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서울특별시장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서울특별시장(서울特別市長)은 서울특별시의 행정 수반으로, 역사적으로 한성부 판윤의 직책을 계승한다. 1995년 지방자치법 개정 이후 직선제로 선출되며, 역대 시장 중 윤보선, 이명박은 대통령을, 허정, 고건은 국무총리를 역임했다. 서울특별시는 초기 임명직에서 민선 시장 시대를 거치며 다양한 정책과 사업을 추진해왔으며, 역대 선거에서는 여러 정당 후보들이 경쟁을 벌였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서울특별시장 - 박원순
    박원순은 대한민국의 법조인, 사회운동가, 정치인으로, 인권변호사, 시민운동가, 사회적 기업 운동가로 활동하다가 무소속으로 서울특별시장에 당선되어 대한민국 최초의 3선 서울특별시장이 되었으나, 성추행 혐의로 고소당한 후 사망했다.
  • 서울특별시장 - 이명박
    이명박은 기업인 출신으로 서울특별시장을 거쳐 제17대 대통령을 역임하며 청계천 복원 등의 사업을 추진했으나, 4대강 사업 등으로 논란을 겪고 퇴임 후에는 다스 횡령 등의 혐의로 수감되었다가 특별사면되었다.
  • 대한민국의 지방자치단체장 - 충청남도지사
    충청남도지사는 충청남도의 행정 수반으로, 1945년 미군정 시기부터 존재했으며, 1995년 지방자치제 부활 이후 도민들의 직접 선거로 선출되는 민선 도지사 체제로 운영된다.
  • 대한민국의 지방자치단체장 - 대전광역시장
    대전광역시장은 대전광역시의 행정을 책임지는 최고 책임자로, 1949년 충청남도 대전시장으로 시작하여 명칭 변경을 거쳐 현재에 이르렀으며, 1995년부터 주민 직선으로 선출되는 민선 시장이 운영되고 있다.
  • 대한민국의 장관급 공직자 - 대한민국의 대법관
    대한민국의 대법관은 대법원장의 제청으로 임명되며, 13명의 대법관과 대법원장 1명으로 구성되고, 임기는 6년이며, 헌법과 법률에 따라 중요한 사법적 결정을 내린다.
  • 대한민국의 장관급 공직자 - 대한민국의 검찰총장
    대한민국의 검찰총장은 검찰총장후보추천위원회의 추천을 거쳐 법무부장관의 제청으로 대통령이 임명하며, 검찰총장에 관한 사무를 총괄하고 대검찰청을 지휘·감독한다.
서울특별시장
지도
기본 정보
직책서울특별시장
한자 표기서울特別市長
로마자 표기Seoul-teukbyeolsijang
일본어 표기ソウル特別市長
서울특별시장 정보
소속서울특별시
서울특별시 휘장
오세훈 서울특별시장
현직 시장오세훈
현직 시장 취임일2021년 4월 8일
거주지시장 공관, 한남동
임기4년, 3회 연임 가능
설립일1946년 9월 28일
초대 시장김형민
연봉₩1억 200만
웹사이트서울특별시 시장실
국무회의 구성원 여부국무회의 구성원
시장 직책 유형시장
시장 직위서울특별시 수장
일본어 명칭
일본어 표기ソウル特別市長
현직 시장 (일본어)呉世勲(第38代)
오세훈
현직 시장 취임일 (일본어)2021년 4월 8일
일본어 웹사이트서울특별시 시장실
한국어 명칭
한국어 명칭서울특별시장
현직 시장 (한국어)오세훈
현직 시장 취임일 (한국어)2021년 4월 8일
한국어 웹사이트서울특별시장 웹사이트

2. 역사

현대 서울시장 직책은 역사적인 한성부 판윤 직책을 계승한다.

서울특별시장은 초기에는 정부 임명직이었다. 제2공화국 시대에 지방자치가 도입되어 1960년 12월 19일 실시된 서울특별시장 선거에서 김상돈이 당선되었으나, 5·16 군사정변으로 해임되면서 다시 임명직으로 돌아갔다. 1987년 민주화 선언 이후 김영삼 정부에서 지방자치가 부활하여 1995년 제30대 조순 시장부터 민선 시장이 되었다.

