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독교 개혁교회 (북아메리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기독교 개혁교회(CRC)는 1857년 네덜란드 개혁 교회에서 분리되어 북아메리카에 설립된 개혁주의 교단이다. 1834년 네덜란드 개혁 교회 분열의 영향을 받아, 예배 방식, 성찬, 은총, 프리메이슨 가입, 교리 교육 등을 이유로 분리되었다. 칼뱅주의 신학을 따르며, 에큐메니컬 신조와 '통일의 세 가지 형태'를 신앙 고백으로 삼는다. 사회 정의, 선교, 교육, 미디어 선교 등 다양한 활동을 펼치며, 미국과 캐나다에 걸쳐 1,000개 이상의 교회를 운영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개신교 대학 - 북미 신학교협회
북미 신학교협회(ATS)는 미국과 캐나다의 신학 교육 기관 연합체로, 신학대학의 질적 향상을 위해 인준, 연구, 컨설팅 등의 활동을 수행하며, 고등 교육 인가 위원회와 미국 교육부로부터 인정을 받은 인가 기관으로서 278개의 회원 학교가 등록되어 있다.
| 기독교 개혁교회 (북아메리카) | |
|---|---|
| 기본 정보 | |
![]() | |
| 약칭 | CRCNA 또는 CRC |
| 분류 | 개신교 |
| 성향 | 복음주의, 대륙 개혁주의, 네덜란드 개혁교회 |
| 신학 | 개혁주의 전통 |
| 정치 | 수정된 장로교 |
| 본부 | 그랜드래피즈 (미시간주) 및 벌링턴 (온타리오주) |
| 위치 | 미국, 캐나다 |
| 설립일 | 1857년 |
| 설립지 | 홀랜드 (미시간주) |
| 분리 | 네덜란드 이민자들에 의해 설립; 미국 개혁교회에서 분리 |
| 기원 | 네덜란드 개혁교회 |
| 분리 | 1924–26 프로테스탄트 개혁교회; 1988 정통 기독교 개혁교회; 1996 북미주 연합 개혁교회 |
| 교회 수 | 1,000개 (2024년) |
| 교인 수 | 189,753명 (2024년) |
| 웹사이트 | 북미주 기독교 개혁교회 공식 웹사이트 |
| 관련 단체 | 세계 개혁교회 공동체 세계 개혁주의 친교 |
2. 역사
기독교 개혁교회(CRC)는 19세기 중반 네덜란드 개혁교회의 신학적 전통을 이어받아 미국에서 시작된 개신교 교단이다. 20세기에는 교세 확장을 이루었으나, 여러 신학적, 사회적 문제로 인해 분열과 갈등을 겪기도 했다.
20세기 초, CRC는 350개의 교회로 성장했다. 1920년대에는 일반 은총에 관한 세 가지 교리적 요점을 채택했지만, 헤르만 호크세마를 비롯한 세 명의 목사는 이를 거부하여 면직되었다. 이 논쟁으로 인해 이들과 그 추종자들은 CRC를 떠나 미국 개혁 개신교 교회를 형성했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많은 네덜란드 칼뱅주의 이민자들이 캐나다로 유입되면서 교세가 확장되었다. 1960년까지 캐나다에는 CRC의 새로운 교회 288개 중 절반인 138개가 설립되었다.[1] 1950년대 초에는 미국 개혁 개신교 교회 내의 분열로 인해 구성원의 약 5분의 3이 정통 개혁 개신교 교회를 형성했고, 이 교회는 1961년 CRC에 합류했다.[2]
2. 1. 기원과 초기 역사 (19세기)
기독교 개혁교회(CRC)는 1834-35년 분리로 이어진 네덜란드 신학 논쟁의 결과로, 1857년 미국 개혁 교회(당시 네덜란드 개혁 교회)에서 분리되었다. 헨드릭 데 코크가 그의 칼뱅주의 신념으로 인해 면직되면서 발생한 이 분리는, 미국 CRC의 창립자들에게 당시 미국 개혁 교회가 옛 고국의 국교회에서 보았던 문제점과 유사한 문제를 안고 있는 것처럼 보이게 했다. 헤이스베르트 한은 1857년 미국 개혁 교회에서 네덜란드계 미국인들의 분리를 이끌었고, 미국과 캐나다에 기독교 개혁 교회를 세운 인물이다.1857년, 약 130가구(당시 서부 미시간 지역 네덜란드 이민 교회 신도의 약 10%)가 4개의 교회를 이루어 분리되었다.[1] 3월에는 미시간주 홀랜드 클래시스의 노르델루스 교회가 미국 개혁 교회를 떠났고, 3월 19일에는 미시간주 그랜드래피즈에 있는 제2개혁교회의 일부 교인들이 교회를 조직하여 미시간주 그랜드래피즈의 제1CRC가 되었다.[1] 4월 8일에는 그라프샤프와 폴크턴의 교회들도 홀랜드 클래시스를 떠났다.[1] 코네 반 덴 보쉬와 헨드릭 클라인 두 명의 목사가 분리주의자들과 합류했지만, 클라인은 6개월 후 개혁 교회로 돌아갔다.[1]
이 분리에서 형성된 새로운 교단은 특히 네덜란드 북부, 흐로닝언주에서 온 장로와 목사들에 의해 이끌어졌으며, 이들은 1834년 네덜란드 분리 이후 조직되었다.[2] 이 교단의 신자들은 네덜란드의 모든 지역에서 왔지만, 미국 개혁 교회를 떠난 이유로는 예배 중 찬송가 사용(대 전례시편 사용 반대), 성찬식에 자유로운 접근 허용, 은총에 대한 느슨한 해석, 프리메이슨 가입 허용, 그리고 젊은이들에게 교리 교육을 제공하지 않는 것 등이 제시되었다.[2]
처음 2년 동안 이 교단은 공식적인 이름을 갖지 않았다.[3] 이후 교단 명칭은 다음과 같이 변화했다.
