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금각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금각만(Haliç)은 알리베이 강과 카으타네 시내가 합류하는 하구로, 보스포러스 해협으로 유입되는 7.5km 길이의 만이다. 고대부터 천혜의 항구로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비잔티움 제국과 오스만 제국 시대를 거치며 전략적, 경제적으로 중요한 지역이었다. 현재 금각만에는 여러 개의 다리가 건설되어 있으며, 주변 지역은 공업, 주택, 공원 등으로 개발되었다. 또한 레오나르도 다 빈치와 미켈란젤로가 다리 건설을 제안한 기록이 전해지며, 테르사네 이스탄불 프로젝트를 통해 재개발이 진행 중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삼각강 - 지롱드강
    지롱드강은 프랑스 남서부의 가론강과 도르도뉴강이 합류하여 65km 길이의 하구를 이루며 비스케이만으로 흘러드는 강으로, 보르도 와인 산업의 중심지를 관통하고 여러 섬들이 존재하며 역사적, 경제적, 문화적으로 중요한 역할을 한다.
  • 삼각강 - 험버강
    험버강은 잉글랜드 동해안에 위치한 강어귀로, 우스 강과 트렌트 강이 합류하여 형성되었으며, 역사적 경계, 군사적 요충지, 험버 다리, 그리고 다양한 생태계를 특징으로 한다.
금각만
지리 정보
일반 정보
명칭금각만
별칭할리치
로마자 표기Haliç
그리스어Χρυσόκερας (Chrysókeras)
라틴어Sinus Ceratinus
위치
국가터키
도시이스탄불
수역보스포루스 해협의 주요 유입구
역사
설명이스탄불의 역사적 중심지를 정의하는 역할을 함
교통
대중 교통이스탄불 트램 T5 선이 해안선을 따라 운행
할리치 지하철 다리가 만을 가로지름

2. 지리

금각만(Golden Horn)은 알리베이 강(Alibey River)과 카으타네 시내(Kâğıthane Creek)가 합류하는 하구이다. 길이는 약 7.5km이고, 가장 넓은 곳의 폭은 약 750m이다. 보스포루스 해협(Bosphorus)으로 흘러 들어가는 지점의 최대 수심은 약 35m이다.[13] "뿔"이라는 명칭은 상공에서 본 하구의 모습을 가리키는 것으로 보이지만, "황금"이라는 명칭의 의미는 더 모호하다. 역사가들은 번화했던 역사적 항구를 통해 도시로 유입된 부(富)를 가리키는 것인지, 해가 질 때 하구의 물에 비치는 황금빛 햇살에 대한 낭만적인 해석인지에 대해 의견이 분분하다.[13] 그리스어와 영어 이름은 같은 의미를 지니지만, 터키어 이름인 Haliç는 단순히 "하구"를 의미하며, 만을 의미하는 아랍어 단어 ''khaleej''에서 유래했다.[13]

그리스 신화에서 "암소의 도하"를 의미하는 보스포루스 해협에서 유럽 대륙으로 ""처럼 깊숙이 들어온 동서로 긴 만이다. 이 해협의 남서쪽 마르마라 해로 이어지는 입구에 위치하여 천혜의 좋은 항구를 이루고 있다. 남쪽에는 고대 그리스비잔티움 터인 이스탄불 구시가지가 있고, 북쪽에는 동로마 제국오스만 제국 시대에 서구 상인과 사절들의 거주지였던 갈라타 마을이 있다.[13]

현재 금각만에는 네 개의 다리가 놓여 있다. 상류에서 하류(즉, 북서쪽에서 남동쪽) 순서는 다음과 같다.

