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원전 0년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기원전 0년대는 기원전 9년부터 기원전 1년까지의 기간을 포괄하며, 다양한 지역에서 중요한 사건과 인물이 등장했다. 로마 제국에서는 판노니아가 로마에 편입되고, 아우구스투스가 "조국의 아버지" 칭호를 받았으며, 티베리우스가 게르마니아 정복을 이어갔다. 이 시기에는 코블렌츠 시가 건설되었고, 예수가 기원전 6년에서 4년 사이에 태어났다고 추정된다. 동아시아에서는 신라가 건국되었고, 전한의 황제들이 통치했으며, 파르티아, 아르메니아, 유대 지역에서도 여러 왕과 지도자들이 활동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기원전 0년대 | |
---|---|
연대 정보 | |
기원 | 기원전 |
시작 | 기원전 9년 |
종료 | 기원전 0년 |
연대 구분 | 기원전 1세기 |
주요 사건 | |
역사적 사건 | 기원전 9년: 고대 로마의 게르마니아 침공. 기원전 9년: 파노니아와 달마티아에서 로마에 대항하는 반란 발생. |
인물 | 아우구스투스, 로마 황제 (기원전 27년 ~ 기원후 14년). 헤로데 대왕, 유대 왕 (기원전 37년 ~ 기원전 4년). |
2. 주요 사건
- 기원전 9년: 판노니아가 일리리아의 일부로서 로마 제국에 편입되었고, 아라 파키스가 봉헌되었으며, 티베리우스는 게르마니아 정복을 계속했다.
- 기원전 8년: 오늘날 독일의 코블렌츠 시가 건설되었다.
- 기원전 6년: 아우구스투스는 발레아레스 제도에 족제비를 풀어 토끼 전염병을 억제하려 했고, 가이우스 플리니우스 세쿤두스는 이 족제비를 'viverrae'로 명명했다. 티베리우스는 아르메니아로 전전했고, 그 후 로도스 섬으로 철수했다. 예수는 기원전 6년에서 기원전 4년 사이에 태어난 것으로 추정된다.
- 기원전 4년: 아르켈라오스가 유대의 행정 장관이 되었고, 헤로데 안티파스가 갈릴리와 페레아의 분봉왕이 되었다.
- 기원전 2년: 아우구스투스와 스크리보니아의 딸 율리아가 반역과 간통죄로 어머니와 함께 벤토테네로 유배되었다. 아우구스투스는 로마 원로원으로부터 "조국의 아버지(pater patriae)"라는 칭호를 받았다.[3]
- 기원전 1년: 오늘날 스페인에 알칼라데에나레스 도시가 건설되었고, 오비디우스가 《사랑의 기술(원제: Ars amatoria)》을 저술하였다.
2. 1. 기원전 9년
2. 2. 기원전 8년
오늘날 독일의 코블렌츠 시가 건설되었다.2. 3. 기원전 6년
- 아우구스투스는 토끼 전염병을 억제하기 위해 발레아레스 제도에 족제비를 풀었다. 가이우스 플리니우스 세쿤두스는 이 족제비를 'viverrae'로 명명했다.[2]
- 티베리우스는 아르메니아로 전전했고, 그 후 로도스 섬으로 철수했다.[2]
- 기원전 6년-기원전 4년 - 예수가 태어났다.[2]
2. 4. 기원전 4년
아르켈라오스가 유대의 행정 장관이 되었다. 헤로데 안티파스가 갈릴리와 페레아의 분봉왕이 되었다.2. 5. 기원전 2년
아우구스투스와 스크리보니아의 딸 율리아가 반역과 간통죄로 어머니와 함께 벤토테네로 유배되었다. 아우구스투스는 로마 원로원으로부터 "조국의 아버지(pater patriae)"라는 칭호를 받았다[3]。2. 6. 기원전 1년
오늘날 스페인에 알칼라데에나레스 도시가 건설되었다. 오비디우스가 《사랑의 기술(원제: Ars amatoria)》을 저술하였다.2. 7. 연도 불명
파르티아의 수도 미트라다트케르트가 지진으로 붕괴되었다.3. 주요 인물
기원전 0년대의 주요 인물은 다음과 같다.
