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오스로에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오스로에네 또는 에데사는 기원전 136년에 셀레우코스 제국으로부터 독립한 아랍 유목 부족인 오스르호에니족이 세운 고대 왕국이다. 파르티아 제국과 동맹 관계를 맺었으나, 로마 제국에 흡수되어 속주가 되었다. 오스로에네는 아랍계 아브가르 왕조가 통치했으며, 아람어를 사용하고 시리아 기독교의 중요한 중심지였다. 213년에 로마 제국에 완전히 합병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르메니아의 고대사 - 다리우스 3세
    다리우스 3세는 아케메네스 왕조의 마지막 왕으로, 알렉산드로스 대왕과의 전투에서 패배하고 베소스에게 살해당하여 아케메네스 왕조를 멸망시킨 인물이다.
  • 오스로에네 - 하란 (튀르키예)
    하란은 튀르키예와 시리아 국경 근처의 고대 메소포타미아 도시로, 메소포타미아의 중심지이자 아브라함의 거주지였으며, 여러 제국을 거쳐 우마이야 왕조 시대 수도, 중세 학문 중심지로서 중요한 고고학적 가치를 지니고 현재는 벌집형 가옥과 유적지로 터키 세계유산 잠정 목록에 등재되어 있다.
  • 오스로에네 - 에데사 (메소포타미아)
    에데사는 메소포타미아 북부에 위치한 고대 도시로 현재의 튀르키예 샨르우르파이며, 아드마에서 유래하여 헬레니즘 시대에 에데사 등 다양한 이름으로 불리며 교통 요충지이자 오스로에네 왕국의 수도, 초기 기독교 중심지로서 중요한 역할을 했다.
오스로에네 - [옛 나라]에 관한 문서
개요
현지 이름ܡܠܟܘܬܐ ܕܒܝܬ ܐܘܪܗܝ (믈쿠타 드베트 우르하이)
다른 표기Ὀσροηνή (오스로에네)
지위왕국, 종속국, 속주
존속 기간기원전 132년 ~ 서기 214년
이전 국가셀레우코스 제국
다음 국가로마 제국
수도에데사
공용어아람어
공통어코이네 그리스어, 아르메니아어
국교기독교 (서기 2세기경)
정부 형태군주제
지도자 칭호
역사
사건건국
건국 시기기원전 132년
사건 1멸망
멸망 시기서기 214년
티그라네스 대왕 치세 아르메니아 왕국의 종속국 시절
티그라네스 대왕 치세 아르메니아 왕국의 종속국 시절

2. 역사

오스로에네의 역사는 크게 세 시기로 구분할 수 있다.



오스로에네를 포함한 로마의 속국들 (기원전 31년)


파르티아 제국의 종속국 상태로 있는 오스로에네 왕국이 있는 서기 1세기 초 아나톨리아 지도


서기 1세기 오스로에네 왕국 (파랑색 계열)과 그 주변 지역


4세기 말 노티티아 디그니타툼에 따르면, 오스로에네는 동방 대관구 내 동방 관구의 일부였으며, 프라이세스 계급의 총독과 비르 일루스트리스 계급의 둑스 메소포타미아가 통치했다. 둑스 메소포타미아는 아래 부대들을 지휘했다 (400년경):

부대 종류부대 이름주둔지
기병대Dalmatae IllyricianiGanaba
기병대Promoti Illyriciani칼리니쿰
기병대Mauri Illyriciani다바나
기병대Promoti indigenaeBanasam
기병대Promoti indigenaeSina Iudaeorum
기병대Sagittarii indigenaeOraba
기병대Sagittarii indigenaeThillazamana
기병대Sagittarii indigenae MedianensesMediana
기병대Primi OsrhoeniRasin
군단 분대파르티카 제4군단키르케시움
(소속 불명, 파르티카 제3군단 추정)Apatna



'작은 역할'을 맡았던 보조병으로 추정되는 부대는 다음과 같다:

