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린 라인 (이스라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그린 라인은 이스라엘과 인접 국가 사이에 설정된 분계선을 의미하며, 영구적인 국경선은 아니다. 이 용어는 일반적으로 이스라엘군과 요르단이 통제하는 예루살렘과 서안 지구 사이의 경계에 적용된다. 그린 라인은 1949년 휴전 협정에서 녹색으로 표시된 지도에서 유래되었으며, 제1차 중동 전쟁 이후 이스라엘이 팔레스타인 지역을 실효 지배하는 경계선 역할을 했다. 1967년 제3차 중동 전쟁 이후 그린 라인은 이스라엘이 점령한 영토를 의미하게 되었고, 국제 사회는 이스라엘의 정착촌 건설을 국제법 위반으로 간주하며 철수를 요구하고 있다. 팔레스타인 자치 정부는 그린 라인을 두 국가 해법을 위한 국경선 획정의 출발점으로 할 것을 요구하고 있으며, 이스라엘은 그린 라인 너머의 영토를 점령지로 간주하여 정치 및 민간 행정 시스템에 통합하지 않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레바논-이스라엘 국경 - 1949년 휴전 협정
1949년 휴전 협정은 1948년 아랍-이스라엘 전쟁 후 이스라엘과 주변 아랍 국가들 간에 랠프 번치의 중재로 체결된 일련의 협정으로, 휴전선 설정 및 비무장 지대 설정 등의 내용이 담겼으나, 이후 분쟁과 갈등의 원인이 되었다. - 이스라엘-이집트 국경 - 아카바만
아카바만은 시나이 반도 동쪽과 아라비아 반도 서쪽 사이 홍해 북쪽에 위치한 깊은 만으로, 주요 도시들이 위치하고 풍부한 해양 생물로 유명하며 역사적, 관광적 가치가 높다. - 이스라엘-이집트 국경 - 1949년 휴전 협정
1949년 휴전 협정은 1948년 아랍-이스라엘 전쟁 후 이스라엘과 주변 아랍 국가들 간에 랠프 번치의 중재로 체결된 일련의 협정으로, 휴전선 설정 및 비무장 지대 설정 등의 내용이 담겼으나, 이후 분쟁과 갈등의 원인이 되었다. - 시리아-이스라엘 국경 - 골란고원
골란 고원은 시리아 남서부에 위치한 전략적 요충지이자 수자원의 보고로, 이스라엘이 1967년부터 점령하여 실효적 지배하고 있으며, 풍부한 물은 이스라엘의 주요 수자원 역할을 하고, 현재 이스라엘 정착촌과 시리아계 주민들이 거주하고 있다. - 시리아-이스라엘 국경 - 요르단강
요르단강은 이스라엘, 요르단, 시리아, 레바논을 거쳐 갈릴리 호수를 지나 사해로 흘러 들어가는 강으로, 역사적, 종교적, 문화적 의미를 지니고 있으며, 현재 유량 감소와 환경 문제에 직면해 일부 지역이 순례지로 보존되고 있다.