- '''예수''': 유대인 설교자이자 기독교의 중심 인물이다. 대략 기원전 4년경에 태어난 것으로 추정된다.[2]
- '''혁거세''': 신라의 왕으로, 재위 기간은 기원전 57년–서기 4년이다.
로마 제국, 유대 지역, 아르메니아 왕국, 한나라(중국) 관련 주요 인물은 하위 섹션을 참조하면 된다.
기타 지역의 주요 인물은 다음과 같다.
지역 | 인물 | 설명 |
---|---|---|
게르만족 | 아르미니우스 | 전쟁 지도자 (기원전 18/17년 – 서기 21년) |
일본 | 스이닌 천황 | 전설적인 천황 (재위: 기원전 29년 – 서기 70년) |
파르티아 | 프라아테스 4세 | 왕 (재위: 기원전 38년 – 기원전 2년) |
프라아테스 5세 | 왕 (재위: 기원전 2년 – 서기 4년) | |
무사 | 프라아테스 5세의 어머니이자 공동 통치자 (재위: 기원전 2년 – 서기 4년) | |
코마게네 | 안티오코스 3세 | 왕 (재위: 기원전 12년 – 서기 17년) |
코카서스 이베리아 | 아르샤크 2세 | 왕 (재위: 기원전 20년 – 서기 1년) |
인도-그리스 왕국 | 스트라토 2세와 스트라토 3세 | 공동 왕 (재위: 기원전 25년 – 서기 10년) |
아일랜드 최고 왕 | 루가이드 리아브 니아르그 | (재위: 기원전 33년 – 기원전 9년) |
콘코바르 아브라드루아드 | (재위: 기원전 9년 – 기원전 8년) | |
크림탄 니아 나이르 | (재위: 기원전 8년 – 서기 9년) | |
쿠시 | 아마니샤케토 | 왕 (재위: 기원전 10년 – 기원전 1년) |
나타카마니 | 왕 (재위: 기원전 1년 – 서기 20년) | |
오스로에네 | 마누 3세 | 왕 (재위: 기원전 23년 – 기원전 4년) |
아브가르 5세 | 왕 (재위: 기원전 4년-서기 7년, 서기 13년 – 50년) |
3. 1. 로마 제국
- 아우구스투스: 로마 제국의 초대 황제(기원전 27년 – 서기 14년)였다. 그의 통치 기간은 '팍스 로마나'로 불리는 평화와 번영의 시대였다.[3]
- 네로 클라우디우스 드루수스: 로마 집정관으로 기원전 9년에 재임하였다.
- 가이우스 카이사르: 로마 장군이었다.
- 리비우스: 로마 역사가였다.
- 오비디우스: 로마 시인이었다. 『사랑의 기술(원제: Ars amatoria)』을 저술하였다.
- 퀴리니우스: 로마 귀족이자 정치인이었다.
- 티베리우스: 로마 장군이자 정치가였으며, 훗날 황제가 되었다. 아우구스투스 시대에 게르마니아 정복을 계속했다.
- 판노니아가 일리리아의 일부로서 로마 제국에 편입되었다.
- 아라 파키스가 봉헌되었다.
- 기원전 6년, 아우구스투스는 토끼의 전염병을 억제하기 위해 발레아레스 제도에 족제비를 풀었다.
- 티베리우스는 아르메니아로 전전했고, 그 후 로도스 섬으로 철수했다.
- 기원전 2년, 아우구스투스와 스크리보니아의 딸 율리아가 반역과 간통죄로 어머니와 함께 벤토테네로 유배되었다.
- 기원전 2년, 아우구스투스가 로마 원로원으로부터 "조국의 아버지(pater patriae)"라는 칭호를 받았다.[3]
3. 2. 유대 지역
- 헤롯 대왕, 로마 제국의 지원을 받는 유대의 왕이었다.