부대 종류부대 이름주둔지
AlaSeptima Valeria PraelectorumThillacama
AlaPrima VictoriaeTovia -contra Bintha
AlaSecunda PaflagonumThillafica
AlaPrima ParthorumResaia
AlaPrima nova Diocletianainter Thannurin et Horobam
CohorsPrima GaetulorumThillaamana
CohorsPrima EufratensisMaratha
AlaPrima SalutariaDuodecimo constituta


2. 1. 초기 역사와 독립



오스로에네 또는 에데사는 기원전 136년부터 가나안 남부와 아라비아반도 북부에서 온 나바테아계 아랍 유목 부족인 오스르호에니(Osrhoeni)족이 셀레우코스 제국을 붕괴시키면서 독립을 얻어낸 몇몇 국가들 중 하나였다. 오스로에네의 명칭은 이 부족 이름이나 에데사의 원래 아람어 명칭인 오르하이(Orhay) 혹은 우르하이(Urhay)에서 유래했다. 아랍의 영향력은 이 지역 내에서 상당하였다.

오스로에네는 주화에 이따금씩 왕이라 불린 지도자들 24명을 겪으며, 네 번의 세기를 지내왔다. 오스로에네의 왕들 대부분은 ‘아브가르’ 혹은 ‘마누’라 불렸고 도심 중심지에서 거주했다.[7]

오스로에네는 보통은 파르티아 제국과 동맹 관계였다. 파르티아 제국의 지배를 일시적으로 받은 후, 114년에 반자치를 누리는 종속국으로서 로마 제국에 흡수되었으며, 214년에 단순히 로마 속주로 합병되었다. 오스로에네가 기독교를 국교로 받아들인 최초의 국가라고 하는 미심쩍은 전설도 존재하나,[8][9] 그 주장을 입증할 증거는 존재하지 않는다.[10][11][12]

2. 2. 파르티아와 로마 사이에서

오스로에네는 보통 파르티아 제국과 동맹 관계였다.[7] 파르티아 제국의 지배를 일시적으로 받은 후, 114년에 반자치를 누리는 종속국으로서 로마 제국에 흡수되었으며, 214년에 단순히 로마 속주로 합병되었다. 오스로에네가 기독교를 국교로 받아들인 최초의 국가라고 하는 미심쩍은 전설도 존재하나,[8][9] 그 주장을 입증할 증거는 존재하지 않는다.[10][11][12]

기원전 64년에, 폼페이우스가 파르티아 제국과 전쟁을 할 때, 오스로에네의 아브가르 2세는 루키우스 아프라니우스가 상메소포타미아를 점령했을 때 로마의 편을 들었다. 아브가르 2세는 기원전 63년에 마르쿠스 리키니우스 크라수스의 파르티아 원정 당시에 처음에는 로마의 동맹이었으나, 로마의 역사가들은 그가 크라수스를 배신했다고 주장한다. 아브가르는 크라수스를 강가를 따라 있는 안전한 경로에서 벗어나게 하고 대신에 개방되어 있는 사막으로 이끌며, 그곳에서 로마군이 불모지에서 고통받게 하고 기병 공격에 취약하게 했다고 한다. 또한 아브가르는 파르티아의 장군 수레나스와 접촉하여 로마군의 움직임을 알려주었다고 한다. 그 결과 악명 높은 카레 전투가 벌어져 로마군 전체가 궤멸하였다. 전투 직전에, 아브가르는 달아날 구실을 만들어 달아났다고 한다. 그러나, 현대 역사가들은 아브가르가 고의로 로마군을 배신했는지에 대해서 의문을 제기했고 대신에 단순히 로마군을 옛 아랍 교역로로 이끌었을지 모른다고 한다.[17] 시리아어로 된 문헌에 따르면, 아브가르는 1년 뒤에 사망했다고 한다.[17]

