급진시민연합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급진시민연합(UCR)은 아르헨티나의 주요 정당으로, 1891년 시민 연합에서 분리되어 창당되었다. '급진적'이라는 명칭은 보편적 남성 보통 선거권을 요구하던 시대적 배경을 반영한다. UCR은 이폴리토 이리고옌 대통령 시기(1916-1930)에 민주주의 발전에 기여했으나, 이후 군부 쿠데타와 페론주의의 부상으로 어려움을 겪었다. 1983년 라울 알폰신 대통령 당선으로 민주화 시대를 열었으며, 2015년에는 캄비에모스 연립 여당에 참여하여 정권 교체를 이끌었다. UCR은 중도주의, 자유주의, 사회 자유주의 등 다양한 이념적 스펙트럼을 포괄하며, 역사적으로 여러 분파로 나뉘어 발전해 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891년 설립된 정당 - 인민당 (미국)
19세기 후반 미국 농민들의 불만을 배경으로 탄생한 인민당은 철도 및 은행 횡포에 대한 정부 규제 강화, 철도 국유화, 은본위제 도입 등을 주장하며 급부상했으나, 1896년 민주당 대통령 후보 지지 후 쇠퇴하였다. - 1891년 설립된 정당 - 오스트레일리아 노동당
오스트레일리아 노동당은 노동 운동을 기반으로 창당되어 세계 최초로 선출된 노동당 다수 정부를 구성한 오스트레일리아의 중도좌파 정당으로, 사회민주주의 노선을 표방하며 사회 복지 정책을 강조하고, 2022년 총선에서 승리하여 현재 앤서니 앨버니지가 당 대표 및 총리직을 맡고 있다. - 아르헨티나의 정당 - 사회당 (아르헨티나)
아르헨티나 사회당은 1896년 창당되어 아르헨티나 사회주의 운동에 큰 영향을 미쳤으나, 분열과 재통합을 거쳐 현재는 사회민주주의 노선을 표방하며 국제 사회주의 단체들과 협력하고 있다. - 아르헨티나의 정당 - 단방당
단방당은 19세기 초 아르헨티나에서 중앙집권주의를 옹호한 정치 세력으로, 부에노스아이레스 주를 중심으로 자유주의 이념에 영향을 받아 강력한 중앙 정부, 사유 재산, 자유 무역, 외국인 투자 유치를 주장하며 연방주의 세력과 갈등을 겪었다. - 급진주의 정당 - 몽골 인민당
몽골 인민당은 1920년대 외몽골 독립운동에서 시작되어 몽골 인민혁명을 주도, 몽골 인민공화국 건설에 기여했으며, 1990년 민주화 이후 다당제 체제에서 활동하며 사회민주주의 노선을 채택, 몽골 정치에서 주요한 영향력을 행사하고 대통령 선거와 총선에서 여러 차례 승리했으나, 급격한 좌경화와 부정선거 논란 등 격동의 역사를 겪었다. - 급진주의 정당 - 스위스 자유민주당
스위스 자유민주당은 자유민주당과 자유당의 합병으로 탄생한 정당으로, 고전적 자유주의에 기반하여 자유 시장 경제, 개인의 자유와 책임, 작은 정부를 옹호하며, EU 가입에는 반대하지만 양자 협정은 지지하고 스위스의 중립성, 연방제, 직접 민주주의를 수호한다.
급진시민연합 - [정당]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약칭 | UCR |
창립일 | 1891년 6월 26일 |
분리 | 시민 연합 |
본부 | 아르헨티나 부에노스아이레스 아돌포 알시나 1786 |
청년 조직 | 급진 청년 (사회주의 청년 인터내셔널에서 정지됨) |
학생 조직 | Franja Morada |
싱크 탱크 | 알렘 재단 |
당원 수 (2023년) | 1,816,169명 (2위) |
국가 | 없음 |
지역 | COPPPAL |
국제 | 사회주의 인터내셔널 |
![]() | |
웹사이트 | 공식 웹사이트 |
지도부 | |
총재 | 마르틴 루스테아우 |
부총재 | 올가 이네스 브리수엘라 이 도리아 |
하원 대표 | 로드리고 데 로레도 |
상원 대표 | 에두아르도 비스키 |
이념 및 정치적 성향 | |
이념 | 급진주의 자유주의 분파 사회 자유주의 보수 자유주의 사회 민주주의 산업주의 |
정치적 위치 | 중도 ~ 중도좌파 분파 중도우파 사회 자유주의 |
의석 현황 | |
하원 의석수 | 33/257 |
상원 의석수 | 13/72 |
주지사 | 5/24 |
기타 정보 | |
당가 | 급진 행진곡 |
상징색 | 적색 백색 |
2. 역사
급진시민연합(UCR)은 1891년 6월 26일, 바르톨로메 미트레와 레안드로 알렘이 이끌던 시민 연합에서 분리되어 창당되었다. 당명에 포함된 '급진적'이라는 표현은 당시 과두제가 지배하던 아르헨티나에서 보편적 남성 선거권을 요구했기 때문인데, 이는 시대를 앞서나가는 주장이었다.[26] UCR은 창당 초기 국민 자치당 정권에 반대하며 1890년 파르크 혁명 실패 이후에도 1893년과 1905년에 정부 전복을 위한 혁명을 시도했으나 성공하지 못했다.
1912년 사엔스 페냐 법 제정으로 보편적 성인 남성 비밀 선거권이 도입되면서 아르헨티나 정치 지형은 크게 변화했다. 이 새로운 선거 제도 하에서 치러진 1916년 총선에서 UCR은 승리하였고, 당의 지도자 이폴리토 이리고옌이 대통령으로 선출되었다. 이는 아르헨티나 역사상 처음으로 민주적 선거를 통해 집권한 정부였으며, UCR은 이후 마르셀로 T. 데 알베아르 대통령 시기를 포함하여 14년간 집권했다. 그러나 이리고옌의 두 번째 임기 중이던 1930년 9월 6일, 대공황의 여파 속에서 발생한 군부 쿠데타로 UCR 정부는 막을 내렸다. 이는 아르헨티나 현대사 최초의 쿠데타였다.[26]
1930년 쿠데타 이후 UCR은 오랫동안 야당의 길을 걸었다. 1930년대와 1940년대 초반에는 보수당과 군부에 맞섰고, 1940년대 후반부터는 새롭게 부상한 페론주의 세력에 대한 주요 야당 역할을 수행했다. 이 시기 UCR은 노동자 계급의 지지를 상당 부분 페론에게 내주었으나, 페론의 권위주의적 통치에 반대하는 중산층의 목소리를 대변하며 정치적 명맥을 유지했다.
