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국제사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국제사회는 특정 문제에 대한 공통된 관점을 나타내거나, 특정 국가에 대한 조치를 요구할 때 사용되는 용어이다. 유엔 총회 투표의 신뢰성을 높이는 데에도 활용된다. 그러나 다수의 법조계 인사와 저술가들은 이 용어가 실제로는 소수의 국가, 특히 서방 국가들을 지칭하는 데 더 자주 사용된다고 비판한다. 이는 "국제사회"가 서방의 이익을 대변하고, 서방 중심적인 시각을 반영한다는 지적이다.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국제사회"라는 용어는 그 광범위를 잃고 미국, 유럽, 일본 등 서방 국가들을 지칭하는 데 국한된다는 분석도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세계정치학 - 정치적 세계화
    정치적 세계화는 국가 간 상호 의존 심화와 세계적 차원의 정치적 의사 결정 증가를 의미하며, 국가 주권 변화, 국제기구 역할 증대, 초국가적 거버넌스 부상 등 다양한 관점에서 정의되고 국가 자율성 약화, 사회적 분열, 세계 민주화 촉진 등 여러 측면에 영향을 미친다.
  • 국가주의 - 국민교육헌장
    국민교육헌장은 대한민국에서 1968년에 제정된 교육 지표로, 민족 중흥의 사명을 위한 행동 강령과 교육 방향을 제시했으나, 전체주의, 군국주의, 국수주의적 성격으로 비판받으며 권위주의 통치 시기 국가주의 이념 주입 수단으로 활용되다 1994년 폐지되었다.
  • 국가주의 - 케말주의
    케말주의는 무스타파 케말 아타튀르크의 사상에서 비롯된 이념으로 공화주의, 민족주의, 세속주의, 대중주의, 국가주의, 개혁주의의 6가지 원칙을 기반으로 터키의 근대화와 세속 국가 건설을 목표로 하며 정치, 사회, 문화에 큰 영향을 미쳤다.
  • 공동체 유형 - 지역사회
    지역사회는 지리적, 기능적 요소를 결합하거나 각각의 특징을 가지며, 일본과 한국에서 각기 다른 형태로 발전해 왔다.
  • 공동체 유형 - 생물군집
    생물군집은 특정 지역에서 공존하는 다양한 생물 종의 모임으로, 종 구성, 에너지 흐름, 종 간 상호작용을 특징으로 하며 환경 변화에 따라 변하기도 하고,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종들이 존재한다.
국제사회
개요
유형모호한 지정학적 용어
정의 및 범위
정의세계의 국가, 조직, 집단 간의 관계 및 상호 작용을 포괄하는 포괄적인 용어
범위국가 간의 외교, 경제, 문화적 교류
국제기구 및 비정부기구의 활동
국제법 및 규범 체계
지구적 문제 (환경, 빈곤, 인권 등)에 대한 공동 대응
특징합의된 정의가 없음
정치적, 문화적 맥락에 따라 의미가 변화함
이상주의적, 규범적인 함의를 내포함
현실 정치와의 괴리 존재
구성 요소
국가국제 사회의 가장 기본적인 행위 주체이며, 주권, 영토, 국민을 구성 요건으로 함.
국제 기구국제연합(UN)
세계무역기구(WTO)
국제통화기금(IMF)
세계은행(World Bank) 등
비정부 기구국제앰네스티(Amnesty International)
국제적십자사(Red Cross)
국경없는의사회(Médecins Sans Frontières) 등
다국적 기업국제적인 생산 및 판매 활동을 수행하며, 국제 경제에 큰 영향력을 행사
개인국제 사회의 규범과 가치에 영향을 미치고, 변화를 주도하는 주체
비판적 시각
보편성 결여서구 중심적 가치와 규범을 강요하며, 비서구 국가의 다양성을 무시한다는 비판이 있음.
권력 불균형강대국 중심의 질서를 유지하며, 약소국의 목소리를 제대로 반영하지 못한다는 비판이 있음.
이념적 편향성특정 이념 (자유주의, 민주주의 등)을 옹호하며, 다른 이념을 배제한다는 비판이 있음.
현실과의 괴리이상적인 목표를 제시하지만, 현실 정치의 복잡성과 한계를 간과한다는 비판이 있음.
관련 개념
세계 공동체인류 전체의 공동 이익을 추구하는 이상적인 공동체
지구촌교통과 통신의 발달로 인해 세계가 하나의 촌락처럼 연결된 사회
국제 관계국가 간의 정치, 경제, 사회, 문화적 상호 작용
세계화국가 간의 상호 의존성이 심화되고, 세계가 하나의 시장으로 통합되는 과정
참고 문헌
서적Peter Burnell, Democracy Assistance: International Co-operation for Democratization, Routledge, 2013