대통령에 취임한 사람은 윤보선, 이명박 두 사람이고, 국무총리에 취임한 사람은 허정, 고건 두 사람이다.

2. 1. 경성부윤 시대 (일제강점기)

선출 방식대수이름임기비고
관선초대[16]김창영1945년 8월 15일~1945년 9월 11일
2대James S. Killough|제임스 S. 킬러프영어1945년 9월 12일~1945년 10월 24일미군정 최고사령관 존 하지에 의해 임명, 현역 미국 육군 소령
대리김창영1945년 9월 12일~1945년 10월 24일
3대이범승1945년 10월 25일~1946년 5월 9일
대리김성환1946년 5월 9일~1946년 6월 27일총무부장으로 임시 대리
4대김형민1946년 5월 10일~1946년 9월 27일한성시장(漢城市長)이라는 명칭도 같이 사용하였다.



일본으로부터 독립 직후, 서울은 일시적으로 경성(일본어 지명 京城의 한국어 표기)으로 불렸으며, 특별시로 지정되기 전까지는 경기도의 일부였다.

2. 2. 서울특별자유시장 시대 (미군정기)

1945년 8월 15일 광복 이후, 서울은 미군정의 통제 하에 놓이게 되었다. 1946년 9월 28일, 미군정은 경성부를 서울특별자유시로 승격시키고, 초대 시장으로 김형민을 임명하였다.[17][18][19]

선출 방식대수이름임기비고
관선초대[17]김형민1946년 9월 28일[18][19]~1948년 12월 14일
2대윤보선1948년 12월 15일~1949년 6월 5일
3대이기붕1949년 6월 6일~1949년 8월 14일


2. 3. 서울특별시장 시대 (대한민국 정부 수립 이후)

민주통합당(2011~2013)
민주당(2013~2014)
새정치민주연합 (2014~2015)
더불어민주당 (2015~2020)rowspan=3 |36대37대권한대행서정협2020년 7월 10일~2021년 4월 7일무소속38대오세훈2021년 4월 8일~국민의힘rowspan=2 |39대


2. 4. 민선 서울특별시장 시대 (1960년, 1995년~)

1995년 지방자치법 개정에 따라 서울특별시장은 직선제로 선출되었다.[1]

임기초상화이름임기정당선출
취임퇴임재임 기간
제1기
조순
조순|趙淳한국어
1995년 7월 1일1997년 9월 9일민주당1995
60x80px
강덕기
강덕기|姜德基한국어
1997년 9월 10일1998년 6월 30일무소속
제2기--고건
고건|高建한국어
1998년 7월 1일2002년 6월 30일새정치국민회의
새천년민주당
1998
제3기
이명박
이명박|李明博한국어
2002년 7월 1일2006년 6월 30일한나라당2002
제4기
오세훈
오세훈|吳世勳한국어
2006년 7월 1일2011년 8월 26일rowspan="2" |한나라당2006
제5기2010
--권영규
권영규|權寧奎한국어[8]
2011년 8월 27일2011년 10월 26일무소속
박원순
박원순|朴元淳한국어[9]
2011년 10월 27일2020년 7월 9일[7][10]rowspan="3" |무소속 →
민주통합당 →
민주당 ('11) →
새정치민주연합 →
더불어민주당
2011년
제6기2014
제7기2018
--서정협
서정협|徐正協한국어
2020년 7월 10일2021년 4월 7일무소속
오세훈
오세훈|吳世勳한국어
2021년 4월 8일현직rowspan="2" |국민의힘2021년
제8기2022


3. 역대 서울특별시장

서울특별시장은 초기에는 정부의 임명직이었다. 제2공화국 시대에 지방자치가 도입되어 1960년 12월 19일에 실시된 서울특별시장 선거에서 김상돈이 당선되었으나, 5·16 군사정변으로 해임되면서 다시 임명직으로 돌아갔다. 1987년 민주화 선언 이후의 흐름에 따라 김영삼 정권 하에서 지방자치가 부활하여, 1995년 제30대부터 민선 시장이 되었다.[1]

시장직을 역임한 후 대통령에 취임한 사람은 윤보선이명박 두 사람이다. 국무총리에 취임한 사람은 허정고건 두 사람이다.[2]

