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국제방송교류재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국제방송교류재단은 방송의 국제 교류 협력 사업을 통해 한국에 대한 국제 사회의 이해를 증진하고, 방송 영상물의 질적 향상을 위한 사업을 수행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1996년 설립되어 해외 위성 방송 사업, 주한 외국인 대상 방송 사업, 방송 영상물의 국제 경쟁력 제고 지원 사업 등을 주요 사업으로 한다. 산하에 아리랑국제방송과 아리랑 라디오를 운영하며, 아리랑국제방송은 영어, 아랍어 등 다양한 언어로 한국 관련 정보를 제공하고, 아리랑 라디오는 영어 라디오 방송을 제공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03년 설립된 라디오 방송국 - 아리랑 라디오
    아리랑 라디오는 한국국제방송재단에서 운영하는 영어 라디오 방송으로, 2003년 제주도에서 개국하여 다양한 플랫폼을 통해 전 세계에 한국 관련 정보와 문화 콘텐츠를 제공하며, 뉴스, 문화, 음악 프로그램 및 심층 인터뷰를 제공한다.
  • 2003년 설립된 라디오 방송국 - 경인방송
    경인방송은 인천방송으로 개국하여 인천광역시와 경기도 남부를 방송권역으로 하는 민영방송이었으나, 경영난으로 TV 방송을 종료하고 현재는 FM 라디오 방송을 운영하며 OBS경인TV와 콘텐츠 교류를 하고 있다.
  • 1997년 설립된 텔레비전 방송국과 채널 - 전주방송
    전주방송(JTV)은 전라북도 지역을 방송 권역으로 하는 SBS 네트워크 제휴 민영방송으로, TV 방송과 FM 라디오 방송을 운영하며 뉴스, 시사교양, 예능오락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제작·방송한다.
  • 1997년 설립된 텔레비전 방송국과 채널 - 청주방송
    청주방송은 1997년 개국한 충청북도 민영 방송국으로, TV, FM 라디오, 지상파 DMB 방송을 운영하며, SBS와 네트워크 협정을 맺고 자체 제작 프로그램을 편성한다.
  • 공공기관 (문화체육관광부 소관) - 한국문학번역원
    한국문학번역원은 한국 문학의 세계화를 위해 번역 및 출판 지원, 국제 교류, 번역 교육, 정보 서비스 등의 사업을 수행하는 문화체육관광부 산하 기관이다.
  • 공공기관 (문화체육관광부 소관) - 국악방송
    국악방송은 2001년 개국한 국악 전문 방송으로, 국악 FM과 국악 TV를 운영하며 국악 프로그램 제작, 한국 전통 문화 예술 보급, 지역 문화 활성화를 주요 사업으로 추진한다.
국제방송교류재단 - [회사]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한국국제방송교류재단
영문 명칭Korea International Broadcasting Foundation (ARIRANG)
종류케이블 텔레비전 네트워크
국가대한민국
본사 위치서울특별시 마포구 상암동
화질MPEG4 1080i
소유주KEPCO KDN: 21.43%
한국인삼공사: 19.95%
미래에셋생명보험: 14.98%
한국마사회: 9.52%
우리은행: 7.40%
주요 인물우장균 (CEO)
설립일1996년 4월 10일 (케이블)
웹사이트ARIRANG (ko)
연혁
설립1996년 4월 10일
TV 국내방송 개국1997년 2월 3일
TV 해외방송 개국1999년 8월 12일
아리랑 FM 개국2003년 9월 1일
조직
주요 자회사디지털 ARIRANG, ARIRANG 라디오, ARIRANG DMB, ARIRANG 데이터
관련 인물

2. 설립 목적 및 근거

국제방송교류재단은 방송의 국제교류협력 사업을 통해 한국에 대한 국제사회의 올바른 이해와 국제적 우호 친선의 증진을 도모하고, 방송영상물의 질적 향상을 위한 사업을 수행, 지원함으로써 방송·영상·광고 산업의 진흥 및 문화·예술의 선양에 이바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1]

설립 근거는 다음과 같다.