- 1859년: 홀란드 개혁 교회(Hollandsche Gereformeerde Kerk)
- 1861년: 자유 네덜란드 개혁 교회(Free Dutch Reformed Church)
- 1863년: 진정한 네덜란드 개혁 교회(Ware Hollandsche Gereformeerde Kerk)
- 1880년: 홀란드 기독교 개혁 교회(Hollandsche Christelijke Gereformeerde Kerk)
- 1894년: 기독교 개혁 교회(Christelijke Gereformeerde Kerk) 사용 허가
- 1904년: 기독교 개혁 교회(Christelijke Gereformeerde Kerk)로 최종 확정
- 1974년: 북아메리카 기독교 개혁 교회
1875년, 이 교단은 미시간주 그랜드래피즈에 신학교를 개교했다.[4] 이 학교의 예비과는 캘빈 칼리지가 되었고, 신학과는 캘빈 신학대학원이 되었다.[4] 1880년까지 이 교단은 42개의 교회로 성장했고, 10년 후에는 11개 주에 100개로 증가했다.[4] 1890년대에는 진정한 개신교 네덜란드 개혁 교회(뉴욕과 뉴저지에 위치)의 교회들이 CRC에 합류했다.[4]
2. 2. 확장과 발전 (20세기)
기독교 개혁교회(CRC)는 네덜란드 개혁교회의 뿌리를 가지고 있으며, 1875년 캘빈 칼리지와 칼빈 신학교를 설립하여 교역자 양성을 시작하였다.2. 3. 현대의 도전과 변화 (20세기 후반 ~ 현재)
1975년, CRC는 정통 장로교회(OPC), 북미 개혁 장로교회(RPCNA), 복음주의 시노드의 개혁 장로교회(RPCES), 미국 장로교회(PCA)와 함께 북미 장로교 및 개혁교회 협의회(NAPARC)를 결성했다.20세기 후반, 시노드는 일부 보수적인 구성원과 한때 자매 교단에 의해 거부된 혁신을 제정했다. CRC의 상황에 대한 우려로 1981년 목사 그룹은 미드아메리카 개혁 신학교를 설립했고, 그 무렵 이전 CRC 회중 중 일부로 구성된 북미 정통 기독교 개혁 교회(OCRC)라는 교회의 연합이 결성되었다. 1995년 여성을 안수하기로 한 결정은 북미 연합 개혁 교회(URC)를 형성하게 했고, 1997년에는 CRC와 OPC 및 PCA 간의 형제 관계가 단절되었다. NAPARC는 여성을 안수하기로 한 결정 때문에 1999년 CRC의 회원 자격을 중단했고 2001년에는 추방했다. 이러한 점진적인 변화는 더 보수적인 회중 중 일부가 떠나도록 자극했으며, 이들 중 상당수는 PCA, OPC 또는 URC로 귀결되었다. 2008년, OCRC는 해산되었고 회원 교회는 URC에 합류했다.
