귀스타브 랑송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귀스타브 랑송은 20세기 초 프랑스 대학 시스템 개혁에 기여하고 프랑스 문학 비평 분야에서 큰 영향력을 행사한 인물이다. 그는 문학 연구와 문화 연구를 결합한 문학사 저술로 유명하며, 특히 이폴리트 테느의 '인종, 환경, 시대' 개념을 발전시켰다. 또한, 텍스트 해석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교육학 연구를 통해 프랑스 정밀 독해의 전신을 마련했다. 랑송은 작가, 독자, 텍스트 간의 관계를 '문학 사회학'으로 정립했으며, 텍스트를 사회적 힘과 개인의 창의성이 결합된 산물로 보았다. 1911년 컬럼비아 대학교 객원 교수로 미국을 방문하여 교육과 종교에 대한 인상을 기록했으며, 1919년부터 고등사범학교 교장을 역임했다. 신비평의 등장으로 인해 비판을 받으며 1950~60년대에는 평가가 낮아졌으나, 최근 문체 연구와 역사 연구의 공통점을 찾으려는 시도를 통해 재평가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과학학 - 과학사회학
과학사회학은 과학 활동과 지식의 사회적 측면을 연구하는 학문으로, 머턴의 규범과 마태 효과를 통해 과학의 사회적 규칙과 불평등을 설명하며, 과학지식사회학을 거쳐 과학 커뮤니케이션, 정책, 공중의 이해 등 다양한 영역으로 확장되고 있다. - 과학학 - 통섭
통섭은 여러 분야의 지식과 증거를 통합하여 더 강력하고 신뢰할 수 있는 결론을 도출하는 개념으로, 과학, 역사, 예술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며, 과학적 증거의 수렴과 강도를 통해 결론을 도출하고, 선거 과정의 정상성을 확인하는 방법론으로도 사용된다. - 학제간 연구 - 여성학
여성학은 여성의 경험과 젠더 관계를 연구하는 학문 분야로, 페미니즘 이론과 사회 정의를 바탕으로 교육 및 사회 개혁에 기여하며, 다양한 비판과 논란이 존재한다. - 학제간 연구 - 정보과학
정보과학은 정보의 수집, 분류, 조작, 저장, 검색 및 배포를 연구하는 학문으로, 컴퓨터 과학, 커뮤니케이션 연구 등 다양한 분야를 포괄하며 사회적 가치 창조를 목표로 한다. - 문학평론 - 서평
서평은 책의 내용을 분석하고 평가하는 글로, 학술 활동의 한 형태인 학술 서평과 독자에게 책의 영향과 인기를 평가하는 신문 및 잡지 서평 등으로 나뉜다. - 문학평론 - 시의 옹호
퍼시 비셸리 셸리의 《시의 옹호》는 시인이 도덕성을 고취하고 시민 사회의 법적 규칙을 발전시키는 데 기여한다고 주장하며 시의 사회적 기능과 유용성을 강조하는 에세이로, 셸리는 시인을 법의 제정자이자 시민 사회의 창시자로 보았다.
귀스타브 랑송 | |
---|---|
기본 정보 | |
![]() | |
본명 | 귀스타브 랑송 |
출생 | 1857년 8월 5일, 오르주에 |
사망 | 1934년 11월 15일 (77세), 파리 |
국적 | 프랑스 |
학력 | |
모교 | 리세 퐁텐 에콜 노르말 쉬페리외르 |
경력 | |
직업 | 역사가 문학 평론가 |
고용주 | 에콜 노르말 쉬페리외르 파리 대학교 |
수상 | |
수상 | 레지옹 도뇌르 훈장 |
2. 생애
랑송은 프랑스의 문학사학자이자 비평가이다. 1894년에 출간된 『프랑스 문학사』는 고전으로 평가받고 있으며, 보쉬에, 보아로, 코르네유, 볼테르 등에 관한 저작도 유명하다.