2. 용례

국제사회라는 용어는 일반적으로 특정 인권 문제와 같이, 특정 문제에 대한 공통된 관점이 존재함을 암시하는 데 사용된다.[2][3][4] 때때로 적에 대한 조치(예: 대상 국가에서 인지된 정치적 탄압에 대한 조치)를 요구할 때 사용된다.[5] 또한 유엔 총회에서 다수결 투표신뢰성을 높이기 위해 분쟁 문제에 대한 관점에 대한 정당성과 합의를 암시하는 데에도 일반적으로 사용된다.[3][4][6][7]

3. 비판

국제사회라는 용어는 문자 그대로 세계의 모든 국가나 국가를 지칭하기보다는 소수의 국가들을 지칭하는 데 더 자주 사용된다는 비판이 존재한다.[1][3][8] 국제 형사 재판소의 법률가 빅터 P. 칠로니스는 이 용어가 "가장 강력한 국가들의 이익" 또는 "7~10개 국가"를 지칭한다고 주장한다.[8] 국제 해양법 재판소 소장 백진현과 이석우는 이 용어가 비동맹 운동 비회원국을 예로 들면서 "약 20개의 부유한 국가"를 지칭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3] 워릭 대학교의 피터 버넬 교수는 중국, 러시아, 아랍이슬람 국가와 같은 매우 중요한 국가들이 "국제 사회"라는 개념과 거리가 멀고,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의 주요 투표에서 기권하는 등 이와 관련된 모든 이니셔티브를 반드시 지지하는 것은 아니라고 제안한다.[1]

3. 1. 서방 세계 중심의 용어라는 비판

노엄 촘스키는 이 용어가 미국과 그 동맹국 및 종속국, 그리고 이들 국가의 언론 매체 내 동맹국들을 지칭하는 데 사용된다고 비판한다.[9][10][11] 영국의 언론인 마틴 자크는 "'국제 사회'라는 용어가 무엇을 의미하는지 우리 모두 알고 있지 않습니까? 물론 서방입니다. 그 이상도 그 이하도 아닙니다. '국제 사회'라는 용어를 사용하는 것은 서방에 위엄을 부여하고, 세계화하고, 더 존경스럽고, 더 중립적이며, 더 고상하게 보이도록 만드는 방법입니다."라고 비판한다.[12] 미국의 정치학자 사무엘 P. 헌팅턴은 이 용어가 이전의 선전 용어인 "자유 세계"를 완곡하게 대체한 것이라고 주장한다.[13]

4. 변화

피에르 코네사에 따르면,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과 관련하여 "국제 사회"는 모습을 감추었으며, 미국, 유럽, 일본의 "서방"은 "국제 사회"라는 말 그대로의 광범위를 잃었다고 한다.[18]

참조

[1] 서적 Democracy Assistance: International Co-operation for Democratization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3-10-23
[2] 간행물 Collective Human Rights and Political Objectives of the International Community https://doi.org/10.1[...] Springer International Publishing 2021-09-30
[3] 서적 Asian Approaches to International Law and the Legacy of Colonialism: The Law of the Sea, Territorial Disputes and International Dispute Settlement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3
[4] 서적 Intervention as Indirect Rule: Civil War and Statebuilding in the Democratic Republic of Congo https://books.google[...] Campus Verlag 2010-10-04
[5] 서적 United States Hegemony and the Foundations of International Law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3-05-29
[6] 논문 Time to break up with the international community? Rhetoric and realities of a political myth in Cambodia https://www.cambridg[...]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20-12
[7] 서적 Law-Making in the International Community https://books.google[...] Martinus Nijhoff Publishers 1993-01-01
[8] 서적 The Jurisdiction of the International Criminal Court https://books.google[...] Springer Nature 2019-11-23
[9] 웹사이트 The Crimes of 'Intcom' http://www.chomsky.i[...]
[10] 웹사이트 Israel, US violators of international law, says Noam Chomsky https://www.thenewst[...] 2021-08-16
[11] 웹사이트 Noam Chomsky on Iran http://www.satellite[...] 2021-08-16
[12] 웹사이트 What the hell is the international community? http://www.theguardi[...] 2021-08-16
[13] 문서 The Clash of Civilizations 1992–1993
[14] 웹사이트 The Crimes of ‘Intcom’ http://www.chomsky.i[...] 2016-07-16
[15] 웹사이트 Israel, US violators of international law, says Noam Chomsky http://www.thenewstr[...] 2016-07-16
[16] 웹사이트 Noam Chomsky on Iran http://www.satellite[...] 2016-07-16
[17] 웹사이트 What the hell is the international community? http://www.theguardi[...] 2016-07-16
[18] 뉴스 [あすへの考]【ウクライナ侵略をどう見るか】「ソ連崩壊」に危機の起点 2022-07-3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