CRC는 1946년 미시간 주 그랜드래피즈에서 조직된 개혁 에큐메니컬 협의회의 창립 멤버였다. CRC는 오랫동안 주저한 끝에 2002년[2] 그 단체의 더 자유주의적인 회원과 의제로 여겨졌던 이유로 세계 개혁 교회 연맹에 가입했다. 2010년, 개혁 에큐메니컬 협의회와 세계 개혁 교회 연맹은 CRC가 미시간 주 그랜드래피즈에서 주최한 합동 회의에서 세계 개혁 교회 친교회를 형성하기 위해 합병했다. CRC는 또한 캐나다 교회 협의회, 캐나다 복음주의 친교회, 세계 개혁 친교회, 그리고 전미 복음주의 협회에 속해 있다. CRC는 미국의 함께하는 기독교 교회와 세계 기독교 포럼에 참여한다.[3]
2016년 현재 CRC는 전 세계 39개 교단과 양자 관계를 맺고 있으며, 그 중 24개는 "교회적 친교" 관계에 있고, 10개는 "대화 중"이며, 5개는 "서신 친교" 관계에 있다. 북미에서 CRC는 더 주류인 미국 개혁 교회(1857년에 분리됨)와 교단적 파트너 관계에 있으며, 복음주의 장로교회(미국) 및 ECO: 복음주의 장로교회 언약 질서와 교회적 친교 관계에 있다.[4]
3. 신학과 신앙고백
기독교 개혁교회는 장로교 정치와 헌법을 따르며 성경에 복종하고 하이델베르크 요리문답과 네덜란드 신앙고백를 받아들인다.[61] 칼뱅주의, 교리주의, 복음주의 신학을 따르며, 신학 연구와 현재 문제에 대한 신학 적용에 높은 가치를 둔다. 또한, 신중한 성경 해석학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성령의 인도를 받는다고 느끼는 개별 신자의 개인적 양심을 전통적으로 존중한다.
이 교단은 사도신경, 니케아 신경, 아타나시우스 신경과 같은 에큐메니컬 신조[6]와 더불어 통일의 세 가지 형태라고 불리는 벨기에 신앙 고백, 하이델베르크 요리문답, 도르트 신조를 세 가지 개혁파 신앙 고백서로 지지한다.[7] 1986년에는 "우리 세상은 하나님께 속해 있습니다:[8] 현대의 증언"이라는 신앙 고백서를 작성했으며, 2008년에 검토 및 업데이트되었다. 또한 1982년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개혁 교회에서 작성된 벨하르 신앙 고백도 현대 증언으로 받아들인다.[11]
3. 1. 칼뱅주의 신학
기독교 개혁교회는 칼뱅주의[1], 교리주의, 복음주의 신학을 따른다. 신학 연구와 현재 문제에 대한 신학 적용에 높은 가치를 두고, 신중한 성경 해석학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성령의 인도를 받는다고 느끼는 개별 신자의 개인적 양심을 전통적으로 존중해 왔다. 교회는 기독교인이 구원을 얻는 것이 아니라 전적으로 하나님의 은혜로운 선물이며, 선행은 그 선물에 대한 기독교인의 응답이라는 믿음을 장려한다.CRC에서 실천되는 개혁 신학은 칼뱅주의에 기초한다. 이 교단에 큰 영향을 미친 최근 신학자는 아브라함 카이퍼(1837–1920)였다. 1901년부터 1905년까지 네덜란드 총리를 역임한 카이퍼는 사회적 책임을 믿고 기독교인들이 삶과 사회의 모든 측면을 개선하는 데 적극적으로 참여할 것을 촉구했다. 카이퍼는 기독교 민주주의 정치 이념의 창시자로 여겨진다. 철학자 앨빈 플랜팅가, 니콜라스 월터스토프, 루이스 B. 스메데스와 같은 현재 명성이 높은 학자들은 이 교단 및 칼빈 대학교와 연관되어 있다. 필립 얀시는 "나는 또한 '모든 생각을 그리스도에게 복종시키라'고 옹호하는 기독교 개혁 교회의 전통을 존경한다. 그 작은 '변혁적' 교단은 과학, 철학, 예술에 엄청난 영향을 미쳤다."[5]라고 말했다.
3. 2. 신앙 고백
기독교 개혁교회(북아메리카)(CRC)는 장로교 정치와 헌법을 따르며 성경에 복종하고 하이델베르크 요리문답과 네덜란드 신앙고백를 받아들인다.[61] 이 교단은 사도신경, 니케아 신경, 아타나시우스 신경과 같은 에큐메니컬 신조[6]와 더불어 통일의 세 가지 형태라고 불리는 벨기에 신앙 고백, 하이델베르크 요리문답, 도르트 신조를 세 가지 개혁파 신앙 고백서로 지지한다.[7]1986년, CRC는 세속주의, 개인주의, 상대주의와 같은 문제들을 다룬 "우리 세상은 하나님께 속해 있습니다:[8] 현대의 증언"이라는 신앙 고백서를 작성했다. 이러한 문제들은 "우리가 살고 있는 시대가 제시하는 신앙의 독특한 도전"으로 여겨졌다.[9] 이는 신앙 고백적 지위는 없지만, 개혁파 신앙 고백의 유산을 바탕으로, 특히 오늘날 교회에 직면한 문제들을 다루면서 찬송가와 같은 형식으로 CRC의 신념을 표현하기 위한 것이다.[10] 이 현대 증언은 2008년에 검토되고 업데이트되었다. CRCNA가 보유한 두 번째 현대 증언은 1982년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개혁 교회에서 아프리칸스어로 작성된 벨하르 신앙 고백이다.[11]