그린 라인 (이스라엘) | |
---|---|
개요 | |
![]() | |
명칭 | |
영어 | Green Line |
히브리어 | הקו הירוק (하코 하야로크) |
아랍어 | خط أخضر (카트 아크다르) |
역사 | |
정의 | 1949년 아랍-이스라엘 전쟁 이후 이스라엘과 이웃 국가 간의 휴전선 |
배경 | 1948년 아랍-이스라엘 전쟁의 결과로 설정 |
중요 사건 | 1967년 6일 전쟁 이후 이스라엘의 점령지 경계로 기능 예루살렘을 동서로 나누는 경계 역할 수행 |
법적 지위 및 국제적 인정 | |
국제적 지위 | 국제적으로 인정받는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간의 경계 |
이스라엘의 입장 | 이스라엘 정부는 공식적으로 이 선을 국경으로 인정하지 않음 |
팔레스타인의 입장 | 팔레스타인은 이 선을 미래 국가의 경계로 간주 |
영향 | |
주요 분쟁 지역 | 서안 지구, 가자 지구, 골란 고원, 동예루살렘 |
정착촌 문제 | 이스라엘 정착촌 건설은 국제법 위반 논란의 중심 |
평화 협상 | 이 선은 평화 협상의 주요 쟁점 사항 |
현재 상황 | |
물리적 장벽 | 이스라엘 장벽이 그린 라인의 일부 구간을 따라 건설됨 |
정치적 상황 | 이스라엘의 정착촌 확장 및 팔레스타인의 독립 요구가 계속되는 상황 |
2. 역사
그린 라인은 이스라엘과 주변국 간의 국경선이 아닌 군사 분계선을 의미한다.[44] 그린 라인을 넘는 모든 행위는 금지되었으며, 유엔 휴전 감시 기구가 이를 감독하였다. 그린 라인은 요르단령 예루살렘 및 서안 지구와 이스라엘을 나누는 경계를 가리키는 용어로 가장 흔히 사용되었다.
1949년 휴전 협정으로 발효된 이스라엘과 아랍 국가 간의 휴전선은 지도에 녹색으로 표시되어 "그린 라인"이라고 불렸다.[39] 이 휴전선으로 이스라엘은 가자 지구(이집트 실효 지배)와 요르단강 서안 지구(요르단 실효 지배)를 제외한 팔레스타인 지역을 실효 지배하게 되었다. 예루살렘은 동예루살렘을 요르단이, 서예루살렘을 이스라엘이 지배하는 형태로 분할되었다.
1949년 휴전선은 이스라엘에게 1947년 국제 연합 총회 결의 181(팔레스타인 분할 결의안)보다 넓은 영토를 실효 지배하게 했다. 이 휴전선은 당초 일시적인 경계선으로, 영구적인 국경선을 의도한 것은 아니었다.[40]
그린 라인은 1947년 팔레스타인 분할안에 사용된 분할선을 계승했으며, 이스라엘 또한 이스라엘 독립 선언서에서 분할을 인정하였다. 하지만 팔레스타인 및 아랍권은 위임통치령 팔레스타인의 어떠한 분할안도 거부하였다.
1967년 6월 제3차 중동 전쟁에서 이스라엘은 가자 지구, 동예루살렘을 포함한 요르단강 서안 지구, 시나이 반도(이집트), 골란 고원(시리아)을 점령했다. 같은 해 11월 국제 연합 안전 보장 이사회 결의 242는 "최근 전투에서의 점령 지역으로부터의 이스라엘 철수"를 결의하여 "그린 라인"으로의 복귀를 확인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1993년 오슬로 협정 이후 파타가 주도하는 팔레스타인 자치 정부는 팔레스타인 국가 수립을 목표로, 그린 라인을 두 국가 해법을 위한 국경선 획정의 출발점으로 삼을 것을 요구하고 있다.[41]
2002년부터 이스라엘은 요르단강 서안 지구 분리 장벽을 건설하고 있는데, 일부 구간은 유대인 정착촌을 포함하기 위해 그린 라인보다 팔레스타인 쪽으로 들어가 있어, 유대인 정착촌을 영구적인 이스라엘 영토로 만들려는 의도가 있다는 비판이 있다.
2. 1. 1967년 전쟁 이후
1967년 이스라엘이 트란스요르단을 제외한 위임통치령 팔레스타인의 영토를 모두 점령한 이후, 분계선은 군사적으로 의미가 없게 되었고, 그린 라인의 지위 또한 불분명해졌다.[44]이스라엘은 법적으로 그린 라인의 중요성은 없다고 공식적으로 주장해 왔지만, 그린 라인은 실질적인 정치적, 법적, 행정적 중요성을 띄고 있었다. 이스라엘은 그린 라인 바깥 영토를 점령된 땅으로 간주하여, 이스라엘 행정 체계에 편입하지 않았다. 그린 라인 바깥 지역은 이스라엘 방위군이나 팔레스타인 자치 정부가 관리하였다.[50][51] 이스라엘 국적 취득 여부는 그린 라인을 참고하여 결정되었다.