역대 서울특별시장[3]
이름재임 기간주요 정책
한자한글
1김형민(金炯敏)김형민한국어1946년 9월 28일 - 1948년 12월 14일
2윤보선윤보선한국어1948년 12월 15일 - 1949년 6월 5일
3,4이기붕이기붕한국어1949년 6월 6일 - 1951년 5월 8일
5,6김태선김태선한국어1951년 6월 27일 - 1956년 7월 5일
7고재봉(高在鳳)고재봉한국어1956년 7월 6일 - 1957년 12월 13일
8허정허정한국어1957년 12월 14일 - 1959년 6월 11일
9임흥순임흥순한국어1959년 6월 12일 - 1960년 4월 30일
10장기영(張基永)장기영한국어1960년 5월 2일 - 1960년 6월 30일
직무대리정종철(鄭鍾哲)정종철한국어1960년 6월 - 10월
직무대리김주흥(金柱興)김주흥한국어1960년 10월 - 12월
11김상돈김상돈한국어1960년 12월 30일 - 1961년 5월 16일
12윤태일(尹泰日)윤태일한국어1961년 5월 20일 - 1963년 12월 16일
13윤치영윤치영한국어1963년 12월 17일 - 1966년 3월 30일
14김현옥김현옥한국어1966년 3월 31일 - 1970년 4월 15일
15양택식양택식한국어1970년 4월 16일 - 1974년 9월 1일
16구자춘구자춘한국어1974년 9월 2일 - 1978년 12월 21일
17정상천정상천한국어1978년 12월 22일 - 1980년 9월 1일
18박영수(朴英秀)박영수한국어1980년 9월 2일 - 1982년 4월 27일
19김성배(金聖培)김성배한국어1982년 4월 28일 - 1983년 10월 14일
20염보현염보현한국어1983년 10월 15일 - 1987년 12월 29일
21김용래(金容來)김용래한국어1987년 12월 30일 - 1988년 12월 4일
22고건고건한국어1988년 12월 5일 - 1990년 12월 26일
23박세직박세직한국어1990년 12월 27일 - 1991년 2월 18일
24이해원(李海元)이해원한국어1991년 2월 19일 - 1992년 6월 25일
25이상배(李相培)이상배한국어1992년 6월 24일 - 1993년 2월 25일
26김상철(金相哲)김상철한국어1993년 2월 26일 - 1993년 3월 4일
27이원종(李元鍾)이원종한국어1993년 3월 8일 - 1994년 10월 21일
28우명규우명규한국어1994년 10월 22일 - 1994년 11월 2일
29최병렬(崔秉烈)최병렬한국어1994년 11월 3일 - 1995년 6월 30일
30조순조순한국어1995년 7월 1일 - 1997년 9월 9일
직무대리강덕기(姜德基)강덕기한국어1997년 9월 10일 - 1998년 6월 30일
31고건고건한국어1998년 7월 1일 - 2002년 6월 30일
32이명박이명박한국어2002년 7월 1일 - 2006년 6월 30일
33,34오세훈오세훈한국어2006년 7월 1일 - 2011년 8월 26일
직무대리권영규[8]권영규한국어2011년 8월 27일 - 2011년 10월 26일
35,36,37박원순[9]박원순한국어2011년 10월 27일 - 2020년 7월 9일 [10]
직무대리서정협서정협한국어2020년 7월 10일 - 2021년 4월 7일
38,39오세훈오세훈한국어2021년 4월 8일 -


3. 1. 경기도 경성부윤

京城|경성일본어일제강점기 동안 서울을 지칭하던 명칭으로, 광복 이후에도 경기도 경성부윤이라는 직책이 한동안 유지되었다.

선출 방식대수이름임기비고
관선초대[16]김창영1945년 8월 15일~1945년 9월 11일
2대제임스 S. 킬러프
(James S. Killough)
1945년 9월 12일~1945년 10월 24일미군정 최고사령관 존 하지에 의해 임명, 현역 미국 육군 소령
대리김창영1945년 9월 12일~1945년 10월 24일
3대이범승1945년 10월 25일~1946년 5월 9일
대리김성환1946년 5월 9일~1946년 6월 27일총무부장으로 임시 대리
4대김형민1946년 5월 10일~1946년 9월 27일한성시장(漢城市長)이라는 명칭도 같이 사용하였다.