4. 사회적 입장
기독교 개혁교회(CRC)는 여러 사회 문제에 대한 입장을 발표했다. 이러한 입장 요약과 정확한 진술이 담긴 전체 보고서는 crcna.org에서 확인할 수 있다.[12]
CRC는 임신으로 "어머니의 생명이 진정으로 위협받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낙태에 반대한다. 교회는 "수태의 순간"부터 "모든 인간 생명의 고유한 가치"를 긍정한다. 신자들은 낙태의 "잔혹 행위"에 반대하면서도 원치 않는 임신을 경험하는 사람들에게 "연민"을 보여야 한다. 2010년, 시노드는 "사회 정의 및 기아 행동 사무소(OSJ)에 교회의 낙태 반대 입장을 대담하게 옹호하고, 교회가 인간 생명의 신성함을 증진하도록 돕는 지침"을 채택했다.[13]
많은 다른 기독교 종파와 달리, CRC는 안락사에 대한 공식적인 입장을 가지고 있지 않다. 그러나 1972년 시노드 회의록은 "수태 시점부터 사망 시점까지 어떤 단계에서도 인간의 자의적 또는 임의적인 파괴"에 반대하기 때문에 안락사에 대한 비난으로 해석될 수 있다.[14] CRC는 이미 캐나다와 미국에서 합법적인 안락사에 대한 공식적인 반대를 표명했다.[15]
CRC는 사형에 대해 온건한 입장을 취하고 있다. "CRC는 현대 국가가 성경, 신조 또는 원칙에 의해 사형을 제정하고 시행할 의무가 없다고 선언했다. 그러나 성경은 극도의 자제력을 가지고 행사될 경우 현대 국가가 사형을 제정하고 시행할 권리를 인정한다고 본다."[16]
CRC의 입장은 동성애가 "우리의 죄 많은 세상의 깨어짐을 반영하는 무질서한 성적 상태"라는 것이다. 기독교인 동성애자는 "성경에 계시된 하나님의 뜻에 순종하는 것과 양립할 수 없는" "명백한 동성애 행위"로 정의되는 "동성애"를 추구해서는 안 된다. 기독교인 동성애자는 교회 공동체 내에서 "사랑의 지원", 연민, 그리고 "치유와 온전함으로 나아가는" 지원을 받아야 한다.[17][18] 모든 기독교인과 마찬가지로 기독교인 동성애자는 제자 훈련, 거룩한 순종, 그리고 왕국의 대의를 위한 그들의 재능을 사용할 것을 요구받는다. 이성애자 기독교인과 마찬가지로 그들에게도 회중의 직무와 삶에서 봉사할 기회가 주어져야 한다.[19]
북미 기독교 개혁교회는 또한 프리메이슨에 반대한다.[20]
5. 정치 참여
기독교 개혁교회(CRC)는 캐나다와 미국에서 사회 정의 문제에 대한 교육과 회원들의 옹호를 이끌어내고 있다.[21] 이는 주로 사회 정의 및 기아 행동 사무소(OSJ)[22]와 캐나다 공공 대화 센터(CPD)[23]를 통해 이루어진다. CRC가 성경에 근거하여 적극적으로 옹호하는 주요 문제는 다음과 같다.
- 낙태 감소 또는 종식
- 미국의 이민 시스템 개혁
- 세계 빈곤과 기아 종식
- 캐나다와 미국 내 인종차별 철폐
- 미국과 캐나다 원주민을 위한 정의 실현
- 기후 변화 대응 및 난민 보호, 재정착을 포함한 창조물 관리에 대한 정부 및 민간 부문의 노력 강화
- 신앙으로 인해 박해받는 사람들과의 연대
6. 선교
기독교 개혁교회는 나이지리아, 남아메리카, 동남아시아, 나바호 보호구역에서 선교 활동과 사역을 펼치고 있다.[1] 가장 두드러진 보호구역 교회로는 주니와 레호보스 선교회가 있다.[1] 1903년에 설립된 레호보스는 크게 성장하여 대규모 교회가 되었고, 유치원부터 고등학교 3학년까지 500명 이상의 학생이 다니는 독립 학교를 운영하고 있다.[1] 주니도 그 지역 사회에서 비슷한 성장을 경험했다.[1] 1970년 레호보스 병원은 인근 도시 갤럽으로 이전했다.[1] 1951년에 레호보스는 고등학교를 지었으며, 2018년에는 DeVos 가문의 지원을 받아 새로운 고등학교가 건설되었다.[1] 1908년에 첫 번째 레호보스 교회가 지어졌지만, 2005년에 교인들은 새로운 건물로 이전했다.[1]
7. 교회 정치 및 조직
기독교 개혁교회(CRC)는 장로교 정치와 헌법을 따르며, 성경에 복종하고 하이델베르크 요리문답과 네덜란드 신앙고백을 받아들인다.[61] 교회 정치는 교회의 통치 형태와 조직을 의미한다. CRC는 감독에 의한 통치 형태(로마 가톨릭, 연합 감리교, 성공회 교단) 및 지역 교회의 통치 형태(회중 교회, 침례교, 그리스도의 제자회)와 비교하여 장로에 의한 통치하에 조직된 장로교 형태의 교회 정치를 따른다.