1955년 페론 정권 붕괴 후, UCR은 페론주의 세력과의 관계 설정을 두고 내부 갈등을 겪다 1956년 비타협적 급진 시민 연합(Unión Cívica Radical Intransigente, UCRI)과 인민 급진 시민 연합(Unión Cívica Radical del Pueblo, UCRP)으로 분열되었다. UCRI의 아르투로 프론디시는 1958년 금지된 페론주의자들의 지지를 받아 대통령에 당선되었으나, 군부의 반발로 1962년 쿠데타로 축출되었다. 이후 1963년에는 UCRP의 아르투로 움베르토 일리아가 페론주의 정당이 금지된 선거에서 대통령에 당선되어 경제 성장과 안정적인 통치를 이끌었지만, 그 역시 1966년 군부 쿠데타로 물러나야 했다.
1973년 페론주의 정부가 복귀한 후 UCR은 제2당의 지위를 유지했으나 실질적인 영향력은 제한적이었다. 1976년 또다시 군부 쿠데타가 발생하여 국가 재건 과정이라 불리는 혹독한 군사 독재 시대(1976-1983)가 시작되었고, 이 기간 동안 많은 UCR 당원들이 탄압받고 "실종"되었다.
1983년 군사 독재 종식 후 치러진 첫 민주 선거에서 UCR의 지도자 라울 리카르도 알폰신이 대통령에 당선되었다. 알폰신 정부는 군사 독재 시절의 인권 침해를 조사하고 책임자를 처벌하는 등 민주주의 회복과 국민 화합에 힘썼으며, 이는 아르헨티나 민주주의의 중요한 진전으로 평가받는다.[27] 그러나 극심한 인플레이션 등 경제난을 극복하지 못하고 임기를 단축하여 1989년 퇴임했다.
1997년 UCR은 연대 국가 전선(FREPASO) 등과 연합하여 1999년 대선에서 페르난도 데 라 루아를 대통령으로 당선시켰다. 하지만 국제 통화 기금(IMF)의 권고를 따른 경제 정책 실패는 2001년 국가 부도 사태와 대규모 사회 혼란으로 이어졌고, 데 라 루아 대통령은 결국 임기 중 사임했다. 이 사건은 UCR에게 치명적인 타격을 입혔고, 당은 급격한 쇠퇴의 길을 걸었다.
2001년 이후 UCR은 지지 기반 약화와 당내 분열로 어려움을 겪었다. 2003년 대선에서는 득표율 2.34%라는 참담한 성적을 기록했으며, 이후 선거에서도 과거의 위상을 회복하지 못했다. 당내에서는 키르치네르 정부와의 협력을 주장하는 세력(급진 K파)과 반대하는 세력 간의 노선 갈등이 지속되었다.
2015년, UCR은 보수 성향의 공화주의 제안(PRO), 자유주의 성향의 시민 연합(CC)과 함께 중도우파 선거 연합인 캄비에모스(Cambiemos, '변혁'이라는 뜻)를 결성하는 정치적 결단을 내렸다.[34] 캄비에모스는 2015년 대선에서 승리하여 PRO 소속의 마우리시오 마크리가 대통령에 당선되었고, UCR은 14년 만에 연립 여당으로 복귀했다.[35] 그러나 이 연합은 당의 전통적인 중도 노선과의 괴리로 인해 사회주의 인터내셔널의 비판을 받는 등[36] 당 정체성에 대한 논란을 낳기도 했다. 20세기 아르헨티나 양당제의 한 축을 담당했던 UCR은 21세기 들어 급격한 부침을 겪으며 새로운 활로를 모색하고 있다.
2. 1. 창당과 초기 활동 (1891-1916)

급진시민연합(UCR)은 1891년 6월 26일에 창당되었다. 이 정당은 바르톨로메 미트레와 레안드로 알렘이 이끌던 시민 연합에서 분리되어 나왔다. 당시 아르헨티나는 소수의 과두 세력이 권력을 독점하고 밀실에서 정치를 운영하던 시기였다. 이러한 상황에서 UCR은 보편적 남성 보통 선거권을 요구했는데, 이는 당시로서는 매우 '급진적'인 주장으로 여겨졌다.[26] UCR은 국민 자치당 정권에 반대하며 활동했다.
UCR의 모태가 된 시민 연합은 1890년 미겔 후아레스 셀만 대통령의 조기 퇴진을 목표로 파르크 혁명('Revolución del Parque')을 일으켰으나 실패했다. 그러나 혁명 이후 후아레스 셀만 정부와 타협이 이루어졌다. 이 타협에 반대한 강경파 세력, 특히 알렘의 조카이자 젊고 카리스마 있던 이폴리토 이리고옌을 중심으로 UCR이 결성되었다.
창당 이후 UCR은 보편적 남성 보통 선거권 확보와 정권 획득을 위해 투쟁했다. 1893년과 1905년에는 정부를 전복시키기 위한 혁명을 시도했지만 실패로 돌아갔다.
1912년, 마침내 보편적 성인 남성 선거권에 기반한 자유롭고 공정하며 비밀 투표 방식의 선거 제도가 도입되었다. 이 새로운 선거 제도 하에서 치러진 1916년 총선에서 UCR은 승리했고, 당의 지도자 이폴리토 이리고옌이 대통령으로 선출되었다. UCR은 더 많은 대중의 정치 참여를 보장하고, 국가의 사회 문제를 해결하며 빈곤을 근절하겠다는 공약을 내걸었다.[26]
2. 2. 이리고옌 정부와 민주주의의 시작 (1916-1930)
1910년 로케 사엔스 페냐가 대통령으로 선출되면서 아르헨티나 정치에 변화의 바람이 불기 시작했다. 카를로스 페예그리니와 사엔스 페냐 같은 국민 자치당 내 진보적 인사들은 사회적, 정치적 갈등을 해소하기 위해 제도 개혁의 필요성을 주장했다. 당시 급진시민연합(UCR)은 1905년 혁명 실패 이후 새로운 봉기를 일으킬 힘은 없었지만, 혁명 가능성에 대한 불안감은 사회 전반에 퍼져 있었다.사엔스 페냐는 오랜 개인적 친분이 있던 UCR 지도자 이폴리토 이리고옌과 비밀리에 만나 자유로운 투표를 보장하는 법안 제정에 합의했다. 그 결과 1912년, 모든 성인 남성에게 비밀, 의무 투표권을 부여하는 사엔스 페냐 법이 제정되었다. 이 법은 이전의 공개적이고 조작에 취약했던 "예측 가능한 투표" 시스템을 폐지하고, 유권자의 의사가 외부 압력 없이 반영될 수 있는 비밀 투표를 도입했다는 점에서 아르헨티나 민주주의 발전의 중요한 전환점이 되었다. 다만, 여성의 투표권은 인정되지 않아 완전한 보통선거는 1947년에야 이루어졌다. UCR은 1919년 여성 참정권 법안을 처음 제시하기도 했으나, 당시 보수적인 의회 구조 하에서는 통과되지 못했다.