1980년 예루살렘의 행정 구역 확장은 대표적인 예외 상황이었다. 그린 라인 바깥쪽의 예루살렘은 1967년까지 요르단이 통치하였지만, 1980년 예루살렘법을 통해 이스라엘이 "통일된 예루살렘"을 수도로 선포하였다.[52][53] 이 주장은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및 국제사회에서 인정하지 않고 있다.[52][53] 현재까지도 그린 라인 자체는 동예루살렘과 서예루살렘을 나누고 있다.
골란고원 또한 1981년 골란고원법을 통해 이스라엘에 합병되었지만, 이 역시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에서 무효이며 국제법적 효력이 없다고 선포하였다.[54]
2. 2. 예루살렘과 골란 고원
1980년 예루살렘의 행정 구역 확장은 대표적인 예외 상황이었다. 그린 라인 바깥쪽의 예루살렘은 1967년까지 요르단이 통치하였지만, 1980년 예루살렘법을 통해 이스라엘이 "통일된 예루살렘"을 수도로 선포하였다.[52][53] 이 주장은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및 국제사회에서 인정하지 않고 있다.[52][53] 현재까지도 그린 라인 자체는 동예루살렘과 서예루살렘을 나누고 있다.골란고원 또한 1981년 골란고원법을 통해 이스라엘에 합병되었지만, 이 역시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에서 무효이며 국제법적 효력이 없다고 선포하였다.[54]
3. 이스라엘-팔레스타인 분쟁
이스라엘이 자국민과 군대를 그린 라인 안쪽으로 철수해야 하는지에 대한 문제는 현재까지도 이스라엘-팔레스타인 분쟁의 중요한 쟁점으로 남아 있다. 국제 사회에서는 이스라엘이 철수해야 한다는 암묵적인 합의가 형성되어 있으며, 유엔 총회의 팔레스타인 문제의 평화적 해법에 대한 연간 표결에서도 이러한 점이 제시되었다.[66]
팔레스타인 해방기구(PLO)는 1976년 이후 1967년 6월 이전의 선을 팔레스타인 국가 성립의 기반으로 인정하고 있다.[68] 팔레스타인 자치 정부는 1993년 오슬로 협정 이후 그린 라인을 두 국가 해법을 위한 국경선의 출발점으로 삼을 것을 요구하고 있다.[41] 하마스의 공식 정책은 이스라엘의 파괴이지만, 이스마일 하니야는 이스라엘이 1967년 점령한 영토에서 철수한다면 이스라엘과 장기적인 평화를 이룰 수 있다고 제안했다.[71] 반면 팔레스타인인은 그린 라인 자체와 관련이 없으며,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결의 제242호가 팔레스타인 독립 국가를 인정하지 않고 자신들을 난민으로 칭했다는 점에서 반대하고 있다.
