 교구를 설정하는 것을 승인했다.

비오 2세는 오스만 제국의 술탄 메흐메트 2세에게 기독교로 개종할 것을 권유하는 서신을 보냈으나, 답신을 받지 못해 무력에 의지하게 되었다.

5. 노예 제도에 대한 입장

1462년 비오 2세는 카나리아 제도 통치자에게 한 연설에서 근래에 세례받고 그리스도인이 된 주민들을 노예로 삼는 것은 ‘대죄’라고 비판하였다.[109] 그러면서 지역 주교들에게 이를 위반하는 자가 있으면 단호하게 처벌을 내리라고 지시하였다.[110] 하지만 비오 2세는 단지 포르투갈에 의해 포로로 사로잡혀 노예로 끌려간 이들 중에서 근래에 세례를 받은 소수의 인원에 한정해서 비난한 것이지, 노예무역 자체에 대해 비난한 것은 아니었다.[111] 교황 우르바노 8세1639년 4월 22일자 교서에서 비오 2세의 경고를 개종한 지 얼마 되지 않은 사람들에 대한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112] 영국의 외교 문서에도 비오 2세의 서신은 루베이라 주교에게 보낸 것으로, 개종한 지 얼마 되지 않은 신자들 가운데 노예가 된 이들을 대상으로 한 것이라는 우르바노 8세의 의견이 재확인되었다.[113]

비오 2세는 1462년 10월 7일, 카나리아 제도의 루비코 주교에게 보낸 서한에서, 새로 세례를 받은 기독교인들을 노예로 만드는 행위를 "엄청난 범죄"로 규정하고, 주교들에게 위반자들에게 교회법적 처벌을 가하도록 지시했다.[85] 비오는 노예 무역이라는 개념 자체를 비난한 것이 아니라, 단지 기독교인 노예화만을 비난했는데, 당시 포르투갈로 끌려간 사람들 중 기독교인은 극소수에 불과했다.[86]

6. 도시 계획과 건축

교황 비오 2세는 현대 유럽에서 아마도 최초의 도시 계획 사업일지도 모르는 특이한 도시 계획을 시작했다.[87] 그는 고향인 코르시냐노(시에나도)를 개조하고, 자신의 이름을 따서 피엔차로 개명했다.[88] 도시를 장식하기 위해 당시 최고의 양식으로 대성당과 궁전이 건설되었으며,[89] 이들은 오늘날까지 남아 있다.

1459년, 피렌체의 건축가 베르나르도 로셀리노에게 설계를 의뢰하여, 시에나 공화국에 있는 고향 마을(코르시냐노, 후에 교황의 이름을 따서 "피콜로미니"로 개칭)을 이상적인 도시로 만들고자 하였다. 이에 따라 피오 2세 광장, 피콜로미니 궁전(1469년 착공) 등이 건설되었고, 르네상스 건축이 늘어선 도시가 탄생했다(토스카나의 보석이라고도 불리는 작은 도시로, 현재는 세계유산으로 등록된 피엔차 역사 지구).

7. 평가와 영향

비오 2세는 르네상스 시대를 대표하는 인문주의자이자 학자, 작가, 외교관으로 평가받는다. 그는 자서전 《전기》[105]를 비롯하여 소설 《두 연인의 이야기》, 희극 《크리시스》 등 다양한 문학 작품을 남겼다.[114] 《두 연인의 이야기》는 교황이 쓴 유일한 성인 소설이라는 점에서 서양문학계에서 널리 읽히고 있다.[105] 비오 2세가 쓴 서신들은 차분한 어조를 유지하며, 당시의 정치, 사회, 문화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사료로 활용된다.[117][118] 특히 보헤미아의 왕과 프리드리히 3세 황제에게 보낸 서신은 자서전적 성격을 띠고 있어 더욱 가치가 높다.

비오 2세는 라틴어 실수는 잦았지만 글의 내용이 우수하여 저명한 학자로 평가받았다. 그는 유럽과 아시아에 대한 전기체적 논문을 작성하고, 청년기와 중년기에는 윤리적 문제와 정치 및 신학적 논쟁에 대한 논문을 발표했다. 교황이 된 후에는 이슬람교를 비판하는 글을 쓰기도 했다.[101][102]

크리스토파노 델 알티시모가 그린 교황 비오 2세


비오 2세는 근대적 도시 계획의 선구자로도 평가받는다. 그는 자신의 고향인 코르시냐노를 재개발하고 자신의 이름을 딴 피엔차로 개명했다.[88] 피엔차에는 당시 최고의 양식으로 지어진 주교좌 성당과 궁전 등이 남아있으며,[89] 1996년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지정되었다. 또한 1462년 4월 28일에는 교황 칙서 ''우리 도시 쿰 알람''을 발표하여 로마 또는 캄파냐의 고대 유적 훼손을 금지했다.[90]