사엔스 페냐 법 제정 이후 UCR은 오랜 선거 보이콧을 중단하고 1916년 대통령 선거에 참여했다. 이는 아르헨티나 역사상 처음으로 비밀 투표 원칙에 따라 치러진 대선이었다. UCR은 약 37만 표를 얻어 다른 모든 정당의 득표(약 34만 표)를 합친 것보다 많은 지지를 받으며 승리했고, 이폴리토 이리고옌이 대통령으로 당선되었다. 이로써 UCR은 이후 14년간 이어질 집권 시대를 열었으며, 이는 기존 과두 지배 체제에서 소외되었던 중간 계층이 국가 운영에 참여하게 되는 계기가 되었다.
이리고옌의 첫 번째 임기(1916-1922) 동안 여러 개혁 정책이 추진되었다. 국가 주도의 석유 개발을 위해 국영 석유 회사인 YPF를 설립했고, 농촌 지역의 토지 문제를 다루는 새로운 농촌법을 제정했으며, 공공 철도망을 강화했다. 또한 아르헨티나 대학 개혁을 지원하여 고등 교육의 자율성과 접근성을 높이고자 했으며, 국제 사회에서는 강대국의 간섭을 배제하는 자율적인 외교 노선을 추구했다.
노동 문제에 있어서 이리고옌 정부는 8시간 노동제 법안과 일요일 휴무 법안 등을 추진하고, 노동조합과 기업 간의 분쟁에서 중재자 역할을 자처하는 등 노동자의 권익 향상을 위한 일부 조치를 취했다.[58] 그러나 동시에 그의 임기 동안 비극적인 주간, 라 포레스트랄(La Forestal) 학살, 파타고니아 반란 진압 과정에서 수천 명의 노동자가 군경에 의해 학살당하는 사건들이 발생했다. 이는 급진주의가 사회 기층민의 문제를 해결하는 데 한계를 보였으며, 계급 갈등을 외면했다는 비판을 받게 되는 배경이 되었다. 역사학자 할페린 동히는 이 시기 급진 정부가 지역 간 불균형 해소에는 일부 기여했을지 몰라도, 사회적 불평등은 오히려 심화시켰다고 평가하기도 했다.
정치적으로 이리고옌 정부는 임기 내내 의회에서 소수파에 머물렀다. 하원에서는 급진파 의원이 45명에 불과해 반대파 70명에 미치지 못했고, 상원에서는 30명 중 단 4명만이 급진파였다. 이리고옌은 보수 정당뿐 아니라 사회당, 민주진보당 등 새롭게 부상한 대중 정당들과 때로는 대화하고 협상하려 했지만, 동시에 연방 정부의 권한을 이용해 지방 정부에 직접 개입하거나 국정을 개인 중심으로 운영하는 모습을 보여 "개인주의"라는 비판을 받기도 했다. 그의 이러한 통치 방식은 당 내부에서도 반발을 샀다.[26]
1922년 이리고옌은 같은 UCR 소속의 마르셀로 T. 데 알베아르에게 대통령직을 넘겨주었다. 알베아르의 임기(1922-1928) 이후, 이리고옌은 1928년 대선에서 다시 승리하여 두 번째 임기를 시작했다. 그러나 대공황으로 인한 극심한 경제 위기 속에서 1930년 9월 6일, 군부 쿠데타가 발생하여 고령의 이리고옌 대통령은 축출되었다. 이는 아르헨티나 현대사 최초의 쿠데타였으며, 14년간 지속된 UCR의 집권 시대를 폭력적으로 마감시키는 사건이었다.
2. 3. 군부 쿠데타와 페론주의의 등장 (1930-1955)
1930년 9월 6일, 미국의 대공황 여파로 인한 경제 위기 속에서 아르헨티나 현대사 최초의 군부 쿠데타가 발생하여, 당시 고령이었던 이폴리토 이리고옌 대통령이 권좌에서 축출되었다.[26] 이 사건을 기점으로 1958년까지 급진시민연합(UCR)은 주로 야당의 위치에 머물게 되었다. 1930년대부터 1940년대 초반까지는 보수당과 군부에 맞서는 주요 야당 세력이었으며, 1940년대 후반부터 1950년대 초반까지는 새롭게 등장한 페론주의자들에 대한 주요 야당으로서 활동했다.1943년 무렵부터 UCR은 기존의 지지 기반이었던 노동자 계급의 지지를 점차 잃기 시작했다. 이 지지층은 후안 도밍고 페론이 이끄는 페론주의(훗날 정의당으로 발전) 운동으로 흡수되었다. 페론주의가 강력한 세력으로 부상하는 상황 속에서도 UCR은 페론의 권위주의적인 통치 방식에 반대하는 중산층의 목소리를 대변하는 중요한 정치 세력으로서의 역할을 지속했다. 이러한 활동은 1955년 페론 정권이 군부 쿠데타로 붕괴된 이후에도 이어졌다.
2. 4. 프론디시와 일리아 정부 (1955-1973)
1955년 페론 정권이 붕괴된 후, 급진시민연합(UCR)은 페론주의 세력에 대한 주요 야당으로 활동했다. 그러나 페론주의자들과의 관계 설정과 노선을 둘러싸고 당내 갈등이 발생했다.결국 1956년, UCR은 두 개의 주요 파벌로 분열되었다. 하나는 금지된 페론주의자들과의 협력을 모색한 아르투로 프론디시가 이끄는 비타협적 급진 시민 연합(Unión Cívica Radical Intransigentees, UCRI)이었고, 다른 하나는 페론주의에 대해 더 강경한 입장을 취한 인민 급진 시민 연합(Unión Cívica Radical del Puebloes, UCRP)이었다.
1958년 대통령 선거에서 UCRI의 아르투로 프론디시는 금지된 페론주의자들의 지지를 받아 대통령에 당선되었다. 프론디시 정부는 개발주의 정책을 추진했으나, 페론주의 세력과의 관계 개선 시도는 군부의 강한 반발을 샀다. 결국 군부는 프론디시의 정책에 불만을 품어 1962년 3월 쿠데타를 일으켜 그를 축출했다. 프론디시 축출 후 잠시 군사 정부가 들어섰고, UCRI 소속의 호세 마리아 기도가 임시 대통령직을 수행했다.