이스라엘은 두 국가 해법에 있어 명확한 국경선에 대한 생각을 제시하지 않고 있다. 다수의 이스라엘인은 1967년 이전 국경으로 회귀하는 것에 반대하고 있으며, 2011년 한 연구에서는 이스라엘과 주변 아랍 국가의 평화가 보장된다 하더라도 77% 가량의 이스라엘인이 과거 국경으로의 회귀를 반대한다는 결과가 나왔다.[72]
3. 1. 이스라엘의 정착촌 문제
이스라엘 정부는 제3차 중동 전쟁에서 획득한 점령지에 유대인 정착촌을 건설하고, 유대인의 유입은 허용하는 반면 팔레스타인 난민 등 비유대인의 유입은 엄격히 제한했다. 또한 사회 기반 시설에서도 정착민인 유대인에게는 편의를 제공하고, 선주민인 아랍인에게는 손실을 주는 차별 정책을 펼치고 있다.[39]국제 사회는 점령 세력이 자국 시민을 점령 지역으로 이주시키는 것을 금지한 제네바 제4협약 제49조 위반 등을 근거로, 1967년 이후 이스라엘이 점령한 영토에서의 정착촌 건설을 국제법 위반으로 간주하고 철수를 요구하고 있다.[39] 국제 연합 안전 보장 이사회 결의 242에서도 "최근 전투에서의 점령 지역으로부터의 이스라엘 철수"가 결의되어 "그린 라인"으로 복귀해야 함이 확인되었다.[39]
3. 2. 요르단강 서안 지구 분리 장벽
2002년부터 이스라엘이 요르단강 서안 지구 분리 장벽을 건설하고 있는데, 일부 구간은 유대인 정착촌을 둘러싸기 위해 그린 라인보다 팔레스타인 쪽에 들어가 있다. 이는 유대인 정착촌을 영구적인 이스라엘 영토로 만들기 위한 기정사실화라는 비판이 있다.4. 영향
그린 라인은 이스라엘과 주변국 간의 국경이 아닌 군사 분계선으로, 1948년 전쟁 당시의 전선에 해당한다.[44] 그린 라인 설정 시 군사적 이점을 중점으로 고려했기 때문에, 인구 밀집 지역을 통과하며 도시와 마을을 분할하고 농부와 농지를 분리하는 결과를 초래했다.[55] 예루살렘은 동예루살렘과 서예루살렘으로 나뉘었다.[55] 이러한 문제점들로 인해 그린 라인은 소규모 조정이 이루어졌고, 일부 지역에서는 제한적인 이동을 위한 특수 협의가 맺어지기도 했다.[55]
1967년 제3차 중동 전쟁 이후, 이스라엘이 그린 라인 바깥 영토를 점령하면서 분계선은 군사적으로는 의미가 없어졌지만, 정치적, 법적, 행정적으로는 여전히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이스라엘은 그린 라인 바깥 영토를 점령지로 간주하여 자국 행정 체계에 편입하지 않았으며, 이 지역은 이스라엘 방위군이나 팔레스타인 자치 정부가 관리한다.[50][51]
하지만 예루살렘의 경우, 1980년 예루살렘법을 통해 이스라엘이 "통일된 예루살렘"을 수도로 선포하면서 예외가 발생했다.[52][53] 이 주장은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및 국제사회에서 인정받지 못하고 있으며,[52][53] 현재까지도 그린 라인은 동예루살렘과 서예루살렘을 나누고 있다. 골란고원 또한 1981년 골란고원법을 통해 이스라엘에 합병되었지만, 이 역시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에서 무효로 선언되었다.[54]
4. 1. 유대인 인구
1947년부터 1948년까지 전쟁 기간 동안 구시가 등 그린 라인 동쪽 지방에 살던 유대인들은 요르단의 포로로 잡혔다. 구쉬 에치온의 방어군은 학살을 겪기도 했다. 포로들은 전쟁 이후 이스라엘로 귀환하였다.[50] 1948년 7월 8일, 이집트와 요르단의 군사적 압력으로 인해, 크파 다롬과 나하라임의 유대인들이 대피하기도 했다.제3차 중동 전쟁 승리 이후, 이스라엘은 그린 라인의 남쪽 및 동쪽에 새 정착촌을 건설하였으며, 다른 국가들의 강한 비판을 받고 있다. 이스라엘인 다수는 이 새 정착촌이 이스라엘의 안보에 중요하다고 생각하여 지지하지만, 경제적인 부담이 됨과 동시에 평화를 가로막고 있다는 데도 동의한다.[57]
2005년 8월부터 9월까지 이스라엘은 독자적인 이탈 작전을 실행하여, 가자 지구의 유대인 전체가 탈출하였다. 2006년 에후드 올메르트는 필요하다면 서안 지구에서도 탈출하겠다는 계획을 주장하였다.