랑송은 20세기 초 프랑스 대학 제도의 개혁에 큰 역할을 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프랑스 문예 비평 분야에서 사후에도 오랫동안 명성을 떨쳤다. 문학 연구와 문화 연구를 융합시킨 문학사적 저작으로 유명하며, 이폴리트 텐이 말하는 "인종, 환경, 시대"라는 개념에 일부 의문을 제기하면서 발전시켰다.
1911년, 뉴욕의 컬럼비아 대학교 객원 교수가 되어 미국으로 건너갔다. 미국을 열정적으로 여행하며 수많은 대학을 둘러보았다. 후년에 여행기를 쓰기도 했다. 랑송은 미국의 대학에서 종교 교육이 중시되는 것에 놀라움을 표했다. 다만, 종교를 공유함으로써 형성되는 일체감은 미식축구 등 학생 스포츠의 기회에 형성되는 일체감에 비해 퇴색된다고 언급했다.
프랑스에서는 롤랑 바르트 등의 신비평이 대두되면서 급격히 평판이 떨어졌다. 마찬가지로 미국에서도 랑송 사후 인기가 급격히 하락했다. 1950년대 후반부터 1960년대에 걸쳐 특히 평판이 좋지 않았는데, 그 원인은 당시 유행했던 신비평이 은유와 이미지 세계의 탐구에 관심을 집중하고, 텍스트를 그것이 만들어진 환경과 분리하여 연구하려 했기 때문에 랑송식 연구가 사소한 역사적 전기적 사항에 매달리고, 경직된 문헌학에 갇혀 있는 것처럼 보였기 때문이다.
그러나 최근에는 문체 연구와 역사 연구의 공통점을 찾으려는 움직임이 있고, 비평의 역사에 대한 재검토를 촉구하는 연구도 있어 랑송에 대한 관심이 다시 높아지고 있다.[2]
2. 1. 학문적 경력
랑송은 20세기 초 프랑스 대학 시스템 개혁의 주요 인물이었으며, 사후에도 오랫동안 프랑스 문학 비평의 지배적인 세력이었다. 그는 문학사에 관한 저술로 유명하며, 특히 문학과 문화 연구를 융합하려는 시도로 유명하다. 이폴리트 텐이 설명한 "인종, 환경, 시대"라는 개념을 확장하고 부분적으로 의문을 제기했다.[2] 그는 교육학 연구에도 크게 기여하여 프랑스 정밀 독해의 전신인 ''텍스트 해설''의 교육학적 중요성을 주장했다. 그의 단편 작품 중에는 프랑스 시인 니콜라 부알로데프레오의 1892년 저서인 ''Les Grands Ecrivains Francais'' 시리즈가 여전히 권위 있는 저서로 남아있다.[2]랑송은 작가에 대한 사회적 영향, 독자의 기대, 그리고 텍스트 사이의 복잡한 관계를 공식화한 "문학 사회학"이라는 아이디어를 제안했다. 랑송에게 텍스트는 단순한 집단적 사회 세력의 산물도, 자율적인 천재의 자율적인 작품도 아닌 그 중간의 무언가였다. 텍스트는 사회가 강력하고 보이지 않는 힘을 가했지만, 그 힘에서 벗어나 그 너머의 무언가, 아마도 더 나은 것에 대한 희망이나 환상을 제시할 수 있는 복합적인 작품이었다. 랑송의 모델의 복합적인 특성은 텍스트가 여러 의도된 독자, 즉 텍스트를 생산한 사회의 즉각적인 독자층과 텍스트 자체에 의해 부분적으로 조건화될 수 있는 또 다른 이상적인 독자층을 상상할 수 있게 했다.[2]
1911년 랑송은 뉴욕 컬럼비아 대학교의 객원 교수였다. 이 기간 동안 그는 미국을 광범위하게 여행하며 여러 대학 캠퍼스를 방문했고, 나중에 자신의 경험에 대해 글을 썼다. 랑송은 미국 캠퍼스에서 종교의 중요성에 깊은 인상을 받았지만, 공유된 종교가 영감을 주는 단결력이 대학 스포츠, 특히 미식축구에 대한 공유된 관심으로 쇠퇴하고 있다고 언급하기도 했다.[2]