1963년 대통령 선거는 여전히 페론주의 정당이 금지된 상태에서 치러졌다. 이 선거에서는 UCRP의 후보인 아르투로 움베르토 일리아가 약 25%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당시 페론주의자들은 백지 투표를 던졌는데, 이 무효표가 약 19%에 달했다. 일리아 정부는 아르헨티나 역사상 경제적으로 가장 성공적인 시기 중 하나를 이끌었으며, 평화롭고 질서 있는 통치를 펼쳤다는 평가를 받는다. 그러나 그의 통치 스타일은 당시 일부 세력에게서 너무 "느리고", "지루하다"는 비판을 받기도 했다. 결국 일리아 정부 역시 1966년 6월 군부 쿠데타로 인해 무너졌다.
1973년 페론주의자들이 다시 정권을 잡게 되면서 UCR은 제2당의 위치를 유지했지만, 실질적인 정치적 야당 역할에는 한계가 있었다. 당시 페론주의 정부에 대한 가장 중요한 비판은 오히려 페론주의 정당 내부에서 제기될 정도였다. 이 시기 UCR의 지도자였던 리카르도 발빈은 1974년 페론 사망 당시 그의 관 앞에서 "이 늙은 적수는 위대한 친구에게 경의를 표합니다"라는 유명한 말을 남기며, 오랫동안 아르헨티나 정치를 양분했던 페론주의와 급진주의 간의 적대적 경쟁 관계가 완화되는 모습을 보이기도 했다.
2. 5. 군사 독재와 민주화 (1973-1989)
1970년대 페론주의 정부(1973–1976) 시기, 급진시민연합(UCR)은 두 번째로 지지율이 높은 정당이었으나, 페론주의 정부에 대한 실질적인 야당 역할은 제한적이었다. 당시 페론주의 정부에 대한 주요 비판은 오히려 같은 페론주의 정당(정의당) 내부에서 제기되었다. UCR의 지도자였던 리카르도 발빈은 1974년 후안 페론 대통령 사망 당시 "이 늙은 적수는 위대한 친구에게 경의를 표합니다"라는 유명한 말을 남겨, 오랫동안 아르헨티나 정치를 양분했던 페론주의자와 급진주의자 간의 경쟁 시대가 끝났음을 시사했다. 그러나 좌파와 우파 페론주의자 간의 갈등 격화로 국가는 혼란에 빠졌고, 많은 UCR 구성원들이 양측의 공격 대상이 되기도 했다. 이러한 혼란 속에서 1976년 군부 쿠데타가 발생하여 페론주의 정부는 막을 내렸다.1976년3월 24일 쿠데타 이후 들어선 군사 정권, 이른바 국가 재건 과정(1976-1983) 동안 UCR은 극심한 탄압을 받았다. 다른 정당들과 마찬가지로 많은 UCR 구성원들이 군사 정권에 의해 강제 "실종"되는 비극을 겪었다. 군사 독재는 1982년 포클랜드 전쟁(아르헨티나에서는 말비나스 전쟁으로 불림)에서의 패배를 계기로 종식되었다.
1983년 아르헨티나의 민주화 이후 처음 실시된 대통령 선거에서 UCR의 지도자 라울 리카르도 알폰신이 정의당(PJ) 후보를 누르고 대통령에 당선되었다. 이는 호르헤 비델라, 레오폴도 갈티에리, 레이날도 비그노네와 같은 군부 인사들이 이끌었던 군사 독재 이후 최초의 민주적 정권 교체였다. 알폰신은 청렴한 정부 운영과 시민의 인권 보장을 위해 노력했으며, 그의 당선은 아르헨티나가 진정한 민주주의로 나아가는 중요한 전환점으로 평가받는다.[27] 알폰신 정부는 군사 독재 시절 인권 탄압에 책임이 있는 군 간부들을 처벌하고 국민적 화해를 도모하는 한편, 연 1000%에 달했던 극심한 인플레이션을 억제하기 위한 아우스트랄 계획을 추진하는 등 산적한 문제 해결에 힘썼다. 그러나 임기 후반 인플레이션이 재연되고 전국적으로 약탈 행위가 발생하는 등 사회 불안이 커지자, 알폰신은 예정된 임기를 약 6개월 앞당겨 1989년 7월 8일에 퇴임하였고, 정의당(PJ)의 카를로스 사울 메넴에게 정권을 이양했다.
2. 6. 알폰신과 데 라 루아 정부 (1989-2001)
라울 리카르도 알폰신 대통령은 군사 독재 이후 첫 민주적 선거로 당선되어 청렴한 정부와 시민 권리 증진에 힘썼으며, 이는 아르헨티나 민주주의의 중요한 진전으로 평가받았다.[27] 그러나 집권 후반기에는 인플레이션이 다시 극심해졌고, 생활고에 시달리는 시민들의 상점 약탈이 전국적으로 발생하는 등 사회 불안이 커졌다. 결국 알폰신은 이러한 혼란에 책임을 지고 임기를 약 반년 앞당겨 1989년 7월 8일에 퇴임하였고, 정의당의 카를로스 사울 메넴에게 정권을 넘겨주었다.메넴 정부는 초기 경제 성과에도 불구하고 말기에 재정 규율 완화와 경기 후퇴를 겪었다. 이에 대한 유권자들의 불만은 다시 급진시민연합으로 향했고, 1997년 연대 국가 전선(FREPASO) 등과 선거 연합을 구성한 급진시민연합은 1999년 대통령 선거에서 승리하여 페르난도 데 라 루아가 1999년 12월 10일 대통령에 취임했다.
하지만 데 라 루아 정부가 국제 통화 기금(IMF)의 권고에 따라 시행한 경제 정책은 상황을 개선하지 못했다. 오히려 2001년 11월 채무 불이행(디폴트) 선언으로 이어졌고, 이전 메넴 정부 시절부터 유지되던 페소와 미국 달러 간의 1:1 고정 환율제(페그제)는 폐지되었다. 결국 경제 개혁 실패와 심화된 경제 위기는 2001년 12월 대규모 폭동을 촉발했고, 데 라 루아 대통령은 2001년 12월 20일 혼란 속에서 사임했다. 이후 몇 주간 임시 대통령들이 연이어 취임하고 사퇴하는 극심한 혼란 끝에, 정의당의 에두아르도 두알데가 임시 대통령직을 맡게 되었다.