4. 2. 아랍인 인구
1948년 전쟁 당시 이스라엘 측에 거주했던 팔레스타인 아랍인 다수는 팔레스타인에서 탈출하거나 추방되었는데, 그 수가 약 72만 명에 달했다.[50] 남았던 사람들은 이스라엘 시민권을 받았으며, 현재 이스라엘 시민권 보유자 중 약 20%를 차지한다.[50] 흔히 "삼각형"이라 불리는 움 알팜-바카 알가르비에-티라 지역은 원래 요르단 관할이었으나, 이스라엘은 군사전략적 이점을 이유로 이 지역을 그린 라인 안쪽으로 포함시키고자 했다.[50] 이를 위해 이스라엘은 영토 교환을 제안했고, 결국 삼각형 지역을 받는 대신 헤브론 남쪽 언덕을 요르단에 할양했다.[50]제3차 중동 전쟁 이후 이스라엘이 그린 라인 바깥에서 점령한 영토에는 1947년~1949년 기간에 넘어온 팔레스타인인을 포함하여 100만 명이 넘는 아랍 인구가 거주하고 있었다.[58] 예루살렘을 제외하고, 그린 라인은 현재도 이스라엘과 바깥 영토를 행정적으로 나누는 경계로서의 역할을 하고 있다.
5. 그린 라인의 물리적 및 사회적 인식
히브리 대학교의 지리학자 일란 살로몬에 따르면, 그린 라인은 우주에서도 알아볼 수 있다. 그린 라인은 유대 민족 기금이 이스라엘 영토 경계를 표시하기 위해 심은 소나무 숲 모양으로 식별할 수 있다. 살로몬과 라리사 플래시먼은 2006년 이스라엘 학생들이 그린 라인을 얼마나 알고 있는지 연구했는데, 3분의 1 이하만이 그린 라인의 위치를 알아볼 수 있었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자신의 정치 성향이 좌익 계열이라고 말할수록 서안 지구와 가자 지구의 위치를 더 잘 알고 있으며, 그린 라인의 위치와 현재 상태 또한 더 자세히 알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74]
참조
[1]
학술지
Custodians and Redeemers: Israeli Leaders' Perceptions of Peace, 1967-79
https://www.jstor.or[...]
1986
[2]
뉴스
Netanyahu Coalition to Recognize, Fund W. Bank Settlements Lacking Official Status
https://www.haaretz.[...]
2023-08-18
[3]
웹사이트
Human rights situation in the OPT - Sp. Rapporteur (Dugard) - Report, SecGen note
https://www.un.org/u[...]
2023-08-18
[4]
서적
Islam in history: ideas, people, and events in the Middle East
https://books.google[...]
Open Court Publishing
[5]
웹사이트
Egypt Israel
https://unispal.un.o[...]
[6]
뉴스
Obama calls for Israel's return to pre-1967 borders
http://www.cnn.com/2[...]
CNN
2011-05-19
[7]
뉴스
Palestinian leader Abbas affirms hope for state in pre-1967 lines
https://www.bbc.co.u[...]
2012-11-02
[8]
웹사이트
The Committee on the Exercise of the Inalienable Rights of the Palestinian People (CEIRPP) is mandated by the UN General Assembly to (...) support the peace process for the achievement of the two-State solution on the basis of pre-1967 borders...
https://unispal.un.o[...]
[9]
문서
A/RES/67/120 Israeli settlements in the Occupied Palestinian Territory, including East Jerusalem, and the occupied Syrian Golan
https://www.un.org/e[...]
Resolution adopted by the General Assembly
2012-12-18
[10]
웹사이트
Glossary: Israel
http://lcweb2.loc.go[...]
Library of Congress Country Studies
[11]
웹사이트
Where is the Green Line
https://www.am-oved.[...]
2005
[12]
뉴스
What is the Green Line
http://www.haaretz.c[...]