서기 2세기 초에, 아브가르 7세트라야누스 황제의 메소포타미아 원정에 합류했고 자신의 궁전에서 그를 정성들여 맞이했다. 이후에 아브가르 7세는 로마에 반란을 일으켰지만, 이 반란은 로마의 장군 루시우스 퀴에투스가 116년에 에데사를 약탈하고 오스로에네의 독립을 끝나게 하였다. 하드리아누스 황제 시기인 123년에, 아브가르 왕조는 마누 7세의 옹립으로 복위되었고, 오스로에네는 로마 제국의 위성국으로서 세워졌다.[18]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치세의 161-166년간 이어진 로마-파르티아 전쟁 이후, 요새들이 세워졌고 로마 주둔군이 니시비스 (현 누사이빈)에 배치되었다. 로마의 내전이 벌어지는 가운데 오스로에네는 페스켄니우스 니게르를 지지했었는데, 195년에 니게르의 경쟁 상대였던 셉티미우스 세베루스는 오스로에네에 공격을 가하여 새로운 속주로 합병해버리고, 니시비스를 속주 중심 도시로 삼았다.[19] 그렇지만, 세베루스는 아브가르 11세가 에데사와 그 주변 작은 구역을 보유하는 걸 허용해주었다.[20] 213년에, 아브가르 11세는 카라칼라에게 폐위되었고, 남아있던 영토도 오스로에네 속주로 흡수되었다.[21]

2. 3. 로마 속주 시대

셉티미우스 세베루스 황제 시기인 195년, 오스로에네는 로마의 속주로 편입되었다.[19] 카라칼라 황제 시기인 213년에는 아브가르 왕조가 폐위되고, 오스로에네는 완전히 로마의 속주로 흡수되었다.[21]

오스로에네는 로마 제국의 동쪽 국경에 위치하여 페르시아 제국과의 전쟁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다. 이곳은 여러 차례 로마와 페르시아 사이에서 뺏고 빼앗기는 과정을 반복했다. 파르티카 제3군단이 레사이나에 주둔했을 것으로 추정되지만 확실하지 않다.

디오클레티아누스 황제(재위: 284-305년)는 행정 개혁을 통해 오스로에네를 동방 대관구 내 동방 관구의 일부로 편입시켰다.

4세기 말의 노티티아 디그니타툼에 따르면, 오스로에네는 프라이세스 계급의 총독과 비르 일루스트리스 계급의 둑스 메소포타미아의 통제를 받았다. 둑스 메소포타미아는 다음과 같은 부대들을 지휘했다 (400년경):

부대 종류부대 이름주둔지
기병대Dalmatae IllyricianiGanaba
기병대Promoti Illyriciani칼리니쿰
기병대Mauri Illyriciani다바나
기병대Promoti indigenaeBanasam
기병대Promoti indigenaeSina Iudaeorum
기병대Sagittarii indigenaeOraba
기병대Sagittarii indigenaeThillazamana
기병대Sagittarii indigenae MedianensesMediana
기병대Primi OsrhoeniRasin
군단 분대파르티카 제4군단키르케시움
(소속 불명, 파르티카 제3군단 추정)Apatna



또한, '작은 역할'을 맡았던 보조병으로 추정되는 부대는 다음과 같다:

부대 종류부대 이름주둔지
AlaSeptima Valeria PraelectorumThillacama
AlaPrima VictoriaeTovia -contra Bintha
AlaSecunda PaflagonumThillafica
AlaPrima ParthorumResaia
AlaPrima nova Diocletianainter Thannurin et Horobam
CohorsPrima GaetulorumThillaamana
CohorsPrima EufratensisMaratha
AlaPrima SalutariaDuodecimo constituta



소조멘의 교회사에 따르면, 오스로에네에는 바르다이산과 그의 아들 하르모니오스 등 박식한 인물들이 있었다. 하르모니오스는 그리스 학문에 정통했으며, 시리아어에 운율과 음악적 질서를 정립하는 데 기여했다. 그러나 이곳에서 아리우스파는 큰 저항에 부딪혔다.