1919년부터 1927년까지 그는 고등사범학교의 교장이 되었고, 수년 동안 장 폴 사르트르의 풍자적인 공격의 대상이 되었으며, 특히 사르트르와 조르주 캉길렘이 대학 평론지에 게재한 1927년 반군국주의 풍자 만화에 화가 났다. 같은 해, 그는 사르트르와 그의 동료들의 미디어 장난으로 인해 결국 사임하게 되었다.[2] 1927년 랑송의 약 11,000권의 장서가 노스캐롤라이나주 더럼에 있는 듀크 대학교에 125000FRF에 판매되었다.[3]
랑송의 명성은 특히 미국에서 사후에 꾸준히 하락하여 1950년대 후반과 1960년대에 최저점에 도달했다. 신비평 시대에, 은유와 이미지 탐구, 그리고 텍스트를 그것을 만들어낸 상황으로부터 멀리하는 데 관심을 기울이면서, 랑송은 역사적, 생물학적 사소한 것에 집착하는 고루한 학자이자, 융통성 없고 문학적이지 않은 어원학자로 여겨졌다. 그러나 최근 몇 년 동안, 형식적 방법과 역사적 방법 사이의 공통점을 탐구하는 비평가들과 덜 목적론적인 비평사 연구가 증가하면서 랑송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2]
2. 2. 랑송과 교육 개혁
랑송은 20세기 초 프랑스 대학 시스템 개혁에 പ്രധാന 역할을 했다. 그는 교육학 연구에 크게 기여하여, 프랑스 정밀 독해의 전신인 '텍스트 해설'의 교육학적 중요성을 주장했다.[2] 이는 프랑스 교육 현장에서 오늘날까지 가르쳐지는 방식이다.1919년부터 1927년까지 파리의 고등사범학교 교장을 역임했다.[2]
2. 3. 사회와의 관계
랑송은 작가에 대한 사회적 영향, 독자의 기대, 텍스트 사이의 복잡한 관계를 공식화한 "문학 사회학"이라는 개념을 제안했다. 랑송에게 텍스트는 단순한 집단적 사회 세력의 산물도, 자율적인 천재의 자율적인 작품도 아닌 그 중간의 무언가였다. 텍스트는 사회가 강력하고 보이지 않는 힘을 가했지만, 그 힘에서 벗어나 그 너머의 무언가, 아마도 더 나은 것에 대한 희망이나 환상을 제시할 수 있는 복합적인 작품이었다. 랑송 모델의 복합적인 특성은 텍스트가 여러 의도된 독자, 즉 텍스트를 생산한 사회의 즉각적인 독자층과 텍스트 자체에 의해 부분적으로 조건화될 수 있는 또 다른 이상적인 독자층을 상정할 수 있게 했다.[2]랑송은 문예 사회학 연구를 제창했는데, 이는 사회 환경이 작가에게 미치는 영향, 독자의 예상에 미치는 영향, 나아가 텍스트 자체에 미치는 영향을 복합적으로 검토하는 것이다. 랑송에 따르면 텍스트란 집합적인 사회적 여러 힘에서 자동적으로 생성되는 것도 아니고, 고립된 천재가 독자적으로 만들어내는 것도 아닌, 이 양극단 사이에 있는 것이다. 텍스트는 사회가 강력한 보이지 않는 힘을 발휘하여 만들어내는 작품이지만, 그 힘에서 벗어날 수도 있으며, 그렇게 사회의 힘이 미치는 범위를 넘어 무언가가 전달된다. 이처럼 텍스트를 복합적으로 파악함으로써 랑송은 텍스트가 의도하는 여러 읽는 이를 상정할 수 있었다. 즉, 한쪽에는 텍스트를 생산하는 사회에 속하는 직접적인 독자들이 있고, 다른 한쪽에는 텍스트 그 자체에 의해 어느 정도 결정될 수 있는 이상적인 독자들이 있다.