Haaretz
2006-07-21
[13]
서적
Handbook of International Law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21-02-20
[14]
학술지
Has Israel Annexed East Jerusalem?
http://www.mepc.org/[...]
2007-07-08
[15]
서적
Just or unjust war? International Law and Unilateral Use of Armed Force by States at the Turn of the 20th Century
https://books.google[...]
Ashgate Publishing
2017-08-11
[16]
뉴스
The green line
http://www.bitterlem[...]
Palestinian–Israeli crossfire
2003-02-24
[17]
서적
The Politics of Partition; King Abdullah, The Zionists, and Palestine 1921–1951
Oxford University Press
[18]
뉴스
סקר: יותר ישראלים רואים במתנחלים "מכשול לשלום"
http://news.walla.co[...]
2016-10-10
[19]
웹사이트
Israel: 1967 and Afterward
http://countrystudie[...]
Library of Congress Country Studies
[20]
웹사이트
S/RES/476 (1980) of 30 June 1980
http://domino.un.org[...]
2015-10-01
[21]
뉴스
The Golan Heights Annexed by Israel in an Abrupt Move
https://www.nytimes.[...]
2015-10-01
[22]
웹사이트
Golan Heights Law - Center for Israel Education
http://israeled.org/[...]
2015-10-01
[23]
웹사이트
S/RES/497 (1981) of 17 December 1981
https://unispal.un.o[...]
2015-10-01
[24]
웹사이트
Erasure of the Green Line
https://www.akevot.o[...]
Institute for Israeli-Palestinian Conflict Research
2021-09-15
[25]
문서
Survey of Israel, 1:50,000 map series, 1965–1970.
[26]
뉴스
Why Israel Secretly Decided to Erase the Green Line
https://www.haaretz.[...]
2022-09-09
[27]
뉴스
Tel Aviv and the Israeli Government Spar Over School Maps Showing 1967 Borders
https://www.haaretz.[...]
2022-08-23
[28]
학술지
What weight to conquest?
[29]
학술지
The International Consensus on the Palestine Question
https://www.jstor.or[...]
[30]
웹사이트
Parallel Realities - Resolution 242 And The Aftermath Of 1967 {{!}} Shattered Dreams Of Peace
https://www.pbs.org/[...]
[31]
웹사이트
Draft Resolution 'The Middle East problem', Security Council document S/11940, 23 January 1976
http://www.mfa.gov.i[...]
Israel Ministry of Foreign Affairs
[32]
서적
The Fateful Triangle: The United States, Israel and the Palestinians
South End Press
[33]
뉴스
Hamas ready to accept 1967 borders
http://english.aljaz[...]
Al Jazeera
2008-04-22
[34]
뉴스
Haniyeh: Hamas willing to accept Palestinian state with 1967 borders
http://www.haaretz.c[...]
2021-02-20
[35]
뉴스
Palestinian rivals: Fatah & Hamas
http://news.bbc.co.u[...]
2011-07-28
[36]
웹사이트
Poll: 77% of Israelis oppose going back to pre-'67 lines
http://www.jpost.com[...]
Jerusalem Post
2015-06-16
[37]
서적
Bearing Witness - Eight Weeks in Palestine
Metete
[38]
뉴스
Putting back the Green Line – once we find it
http://www.haaretz.c[...]
Haaretz
2006-12-08
[39]
뉴스
(中東マガジン)中東リポート【オスロ合意20年】パレスチナ分割抗争の問題点と消えた連邦案の見直し
朝日新聞社
2013-09-10
[40]
웹사이트
S/1264/Corr.1 of 23 February 1949
https://unispal.un.o[...]
2024-03-23
[41]
뉴스
"[이스라엘건국70년](上)中東最強ユダヤ国家(連載)"
読売新聞社
2018-05-09
[42]
문서
Custodians and Redeemers: Israeli Leaders' Perceptions of Peace, 1967–79
https://www.jstor.or[...]
1986
[43]
문서
Glossary: Israel
http://lcweb2.loc.go[...]