참조

[1] 서적 Historia rerum Friderici III., imperatroris https://books.google[...] Spoor 1685
[2] 서적 Commentarii rerum memorabilium, quae temporibus suis contigerunt https://books.google[...] Aubry 1614
[3] 문서 audire grammaticos coepit, deinde poetas, & oratores auide sectatus, postremo ad ius ciuile se contulit: cuius professores cum aliquot annos audiuisset.
[4] 서적 Aeneas Sylvius Piccolomineus, qui postea Pius II. P. M., De viris illustribus https://books.google[...]
[5] 서적 Privatbriefe
[6] 서적
[7] 서적 Handbuch Gelehrtenkultur der Frühen Neuzeit https://books.google[...] Walter de Gruyter 2004
[8] 문서 Mémoires
[9] 문서 Mémoires
[10] 서적 A History of the Papacy during the period of the Reformation https://books.google[...] 1882-03-21
[11] 백과사전 Pope Pius II
[12] 서적 Illegitimacy in Medieval Scotland, 1100-1500 https://books.google[...] Boydell & Brewer 2021
[13] 서적 Handbuch Gelehrtenkultur der Frühen Neuzeit https://books.google[...]
[14] 서적 A History of the Papacy during the period of the Reformation https://books.google[...] 1882-03-21
[15] 서적 A History of the Papacy during the period of the Reformation https://books.google[...] 1882-03-21
[16] 서적 Analecta monumentorum omnis aevi Vindobonensia https://books.google[...] Ioannis T. Trattner 1762
[17] 서적 Opera quae extant omnia https://books.google[...]
[18] 서적 The Life of Pope Pius II: As Illustrated by Pinturicchio's Frescoes in the Piccolomini Library at Siena https://books.google[...] Arundel Society 1881
[19] 서적
[20] 서적 A History of the Papacy during the period of the Reformation https://books.google[...] 1882-03-21
[21] 서적 History of the City of Rome in the Middle Ages https://books.google[...]
[22] 서적 A History of the Papacy during the period of the Reformation https://books.google[...] 1882-03-21
[23] 서적
[24] 서적 The History of the Popes: From the Close of the Middle Ages https://books.google[...] K. Paul, Trench, Trübner & Company 1891
[25] 서적
[26] 서적 History of the Popes: From the Close of the Middle Ages https://books.google[...] Herder 1902
[27] 서적 Oxford Dictionary of Popes
[28] 서적
[29] 서적 Hierarchia catholica https://books.google[...] Libreria Regensbergiana 1914
[30] 서적 History of the City of Rome in the Middle Ages https://books.google[...]
[31] 서적 Hierarchia catholica https://books.google[...] 2024-03-21
[32] 서적 History of the Popes: From the Close of the Middle Ages https://books.google[...]
[33] 서적 History of the Popes: From the Close of the Middle Ages https://books.google[...]
[34] 서적 The Commentaries of Pius II https://books.google[...]
[35] 서적
[36] 서적 Hierarchia catholica https://books.google[...] 2024-03-21
[37] 서적 Hierarchia catholica https://books.google[...] 2024-03-21
[38] 서적 Eubel II
[39] 서적 Pastor
[40] 서적 Commentarii rerum memorabilium https://books.google[...] Aubry 1614
[41] 서적 Pastor III
[42] 서적 Aeneae Silvii Piccolomini Senensis... Opera inedita https://books.google[...] Tipi del Salviucci 1883
[43] 서적 Pastor III
[44] 서적 Inter graecos latinissimus, inter latinos graecissimus: Bessarion zwischen den Kulturen https://books.google[...] De Gruyter
[45] 간행물 Les cardinaux français et le diaire caméral de 1439-1486
[46] 서적 Pastor
[47] 서적 Pastor III
[48] 서적 Pastor https://books.google[...] 1902
[49] 서적 Pastor III https://books.google[...] 1876
[50] 서적 Pastor III
[51] 서적 Pastor
[52] 서적 A History of the Papacy during the period of the Reformation https://books.google[...] 1882-03-21
[53] 서적 A History of the Papacy during the period of the Reformation https://books.google[...] 1882-03-21
[54] 서적 Dracula: Prince of many faces – His life and his times Little Brown 1989
[55] 서적 Eubel II
[56] 서적 Pastor III
[57] 서적 Mémoires d'un Pape de la Renaissance. Les Commentarii de Pie II