3. 2. 서울특별자유시장

선출 방식대수이름임기비고
관선초대[17]김형민1946년 9월 28일[18][19]~1948년 12월 14일
2대윤보선1948년 12월 15일~1949년 6월 5일
3대이기붕1949년 6월 6일~1949년 8월 14일



초상이름재임 기간[4]정당
취임사임
김형민
(1907–1998)[5]
1946년 9월 28일1948년 12월 15일
윤보선
(1897–1990)
1948년 12월 15일1949년 6월 6일
이기붕
(1896–1960)
1949년 6월 6일1951년 5월 8일
100px
김태선
(1903–1977)
1951년 5월 8일1956년 7월 6일
고재봉1956년 7월 6일1957년 12월 14일
허정
(1896–1988)
1957년 12월 14일1959년 6월 12일민주당
임흥순
(1895–1971)
1959년 6월 12일1960년 4월 30일자유당
장기영
(1903–1981)
1960년 5월 2일1960년 6월 30일자유당
김상돈
(1901–1986)[6]
1960년 12월 30일1961년 5월 16일민주당
윤태일
(1918–1982)
1961년 5월 21일1963년 12월 16일군부
윤치영
(1898–1996)
1963년 12월 17일1966년 3월 30일민주공화당
김현옥
(1926–1997)
1966년 3월 31일1970년 4월 16일민주공화당
양택식
(1924–2012)
1970년 4월 16일1974년 9월 2일민주공화당
구자춘
(1932–1996)
1974년 9월 2일1978년 12월 22일민주공화당
정상천
(1931–2015)
1978년 12월 22일1980년 9월 2일민주공화당
박영수
(1928–2003)
1980년 9월 2일1982년 4월 28일민정당
김성배1982년 4월 28일1983년 10월 15일민정당
염보현
(1932–2021)
1983년 10월 15일1987년 12월 30일민정당
김용래
(1934–2009)
1987년 12월 30일1988년 12월 5일민정당
고건
(1938년생)
1988년 12월 5일1990년 12월 27일민정당
박세직
(1933–2009)
1990년 12월 27일1991년 2월 18일민자당
이해원
(1930–2014)
1991년 2월 19일1992년 6월 26일민자당
이상배
(1939년생)
1992년 6월 26일1993년 2월 26일민자당
김상철
(1947–2012)
1993년 2월 26일1993년 3월 4일민자당
이원종
(1942년생)
1993년 3월 8일1994년 10월 21일민자당
우명규
(1936년생)
1994년 10월 22일1994년 11월 3일민자당
최병렬
(1938–2022)
1994년 11월 3일1995년 6월 30일민자당


3. 3. 서울특별시장

민주통합당(2011~2013)
민주당(2013~2014)
새정치민주연합 (2014~2015)
더불어민주당 (2015~2020)rowspan=3 |36대37대권한대행서정협(徐正協)2020년 7월 10일~2021년 4월 7일무소속38대오세훈(吳世勳)2021년 4월 8일~국민의힘rowspan=2 |39대


4. 주요 정책 및 사업

민주통합당(2011~2013)
민주당(2013~2014)오세훈(吳世勳)2021년 4월 8일~국민의힘


5. 역대 선거

조순|趙淳한국어
1995년 7월 1일1997년 9월 9일민주당1995강덕기
강덕기|姜德基한국어
1997년 9월 10일1998년 6월 30일무소속—제2기--고건
고건|高建한국어
1998년 7월 1일2002년 6월 30일새정치국민회의
새천년민주당1998제3기이명박
이명박|李明博한국어
2002년 7월 1일2006년 6월 30일한나라당2002제4기오세훈
오세훈|吳世勳한국어
2006년 7월 1일2011년 8월 26일rowspan="2" |한나라당2006제5기2010--권영규
권영규|權寧奎한국어
2011년 8월 27일2011년 10월 26일무소속—박원순
박원순|朴元淳한국어
2011년 10월 27일2020년 7월 9일[7]rowspan="3" |무소속 →
민주통합당 →
민주당 ('11) →
새정치민주연합 →
더불어민주당2011년 (보궐선거)제6기2014제7기2018--서정협
서정협|徐正協한국어
2020년 7월 10일2021년 4월 7일무소속—오세훈
오세훈|吳世勳한국어
2021년 4월 8일현직rowspan="2" |국민의힘2021년 (보궐선거)제8기2022