같은 해 치러진 2001년 총선에서 급진시민연합은 하원 257석 중 71석을 얻는 데 그쳐 제2당으로 밀려났으며, 이는 당의 급격한 쇠퇴를 보여주는 결과였다. 이 선거에서 급진시민연합은 좌파 성향의 FREPASO와 연합하여 참여했다.
2. 7. 21세기: 쇠퇴와 연립 여당 복귀 (2001-현재)
2001년 아르헨티나 경제 위기와 페르난도 데 라 루아 대통령의 사임은 급진시민연합(UCR)에게 큰 타격을 주었다. 국제 통화 기금(IMF)의 권고에 따른 경제 정책 실패와 이어진 2001년 12월 아르헨티나 폭동으로 데 라 루아 대통령은 임기 중 물러났고, 이후 정의당(PJ) 소속 에두아르도 두알데가 임시 대통령직을 수행하면서 UCR은 14년간 야당으로 남게 되었다. 2001년 아르헨티나 입법 선거에서는 좌파 성향의 연대 국가 전선(FREPASO)과 연합했음에도 아르헨티나 하원에서 71석(총 257석)을 얻는 데 그쳤다.UCR의 쇠퇴는 2003년 대선에서 더욱 뚜렷해졌다. 당 후보 레오폴도 모로는 득표율 2.34%라는 저조한 성적으로 6위에 머물렀다. 이는 세 명의 페론주의 후보에게 뒤처졌을 뿐만 아니라, UCR 출신으로 당을 떠나 각각 레크리에르와 공화국 평등을 위한 대안(ARI)을 창당한 리카르도 로페스 머피와 엘리사 카리오에게도 밀린 결과였다. 이들은 UCR의 전통적 지지 기반을 잠식하며 당의 분열을 심화시켰다.
네스토르 키르치네르 대통령 집권 이후 정의당이 좌파적 색채를 강화하자, UCR 내에서는 중도 우파 성향의 반(反)페론주의 세력과의 연대를 모색하는 움직임이 나타났다. 그러나 동시에 키르치네르 정부를 지지하는 당내 그룹(급진 K파)도 존재하여 내부 노선 갈등이 지속되었다. 2005년 입법 선거 결과, UCR의 의석은 하원 35석, 아르헨티나 상원 13석으로 더욱 줄었지만, 제2당의 지위는 유지했다.
2007년 대선을 앞두고 당내 분열은 극에 달했다. 당 주류는 전 경제부 장관 로베르토 라바냐와의 연대를 추진했으나[29], 마르가리타 스톨비저 등은 독자 후보를 내세워야 한다고 주장했다(급진 R파).[32] 한편, 훌리오 코보스 멘도사 주 주지사 등 급진 K파는 키르치네르 재선을 지지했다.[28][30][31] 라바냐와의 협상을 주도하던 로베르토 이글레시아스 당 대표가 사임하고[32], 후후이 주 상원의원 헤라르도 모랄레스가 신임 대표로 선출되어 라바냐와의 연대를 이어갔다.[33]
2007년 대선에서 라바냐-모랄레스 후보조는 3위에 그쳤다. 반면, 급진 K파의 훌리오 코보스는 크리스티나 페르난데스 데 키르치네르의 러닝메이트로 출마하여 부통령에 당선되었다. 이 선거 결과 UCR의 공식 의석 수는 하원 30석, 상원 10석으로 더욱 위축되었다.
그러나 2008년, 부통령 훌리오 코보스는 농산물 수출세 인상 법안 표결에서 키르치네르 정부에 반대하는 결정적인 표를 던지며 정부와 결별했다. 이후 코보스는 UCR에 복귀하여 부통령 신분임에도 야당의 주요 인물로 부상했고, 대부분의 급진 K파 역시 키르치네르 정부 지지를 철회했다.
2009년 입법 선거에서 UCR은 시민 사회 합의라는 중도좌파 연합에 참여하여 전국 득표율 29%를 기록, 키르치네르 정부의 승리를 위한 전선에 근접한 2위를 차지하며 의석 수를 일부 회복했다. 하지만 2011년 대선에서는 라울 알폰신 전 대통령의 아들 리카르도 알폰신이 후보로 나섰으나 11% 득표로 3위에 머물렀다.
2015년, UCR은 정치적 재기를 위해 큰 변화를 시도했다. 보수 성향의 공화주의 제안(PRO) 및 자유주의 성향의 시민 연합(CC)과 함께 중도우파 선거 연합인 캄비에모스(Cambiemos, '변혁'이라는 뜻)를 결성한 것이다.[34] 캄비에모스 내 대선 후보 경선에서는 PRO 대표인 마우리시오 마크리 부에노스아이레스 시장이 UCR 대표 에르네스토 산스를 압도적인 표차로 누르고 단일 후보로 선출되었다.
2015년 대선에서 마크리는 1차 투표에서 2위를 차지한 뒤 결선 투표에서 정의당 후보 다니엘 시올리를 누르고 승리했다.[35] 이로써 UCR은 14년 만에 연립 여당으로 복귀하게 되었다. 하지만 이는 당 창당 이후 처음으로 UCR 출신이 아닌 대통령을 배출한 연립 정부 참여였다.
보수 정당과의 연합은 당의 정체성에 대한 논란을 불러일으켰다. 사회주의 인터내셔널은 이러한 연합을 비판했으며, UCR 청년 조직은 사회주의 청년 국제 연합에서 회원 자격이 정지되기도 했다.[36] 2015년 12월, 에르네스토 산스는 당 대표직에서 물러났고, 호세 마누엘 코랄이 후임 대표가 되었다. 2015년 총선 결과 UCR의 의석은 상원 11석, 하원 40석으로, 여당이 되었음에도 과거의 위상에는 미치지 못하는 수준이었다. 연립 정부 내에서의 역할과 장기적인 당의 방향 설정은 UCR에게 남겨진 과제로 평가된다.