- 힐렐은 유대 학자이자 산헤드린의 나시(지도자)로, 기원전 31년부터 서기 9년까지 재임하였다.
- 샴마이는 유대 학자이자 산헤드린의 아브 베이트 딘(부지도자)로, 기원전 20년부터 서기 20년까지 재임하였다.
- 아르켈라오스는 유대의 행정 장관이 되었고, 헤로데 안티파스는 갈릴리와 페레아의 분봉왕이 되었다.
3. 3. 아르메니아 왕국
- 티그라네스 4세는 기원전 12년부터 기원전 1년까지 아르메니아 왕을 지냈다.[1]
- 에라토는 기원전 8년부터 기원전 5년, 기원전 2년부터 서기 2년, 서기 6년부터 서기 11년까지 아르메니아 여왕을 지냈다.[2]
- 아르타바스데스 3세는 기원전 5년부터 기원전 2년까지 아르메니아 왕을 지냈다.[3]
- 아리오바르자네스는 기원전 1년부터 서기 2년까지 아르메니아의 종속 왕을 지냈다.
3. 4. 한나라 (중국)
- 성제, 한나라 황제, 재위: 기원전 32년–기원전 7년
- 애제, 한나라 황제, 재위: 기원전 7년–기원전 1년
- 평제, 한나라 황제, 재위: 기원전 1년–서기 5년
- 왕망, 중국의 정치가이자 훗날 신 황제
- 동현, 한나라 관리, 한나라 애제 치세
3. 5. 기타 지역
- 아르미니우스, 게르만족의 전쟁 지도자 (기원전 18년/기원전 17년 – 서기 21년)
- 스이닌 천황, 전설적인 일본 천황, 재위: 기원전 29년–서기 70년
- 프라아테스 4세, 파르티아 제국 왕, 재위: 기원전 38년–기원전 2년
- 프라아테스 5세, 파르티아 제국 왕, 재위: 기원전 2년–서기 4년
- 무사, 프라아테스 5세의 어머니이자 공동 통치자, 재위: 기원전 2년–서기 4년
- 안티오코스 3세, 코마게네 왕, 재위: 기원전 12년–서기 17년
- 아르샤크 2세, 코카서스 이베리아 왕, 재위: 기원전 20년–서기 1년
- 스트라토 2세와 스트라토 3세, 인도-그리스 왕국의 공동 왕, 재위: 기원전 25년–서기 10년
- 루가이드 리아브 니아르그, 전설적인 아일랜드 최고 왕, 재위: 기원전 33년–기원전 9년
- 콘코바르 아브라드루아드, 전설적인 아일랜드 최고 왕, 재위: 기원전 9년–기원전 8년
- 크림탄 니아 나이르, 전설적인 아일랜드 최고 왕, 재위: 기원전 8년 – 서기 9년
- 아마니샤케토, 쿠시 왕, 재위: 기원전 10년–기원전 1년
- 나타카마니, 쿠시 왕, 재위: 기원전 1년 – 서기 20년
- 마누 3세, 오스로에네 왕, 재위: 기원전 23년–기원전 4년
- 아브가르 5세, 오스로에네 왕, 재위: 기원전 4년-서기 7년, 서기 13년–50년
3. 6. 신라
신라의 박혁거세는 기원전 57년부터 서기 4년까지 신라를 다스렸다. 박혁거세는 신라 건국 신화의 주인공이자, 박씨 왕조의 시조로 여겨진다.3. 7. 기독교
예수는 유대인 설교자이자 기독교의 중심 인물로, 대략 기원전 4년경에 태어난 것으로 추정된다.[2] 예수의 탄생과 가르침은 기독교 신앙의 핵심이며, 이후 세계 역사에 큰 영향을 미쳤다.참조
[1]
웹사이트
Number of Christians in the world
https://web.archive.[...]
2009-09-10
[2]
웹사이트
Nineteen Year Cycle of Dionysius
http://hbar.phys.msu[...]
[3]
문서
Eck, 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