[58] 서적 Pastor III
[59] 서적 Pastor
[60] 서적 Pastor
[61] 서적 Commentarii rerum memorabilium https://books.google[...] 1584
[62] 서적 Commentarii https://books.google[...] 1584
[63] 서적 Commentarii rerum memorabilium https://books.google[...] 1584
[64] 서적 Aeneae Silvii Piccolomini Senensis... Opera inedita https://books.google[...]
[65] 서적 Eubel II
[66] 서적 Historical Essays and Reviews https://books.google[...] 1902
[67] 서적 Pastor III
[68] 서적 Pastor III
[69] 서적 Pastor III
[70] 서적 Eubel II
[71] 서적 A History of the Papacy during the period of the Reformation https://books.google[...] 1882-03-21
[72] 서적 Pastor III
[73] 서적 Tomassetti
[74] 서적 Pastor III
[75] 서적 Geschichte der ganzen österreichischen, weltlichen und klösterlichen Klerisey beyderley Geschlechts ... Aus den Sammlungen ... Josephs Wendt von Wendtenthal (etc.): Das Erzherzogthum Oesterreich Ob der Enns https://books.google[...] Ghelen 1786
[76] 서적 Eubel II
[77] 논문 Pius II's letter to Sultan Mehmed II: A Re-examination Routledge 2002
[78] 서적 Pastor III
[79] 웹사이트 İnalcık: Fatih'i Hıristiyan yapmak istedi http://www.ntv.com.t[...] 2009-11-14
[80] 논문 The Prospect of Conversion in Safayid Iran https://books.google[...] Brill 2012
[81] 서적 History of the City of Rome in the Middle Ages https://books.google[...]
[82] 서적 A History of the Papacy during the period of the Reformation https://books.google[...] 1882-03-21
[83] 서적 The Rise and Decline of the Medici Bank, 1397-1494 https://books.google[...] Beard Books 1999
[84] 서적 A History of the Papacy during the period of the Reformation https://books.google[...] 1882-03-21
[85] 서적 Black Africans in Renaissance Europe https://books.google[...] Ludovici Guerin 2005
[86] 서적 Slavery and the Catholic Church Barry Rose Publishers 1975
[87] 서적 Bullarum, diplomatum et privilegiorum sanctorum romanorum pontificum taurinensis https://books.google[...] Seb. Franco et Henrico Dalmazzo editoribus 1860
[88] 서적 Les artes a la cour des Papes pendant le XVe e le XVIe siècle https://books.google[...] Thorin 1878
[89] 서적 Absolute Monarchs Tip. Madonna della Querce 1915
[90] 서적 Les artes a la cour des Papes pendant le XVe e le XVIe siècle https://books.google[...]
[91] 서적 History of the City of Rome in the Middle Ages https://books.google[...]
[92] 서적 Pastor III
[93] 서적 A History of the Papacy during the period of the Reformation https://books.google[...] 1882-03-21
[94] 서적 The Lost Will and Testament of Cardinal Francesco Todeschini Piccolomini (1439-1503) Ludovico Cecchini 1998
[95] 서적 Aeneae Silvii Piccolomini Senensis... Opera inedita https://books.google[...] Tipi del Salviucci 1883
[96] 서적 Historical Essays and Reviews https://books.google[...] 1902
[97] 서적 Absolute Monarchs
[98] 서적 Absolute Monarchs
[99] 서적 Vicars of Christ
[100] 웹사이트 Pij II (1405–1464) – Slovenska biografija https://www.slovensk[...] 2020-04-19
[101] 서적 Absolute Monarchs
[102] 서적 Vicars of Christ
[103] 서적 Historical Essays and Reviews https://books.google[...] 1902
[104] 서적 ヨーロッパとイスラーム世界 ちくま学芸文庫 2020
[105] 서적 Sex Lives of the Popes 1996
[106] 서적 Mémoires
[107] 서적 The Meddlesome Friar and the Wayward Pope
[108] 서적 Dracula: Prince of many faces – His life and his times
[109] 서적 The Historical encyclopedia of world slavery
[110] 서적 Black Africans in Renaissance Europe
[111] 서적 The Slave Trade: The History of the Atlantic Slave Trade 1440–1870 Barry Rose Publishers
[112] 서적 The Catholic Tradition of the Law of Nations
[113] 서적 British and foreign state papers
[114] 서적 Absolute Monarchs
[115] 서적 Absolute Monarchs
[116] 서적 Vicars of Christ
[117] 서적 Absolute Monarchs
[118] 서적 Vicars of Christ
[119] 서적 Absolute Monarch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