3. 이념과 분파
급진시민연합(UCR)은 일반적으로 중도주의[37][38][39] 또는 자유주의로 분류되지만, 그 이념적 스펙트럼은 매우 넓어 빅 텐트 정당[40], 사회 자유주의[8][41][14], 때로는 사회 민주주의[8][42][14]까지 포괄하는 것으로 평가받는다. 당 내부적으로는 시민 자유, 민주주의, 헌법 수호를 중요한 가치로 삼는다.[43]
이러한 이념적 다양성은 역사적으로 다양한 분파의 형성과 노선 갈등으로 이어졌다. 라울 알폰신과 같이 사회 민주주의를 지향하며 개혁적 노선을 추구한 흐름[13][19]이 있었는가 하면, 페르난도 데 라 루아처럼 신자유주의[47][48] 및 보수적[49][50] 경향을 보이며 사회주의 노선과 거리를 둔 흐름도 존재했다.[19] 이러한 내부 노선 차이는 당의 분열과 정치적 부침의 주요 원인이 되기도 했다. 특히 2001년 이후 당의 분열이 심화되고 중도 우파 정치로 이동하는 경향[52][53][54][55][56]을 보이면서, 현재는 중도주의 세력과 우익 정치 가치에 동조하는 세력이 공존하는 양상을 보인다.[57]
3. 1. 중도주의와 사회 자유주의
급진시민연합(UCR)은 일반적으로 중도주의 또는 자유주의 정당으로 분류된다.[37][38][39] 그러나 당의 이질적인 성격 때문에 빅 텐트 정당[40]이나 사회 자유주의 정당[8][41][14]으로 묘사되기도 하며, 때로는 사회 민주주의 정당으로 분류되기도 한다.[8][42][14] 급진파 스스로는 시민 자유, 민주주의, 헌법 수호를 당의 핵심 가치로 내세운다.[43] 역사적으로 권위주의 정권에 저항하고 보편적 선거권 획득에 기여했으며, 민중의 권익을 위한 투쟁을 이끌었다고 주장한다.[43]라울 알폰신 전 대통령은 급진주의가 사회 민주주의를 지향한다고 보았다. 그는 특권, 권위주의, 선동 정치를 종식시키고 아르헨티나에 진정한 사회 민주주의를 공고히 하기 위해 "광범위한 민중, 민주적, 개혁적, 국가적 운동"을 형성하고자 했다. 알폰신은 급진주의가 유럽 정당들처럼 좌우 정치 스펙트럼으로 규정되지 않으며, 이념이기 이전에 윤리에 가깝다고 설명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는 급진파들이 유럽 사회 민주주의의 다양한 경향들을 포용할 수 있다고 보았다.[13] 실제로 알폰신은 1995년 UCR을 중도 좌파 정당들의 국제 조직인 사회주의 인터내셔널에 가입시켰다.[19] 또 다른 전 지도자인 앙헬 로사스는 당의 정체성을 인본주의적 중도 좌파로 정의하며[44], 당에 진보주의적 색채를 부여하려 했다.[45][46]
반면, 당내 보수적인 흐름도 존재했다. 리카르도 발빈이 대표적인 인물이었으며, 1960년대와 1990년대 말 이후 당은 분열을 겪었다. 발빈 사후 페르난도 데 라 루아는 당에 신자유주의[47][48] 및 보수[49][50] 색채를 더했으며, "우리는 사회주의자가 아니라 급진파"라는 발언으로 알려졌다.[19] 그는 1999년 대통령에 당선될 때까지 UCR 내 보수파의 구심점 역할을 했다.[49] 1989년 총선 당시 에두아르도 안헬로스는 공공 적자 감축을 위한 "적색 연필"을 공약하고 국영 기업 민영화 가능성을 시사했는데, 이는 이후 페론주의자인 카를로스 메넴 정부에서 실행되었다.[51]
2001년 데 라 루아 정부의 붕괴 이후 UCR은 정치적, 지리적으로 분열이 심화되었다. 2005년 총선 이후에는 알폰시니즘의 영향력이 약화되면서 점차 중도 우파 정치로 이동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러한 변화는 UCR이 이념적으로 보수적인 방향성을 강화하는 결과로 이어졌다.[52][53][54][55][56] 현재 당내에는 중도주의 세력과 함께 우익 정치 가치에 동조하는 세력도 공존하고 있다는 평가가 있다.[57]
3. 2. 분파의 역사
급진시민연합(UCR)은 아르헨티나 정치사에서 오랜 기간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지만, 내부 이념 갈등과 노선 차이, 정치적 격변기를 거치며 여러 차례 분열을 경험했다. 이러한 분열은 당의 정체성과 세력에 큰 영향을 미쳤다.역사적으로 UCR에서 갈라져 나온 주요 분파들은 다음과 같다.
- 반인적 급진 시민 연합 (Unión Cívica Radical Antipersonalistaes, 1924년): 이폴리토 이리고옌의 리더십 스타일에 반대하는 세력이 주축이 되어 결성되었다. 이들은 이후 로베르토 마르셀리노 오르티스와 같은 대통령을 배출하기도 했다.
- 급진 시민 연합 - 위원회 갱신 (Unión Cívica Radical - Junta Renovadoraes, 1945년): 후안 페론의 부상과 관련된 정치적 격동기에 등장한 분파이다.
- 강경 급진 시민 연합 (Unión Cívica Radical Intransigentees, UCRI, 1957년): 1955년 페론 정권 붕괴 후 UCR이 분열되면서 아르투로 프론디시를 중심으로 결성되었다. 이들은 기존 UCR 주류 세력(이후 인민 급진 시민 연합, UCRP으로 불림)과 경쟁했으며, 프론디시와 호세 마리아 기도가 이 분파 소속으로 대통령직에 올랐다. UCRP에서는 아르투로 움베르토 이리아가 대통령이 되었다.
- 리카르도 발빈과 페르난도 데 라 루아 중심의 보수파: 1960년대부터 당내 분열이 있었으며, 특히 1990년대 말 데 라 루아가 당권을 장악하면서 보수적 색채와 신자유주의[47][48] 경향이 강화되었다.[49][50] 데 라 루아는 라울 알폰신의 사회 민주주의 노선과 거리를 두며 "우리는 사회주의자가 아니라 급진파"라고 발언했고[19], 이는 당내 노선 갈등을 심화시키는 요인이 되었다.[49]
2001년 데 라 루아 정부의 갑작스러운 붕괴는 UCR에게 큰 타격을 주었고, 정치적, 지리적 분열을 더욱 심화시켰다. 이 시기 알폰신 계열의 영향력이 약화되고 당이 전반적으로 중도 우파 성향으로 이동하는 경향[52][53][54][55][56]을 보이면서 새로운 분파들이 등장했다.
- 시민 연합 ARI (Afirmación para una República Igualitariaes, ARI, 2001년)
- 성장을 위한 재창조 (Recrear para el Crecimientoes, 2002년)
- FORJA 협약 정당 (Partido de la Concertación FORJAes, 2007년)
- 국가적 만남을 위한 세대 (Generación para un Encuentro Nacionales, GEN, 2007년)
이러한 지속적인 분열은 한때 정의당과 함께 아르헨티나 양당제의 한 축을 담당했던 UCR의 세력을 약화시키는 결과를 낳았다.