4세기에는 율리아누스 황제가 페르시아의 샤푸르 2세를 상대로 원정을 벌일 때, 오스로에네 출신의 다갈라이푸스와 세쿤디누스가 참여했다.[26]

3. 문화

아람어로 된 비문이 있는 에데사의 옛 모자이크 (서기 2세기)


오스로에네의 통치자들은 대부분 아랍계 아브가르 왕조 출신이었지만, 왕국 인구는 주로 아람인이었고 그리스인과 파르티아인들이 섞여 있었다. 에데사에서는 아랍 문화가 확인되기도 했지만(모니모스와 아지조스 쌍둥이 형제), 오스로에네의 문화적 배경은 강한 파르티아의 영향력과 함께 부분적으로 아람적이었다. 모리스 사르트르는 "이 지역의 유목 아랍적 문화를 거의 지니지 않았기에, 에데사를 아랍의 도시로만 여기는 것은 불합리하다"라고 하였다. 시간이 흘러 로마 제국 내에서 에데사는 시리아 기독교의 가장 중요한 중심지가 되었다. 나바테아 왕국 치세에 오스로에네는 점차 시리아 기독교의 영향을 받았고, 반(反) 헬레니즘 반응의 중심지였다.[13][14][15][16]

대 플리니우스는 그의 저서에서 오스로에네와 콤마게네 왕국의 주민들을 아랍인이라 칭했고, 이 지역들을 아라비아라고 했다. 아브가르 2세는 플루타르코스에게 ‘아라비아의 필라르코스’라 불렸고, 아브가르 5세는 타키투스에게 ‘아라비아인들의 왕’이라 묘사되었다.

에데사의 고유명사는 여러 아라비아식 명칭들을 포함한다. 에데사 지배 가문에서 가장 흔한 이름은 ‘아브가르’인데, 이는 고대 아라비아 집단들에서 잘 확인된 명칭이다. 아브가르 왕조 출신 일부는 이란어 명칭을 가지고 있었고, 다른 이들은 아랍어 명칭을 사용했다. 주더 시걸은 ‘-u’로 끝나는 이름들은 "의심의 여지없이 나바테아계"라고 언급했다. 아브가르 왕조는 ‘아람어 형태의 언어’로 소통했다.

3. 1. 언어와 종교



오스로에네 통치자들은 대부분 아랍계 아브가르 왕조 출신이었지만, 왕국 주민은 주로 아람인들이었고, 그리스인과 파르티아인들이 섞여 있었다. 에데사에서는 아랍 문화가 확인되기도 했지만, 오스로에네의 문화는 아람적이었고 파르티아의 영향도 강하게 받았다. 모리스 사르트르는 "에데사를 아랍 도시로만 여기는 것은 불합리하다"라고 말했다. 시간이 흐르면서 에데사는 로마 제국 내에서 시리아 기독교의 가장 중요한 중심지가 되었다. 오스로에네는 나바테아 왕국 시대에 점차 시리아 기독교의 영향을 받았고, 반(反) 헬레니즘 반응의 중심지였다.[13][14][15][16]

대 플리니우스는 그의 저서에서 오스로에네와 콤마게네 왕국 주민들을 아랍인이라 칭했고, 이 지역들을 아라비아라고 했다. 아브가르 2세는 플루타르코스에게 ‘아라비아의 필라르코스’라 불렸고, 아브가르 5세는 타키투스에게 ‘아라비아인들의 왕’이라 묘사되었다.

에데사의 고유명사는 여러 아라비아식 명칭들을 포함한다. 에데사 지배 가문에서 가장 흔한 이름은 ‘아브가르’인데, 이는 고대 아라비아 집단들에서 잘 확인된 명칭이다. 아브가르 왕조 출신 일부는 이란어 명칭을 가지고 있었고, 다른 이들은 아랍어 명칭을 사용했다. 주더 시걸은 ‘-u’로 끝나는 이름들은 "의심의 여지없이 나바테아계"라고 언급했다. 아브가르 왕조는 ‘아람어 형태의 언어’로 소통했다.