이름완공 연도연결 지역
할리치 다리(Haliç Bridge)1974년쉬틀뤼체(Sütlüce) - 데프테르다르(Defterdar)
아타튀르크 다리(Atatürk Bridge) (운카파니 다리)1940년카심파샤(Kasımpaşa) - 운카파니(Unkapanı)
금각만 지하철 다리(Golden Horn Metro Bridge)2014년보행자 전용 철도 교량, 이스탄불 지하철(Istanbul Metro) M2호선 연장
갈라타 다리(Galata Bridge) (1994년 완공된 5번째 다리)1994년카라쾨이(Karaköy) - 에미뇌뉘(Eminönü)



에스키 갈라타 다리(Eski Galata Bridge)](옛 갈라타 다리)는 이전에는 카라쾨이(Karaköy)와 에미뇌뉘(Eminönü)를 연결했지만, 1992년 화재로 심각한 피해를 입어 아이반사라이(Ayvansaray)와 케체치 피리(Keçeci Piri) 사이로 이전되었다. 1912년에 건설된 이 다리는 현재 차량이나 보행자 통행에 사용되지 않고, 할리치 공원(Haliç Park)에 부속된 계절별 야외 전시 및 행사 공간으로 활용되고 있다.[13]

1836년 남쪽 해안 구시가지 에미뇌뉘 지역과 북쪽 해안 갈라타 지역 사이에 도개교인 갈라타 다리가 건설되면서 북쪽 해안의 신시가지로서의 발전을 촉진했다. 다리에서 낚싯줄을 드리워 낚은 고등어를 구워 빵에 넣은 샌드위치(고등어 샌드위치)는 금각만의 명물이었지만, 2004년 경관을 해친다는 이유로 없어졌다. 현재는 아타튀르크 다리와 할리치 다리가 더 건설되었고, 금각만 연안은 공업·주택·공원 지역으로 개발되고 있다.[13]

레오나르도 다 빈치와 미켈란젤로는 각각 오스만 궁정에 금각만의 다리 건설 계획을 제안한 기록이 있다. 다 빈치는 1502년 또는 1503년 7월 바야지트 2세(재위 1481-1512년)에게 다리 건설 계획서를 보냈다. 미켈란젤로는 1505년 바야지트 궁정에 다리 건설 계획을 제안하려 했으나 당시 로마 황제와의 불화가 해소되면서 계획은 실현되지 않았다. 그 후 1519년에는 미켈란젤로 초빙 계획이 제기되었다.[13]

2. 1. 연안 지역

금각만 서쪽 해안에는 남쪽에서 북쪽으로 시발리(Cibali), 페네르(Fener), 발라트(Balat), 아이반사라이(Ayvansaray), 에위프(Eyüp), 실라타라가(Silahtarağa), 사카랴(Sakarya), 알리베이쾨이(Alibeyköy) 지역이 있다. 동쪽 해안에는 남쪽에서 북쪽으로 카심파샤(Kasımpaşa), 하스쾨이(Hasköy), 쉬틀뤼체(Sütlüce) 지역이 있다.

1453년 오스만 제국메흐메트 2세콘스탄티노폴리스를 정복한 후(콘스탄티노폴리스 함락), 금각만 남서쪽 해안(이스탄불 구시가지 북서쪽 모퉁이)의 파나리(터키어로 페넬) 지역에 정교회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청이 옮겨지면서 이 지역은 기독교도들이 집중적으로 거주하는 지역이 되었다. 이 지역 출신으로 부유한 상인이 되어 오스만 제국 관료로 일하며 통역관이나 왈라키아 공국, 몰다비아 공국의 통치자로 임명된 사람들은 "파나리오티스(파나리 사람들)"이라고 불렸다.

3. 역사

페라(Beyoğlu)에서 본 세라글리오곶(Seraglio Point). 보스포루스 해협(왼쪽), 황금뿔(중앙 및 오른쪽) 입구, 그리고 지평선 너머의 프린세스 제도(Princes' Islands)가 있는 마르마라 해(Sea of Marmara)(멀리)


고고학적 기록에 따르면 기원전 7세기부터 금각만과 그 주변 지역에 상당한 규모의 도시가 존재했음을 보여준다. 최근 이스탄불 지하철 예니카피 역과 마르마라이 터널 프로젝트 건설 중 발굴된 고대 항구, 저장 시설, 무역선 함대를 통해 기원전 6700년까지 거슬러 올라가는 소규모 정착지의 존재가 확인되었다.[2][4][5]

금각만이 제공하는 깊은 천연 항구는 이 지역 주민들에게 주요 경제적 매력과 전략적 군사적 이점을 제공했다. 콘스탄티누스 1세비잔티움 위에 노바 로마(후에 콘스탄티노플)를 건설하여 이러한 이점을 활용했으며, 이전 정착지의 건설자들과 그 현대 후계 도시인 이스탄불도 마찬가지였다.