3. 문학사 연구 방법론
랑송은 문학 연구와 문화 연구를 일체화시킨 문학사적 저작으로 유명하다. 그는 이폴리트 테느가 말하는 "인종, 환경, 시대"라는 생각에 일부 의문을 제기하면서 자신의 연구를 발전시켰다.
랑송은 문학사 연구와 관련하여 '문학 사회학'과 '텍스트 분석'이라는 두 가지 중요한 방법론을 제시했다. 또한 '텍스트 해설'(Explication de texte)의 교육학적 중요성을 강조했다.
3. 1. 문학 사회학
랑송은 작가에 대한 사회적 영향, 독자의 기대, 그리고 텍스트 사이의 복잡한 관계를 공식화한 "문학 사회학"이라는 개념을 제안했다.[2] 랑송에게 텍스트는 단순한 집단적 사회 세력의 산물도, 자율적인 천재의 자율적인 작품도 아닌 그 중간의 무언가였다. 텍스트는 사회가 강력하고 보이지 않는 힘을 가했지만, 그 힘에서 벗어나 그 너머의 무언가, 아마도 더 나은 것에 대한 희망이나 환상을 제시할 수 있는 복합적인 작품이었다. 랑송 모델의 복합적인 특성은 텍스트가 여러 의도된 독자, 즉 텍스트를 생산한 사회의 즉각적인 독자층과 텍스트 자체에 의해 부분적으로 조건화될 수 있는 또 다른 이상적인 독자층을 상정할 수 있게 했다.[2]랑송은 문예 사회학 연구를 제창했다. 이는 사회 환경이 작가에게 미치는 영향, 독자의 예상에 미치는 영향, 나아가 텍스트 자체에 미치는 영향을 복합적으로 검토하는 것이다. 랑송에 따르면 텍스트란 집합적인 사회적 여러 힘에서 자동적으로 생성되는 것도 아니고, 고립된 천재가 독자적으로 만들어내는 것도 아니다. 이 양극단 사이에 있는 것이다. 텍스트는 사회가 강력한 보이지 않는 힘을 발휘하여 만들어내는 작품이지만, 그 힘에서 벗어날 수도 있으며, 그렇게 사회의 힘이 미치는 범위를 넘어 무언가가 전달된다. 이처럼 텍스트를 복합적으로 파악함으로써 랑송은 텍스트가 의도하는 여러 읽는 이를 상정할 수 있었다. 즉, 한쪽에는 텍스트를 생산하는 사회에 속하는 직접적인 독자들이 있고, 다른 한쪽에는 텍스트 그 자체에 의해 어느 정도 결정될 수 있는 이상적인 독자들이 있다.[2]
3. 2. 텍스트 분석
랑송은 교육학 연구에도 크게 기여하여, 교육 현장에서 텍스트 해석(explication)을 수행하는 중요성을 설파했다. 이는 프랑스판 밀도있게 읽기와도 같은 것으로, 프랑스 교육 현장에서는 오늘날까지 가르쳐지는 방식이다. 랑송은 문예 사회학 연구를 제창했다. 이는 사회 환경이 작가에게 미치는 영향, 독자의 예상에 미치는 영향, 나아가 텍스트 자체에 미치는 영향을 복합적으로 검토하는 것이다. 랑송에 따르면 텍스트란 집합적인 사회적 여러 힘에서 자동적으로 생성되는 것도 아니고, 고립된 천재가 독자적으로 만들어내는 것도 아니다. 이 양극단 사이에 있는 것이다. 텍스트는 사회가 강력한 보이지 않는 힘을 발휘하여 만들어내는 작품이지만, 그 힘에서 벗어날 수도 있으며, 그렇게 사회의 힘이 미치는 범위를 넘어 무언가가 전달된다. 이처럼 텍스트를 복합적으로 파악함으로써 랑송은 텍스트가 의도하는 여러 읽는 이를 상정할 수 있었다. 즉, 한쪽에는 텍스트를 생산하는 사회에 속하는 직접적인 독자들이 있고, 다른 한쪽에는 텍스트 그 자체에 의해 어느 정도 결정될 수 있는 이상적인 독자들이 있다.3. 3. 텍스트 해설 (Explication de texte)
랑송은 교육학 연구에도 크게 기여하여, 프랑스 정밀 독해의 전신인 '텍스트 해설'의 교육학적 중요성을 주장했다.[2] 이는 프랑스판 밀도있게 읽기와도 같은 것으로, 프랑스 교육 현장에서는 오늘날까지 가르쳐지는 방식이다.4. 비평과 유산