3. 2. 문화적 특징

오스로에네 통치자들은 대부분 아랍계 아브가르 왕조 출신이었지만, 왕국의 인구는 주로 아람인이었고, 그리스인과 파르티아인들이 섞여 있었다. 에데사에서는 아랍 문화가 확인되기도 하지만(모니모스와 아지조스 쌍둥이 형제), 오스로에네의 문화적 배경은 강한 파르티아의 영향력과 함께 부분적으로 아람적이었다. 모리스 사르트르는 "이 지역의 유목 아랍적 문화를 거의 지니지 않았기에, 에데사를 아랍의 도시로만 여기는 것은 불합리하다"라고 하였다. 시간이 흘러, 로마 제국 내에서 에데사는 시리아 기독교의 가장 중요한 중심지가 되었다. 나바테아 왕국 치세에 오스로에네는 점차 시리아 기독교의 영향을 받았고, 반 헬레니즘 반응의 중심지였다.

대 플리니우스는 그의 저서에서 오스로에네와 콤마게네 왕국의 주민들을 아랍인이라 했고 이들 지역들을 아라비아라고 하였다.[13] 아브가르 2세는 플루타르코스에게 ‘아라비아의 필라르코스’라 불렸고,[14] 아브가르 5세는 타키투스에게 ‘아라비아인들의 왕’이라 묘사되었다.[15]

에데사의 고유명사는 여러 아라비아적 명칭들을 담고 있다. 에데사의 지배 가문 중에 가장 흔한 것은 ‘아브가르’로, 고대 아라비아 집단들에서 잘 확인된 명칭이다.[16] 아브가르 왕조 출신 중 일부는 이란어 명칭들을 가지고 있으며, 반면에 다른 이들은 아랍어 명칭들이었다. 주더 시걸은 ‘-u’로 끝나는 이름들은 "의심의 여지없이 나바테아계"라고 언급한 바 있다. 아브가르 왕조는 ‘아람어 형태의 언어’로 소통했다.

4. 통치자

이름재위 기간
아르유(Aryu)기원전 132년 ~ 기원전 127년
압두 바르 마즈우르(Abdu bar Maz'ur)기원전 127년 ~ 기원전 120년
프라다슈트 바르 게바르우(Fradhasht bar Gebar'u)기원전 120년 ~ 기원전 115년
바크루 1세 바르 프라다슈트(Bakru I bar Fradhasht)기원전 115년 ~ 기원전 112년
바크루 2세 바르 바크루(Bakru II bar Bakru)기원전 112년 ~ 기원전 94년
마누 1세(Ma'nu I)기원전 94년
아브가르 1세 피카(Abgar I Piqa)기원전 94년 ~ 기원전 68년
아브가르 2세 바르 아브가르기원전 68년 ~ 기원전 52년
마누 2세(Ma'nu II)기원전 52년 ~ 기원전 34년
파코르(Paqor)기원전 34년 ~ 기원전 29년
아브가르 3세 (Abgar III)기원전 29년 ~ 기원전 26년
아브가르 4세 수마카(Abgar IV Sumaqa)기원전 26년 ~ 기원전 23년
마누 3세 사퓰(Ma'nu III Saphul)기원전 23년 ~ 기원전 4년
아브가르 5세 우카마 바르 마누 (에데사의 아브가루스)기원전 4년 ~ 서기 7년
마누 4세 바르 마누(Manu IV bar Manu)서기 7년 ~ 서기 13년
아브가르 5세 우카마 바르 마누(Abgar V Ukkama bar Ma'nu)서기 13년 ~ 서기 50년
마누 5세 바르 아브가르(Ma'nu V bar Abgar)서기 50년 ~ 서기 57년
마누 6세 바르 아브가르(Ma'nu VI bar Abgar)서기 57년 ~ 서기 71년
아브가르 6세 바르 마누서기 71년 ~ 서기 91년
사나트루크서기 91년 ~ 서기 109년
아브가르 7세 바르 에자드서기 109년 ~ 서기 116년
로마로 인한 공백 기간서기 116년 ~ 서기 118년
얄루르(Yalur)서기 118년 ~ 서기 122년 (파르타마스파테스와 공동 통치)
파르타마스파테스서기 118년 ~ 서기 123년
마누 7세 바르 에자드서기 123년 ~ 서기 139년
마누 8세 바르 마누(Manu VIII bar Manu)서기 139년 ~ 서기 163년
와일 바르 사흐루(Wa'il bar Sahru)서기 163년 ~ 서기 165년
마누 8세 바르 마누(Manu VIII bar Manu)서기 165년 ~ 서기 167년
아브가르 8세서기 167년 ~ 서기 177년
아브가르 9세 (대왕)서기 177년 ~ 서기 212년
아브가르 10세 세베루스 바르 마누(Severus bar Ma'nu)서기 212년 ~ 서기 214년
아브가르 (10세) 세베루스 바르 아브가르 (9세) 라보서기 214년 ~ 서기 216년
마누 (9세) 바르 아브가르 (10세) 세베루스서기 216년 ~ 서기 242년
아브가르 (11세) 페라트 바르 마누 (9세)서기 242년 ~ 서기 244년