3. 3. 급진 K파와 중도 우파로의 이동
2001년 페르난도 데 라 루아 정권이 붕괴한 이후, 급진시민연합(UCR)은 정치적, 지역적으로 분열이 심화되는 양상을 보였다. 이러한 내부 분열과 알폰시니즘(알폰신주의)의 영향력 약화는 2005년 입법 선거 이후 당이 점차 중도 우파 정치 성향으로 이동하는 배경이 되었다. 이 과정에서 UCR은 이념적으로 보수적인 방향성을 강화하게 되었다.[52][53][54][55][56] 당내에는 여전히 중도주의를 표방하는 세력이 존재하지만, 동시에 우익 정치 가치에 가까운 세력도 공존하는 모습을 보인다.[57]이러한 중도 우파로의 이동 경향은 2015년 대통령 선거에서 더욱 분명하게 나타났다. UCR은 독자적인 후보를 내세우는 대신, 보수 성향의 공화주의 제안(PRO) 및 자유주의 성향의 시민 연합(CC)과 손잡고 야권 연합인 변혁(Cambiemos)을 결성했다. 이 연합은 PRO 소속의 마우리시오 마크리 후보를 지지했으며, 마크리는 결선 투표 끝에 대통령으로 당선되었다. 이는 UCR이 전통적인 중도 노선에서 벗어나 중도 우파 연합에 참여하게 된 중요한 변화로, 14년 만에 여당으로 복귀하는 계기가 되었다(비록 대통령이나 부통령을 직접 배출하지는 못했지만).
4. 역대 지도부
급진 시민 연합(UCR)은 전국 위원회가 이끌며, 그 대표는 당의 실질적인 지도자 역할을 수행한다. 전국 대회는 프란하 모라다와 급진 청년 같은 지방 정당 및 관련 단체의 대표들로 구성되며, 이들은 전국 위원회에도 대표자를 파견한다.
=== 전국 위원회 대표 ===
임기 | 이름 |
---|---|
1891년 ~ 1896년 | 레안드로 N. 알렘 |
1896년 ~ 1897년 | 베르나르도 데 이리고옌 |
1897년 ~ 1930년 | 이폴리토 이리고옌 |
1930년 ~ 1942년 | 마르셀로 T. 데 알베아르 |
1942년 ~ 1946년 | 가브리엘 A. 오도네 |
1946년 ~ 1948년 | 에두아르도 로렌세나 |
1948년 ~ 1949년 | 로베르토 J. 패리 |
1949년 ~ 1954년 | 산티아고 H. 델 카스티요 |
1954년 ~ 1957년 | 아르투로 프론디지 |
1971년 ~ 1981년 | 리카르도 발빈 |
1981년 ~ 1983년 | 카를로스 콘틴 |
1983년 ~ 1991년 | 라울 알폰신 |
1991년 ~ 1993년 | 마리오 로사다 |
1993년 ~ 1995년 | 라울 알폰신 |
1995년 ~ 1997년 | 로돌포 테르라뇨 |
1997년 ~ 1999년 | 페르난도 데 라 루아 |
1999년 ~ 2001년 | 라울 알폰신 |
2001년 ~ 2005년 | 안헬 로자스 |
2005년 ~ 2006년 | 로베르토 이글레시아스 |
2006년 ~ 2009년 | 헤라르도 모랄레스 |
2009년 ~ 2011년 | 에르네스토 산스 |
2011년 | 안헬 로자스 |
2011년 | 에르네스토 산스 |
2011년 ~ 2013년 | 마리오 바를레타 |
2013년 ~ 2015년 | 에르네스토 산스 |
2015년 ~ 2017년 | 호세 마누엘 코랄 |
2017년 ~ 2021년 | 알프레도 코르네호 |
2021년 ~ 2023년 | 헤라르도 모랄레스 |
2023년 ~ 현재 | 마르틴 루스토 |
=== 급진시민연합 출신 대통령 ===
이름 | 임기 | 소속 계파 |
---|---|---|
이폴리토 이리고옌 | 1916년 10월 12일 ~ 1922년 10월 12일 1928년 10월 12일 ~ 1930년 11월 6일 | 급진시민연합 (UCR) |
마르셀로 알베아르 | 1922년 10월 12일 ~ 1928년 10월 12일 | 급진시민연합 (UCR) |
로베르토 마르셀리노 오르티스 | 1938년 2월 20일 ~ 1942년 6월 27일 | 급진시민연합 반독재주의파 (UCR-A) |
아르투로 프론디지 | 1958년 5월 1일 ~ 1962년 3월 29일 | 급진시민연합 (UCR) |
호세 마리아 기고 | 1962년 3월 29일 ~ 1963년 10월 12일 | 급진시민연합 비타협파 (UCRI) |
아르투로 움베르토 일리아 | 1963년 10월 12일 ~ 1966년 6월 28일 | 급진시민연합 (UCR) |
라울 알폰신 | 1983년 12월 10일 ~ 1989년 7월 8일 | 급진시민연합 (UCR) |
페르난도 데 라 루아 | 1999년 12월 10일 ~ 2001년 12월 20일 | 급진시민연합 (UCR) |
참조
[1]
웹사이트
Parece que Cambiemos no es progresista
https://www.pagina12[...]
2016-03-07
[2]
웹사이트
Relanzamos la Fundación Alem
http://www.ucr.org.a[...]
2017-11-16
[3]
웹사이트
Cámara Nacional Electoral
https://www.electora[...]
[4]
URL
https://dialnet.unir[...]
[5]
웹사이트
Congreso: se partió Juntos por el Cambio y se unifican los bloques de Schiaretti y Pichetto
https://www.perfil.c[...]
2023-12-27
[6]
웹사이트
Países y Partidos Miembros de la COPPPAL – Copppal
https://www.copppal.[...]
[7]
웹사이트
Full list of member parties and organisations
https://www.socialis[...]
[8]
간행물
Legitimacy and Transition in Latin America: Social Forces and the New Agenda of Consensus
Scholarly Resources
[9]
간행물
Advocacy, Ideology and Partisanship: Human Rights in the Electoral Arena
Lexington Books
2005
[10]
간행물
Argentina
Greenwood Press
[11]
웹사이트
Por Twitter, la UCR subrayó su "compromiso en la defensa de los derechos humanos"
https://www.ambito.c[...]
[12]
웹사이트
El radicalismo y la Iglesia
https://www.laprensa[...]
[13]
뉴스
Raúl Alfonsín: "quiero crear un amplio movimiento popular para acabar con el autoritarismo"
https://elpais.com/d[...]
1983-01-15
[14]
웹사이트
El centrismo radical
https://www.perfil.c[...]