귀스타브 랑송은 20세기 초 프랑스 대학 시스템 개혁에 앞장섰으며, 프랑스 문학 비평에 큰 영향을 미친 인물이다. 문학사 저술과 문학 및 문화 연구를 융합하려는 시도로 유명하다. 이폴리트 테인의 "인종, 환경, 시대" 개념을 발전시키고 의문을 제기했으며, 교육학 분야에서는 정밀 독해의 전신인 '텍스트 해설'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니콜라 부알로-데프레오에 대한 저서는 여전히 권위 있는 저서로 평가받는다.
랑송은 "문학 사회학"이라는 개념을 통해 작가에 대한 사회적 영향, 독자의 기대, 텍스트 간의 복잡한 관계를 설명했다. 텍스트는 사회적 힘과 개인의 창의성이 상호작용한 결과물이며, 사회의 영향을 받으면서도 그 너머의 가치를 추구할 수 있다고 보았다. 또한 텍스트를 생산한 사회의 즉각적인 독자층과 텍스트 자체에 의해 조건화될 수 있는 이상적인 독자층을 상정했다.
1911년 컬럼비아 대학교 객원 교수로 미국을 방문하여 여러 대학을 둘러보고 경험을 기록했다. 미국 대학의 종교 교육과 미식축구를 통한 단결력에 주목했다.
1919년부터 고등사범학교 교장을 역임했으나, 장 폴 사르트르 등의 풍자 대상이 되기도 했다. 1927년 사르트르와 동료들의 장난으로 사임했으며, 같은 해 그의 장서 11,000권은 듀크 대학교에 매각되었다.[2][3]
4. 1. 신비평과의 갈등
1950년대 후반부터 1960년대에 걸쳐 프랑스에서는 롤랑 바르트 등의 신비평이 대두되면서 귀스타브 랑송의 평판은 급격히 떨어졌다. 신비평은 은유와 이미지 세계의 탐구에 관심을 집중하고, 텍스트를 그것이 만들어진 환경과 분리하여 연구하려 했다. 이러한 경향 때문에 랑송식 연구는 사소한 역사적, 전기적 사항에 매달리고 경직된 문헌학에 갇혀 있는 것처럼 보였다.4. 2. 현대적 재평가
랑송의 명성은 사후, 특히 미국에서 꾸준히 하락하여 1950년대 후반과 1960년대에 최저점에 도달했다. 신비평 시대에, 은유와 이미지 탐구, 그리고 텍스트를 그것을 만들어낸 상황으로부터 멀리하는 데 관심을 기울이면서, 랑송은 역사적, 생물학적 사소한 것에 집착하는 고루한 학자이자, 융통성 없고 문학적이지 않은 어원학자로 여겨졌다.[2] 그러나 최근 몇 년 동안, 형식적 방법과 역사적 방법 사이의 공통점을 탐구하는 비평가들과 덜 목적론적인 비평사 연구가 증가하면서 랑송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5. 주요 저서
제목 | 연도 | 비고 |
---|---|---|
알렉상드르 아르디 시대의 고전 연극(Le Théâtre Classique au Temps d’Alexandre Hardy) | 1891 | |
보쉬에(Bossuet) | 1891 | |
부알로(Boileau) | 1892 | |
프랑스 문학사(Histoire de la Littérature Française) | 1894 | 폴 튀프로(Paul Tuffrau) 공저 |
인간과 책: 윤리 및 문학 연구(Hommes et Livres: Études Morales et Littéraires) | 1896 | |
코르네유(Corneille) | 1898 | |
프랑스 작문 실습 연구(Études Pratiques de Composition Française) | 1898 | |
현대 프랑스 문학의 거장과 주요 흐름(Les Grands Maîtres et les Grands Courants de la Littérature Française Moderne) | 1900 | |
17세기 서한 선집(Choix de Lettres du XVIIe Siècle) | 1901 | |
대학교와 현대 사회(L'Université et la Société Moderne) | 1902 | |
현대 드라마의 기원. 니벨 드 라 쇼세와 눈물겨운 희극(Les Origines du Drame Contemporain. Nivelle de La Chaussée et la Comédie Larmoyante) | 1903 | |