셉티미우스 세베루스 치세(193-211년) 기간 오스로에네를 다스린 아브가르 왕의 주화


고르디아누스 3세 치세(238-244년) 기간 오스로에네를 다스렸던 아브가르 왕의 주화

참조

[1] 서적 The Encyclopedia of Military History: From 3500 B.C. to the Present https://archive.org/[...] Harper & Row 1970
[2] 서적 The Cambridge Ancient History: Volume 12, The Crisis of Empire, AD 193-337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5
[3] 웹사이트 Osroene https://www.britanni[...]
[4] 서적 Encyclopaedia Judaica https://books.google[...] Macmillan Reference USA 2007
[5] 서적 The History of the World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13
[6] 서적 History of Humanity: From the seventh century B.C. to the seventh century A.D. https://books.google[...] UNESCO 1996
[7] 서적 The uniate Eastern churches: the Byzantine rite in Italy, Sicily, Syria and Egypt https://books.google[...] Burns, Oates & Washbourne, ltd. 1923
[8] 서적 Rome in the East: the transformation of an empire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01
[9] 서적 Pilgrimage and Holy Space in Late Antique Egypt https://books.google[...] BRILL 1998
[10] 간행물 abgar-dynasty-of-edessa-2nd-century-bc-to-3rd-century-ad
[11]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Early Christian Literature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4
[12] 서적 Rome in the East: The Transformation of an Empire https://books.google[...] Psychology Press 2000
[13] 논문 Cicero's Reference to Bostra (AD Q. FRAT. 2. 11. 3) Classical Philology 1983
[14] 웹인용 History of Syriac texts and Syrian Christianity - Table 1 http://www.syriac.ta[...] 2018-02-26
[15] 문서 The Tradition of the Image of Edessa Cambridge Scholars Publishing 2016
[16] 문서 The Arabs in Antiquity: Their History from the Assyrians to the Umayyads Routledge 2013
[17] 문서 Intelligence Activities in Ancient Rome: Trust in the Gods But Verify
[18] 문서 Rome in the East: the transformation of an empire Routledge 2001
[19] 문서 The Empress Zenobia: Palmyra's Rebel Queen 2009
[20] 문서 Septimius Severus: The African Emperor 1999
[21] 문서 Eastern Turkey: An Architectural & Archaeological Survey, Volume IV
[22] 문서 A History of the Christian Church During the First Six Centuries Macmillan and Co. 1905
[23] 문서 All the Apostles of the Bible Zondervan 1988
[24] 논문 The Origins and Emergence of the Church in Edessa during the First Two Centuries A.D. Vigiliae Christianae 1968
[25] 논문 The Mid-Third Century of the Christian Era. II Classical Philology 1942
[26] 문서 The Decline And Fall Of The Roman Empire http://www.ccel.org/[...] Vol. I, Chapter XXIV 2007-02-0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