2015-03-22
[15]
웹사이트
Ezequiel Gallo: "Hubo otra década del 70 en la que pudo cambiar la historia argentina"
https://www.utdt.edu[...]
[16]
웹사이트
Acerca de la relacion entre el Radicalismo argentino y "clase media" (una vez mas)
https://www.research[...]
[17]
Bare URL PDF
http://anuarioiehs.u[...]
2022-03
[18]
문서
Radical Civic Union
http://www.britannic[...]
Encyclopædia Britannica
2006
[19]
뉴스
Debuta De la Rúa en el consejo de la Internacional Socialista
https://www.lanacion[...]
1999-01-12
[20]
웹사이트
UCR {{!}} Lo que somos
http://ucr.org.ar/lo[...]
[21]
뉴스
El gran partido opositor argentino se une a la derecha en las presidenciales
https://elpais.com/i[...]
2015-03-16
[22]
웹사이트
Macri celebró la permanencia de la UCR en Cambiemos: "Es un ejemplo de la importancia que tienen los debates"
https://www.infobae.[...]
2019-05-28
[23]
웹사이트
Bullrich recibió el apoyo de la UCR, tras las dudas expresadas por otros dirigentes radicales
https://www.telam.co[...]
[24]
웹사이트
Elisa Carrió dio por fracturado a Juntos por el Cambio: “La Coalición Cívica retoma su plena autonomía”
https://www.infobae.[...]
2023-11-20
[25]
웹사이트
Congreso: se partió Juntos por el Cambio y se unifican los bloques de Schiaretti y Pichetto
https://www.perfil.c[...]
2023-12-27
[26]
간행물
Social Capital in Developing Democracies: Nicaragua and Argentina Compared
Cambridge University Press
[27]
뉴스
The Argentine Result: A Vote for Democracy
https://www.nytimes.[...]
1983-11-02
[28]
뉴스
UCR: Colazo zafó de la intervención
http://www.clarin.co[...]
Clarín
2005-05-08
[29]
뉴스
Los radicales se marcharon de Rosario con el corazón partido
http://www.lacapital[...]
La Capital
2006-08-27
[30]
뉴스
La UCR intervino el partido en Mendoza por "desacato"
http://www.clarin.co[...]
Clarín
2006-11-01
[31]
뉴스
Los radicales K tienen hoy su congreso propio
http://www.pagina12.[...]
Página/12
2006-11-05
[32]
뉴스
Se agrandan las divisiones internas en la UCR: renunció el titular del partido
http://www.clarin.co[...]
Clarín
2006-11-14
[33]
뉴스
Morales quedó al frente de la UCR y crecen las posibilidades de un acercamiento a Lavagna
http://www.clarin.co[...]
Clarín
2006-12-01
[34]
뉴스
El radicalismo aprobó la alianza con Macri y Carrió
http://www.lanacion.[...]
2015-03-15
[35]
웹사이트
Argentina election: second round vote could spell end for 'Kirchnerism'
https://www.theguard[...]
2015-11-22
[36]
웹사이트
Parece que Cambiemos no es progresista
https://www.pagina12[...]
2016-03-07
[37]
서적
Intercontinental Press
Intercontinental Press
1982
[38]
서적
Nuclear Weapons Free Zones: A Comparative Perspective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21
[39]
서적
Handbook of Global Political Policy
https://books.google[...]
CRC Press
2000
[40]
서적
Programa, ideología y partidos. Coherencia partidaria del PJ, la UCR y el Frepaso dentro de la Cámara de Diputados de la Nación Argentina (1996-2010)
https://repositorio.[...]
[41]
간행물
El tiempo de CFK; entre la movilización y la institucionalidad: El desafío de organizar los mercados
Corregidor
[42]
뉴스
Change ahead: Mauricio Macri's vision for Argentina
https://www.bbc.com/[...]
2024-02-14
[43]
웹사이트
"UCR | Lo que somos"
https://ucr.org.ar/l[...]
[44]
웹사이트
La Nueva
https://www.lanueva.[...]
[45]
PDF
https://www.redalyc.[...]
2022-03
[46]
웹사이트
El triunfo de Alfonsín y el progresismo que no fue
https://www.laizquie[...]
[47]
서적
Power, Alliances, and Redistribution: The Politics of Social Protection for Low-Income Earners in Argentina, 1943–2015
https://books.google[...]
Verlag Barbara Budrich
2021
[48]
서적
Cambio e institucionalización parlamentaria. La Cámara de Diputados de Argentina, 1983-1999.
Univ Santiago de Compostela
2007
[49]
PDF
https://revista.saap[...]
2022-03
[50]
뉴스
Un político honesto
https://elpais.com/i[...]
2019-07-10
[51]
웹사이트
Los spots con los que Eduardo Angeloz compitió contra Carlos Menem
https://www.perfil.c[...]
2017-08-23
[52]
학술지
El espacio político de centro derecha en la Argentina postneoliberal. Una aproximación a la reconfiguración identitaria de la UCR
https://ri.conicet.g[...]
2015-12
[53]
학술지
'LAS TRANSFORMACIONES RECIENTES EN LA UNIÓN CÍVICA RADICAL. RENOVACIÓN PARTIDARIA, POLARIZACIÓN POLÍTICA Y OPOSICIÓN AL KIRCHNERISMO (2008-2015) {{!}} "Tramas Sociales" Revista del Gabinete de Estudios e Investigación en Sociología (GEIS)'
http://www.ojs.unsj.[...]
2021-09-17
[54]
웹사이트
El peronismo elige a un amigo de los mercados para hacer frente a una derecha radicalizada en las presidenciales
https://www.eldiario[...]
2023-08-02
[55]
웹사이트
Argentine Congress settles in for marathon debate over Javier Milei's bill to dismantle the state
https://english.elpa[...]
2024-02-06
[56]
웹사이트
Un sindicalista acaba con 32 años de gobierno en el bastión kirchnerista de Santa Cruz
https://www.swissinf[...]
2023-10-13
[57]
Youtube
'MARTÍN LOUSTEAU: "LA DOLARIZACIÓN ES UN CAMINO IRREVERSIBLE" {{!}} CON PEDRO ROSEMBLAT Y MARCOS ARAMBURU'
https://www.youtube.[...]
2024-02-15
[58]
학술지
La intervención estatal en el mundo del trabajo: la aplicación de la Ley de Descanso Dominical en el centro bonaerense (Tandil, 1917-1930)
2017-07-01
[59]
웹사이트
Estadística de Afiliados, Primer Semestre 2012
http://www.pjn.gov.a[...]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