  • 1996년 2월 12일, 공보처에서 해외위성방송 '코리아채널' 추진 (대통령 지시사항)
  • 민법 제32조에 근거, 1996년 4월 10일 공보처장관 승인으로 국제방송교류재단 설립
  • 1998년 10월 22일 문화관광부 장관이 해외홍보방송 운영주체로 지정

3. 주요 사업

국제방송교류재단은 다음과 같은 주요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 해외 위성방송 사업을 통해 국가 이미지를 높이고 국제 사회의 이해를 증진한다.
  • 주한 외국인이 한국을 더 잘 이해하고 내국인이 세계화 의식을 갖도록 돕는 방송 사업을 진행한다.
  • 방송영상물의 국제 경쟁력을 높이기 위한 지원 사업을 펼친다.
  • 해외 매체를 통해 우리 방송물이 방송될 수 있도록 지원한다.
  • 해외 방송사와의 국제 교류 협력 사업을 추진한다.
  • 정부 및 공공기관의 해외 광고 대행 등 광고 사업을 수행한다.

4. 기관 연혁


  • 1996년 4월 10일: 국제방송교류재단 설립[5]
  • 1997년 2월 3일: 아리랑국제방송 국내방송 개국[5]
  • 1998년 10월 22일: 해외홍보방송 운영주체로 지정(문화관광부)[5]
  • 1999년 8월 12일: 아리랑국제방송 해외방송 개국(아시아/태평양 권역)[5]
  • 2000년 1월 10일: 통번역센터 설립[5]
  • 2000년 9월 26일: 아리랑국제방송 해외방송 개국(유럽, 북아프리카, 북남미 권역)[5]
  • 2001년 3월 2일: (주)아리랑국제방송 미디어 설립[5]
  • 2001년 10월 17일: 미국 에코스타 Dish Network과 재전송 계약[5]
  • 2002년 3월 2일: 국내 위성방송(Sky Life)에 채널 공급 개시[5]
  • 2003년 9월 1일: 아리랑 라디오 제주 영어 FM 개국[5]
  • 2004년 8월 1일: 아리랑국제방송 방송권역 전 세계로 확대[5]
  • 2004년 8월 20일: 아리랑국제방송 아랍어 위성방송 개시(아랍 연맹 22개국 및 그 주변국가)[5]
  • 2004년 12월 1일: 프랑스 TPS와 재전송 계약 체결[5]
  • 2005년 6월 27일: CI 변경[5]
  • 2005년 9월 1일: 위성 DMB 방송 사업 개국[5]
  • 2005년 12월 1일: 지상파 DMB 방송 개국[5]
  • 2006년 4월 1일: 서유럽권 대상 아스트라(Astra)위성과 재전송 계약 체결[5]
  • 2008년 3월 3일: 대한민국 방송사 최초 다언어 서비스 실시(7개 언어)[5]
  • 2009년 6월 1일: 미국 디지털 지상파 본방송 개시(LA 지역)[5]
  • 2009년 8월 12일: 미국 디지털 지상파 본방송 개시(뉴욕, 애틀랜타 지역)[5]
  • 2009년 10월 1일: 대한민국 IPTV 방송 서비스 시작(myLGTV, QookTV)[5]
  • 2010년 1월 22일: 대한민국 IPTV 방송 서비스 확대(SK Broad&TV)[5]
  • 2011년 5월 3일: 아리랑국제방송 워싱턴 DC 디지털 지상파 방송 개시[5]
  • 2012년 8월 31일: 위성 DMB 방송 사업 종료[5]
  • 2012년 9월 19일: 아리랑국제방송 1억 수신가구 달성[5]
  • 2015년 7월 14일: UN채널(UN In-House Network) 개시[5]
  • 2016년 9월 27일: 국내 최초 영국 대표 위성방송 플랫폼(SKY, Freesat) HD 방송 진입[5]
  • 2020년 5월: 아리랑 TV는 ''코리아 타임스''와 양해각서를 체결.[5]
  • 2023년 12월 31일: 지상파 DMB 방송 종료[5]
  • 2024년 3월 31일: 미국 디지털 위성라디오 'Sirius-XM' 채널 폐국[5]
  • 2024년 9월 9일: 부산영어방송 BeFM에 공급 및 송출 개시[5]

4. 1. 역대 사장

대수이름재임 기간
1이찬용1996년 ~ 1997년
2황규환1998년 ~ 2001년
3김충일2001년 ~ 2003년
4구삼열2003년 ~ 2006년
5장명호2006년 ~ 2008년
6정국록2008년 ~ 2011년
7손지애2011년 ~ 2014년
8정성근2014년
9방석호2014년 ~ 2016년
10문재완2016년 ~ 2017년
11이승열2018년 ~ 2021년
12주동원2021년 ~ 2023년
13김태정2024년 ~


5. 조직

국제방송교류재단의 조직은 2018년 기준으로 다음과 같다.