Library of Congress Country Studies
[44]
서적
Islam in history: ideas, people, and events in the Middle East
https://books.google[...]
Open Court Publishing
[45]
웹사이트
Egypt Israel
https://unispal.un.o[...]
1949-02-23
[46]
뉴스
Obama calls for Israel's return to pre-1967 borders
http://www.cnn.com/2[...]
CNN
2011-05-19
[47]
뉴스
Palestinian leader Abbas affirms hope for state in pre-1967 lines
https://www.bbc.co.u[...]
BBC News
2012-11-02
[48]
웹사이트
The Committee on the Exercise of the Inalienable Rights of the Palestinian People (CEIRPP) is mandated by the UN General Assembly to (...) support the peace process for the achievement of the two-State solution on the basis of pre-1967 borders...
https://unispal.un.o[...]
[49]
문서
A/RES/67/120 Israeli settlements in the Occupied Palestinian Territory, including East Jerusalem, and the occupied Syrian Golan
https://www.un.org/e[...]
[50]
문서
Where is the Green Line
http://www.am-oved.c[...]
2005
[51]
뉴스
What is the Green Line
http://www.haaretz.c[...]
Haaretz
2006-07-21
[52]
서적
Handbook of International Law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21-02-20
[53]
저널
Has Israel Annexed East Jerusalem?
http://www.mepc.org/[...]
2007-07-08
[54]
서적
Just or unjust war? International Law and Unilateral Use of Armed Force by States at the Turn of the 20th Century
https://books.google[...]
Ashgate Publishing
2017-08-11
[55]
문서
The green line
http://www.bitterlem[...]
2003-02-24
[56]
서적
The Politics of Partition; King Abdullah, The Zionists, and Palestine 1921–1951
Oxford University Press
[57]
뉴스
סקר: יותר ישראלים רואים במתנחלים "מכשול לשלום"
http://news.walla.co[...]
2016-06-11
[58]
문서
Israel: 1967 and Afterward
http://countrystudie[...]
Library of Congress Country Studies
[59]
웹인용
S/RES/476 (1980) of 30 June 1980
http://domino.un.org[...]
2015-10-01
[60]
웹인용
The Golan Heights Annexed by Israel in an Abrupt Move
https://www.nytimes.[...]
2015-10-01
[61]
웹인용
Golan Heights Law - Center for Israel Education
http://israeled.org/[...]
2015-10-01
[62]
웹인용
S/RES/497 (1981) of 17 December 1981
https://unispal.un.o[...]
2015-10-01
[63]
웹인용
Erasure of the Green Line
https://www.akevot.o[...]
2021-09-15
[64]
간행물
Survey of Israel, 1:50,000 map series
1965-1970
[65]
저널
What weight to conquest?
https://archive.org/[...]
[66]
저널
The International Consensus on the Palestine Question
https://www.jstor.or[...]
1987
[67]
뉴스
Resolution 242 and the Aftermath of 1967
https://www.pbs.org/[...]
PBS/Star Tribune
1992
[68]
웹사이트
Draft Resolution 'The Middle East problem', Security Council document S/11940, 23 January 1976
http://www.mfa.gov.i[...]
Israel Ministry of Foreign Affairs
[69]
뉴스
Hamas ready to accept 1967 borders
http://english.aljaz[...]
Al Jazeera
2008-04-22
[70]
뉴스
Haniyeh: Hamas willing to accept Palestinian state with 1967 borders
http://www.haaretz.c[...]
2021-02-20
[71]
뉴스
Middle East
http://news.bbc.co.u[...]
BBC
2011-07-28
[72]
웹인용
Poll: 77% of Israelis oppose going back to pre-'67 lines
http://www.jpost.com[...]
Jerusalem Post
2015-06-16
[73]
서적
Bearing Witness - Eight Weeks in Palestine
Metete
[74]
뉴스
Putting back the Green Line – once we find it
http://www.haaretz.c[...]
Haaretz
2006-12-0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