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나와족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나와족은 "들리는, 이해할 수 있는, 명확한"을 의미하는 나와틀어 단어에서 유래된 이름으로, 아즈텍족이라고도 불리며 멕시카, 멕시코인으로도 불린다. 메소아메리카 전역에 걸쳐 분포했으며, 현재는 멕시코 중부에 집중되어 있으며, 엘살바도르, 니카라과에도 소수가 존재한다. 나와어군에 속하는 다양한 방언과 피필어를 사용하며, 농업에 종사하며 옥수수, 고추, 콩류를 주식으로 한다. 직물 제작에 뛰어나며, 네토틸리스틀리는 나와족의 춤을 의미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나와족 - 치치메카
    치치메카는 16세기 스페인 기록에서 멕시코 북부 지역의 토착 부족들을 지칭하는 나와틀어 단어로, 스페인 정복에 저항했으나 치치메카 전쟁 후 스페인 문화에 동화되었다.
  • 나와족 - 틀락스칼란
    틀락스칼란은 멕시코 중부에 위치했던 도시 국가로, 아스텍 제국과 끊임없이 전쟁을 벌였으며, 스페인 정복 당시 스페인 군대와 동맹하여 아스텍을 정복하는 데 기여했다.
나와족
일반 정보
나우아족의 깃발
나우아족의 깃발
인구2,694,189명 이상
거주 지역멕시코

엘살바도르

니카라과
종교기독교 (주로 로마 가톨릭이며 콜럼버스 이전 시대의 영향이 있음), 아즈텍 종교
언어나와틀어, 나와트어, 스페인어
관련 민족피필족, 니카라오족, 멕시카네로스, 아메리카 원주민, 메스티소, 멕시카, 틀락스칼란족
로마자 표기Nāhuatlācatl (나와틀라카틀)
기타 명칭
나와Nahua (영어)
나와틀라카틀Nāhuatlācatl (나와틀어)
언어 정보
사용 언어나와틀어, 나와트어
분포 지역
주요 분포 지역멕시코, 엘살바도르, 니카라과

2. 명칭

'''나와족'''이라는 이름은 나와틀어 단어의 어근 에서 유래되었으며, 이는 일반적으로 "들리는, 이해할 수 있는, 명확한"의 의미를 가지며, "언어"를 포함한 다양한 파생어를 갖는다. 는 "명확하게 말하다"를, 는 "기분 좋은 소리를 내는 것"과 "말을 잘하거나 자신의 언어를 말하는 사람"을 의미한다.[12] 이는 ("이해할 수 없게 말하다" 또는 "외국어를 말하다")와 대조적으로 사용되었다.[13] 또 다른 관련 용어는 '''''' (단수) 또는 '''''' (복수)로, 문자 그대로 "나와틀어를 말하는 사람들"을 의미한다.[12]

나와족은 때때로 아즈텍족이라고도 불린다. 나와족에 대해 이러한 용어를 사용하는 것은 학계에서 일반적으로 지지를 받지 못하지만, 여전히 아즈텍 제국을 지칭하는 데 사용된다. 그들은 또한 '''''' (단수), '''''' (복수)[14] 또는 스페인어로 '''Mexicano(s)|mexiˈkano(s)|es''' "멕시코인"으로 불리는데, 이는 아즈텍 제국을 건국한 나와족 부족인 멕시카에서 유래되었다.

이 민족의 명칭은 지역에 따라 다른데, 멕시코에서는 "나와", 과테말라엘살바도르에서는 "피필", 니카라과에서는 "니카라오"(Nicaraos) 또는 "니키라노"(Niquiranos)라고 불린다.

3. 지리

16세기 초, 나와족은 파나마까지 남쪽으로 뻗어 있는 메소아메리카 전역에 걸쳐 영토를 점유하고 있었다.[15] 그러나 그들의 핵심 지역은 중앙 멕시코로, 멕시코 계곡, 톨루카 계곡, 발사스 강 유역 동부, 그리고 현대의 틀락스칼라푸에블라의 대부분을 포함했지만, 다른 언어 및 민족 집단도 이 지역에 거주했다. 그들은 또한 엘살바도르, 니카라과, 남동부 베라크루스, 콜리마, 그리고 해안 미초아칸에도 대규모로 존재했다.[16] 고전 나우아어는 아스텍의 헤게모니로 인해 스페인 정복 이전 중앙 멕시코의 링구아 프랑카였으며,[17] 그 역할은 보존되었을 뿐만 아니라 식민 통치의 초기 단계에서 확장되었는데, 이는 스페인인들이 문학 언어이자 다양한 메소아메리카 민족을 개종시키는 도구로 장려했기 때문이다. 나우아족이 가장 인구가 많은 집단이 아니었던 지역(예: 과테말라와 여러 멕시코 주의 이름)에는 아스텍의 확장, 틀락스칼텍이 주력으로 활동한 스페인 침략, 그리고 링구아 프랑카로서의 나우아어 사용으로 인해 많은 나우아어 지명이 존재한다.