1453년 오스만 제국메흐메트 2세콘스탄티노폴리스를 정복하면서 (콘스탄티노폴리스 함락) 금각만 남서쪽 해안(이스탄불 구시가지 북서쪽 모퉁이)의 파나리(터키어로 페네르) 지역에 정교회의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청이 이전되었고, 이후 이 지역은 기독교도들이 집중적으로 거주하는 지역이 되었다.

1836년 남쪽 해안 구시가지 에미뇌뉘 지역과 북쪽 해안 갈라타 지역 사이에 도개교인 갈라타 다리가 건설되면서 북쪽 해안의 신시가지로서의 발전이 촉진되었다.

3. 1. 비잔티움 제국

비잔티움 제국은 해군 본부를 금각만에 두었고, 해상 공격으로부터 콘스탄티노플을 보호하기 위해 해안선을 따라 성벽을 건설했다.

금각만으로 들어오는 함대를 막는 철쇠 사슬(12세기 마드리드 스킬리체스에 묘사됨)


금각만 북쪽 입구에는 원치 않는 배의 진입을 막기 위해 콘스탄티노플에서 갈라타 옛 탑까지 거대한 사슬이 걸쳐져 있었다. 비잔티움 제국 사람들에게 "메갈로스 피르고스"(Μεγάλος Πύργος|메갈로스 피르고스grc)로 알려진 이 탑은 1204년 4차 십자군 전쟁 당시 라틴 십자군에 의해 대부분 파괴되었다. 1348년 제노바 공화국은 그 근처에 새로운 탑을 세우고 "크리스테아 투리스"(Christea Turris|크리스테아 투리스la)라고 불렀는데, 현재는 갈라타 탑으로 불린다.

금각만을 가로지르는 사슬이 끊어지거나 우회된 세 가지 주목할 만한 사례가 있다. 10세기에는 키예프 루스보스포루스 해협에서 갈라타를 돌아 금각만으로 배를 옮겨 진입하려 했으나, 비잔티움 제국군이 그리스의 불로 그들을 물리쳤다. 1204년 4차 십자군 전쟁 중에는 베네치아 함대가 쇄파로 사슬을 끊는 데 성공했다. 1453년 오스만 제국메흐메트 2세는 무력으로 사슬을 끊는 데 실패하자, 키예프 루스와 같은 전술을 사용하여 배를 갈라타를 지나 윤활유를 바른 통나무 위로 끌어 금각만으로 진입시켰다.[2][4][5]

3. 2. 오스만 제국

1453년 오스만 제국메흐메트 2세콘스탄티노폴리스를 정복하면서 (콘스탄티노폴리스 함락) 금각만 남서쪽 해안(이스탄불 구시가지 북서쪽 모퉁이)의 파나리(터키어로 페네르) 지역에 정교회의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청이 이전되었다. 이후 이 지역은 기독교도들이 집중적으로 거주하는 지역이 되었다.[6] 이 지역 출신의 부유한 상인들은 오스만 제국 관료로 일하며 통역관이나 왈라키아 공국, 몰다비아 공국의 통치자로 임명되었는데, 이들을 "파나리오티스(파나리 사람들)"이라고 불렀다.