산문 예술(L’Art de la Prose) | 1909 | |
18세기 서한 선집(Choix de Lettres du XVIIIe Siècle) | 1909 | |
18세기 철학자 발췌(Extraits des Philosophes du XVIIIe Siècle) | 1909 | |
현대 프랑스 문학 서지학 편람, 1500–1900(Manuel Bibliographique de la Littérature Française Moderne, 1500–1900) | 1909–1912 | |
미국에서의 3개월의 교육(Trois Mois d'Enseignement aux États-Unis) | 1912 | |
글쓰기 예술에 대한 조언(Conseils sur l’Art d’Écrire) | 1913 | |
신 시인 선집(Anthologie des Poètes Nouveaux) | 1913 | |
프랑스 비극의 역사 개요(Esquisse d’une Histoire de la Tragédie Française) | 1920 | |
프랑스 문학사 삽화 편람(Manuel Illustré d'Histoire de la Littérature Française) | 1923 | 2권 |
볼테르: 철학 서한(Voltaire: Lettres Philosophiques) | 1924 | 2권 |
문학사의 방법론(Méthodes de l’Histoire Littéraire) | 1925 | |
몽테뉴의 에세이. 연구와 분석(Les Essais de Montaigne. Étude et Analyse) | 1929 | |
바르브나르그 후작(Le Marquis de Vauvenargues) | 1930 | |
몽테뉴의 에세이: 연구와 분석(Les Essais de Montaigne: Étude et Analyse) | 1930 | |
볼테르: 발췌(Voltaire: Extraits) | 1930 | |
몽테스키외(Montesquieu) | 1932 | |
17, 18세기 선별 서한(Lettres Choisies des XVIIe et XVIIIe Siècles) | 1932 | |
영어 번역 | ||
국민 교육 문제(Problems of National Education) | 1900 | |
"프랑스의 새로운 시"|The International Quarterly영어 | 1901 | |
"쥘 미슐레의 역사적 방법"|The International Quarterly영어 | 1905 | |
"오늘날의 프랑스"|The North American Review영어 | 1912 | |
"미국 학술원 및 연구소에서의 연설"|The Art World영어 | 1917 | |
"중등 교육의 현대적인 과목."| "중등 교육의 현대적인 과목."영어 (In: 오늘날의 프랑스 교육 이상|French Educational Ideals of Today영어) | 1919 | |
"몰리에르와 파르스"|The Tulane Drama Review영어 | 1963 | |
몰리에르: 비평 에세이 모음(Moliere: A Collection of Critical Essays) | 1964 | 자크 기샤르노 편집 |
볼테르(Voltaire) | 1966 | |
"문학사 및 사회학"|PMLA영어 | 1995 |
참조
[1]
웹사이트
GUSTAVE LANSON
http://www.universal[...]
1999-01-19
[2]
서적
Jean-Paul Sartre: Protestant or Protester?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89
[3]
웹사이트
Gustave Lanson
https://web.archive.[...]
2020-09-0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