오늘날 남부 나우아족의 마지막 집단은 엘살바도르의 피필족과 니카라과의 니카라오족이다.[18] 멕시코의 나우아족은 멕시코 중부에 집중되어 있으며, 대부분의 사용자는 푸에블라, 베라크루스, 이달고, 게레로, 산루이스포토시 주에 거주한다. 그러나 멕시코 내 최근 인구 이동으로 인해 소규모 인구가 전국에 흩어져 있다. 지난 50년 동안 나우아족은 뉴욕 시, 로스앤젤레스, 그리고 휴스턴을 비롯한 미국에서도 나타났다.[19]

나우아어 변이의 현재 분포


2000년 멕시코 인구 조사에 따른 주별 나우아어 사용 인구 수


산루이스포토시주, 이달고주, 푸에블라주, 게레로주, 베라크루스주에 많이 거주하고 있다.

3. 1. 분포

16세기 초, 나우아족은 파나마까지 남쪽으로 뻗어 있는 메소아메리카 전역에 걸쳐 영토를 점유하고 있었다.[15] 그러나 그들의 핵심 지역은 멕시코 계곡, 톨루카 계곡, 발사스 강 유역 동부, 그리고 현대의 틀락스칼라푸에블라의 대부분을 포함한 중앙 멕시코였다.[16] 엘살바도르, 니카라과, 남동부 베라크루스, 콜리마, 그리고 해안 미초아칸에도 대규모로 존재했다.[16] 고전 나우아어는 아스텍의 헤게모니로 인해 스페인 정복 이전 중앙 멕시코의 링구아 프랑카였으며,[17] 스페인인들이 문학 언어이자 다양한 메소아메리카 민족을 개종시키는 도구로 장려하면서 식민 통치 초기 단계에서 그 역할이 확장되었다.[17]

오늘날 남부 나우아족의 마지막 집단은 엘살바도르의 피필족과 니카라과의 니카라오족이다.[18] 멕시코의 나우아족은 멕시코 중부에 집중되어 있으며, 대부분의 사용자는 푸에블라, 베라크루스, 이달고, 게레로, 산루이스포토시 주에 거주한다. 멕시코 내 최근 인구 이동으로 인해 소규모 인구가 전국에 흩어져 있으며, 지난 50년 동안 뉴욕 시, 로스앤젤레스, 휴스턴을 비롯한 미국에서도 나타났다.[19]

3. 2. 언어 분포

나와족이 전통적으로 사용하는 언어는 나우아어군으로, 여기에는 나우아틀어의 다양한 방언과 피필어가 포함된다.[86]

4. 역사

아즈텍 및 멕시카 참조.

아즈텍 코덱스도 참조.

푸에블라에서 발견된 나우아 신의 도자기 조각


고고학, 역사, 언어학적 증거에 따르면 나우아족은 본래 멕시코 북부 사막 (아리도아메리카) 출신으로, 여러 차례에 걸쳐 멕시코 중부로 이주했다.[20] 오늘날까지 이 지역에 멕시카네로족 (나우아틀 방언을 사용하는)이 존재한다는 사실이 이를 뒷받침한다.

나우아족은 메소아메리카에 들어가기 전, 코라족, 위촐족과 함께 멕시코 북서부에서 잠시 살았던 것으로 추정된다.[21] 나우아족에서 갈라져 나온 첫 번째 집단은 포추텍족으로, 기원후 400년경 오아하카 태평양 연안에 정착했다.[22] 600년경부터 나우아족은 멕시코 중부에서 빠르게 세력을 확장하여 오토망게어족, 토토나카어족, 와스테카어 사용 민족들의 지역으로 뻗어나갔다.[23] 메소아메리카 문화에 통합되면서 옥수수 농업, 도시화, 아즈텍 종교, 260일 의례 달력, 인신공양, 기념비적 건축, 표어 문자 사용 등 여러 문화적 특징을 받아들였다.