장로에 의한 통치는 기독교 개혁 교회 헌법 전반에 걸쳐 나타나지만, CRC 정치는 장로교 교단과 정확히 일치하지는 않는다. 두 가지 주요 차이점은 다음과 같다.
- CRC는 임원(장로와 집사가 '영원히' 아닌 '임기' 동안 봉사함)의 임기를 제한한다.
- 목사는 지역 교회에서 안수를 받고 자격을 얻는다(지역 클래시스 또는 노회가 아님).
또 다른 중요한 차이점은 CRC의 교회 정치가 고백적 지위를 갖지 않으므로, 교회 헌법이 신조와 동일한 권위를 갖지 않는다는 것이다. 교회 헌법은 신조와 고백에 종속되고, 신조와 고백은 성경에 종속된다.[24]
기독교 개혁 교회는 세 가지 수준의 회의를 갖는다.
| 회의 종류 | 설명 |
|---|---|
| 교회 협의회 | 지역 회의, 회중의 집사, 장로, 목회자로 구성 |
| 클래시스 | 지역 회의, 미국에 37개, 캐나다에 12개, 국제 국경을 걸치는 1개[25] |
| 시노드 | 양국가 회의 |
시노드는 매년 6월에 192명의 대표(각 클래시스에서 목사, 장로 및 집사 1명, 그리고 다른 임원 1명)와 함께 열린다.[25]
교회의 중앙 사무실은 미시간 주 그랜드래피즈와 온타리오 주 벌링턴에 위치해 있다. 북미 CRC는 전 세계 여러 국가에 선교사를 파견하여 기독교 개혁 교회를 설립했지만, 이들은 자체적으로 조직되었으며 북미 교단과는 독립적이다.
8. 교육 및 기관
기독교 개혁교회(CRC)는 개혁주의 신학의 교육 강조 전통에 따라 캘빈 칼리지와 칼빈 신학교를 설립하여 교역자를 양성해왔다.[26] 많은 CRC 교인들은 기독교 학교와 고등 교육을 지원하며, 엘림 기독교 서비스와 같이 특별한 도움이 필요한 사람들을 위한 교육 기관도 운영하고 있다.
8. 1. 교육 기관
기독교 개혁교회(CRC)는 화란 개혁교회의 뿌리를 가지고 1875년 캘빈 칼리지와 칼빈 신학교를 세워 교역자 양성을 시작하였다. 개혁주의 신학은 교육을 강조하므로 많은 CRC 교인들은 기독교 학교뿐만 아니라 고등 교육도 지지한다.[26]교단은 미시간주 그랜드 래피즈에 있는 칼빈 대학교와 칼빈 신학 대학원을 소유하고 지원하며, 이곳에 교단의 미국 사무실이 있다. 역사적으로 CRC에서 안수받은 대부분의 목회자는 칼빈 신학원에서 교육을 받았다. 교단과 관련된 다른 대학으로는 쿠이퍼 칼리지 (그랜드 래피즈에 위치), 일리노이주 팔로스 하이츠의 트리니티 기독교 대학교, 아이오와주 수 시티의 도르트 대학교, 온타리오주 앤캐스터의 리디머 대학교, 앨버타주 에드먼턴의 더 킹스 대학교 (에드먼턴), 온타리오주 토론토의 대학원 과정인 기독교 연구소 등이 있다.[27]
일리노이주 팔로스 하이츠에 있는 엘림 기독교 서비스는 특별한 도움이 필요한 사람들을 위한 교육을 제공하는 학교를 운영하고 있다.
8. 2. 기관
- ReFrame Ministries – (구) The Back to God Hour. 1939년에 설립된 미디어 선교단체로, 라디오, 텔레비전, 인터넷 및 문자 메시지를 사용하여 200여 개국에 접근하며, 10개 언어로 34개의 웹사이트를 운영한다.[28]
- 칼빈 대학교 – CRCNA의 가장 오래되고 주요한 대학
- 칼빈 신학 대학원 – 목회자 및 사역자를 양성하는 CRCNA 신학 대학원
- Resonate Global Mission - Christian Reformed Home Missions과 Christian Reformed World Missions이 합병하여 설립되었으며, 전 세계적으로 예수 그리스도의 복음을 선포하고 실천하기 위해 지도자를 훈련하고, 새로운 교회를 이끌며, 파트너십을 구축한다.
- 월드 리뉴 – 과거 Christian Reformed World Relief Committee (CRWRC)였던 월드 리뉴는 기독 개혁 교회의 구호 및 개발 기관이다. 가난, 기아, 재난, 불의로 고통받는 전 세계 사람들의 필요에 대응한다.[29][30]
8. 3. 기타 부서 및 사무소
- 페이스 얼라이브 크리스천 리소스(Faith Alive Christian Resources)[31]는 2007년까지 CRC 출판으로 알려졌으며, 서적, 잡지 및 학습 자료를 출판하고 배포한다. 2013년, 페이스 얼라이브는 자체 이사회가 있는 CRC 기관에서 CRC 이사회에서 감독하는 부서로 재편되었다.