조직
본부센터총원
275229



국제방송교류재단 조직도(2018년 기준)

6. 아리랑국제방송

1997년 2월 3일 주한 외국인 대상 대한민국 케이블TV로 Arirang TV가 개국했다. 1999년 8월 12일 아시아 태평양 권역을 대상으로 한국 최초의 해외위성방송을 개국하였다. 2000년 1월 1일부터는 미주, 유럽 및 아프리카를 포함한 전 세계 방송 네트워크를 완성하였다. 현재 현지 외국인 및 교포를 대상으로 한국의 정치, 경제, 사회, 문화 등 다양한 콘텐츠를 제공하며, 전 세계 105개국 약 1억 4000만 시청자들이 시청하고 있다.[1]

아리랑 국제방송(Arirang TV)은 국제방송교류재단이 운영하는 국제 텔레비전 방송국이다. 본사는 대한민국 서울특별시에 있다. 한국의 시사, 문화역사에 관한 영어 정보를 한국 주변 지역에 제공한다. 방송국명인 "아리랑"은 조선의 대표적인 전통 민요아리랑에서 유래했다.[2]

텔레비전 방송은 한국 국내 거주 외국인 시청자를 주 대상으로 하는 "Arirang Korea"와 해외를 대상으로 하는 "Arirang World"로 나뉜다. 자체 제작 프로그램은 "Korea"와 "World" 모두 영어로 제작되지만, 드라마, 음악 프로그램 등 국내용으로 제작된 한국어 프로그램을 재송신할 때는 영어, 중국어, 스페인어 등의 자막이 들어간다. 영어 프로그램을 편성의 기조로 하면서 매일 6시간 정도 아랍어로 더빙(또는 자막 삽입)이 이루어지는 "Arirang Arab"의 3개 계통으로 분류되며, 영어 음성 방송(2개 계통)도 이루어지고 있다.[3]

초창기에는 프로그램 재전송을 하는 케이블 텔레비전(CATV) 방송국이나 KT 스카이라이프 가입(한국 국내), 또는 위성 방송 수신에 대응하는 전용 파라볼라 안테나·튜너 등을 준비해야 했다. 그러나 현재는 "Arirang Arab"을 제외한 대부분의 프로그램이 공식 홈페이지에서 스트리밍으로 제공되고 있다. 텔레비전 방송(스트리밍)의 비트레이트는 통신 환경이 완전히 고속화되지 않은 환경에서의 시청을 고려하여 "Arirang Korea"와 "Arirang World" 모두 141kbps로 억제되어 있다. CATV를 경유하거나 위성 방송을 직접 수신하는 경우에 비해 화질·음질의 열화는 피할 수 없지만, 실효 속도가 1mbps에 미치지 못하는 환경에서도 끊김이 적은 안정적인 방송을 실현하고 있다. 프로그램 시청·청취(음성 방송)는 모두 무료이지만, 보도 프로그램 "Arirang News"(영어)를 제외한 VOD(비디오 온 디맨드) 서비스 이용에는 "회원 등록"(무료)이 필요하다.[4]

7. 아리랑 라디오

아리랑 라디오는 대한민국 최초의 영어 라디오 방송으로, 국제방송교류재단이 한국을 소개하기 위해 설립한 공익 기관이다.

제주 지역 FM,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아이폰/아이패드, 안드로이드), 홈페이지 On Air 서비스를 통해 한국의 문화, 관광, 생활 정보 등 실생활에 필요한 실용 정보 및 뉴스를 제공한다. 이를 통해 외국인에게는 한국의 문화 및 예술의 우수성을 알리고 내국인에게는 국제화에 이바지함을 목적으로 한다.

참조

[1] 웹사이트 About Arirang https://company.arir[...] 2023-02-19
[2] 웹사이트 Arirang TV Fighting Do-or-Die Fight https://www.koreatim[...] 2020-06-19
[3] 웹사이트 General Information https://company.arir[...] 2023-02-19
[4] 웹사이트 Korea Times, Arirang TV sign MOU https://www.koreatim[...] 2020-06-19
[5] 뉴스 아리랑국제방송, 영국 HD 위성방송 진출 http://www.dt.co.kr/[...] 디지털타임스 2016-09-2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