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특별시장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서울특별시장(서울特別市長)은 서울특별시의 행정 수반으로, 역사적으로 한성부 판윤의 직책을 계승한다. 1995년 지방자치법 개정 이후 직선제로 선출되며, 역대 시장 중 윤보선, 이명박은 대통령을, 허정, 고건은 국무총리를 역임했다. 서울특별시는 초기 임명직에서 민선 시장 시대를 거치며 다양한 정책과 사업을 추진해왔으며, 역대 선거에서는 여러 정당 후보들이 경쟁을 벌였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서울특별시장 - 박원순
박원순은 대한민국의 법조인, 사회운동가, 정치인으로, 인권변호사, 시민운동가, 사회적 기업 운동가로 활동하다가 무소속으로 서울특별시장에 당선되어 대한민국 최초의 3선 서울특별시장이 되었으나, 성추행 혐의로 고소당한 후 사망했다. - 서울특별시장 - 이명박
이명박은 기업인 출신으로 서울특별시장을 거쳐 제17대 대통령을 역임하며 청계천 복원 등의 사업을 추진했으나, 4대강 사업 등으로 논란을 겪고 퇴임 후에는 다스 횡령 등의 혐의로 수감되었다가 특별사면되었다. - 대한민국의 지방자치단체장 - 충청남도지사
충청남도지사는 충청남도의 행정 수반으로, 1945년 미군정 시기부터 존재했으며, 1995년 지방자치제 부활 이후 도민들의 직접 선거로 선출되는 민선 도지사 체제로 운영된다. - 대한민국의 지방자치단체장 - 대전광역시장
대전광역시장은 대전광역시의 행정을 책임지는 최고 책임자로, 1949년 충청남도 대전시장으로 시작하여 명칭 변경을 거쳐 현재에 이르렀으며, 1995년부터 주민 직선으로 선출되는 민선 시장이 운영되고 있다. - 대한민국의 장관급 공직자 - 대한민국의 대법관
대한민국의 대법관은 대법원장의 제청으로 임명되며, 13명의 대법관과 대법원장 1명으로 구성되고, 임기는 6년이며, 헌법과 법률에 따라 중요한 사법적 결정을 내린다. - 대한민국의 장관급 공직자 - 대한민국의 검찰총장
대한민국의 검찰총장은 검찰총장후보추천위원회의 추천을 거쳐 법무부장관의 제청으로 대통령이 임명하며, 검찰총장에 관한 사무를 총괄하고 대검찰청을 지휘·감독한다.
서울특별시장 | |
---|---|
지도 | |
기본 정보 | |
직책 | 서울특별시장 |
한자 표기 | 서울特別市長 |
로마자 표기 | Seoul-teukbyeolsijang |
일본어 표기 | ソウル特別市長 |
서울특별시장 정보 | |
소속 | 서울특별시 |
![]() | |
현직 시장 | 오세훈 |
현직 시장 취임일 | 2021년 4월 8일 |
거주지 | 시장 공관, 한남동 |
임기 | 4년, 3회 연임 가능 |
설립일 | 1946년 9월 28일 |
초대 시장 | 김형민 |
연봉 | ₩1억 200만 |
웹사이트 | 서울특별시 시장실 |
국무회의 구성원 여부 | 국무회의 구성원 |
시장 직책 유형 | 시장 |
시장 직위 | 서울특별시 수장 |
일본어 명칭 | |
일본어 표기 | ソウル特別市長 |
현직 시장 (일본어) | 呉世勲(第38代) 오세훈 |
현직 시장 취임일 (일본어) | 2021년 4월 8일 |
일본어 웹사이트 | 서울특별시 시장실 |
한국어 명칭 | |
한국어 명칭 | 서울특별시장 |
현직 시장 (한국어) | 오세훈 |
현직 시장 취임일 (한국어) | 2021년 4월 8일 |
한국어 웹사이트 | 서울특별시장 웹사이트 |
2. 역사
현대 서울시장 직책은 역사적인 한성부 판윤 직책을 계승한다.
서울특별시장은 초기에는 정부 임명직이었다. 제2공화국 시대에 지방자치가 도입되어 1960년 12월 19일 실시된 서울특별시장 선거에서 김상돈이 당선되었으나, 5·16 군사정변으로 해임되면서 다시 임명직으로 돌아갔다. 1987년 민주화 선언 이후 김영삼 정부에서 지방자치가 부활하여 1995년 제30대 조순 시장부터 민선 시장이 되었다.
대통령에 취임한 사람은 윤보선, 이명박 두 사람이고, 국무총리에 취임한 사람은 허정, 고건 두 사람이다.
2. 1. 경성부윤 시대 (일제강점기)
선출 방식 | 대수 | 이름 | 임기 | 비고 |
---|---|---|---|---|
관선 | 초대[16] | 김창영 | 1945년 8월 15일~1945년 9월 11일 | |
2대 | James S. Killough|제임스 S. 킬러프영어 | 1945년 9월 12일~1945년 10월 24일 | 미군정 최고사령관 존 하지에 의해 임명, 현역 미국 육군 소령 | |
대리 | 김창영 | 1945년 9월 12일~1945년 10월 24일 | ||
3대 | 이범승 | 1945년 10월 25일~1946년 5월 9일 | ||
대리 | 김성환 | 1946년 5월 9일~1946년 6월 27일 | 총무부장으로 임시 대리 | |
4대 | 김형민 | 1946년 5월 10일~1946년 9월 27일 | 한성시장(漢城市長)이라는 명칭도 같이 사용하였다. |
일본으로부터 독립 직후, 서울은 일시적으로 경성(일본어 지명 京城의 한국어 표기)으로 불렸으며, 특별시로 지정되기 전까지는 경기도의 일부였다.
2. 2. 서울특별자유시장 시대 (미군정기)
1945년 8월 15일 광복 이후, 서울은 미군정의 통제 하에 놓이게 되었다. 1946년 9월 28일, 미군정은 경성부를 서울특별자유시로 승격시키고, 초대 시장으로 김형민을 임명하였다.[17][18][19]선출 방식 | 대수 | 이름 | 임기 | 비고 |
---|---|---|---|---|
관선 | 초대[17] | 김형민 | 1946년 9월 28일[18][19]~1948년 12월 14일 | |
2대 | 윤보선 | 1948년 12월 15일~1949년 6월 5일 | ||
3대 | 이기붕 | 1949년 6월 6일~1949년 8월 14일 |
2. 3. 서울특별시장 시대 (대한민국 정부 수립 이후)
민주통합당(2011~2013)민주당(2013~2014)
새정치민주연합 (2014~2015)
더불어민주당 (2015~20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