바예지드 2세는 알함브라 칙령에 따라 스페인에서 추방된 유대인들을 발라트에 재정착시켜 이 지역의 인구를 다시 증가시켰다.[6]

레오나르도 다 빈치는 1502년 바야지트 2세를 위한 토목 공학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금각만을 가로지르는 길이 240m의 단일 경간 다리 설계도를 제작했다. 레오나르도의 다리 설계도와 메모는 현재 이탈리아 밀라노에 있는 레오나르도 다 빈치 과학기술 박물관에 전시되어 있다. 원래 설계는 실행되지 않았지만, 2001년 노르웨이에서 베브예른 산드가 레오나르도의 설계를 기반으로 한 작은 보행자 다리를 건설하면서 레오나르도의 금각만 다리 비전이 부활했다.

미켈란젤로는 1505년 바야지트 궁정에 다리 건설 계획을 제안하려 했으나, 당시 로마 교황과의 불화가 해소되면서 계획은 실현되지 않았다. 그 후 1519년에는 미켈란젤로 초빙 계획이 제기되었다.[13]

3. 3. 다리 건설

현재 금각만에는 네 개의 다리가 놓여 있다. 상류에서 하류(즉, 북서쪽에서 남동쪽) 순으로 나열하면 다음과 같다.

  • 할리치 다리(Haliç Bridge): 1974년 완공되었으며, 쉬틀뤼체(Sütlüce)와 데프테르다르(Defterdar) 지역을 연결한다.
  • 아타튀르크 다리(Atatürk Bridge) (운카파니 다리(Unkapanı Bridge)라고도 함): 1940년 완공되었으며, 카심파샤(Kasımpaşa)와 운카파니(Unkapanı)를 연결한다.
  • 금각만 지하철 다리(Golden Horn Metro Bridge): 2014년에 완공된 보행자 전용 철도 교량으로, 이스탄불 지하철(Istanbul Metro)의 M2호선을 금각만 너머로 연장한다.
  • 갈라타 다리(Galata Bridge) (1994년 완공된 5번째 다리): 카라쾨이(Karaköy)와 에미뇌뉘(Eminönü)를 연결한다.


에스키 갈라타 다리(Eski Galata Bridge) (직역하면 "옛 갈라타 다리")는 이전에는 하류 지역인 카라쾨이(Karaköy)와 에미뇌뉘(Eminönü)를 연결했으나, 1992년 다리 아래층 레스토랑 주방에서 발생한 화재로 심각한 피해를 입고 분해되어 상류의 아이반사라이(Ayvansaray)와 케체치 피리(Keçeci Piri) 사이로 이전되었다. 1912년에 건설된 이 다리는 현재 차량이나 보행자 통행에 사용되지 않으며, 할리치 공원(Haliç Park)에 부속된 계절별 야외 전시 및 행사 공간으로 활용되고 있다.

1836년, 남쪽 해안 구시가지 에미뇌뉘 지역과 북쪽 해안 갈라타 지역 사이에 도개교인 갈라타 다리가 건설되면서 북쪽 해안은 신시가지로서 발전을 촉진했다.

레오나르도 다 빈치와 미켈란젤로는 각각 오스만 궁정에 금각만 다리 건설 계획을 제안한 기록이 전해진다. 다 빈치는 1502년 또는 1503년 7월 바야지트 2세 (재위 1481-1512년)에게 다리 건설 계획서를 보냈고, 미켈란젤로는 1505년 정치적 망명을 고려하여 바야지트 궁정에 다리 건설 계획을 제안하려 했으나 당시 로마 교황과의 불화가 해소되면서 무산되었다. 그 후 1519년에는 미켈란젤로 초빙 계획이 다시 제기되기도 했다.[13]

3. 4. 현대

1836년 남쪽 해안 구시가지 에미뇌뉘 지역과 북쪽 해안 갈라타 지역 사이에 도개교인 갈라타 다리가 건설되면서 북쪽 해안의 신시가지로서의 발전을 촉진했다. 다리에서 낚싯줄을 드리워 낚은 고등어를 구워 빵에 넣은 샌드위치(고등어 샌드위치)는 금각만의 명물이었지만, 2004년 경관을 해친다는 이유로 없어져 버렸다. 현재는 아타튀르크 다리와 할리치 다리가 더 건설되었고, 금각만 연안은 공업·주택·공원 지역으로 개발되고 있다.