- 캐나다 사역(Canadian Ministries)[32]
- 후보 위원회(Candidacy Committee)[33]
- 채플린 및 케어 사역(Chaplaincy & Care Ministry)[34]
- CRC 재단(CRC Foundation)[35]
- 장애 문제(Disability Concerns)[36]
- 에큐메니컬 및 종교 간 관계 위원회(EIRC)(Ecumenical and Interfaith Relations Committee)[37]
- CRC 대출 기금(CRC Loan Fund)[38]
- 사회 정의 사무소(Office of Social Justice)[22]
- 공공 대화 센터(Centre for Public Dialogue)[23]
- 목사-교회 자원(Pastor-Church Resources)[39]
- 인종 관계(Race Relations)[40]
- 안전한 교회(Safe Church)[41]
- 서비스링크(Servicelink)[42]
- 지속적인 회중 탁월성(SCE)(Sustaining Congregational Excellence)[43]
- 지속적인 목회 탁월성(SPE)(Sustaining Pastoral Excellence)[44]
8. 4. 교단 관련 기관
- 캐나다 구제 사역[45]
- 역동적 청소년 사역 – 청소년을 위한 사역; 칼빈주의 카데트 군단, GEMS 걸스 클럽, 그러므로가라 사역 포함
- 프렌드십 미니스트리[46]
- 파트너스 월드와이드[47]
- 티모시 리더십 트레이닝 연구소
9. 교세 현황
북아메리카 기독교개혁교회(CRCNA)의 교세는 다음과 같이 변화해 왔다.
1963년부터 1992년까지 교인 수는 꾸준히 증가하여 1992년에 316,415명으로 정점을 찍었다. 그러나 이후 교인 수는 감소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2019년에는 1,072개 교회에 222,156명의 교인이 있었으며, 이는 1992년에 비해 78,164명(26%) 감소한 수치이다.[48]
CRCNA는 주로 네덜란드계 미국인 정착 지역에 위치해 있으며, 미국에 약 75%, 캐나다에 약 25%의 회중이 있다. 최근에는 미국 원주민, 한국인, 중국인, 베트남인, 아프리카계 미국인, 히스패닉 등 다양한 민족으로 구성된 회중이 늘어나면서 민족적으로 다양해지고 있다.
10. 주요 인물
- 데이비드 아폴(David Apol), 미국 정부 윤리청 총평의회
- 허먼 베이커(Herman Baker), 베이커 출판 그룹 설립자
- 루이스 베르코프(1873–1957), 20세기 저명한 개혁 신학자
- 더크 보이(Dirk Booy), 월드비전 부회장
- 에밀리 R. 브링크(Emily R. Brink), 찬송가 작가이자 교회 음악 및 예배 교수[63]
- 스콧 브라운, 매사추세츠주 상원의원
- 시체 버닝(Sietze Buning), 시인, 스탠리 위어스마(Stanley Wiersma, 1930–1986)의 필명
- 리처드 디보스, 사업가, 암웨이 공동 설립자
- 베치 디보스, 전 미국 교육부 장관
- 캘빈 B. 드윗(Calvin B. DeWitt), 환경 운동가이자 복음주의 환경 네트워크 공동 설립자[64]
- 윌리엄 B. 이어드먼스(William B. Eerdmans), 윌리엄 B. 이어드먼스 출판사 설립자
- 번 엘러스(Vern Ehlers), 미시간주 하원의원
- 윌리엄 K. 프랑케나(William K. Frankena, 1908–1994), 미시간 대학교 철학자
- 폴 B. 헨리(Paul B. Henry), 미시간주 하원의원
- 허먼 호크세마(Herman Hoeksema, 1886-1965), 미국 개혁주의 교회 설립을 도운 개혁 신학자
- 셜리 B. 후그스트라(Shirley B. Hoogstra), 기독교 대학 및 대학교 협의회 회장[65]
- 빌 하이징아, 미시간주 하원의원
- 딘 콜덴호벤(Dean Koldenhoven), 일리노이주 팔로스 하이츠 전 시장[66]
- 리처드 크레이시어(Richard Krejcir), 목사, 신학자, 작가, '인투 다이 워드'(Into Thy Word) 디렉터
- 프레데릭 만프레드(Frederick Manfred), 서부극 작가, 페이케 페이케마(Feike Feikema, 1912–1994)의 필명
- 마누엘 오티즈(Manuel Ortiz), 목사, 선교사이자 학자[67]
- 리처드와 조앤 오스틀링(Richard and Joan Ostling), 작가이자 언론인
- 찰스 쿠퍼러스(Charles Kuperus), 뉴저지 농무부 장관, 기독교 학교 국제 이사회 이사
- 앨빈 플랜팅가, 노트르담 대학교 철학자
- 코닐리어스 플랜팅가, 신학자, 작가, 2002-2011년 칼빈 신학교 총장
- 마이클 레아(Michael Rea), 노트르담 대학교 철학자
- 야코바 뵈커 로버트(Jacoba Beuker Robbert), 파인 레스트 기독교 정신 건강 서비스 공동 설립자
- 루이스 스메데스(Lewis Smedes, 1921–2002), 작가, 윤리학자, 신학자
- 칼빈 서벨드(Calvin Seerveld), 철학자이자 신학자