1995년 서울특별시장 선거
정당번호후보자득표수득표율
민주당2조순2,051,44142.35%
무소속7박찬종1,623,35633.51%
민주자유당1정원식1,001,44620.67%
무소속9황산성97,7092.01%
자유민주연합3박홍래25,0540.51%
무소속6김옥순17,7280.36%
한국신당4고순복10,4880.21%
무소속5김명호9,9920.20%
무소속8정기용6,1560.12%
합계4,843,370100.00%
투표율66.18%



1998년 서울특별시장 선거
정당순위후보자득표수득표율
새정치국민회의2고건1,838,34853.46%
한나라당1최병렬1,512,85443.99%
무소속3이병호87,4952.54%
합계3,438,697100.00%
투표율47.13%



2002년 서울특별시장 선거
정당번호후보자득표수득표율
한나라당1이명박1,819,05752.28%
새천년민주당2김민석1,496,75443.02%
민주노동당4이문옥87,9652.52%
무소속6이경희34,3130.98%
녹색평화당3임삼진28,0340.80%
bgcolor="black"|사회당5원용수12,9820.37%
합계3,479,105100.00%
투표율45.80%



2006년 서울특별시장 선거
정당번호후보자득표수득표율
한나라당2오세훈2,409,76061.05%
열린우리당1강금실1,077,89027.31%
민주당3박주선304,5657.71%
민주노동당4김종철117,4212.97%
bgcolor="#008000"|국민중심당5임웅균14,1110.35%
무소속8백승원13,8080.34%
시민6이귀선4,7900.12%
한미준5이태희4,4810.11%
합계3,946,826100.00%
투표율49.83%


참조

[1] 웹사이트 2013년도 서울시 예산안 발표(2012.11.1) https://web.archive.[...] 2013-04-06
[2] 웹사이트 [최종득표율] 서울 오세훈 57.5%, 부산 박형준 62.67% https://www.chosun.c[...] 2021-04-17
[3] 기타
[4] 웹사이트 Successive Mayors https://web.archive.[...]
[5] 기타
[6] 기타
[7] 기타
[8] 뉴스 呉世勲市長が辞任、6ヵ月早まった「選挙台風」 http://japanese.dong[...] 2011-08-27
[9] 뉴스 野党系の朴氏が勝利=無党派動く、政界再編も-ソウル市長選 http://www.jiji.com/[...] 2011-10-27
[10] 기타
[11] 뉴스 박원순 시장, 초등 5·6학년 무상급식 결재로 업무 시작(朴元淳市長、初等5・6学年無償給食決済で業務開始 http://www.hani.co.k[...] 2011-10-27
[12] 뉴스 韓国・ソウル市立大学の授業料半額 新市長「価値ある」公約実現 学生団体→全大学の半額化要求 https://www.jcp.or.j[...] 2011-11-17
[13] 뉴스 56살이상도 정규직화…정부지침서 ‘한발 더’(56歳以上も正規職化・・・政府指針書の‘一歩先へ’) http://www.hani.co.k[...] 2012-03-23
[14] 뉴스 서울시 비정규직→정규직 전환 의미와 파급효과(ソウル市非正規職→正規職転換の意義と波及効果) http://www.hani.co.k[...] 2012-12-05
[15] 뉴스 毎日フォーラム・視点:持続可能な都市政策 韓国ソウル市長 朴元淳 https://web.archive.[...] 2012-06-08
[16] 기타
[17] 기타
[18] 뉴스 역대 서울시장의 면면과 화제 http://www.hani.co.k[...] 2002-06-13
[19] 간행물 자료대한민국사 (국사편찬위원회) http://www.history.g[...] 1946-07-29
[20] 기타
[21] 웹사이트 서울시, 대한민국 임시정부 기념관 걸립 추진, 2019년 개관 http://biz.chosun.co[...]
[22] 뉴스 서울시 9개월간 서정협 행정1부시장 대행체제 https://www.yna.co.k[...] 2020-09-07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