금각만의 다리 건설에 대해서는, 레오나르도 다 빈치와 미켈란젤로 두 사람이 각각 오스만 궁정에 다리 건설 계획을 제안한 기록이 전해진다. 다 빈치는 1502년 또는 1503년 7월 바야지트 2세(재위 1481-1512년)에게 다리 건설 계획서를 보냈다. 미켈란젤로는 정치적 망명을 고려하여 1505년 바야지트 궁정에 다리 건설 계획을 제안하려 했으나 당시 로마 황제와의 불화가 해소되면서 계획은 실현되지 않았다. 그 후 1519년에는 미켈란젤로 초빙 계획이 제기되었다.[13]

4. 테르사네 이스탄불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조선소라고 주장되는 할리치 조선소(tur Haliç Tersanesi)는 1455년 메흐메트 2세 술탄에 의해 설립되었다. 이곳은 1960년대까지 조선과 수리 모두를 위해 운영되었지만, 그 후 방치되었다. 이 부지는 현재 호텔, 박물관, 미술관, 상점, 레스토랑을 매우 낙후된 지역에 가져올 거대한 테르사네 이스탄불 프로젝트로 재개발되고 있다. 2019년 2월 레제프 타이이프 에르도안 대통령은 프로젝트 시작을 발표했으며([1]), 2021년 10월 현대 이스탄불 미술품 박람회가 그곳에서 개최되면서 개장을 시작했다([2]). 사드베르크 하님 박물관이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사리예르에서 테르사네 이스탄불로 이전될 예정이다.

5. 문화

금각만은 여러 문학 작품에서 고전적인 주제로 다루어졌다. 예를 들어 G. K. 체스터턴의 시 레판토에는 "환상적인 저녁 섬에서 스페인의 총성이 희미하게 들리고, / 금각만 위의 주님께서는 태양 아래서 웃고 계시네"라는 2행시가 있다.[13]

1836년 갈라타 다리가 건설되면서 북쪽 해안이 신시가지로 발전하게 되었다. 이 다리 위에서 낚시로 잡은 고등어를 구워 빵에 넣은 고등어 샌드위치는 금각만의 명물이었으나, 2004년 경관을 해친다는 이유로 사라졌다.[13]

참조

[1] 사진 Aerial view of Istanbul http://www.istanbulp[...] Turkey Picturedatabase
[2] 뉴스 Istanbul's ancient past unearthed http://news.bbc.co.u[...] BBC 2007-01-10
[3] 웹사이트 Istanbul opens fourth tram line at the Golden Horn https://www.urban-tr[...] 2022-06-09
[4] 뉴스 Bu keşif tarihi değiştirir http://www.hurriyet.[...] Hürriyet 2008-10-02
[5] 사진 Photos from the Neolithic site, circa 6500 BC http://fotogaleri.hu[...] Hürriyet
[6] 웹사이트 Top 5 things to do in Istanbul https://web.archive.[...] 2013-01-01
[7] 문서 Water Quality Management: Case Study of Golden Horn (Halic) – Istanbul-Turkey http://www.coastlear[...]
[8] 논문 Restoration of the Golden Horn Estuary (Halic)
[9] 웹사이트 How Istanbul's wounded Golden Horn became Turkey's success story https://www.trtworld[...] 2022-06-09
[10] 웹사이트 İstanbul to surpass Paris in number of tourists https://web.archive.[...] 2015-03-15
[11] 웹사이트 Erdogan breaks ground for Tersane Istanbul https://www.aa.com.t[...] 2022-06-09
[12] Youtube Contemporary Istanbul presents its 16th edition at Tersane Istanbul https://www.youtube.[...] 2022-06-09
[13] 서적 レオナルド・ダ・ビンチの金角湾架橋プロジェクト 明石書店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