- 스탈 형제, 프로 하키 선수 에릭 스탈, 마크 스탈, 조던 스탈, 자레드 스탈
- 스티븐 R. 팀머만스(Steven R. Timmermans), 심리학자, 작가, 트리니티 기독교 대학 전 총장, CRC 전무이사(2013–현재)
- 제이 밴앤덜, 사업가, 암웨이 공동 설립자
- 코닐리어스 밴틸(1895–1987), 개혁 신학자 (CRC에서 성장하여 정통 장로교회에 합류하기 전에 교파 학교에 다녔다)
- 요한나 빈스트라(Johanna Veenstra, 1894-1933), 나이지리아 선교사
- 게할더스 보스(Geerhardus Vos, 1862–1949), 신학자, "개혁 성경 신학의 아버지"
- 존 윗블릿(John Witvliet), 칼빈 신학교 산하 칼빈 기독교 예배 연구소 소장[68]
- 앨버트 월터스(Albert Wolters), 철학자
- 니컬러스 월터스토프, 예일 대학교 철학자
- 팻과 버니 존더반(Pat and Bernie Zondervan), 존더반 출판사 설립자
- 제리 잔드스트라(Jerry Zandstra), 보수 활동가
- 랜디 핀스트라, 아이오와주 하원의원
- 시드니 그리다누스, 칼빈 신학 대학원의 설교학 교수
- 마브 히미어, 1951-2004, 콜로라도주 그랜비 불도저 난동 사건으로 유명
- 빌 하이벨스, 윌로우 크릭 커뮤니티 교회 목사이자 윌로우 크릭 협회의 설립자[55]
- 리엔크 카이퍼, 신학자
- H. 에반 러너, 철학자
- 힐러리 숄텐, 미시간주 하원의원
- 크리스찬 세바스티아, 목사, 신학자, 음악 프로듀서
- 크리스 시버스, 보르클로 기독교 학교 교장
- 노먼 셰퍼드, 목사이자 신학자
참조
[1]
웹사이트
Welcome: Learn about the CRC
http://www.crcna.org[...]
2011-07-22
[2]
간행물
Acts of Synod 2002, pg.485; Acts of Synod 2003, pg.231
[3]
웹사이트
GCF Home
http://www.globalchr[...]
[4]
웹사이트
Relationships | Ecumenical and Interfaith Relations Committee | Christian Reformed Church
https://www.crcna.or[...]
[5]
간행물
A State of Ungrace Part 2
Christianity Today
1997-02-03
[6]
서적
Reformed: What It Means, Why It Matters
https://archive.org/[...]
Faith Alive Christian Resources
[7]
서적
Psalter Hymnal: Doctrinal Standards and Liturgy of the Christian Reformed Church.
https://archive.org/[...]
Publication Committee of the Christian Reformed Church, Inc.
[8]
웹사이트
Our World Belongs to God - Christian Reformed Church
http://www.crcna.org[...]
2011-05-19
[9]
서적
Reformed: What It Means, Why It Matters
https://archive.org/[...]
Faith Alive Christian Resources
[10]
웹사이트
Our Faith - Ecumenical Creeds, Reformed Confessions, and Other Resources
http://www.faithaliv[...]
[11]
웹사이트
Advisory Committee
https://www.crcna.or[...]
[12]
웹사이트
Position statements
https://www.crcna.or[...]
[13]
웹사이트
Abortion
http://www.crcna.org[...]
2012-06-26
[14]
웹사이트
Christian Reformed Church in North America on euthanasia
http://www.crcna.org[...]
Christian Reformed Church
[15]
웹사이트
News and Views
http://www.crcna.org[...]
[16]
웹사이트
Capital Punishment
http://www.crcna.org[...]
2012-06-26
[17]
웹사이트
Homosexuality
http://www.crcna.org[...]
Christian Reformed Church
2012-09-18
[18]
웹사이트
Pastoral Care for Homosexual Members
http://www.crcna.org[...]
Christian Reformed Church
2012-09-18
[19]
웹사이트
Homosexuality
https://www.crcna.or[...]
2012-06-26
[20]
웹사이트
Freemasonry: What Christian Churches Really Think! – Jubilee Resources
http://jubileeresour[...]
[21]
웹사이트
Advancing God's Kingdom: Calvinism, Calvin College, and Betsy DeVos
http://religionandpo[...]
2017-01-30
[22]
웹사이트
Office of Social Justice -
http://justice.crcna[...]
[23]
웹사이트
Centre for Public Dialogue
https://www.crcna.or[...]
2016-04-25
[24]
웹사이트
Church Order and Supplements, 2015
https://www.crcna.or[...]
[25]
웹사이트
Christian Reformed Church Governance
http://www.crcna.org[...]
Christian Reformed Church
[26]
서적
Reformed: What It Means, Why It Matters
https://archive.org/[...]
Faith Alive Christian Resources
[27]
뉴스
Happy 150th, CRC!
https://archive.toda[...]
The Banner
2007
[28]
웹사이트
Back To God Ministries International
http://www.backtogod[...]
[29]
웹사이트
World Renew
http://worldrenew.ne[...]
[30]
웹사이트
Acts of Synod, page 606
http://crcna.org/sit[...]
[31]
웹사이트
Faith Alive Christian Resources
http://www.faithaliv[...]
[32]
웹사이트
Ministry in Canada
https://www.crcna.or[...]
2012-07-24
[33]
웹사이트
Candidacy Committee
https://www.crcna.or[...]
2012-07-31
[34]
웹사이트
Chaplaincy & Care Ministry
https://www.crcna.or[...]
2012-07-31
[35]
웹사이트
CRC Foundation
https://www.crcna.or[...]
2012-07-31
[36]
웹사이트
Disability Concerns
https://www.crcna.or[...]
2015-04-27
[37]
웹사이트
EIRC - Ecumenical and Interfaith Relations Committee | Christian Reformed Church
https://www.crcna.or[...]
2016-10-18
[38]
웹사이트
Loan Fund
https://www.crcna.or[...]
2012-07-10
[39]
웹사이트
Pastor Church Resources
https://www.crcna.or[...]
2012-07-31
[40]
웹사이트
Race Relations
https://www.crcna.or[...]
2012-07-31
[41]
웹사이트
Safe Church
https://www.crcna.or[...]
2012-07-31
[42]
웹사이트
Servicelink
https://www.crcna.or[...]
2013-06-19
[43]
웹사이트
Sustaining Congregational Excellence
https://www.crcna.or[...]
2015-08-28
[44]
웹사이트
Sustaining Pastoral Excellence
https://www.crcna.or[...]
2015-07-14
[45]
웹사이트
Diaconal Ministries Canada – Transforming communities in Christ
https://diaconalmini[...]
2023-07-23
[46]
웹사이트
Friendship Ministries – Disability Ministry Resources
http://www.friendshi[...]
[47]
웹사이트
Ending Poverty, Creating Opportunity - Partners Worldwide
http://www.partnersw[...]
[48]
웹사이트
Yearbook 2021
https://www.crcna.or[...]
Christian Reformed Church in North America
2022-06-27
[49]
웹사이트
Statistics 2022
https://docs.google.[...]
2022-06-27
[50]
웹사이트
2023 CRCNA Church Statistics
https://docs.google.[...]
2023-12-27
[51]
웹사이트
2024 CRCNA Church Statistics
https://docs.google.[...]
2024-01-30
[52]
웹사이트
Find a Church
http://www.crcna.org[...]
2016-07-01
[53]
웹사이트
History
http://www.crcna.org[...]
2012-06-01
[54]
웹사이트
Dossier - Dr. Calvin B. DeWitt
http://www.nationalc[...]
2016-11-14
[55]
문서
Festival of Faith and Writing brings together a variety of voices
http://www.calvin.ed[...]
Calvin College – Spark On-Line
[56]
웹사이트
Dr. Manuel Ortiz '71 - Cairn Magazine
http://magazine.cair[...]
2010-09-21
[57]
문서
Not in [[Koinonia|communion]] with the rest of the [[Catholic Church]], part of the [[Union of Scranton]]
[58]
문서
Part of the [[Evangelical Fellowship of Canada]]
[59]
문서
Observer member of the [[Evangelical Fellowship of Canada]]
[60]
문서
Welcome: Learn about the CRC
http://www.crcna.org[...]
[61]
웹인용
Church Order and Supplements, 2015
https://www.crcna.or[...]
2018-03-01
[62]
웹인용
Yearbook
http://www.crcna.org[...]
2016-07-01
[63]
웹인용
Emily R. Brink - Hymnary.org
http://www.hymnary.o[...]
[64]
웹인용
Dossier - Dr. Calvin B. DeWitt
http://www.nationalc[...]
2018-03-01
[65]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www.cccu.org/[...]
2018-03-01
[66]
웹인용
Dean Koldenhoven - John F. Kennedy Presidential Library & Museum
https://www.jfklibra[...]
[67]
웹인용
Dr. Manuel Ortiz '71 - Cairn Magazine
http://magazine.cair[...]
[68]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www.calvinsem[...]
2018-03-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