아틀란티스 조각상은 톨텍의 나우아 문화에서 가져온 것으로, 툴라에서 발견되었다

기원후 1000년경, 나우아족으로 여겨지는 톨텍은 톨란 시코코티틀란을 중심으로 멕시코 중부 대부분을 지배했다.[24]

이 시기부터 나우아족은 멕시코 계곡과 그 너머까지 지배적인 민족이 되었고, 북쪽에서 이주가 계속되었다. 톨텍 몰락 후 대규모 인구 이동이 있었고, 피필족, 니카라오족 등 일부 나우아족은 코스타리카 북서부까지 남쪽으로 이동했다.[25][26][27][28] 멕시코 중부에서는 "알테페틀" 도시 국가에 기반을 둔 다양한 나우아족 집단이 정치적 지배를 위해 싸웠다. 소치밀코에 기반을 둔 소치밀카는 테스코코 호 남쪽 지역을 지배했고, 테파네크는 서쪽, 아콜후아는 계곡 동쪽을 지배했다. 테스코코 호의 한 섬에 정착하여 주변 부족을 정복한 멕시카족은 마지막 나우아족 이주민 중 하나였다. 이들은 300년 동안 테노치티틀란을 수도로 삼아 메소아메리카의 지배 민족이 되었다. 테파네크, 테스코코의 아콜후아족과 동맹을 맺고 아즈텍 제국을 형성하여 나우아족의 정치, 언어적 영향력을 중앙 아메리카까지 널리 퍼뜨렸다.

1519년, 에르난 코르테스의 지휘 아래 쿠바에서 출발한 스페인 탐험대가 멕시코 걸프 해안의 토토나크 도시 키야위스트란 근처에 도착했다. 토토나크는 아즈텍에 정치적으로 복속된 민족 중 하나였으며, 아즈텍 황제(틀라토아니)인 모테쿠소마 2세에게 즉시 소식이 전해졌다.[29] 내륙으로 진입한 스페인군은 토토나크 군대와 독립적인 알테페틀인 틀락스칼란의 나우아 군대와 조우하여 전투를 벌였다. 틀락스칼텍은 아즈텍에 복속되는 것을 피한 나우아 집단이었다. 스페인과의 전투에서 패배한 후, 틀락스칼란은 아즈텍과의 투쟁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할 코르테스와 동맹을 맺었다.[29]

틀락스칼텍 병사들이 스페인 사람을 찰코로 이끄는 모습, ''리엔조 데 틀락스칼라''에서 발췌
스페인군과 틀락스칼텍 군대는 아즈텍 지배 하에 있던 여러 도시를 행진하며 "해방"시켰고, 아즈텍 수도 테노치티틀란에 도착했다. 그곳에서 그들은 모테쿠소마 2세에 의해 손님으로 환영받았지만, 얼마 지나지 않아 통치자를 포로로 잡았다. 아즈텍 귀족들은 그들의 통치자가 스페인의 꼭두각시가 된 것을 깨닫고 스페인군을 공격하여 도시에서 몰아냈다. 스페인군은 틀락스칼라로 피신하여 재정비하고 증원을 기다렸다. 다음 해 동안 그들은 대규모 틀락스칼텍 군대와 협력하여 테노치티틀란의 최종 함락을 초래하는 포위 공격 작전을 수행했다. 테노치티틀란 함락 이후, 스페인군은 이전의 모든 아즈텍 지방을 누에바에스파냐 영토로 편입시키기 위해 아즈텍과 동맹을 맺었다. 누에바에스파냐는 스페인 통치 하에 국가로 설립되었지만, 나우아 민족은 통치자의 동맹으로 인정받아 다른 지역 원주민들이 누리지 못했던 특권과 어느 정도의 독립을 누렸다.[30] 최근 스테파니 우드와 매튜 레스톨과 같은 역사가들은 나우아가 정복을 그들이 익숙했던 종류의 민족 갈등과 실질적으로 다른 것으로 경험하지 않았으며, 실제로 처음에는 이를 다른 나우아 집단에 의한 한 나우아 집단의 패배로 해석했을 수도 있다고 주장해 왔다.[30]

스페인이 메소아메리카에 도착하면서 새로운 정치적 상황이 벌어졌다. 이 시기는 역사가들에 의해 광범위하게 연구되었으며,[31] 역사학자 제임스 록하트는 1992년에 "정복 이후의 나우아인"을 출판하여 식민지 시대의 나우아 역사를 현지 나우아틀 자료를 바탕으로 세 단계로 나누었다.[32]

1545년 틀락스칼텍(Tlaxcaltec)과 스페인 사람들이 틀락스칼라 (Tlaxcala) 식민지 지방을 건국하는 모습


초기 시대에는 수도사들이 토착 마을에 교회를 세우고, 고등 법원(''아우디엔시아'')을 통해 누에바에스파냐에 대한 왕실의 통제를 확립한 다음 부왕령을 설립했으며, 정복자가 엔코미엔다를 통해 원주민에 대한 권력을 누렸다.[34][35] 특정 마을의 원주민은 해당 마을의 노동력과 조공을 받은 스페인 ''엔코멘데로''에게 조공을 바쳤다.[34][35] 이 초기 시대에는 세습적인 원주민 통치자와 귀족들이 지역적으로 권력을 유지했으며, 엔코멘데로를 위해 조공과 노동력을 동원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했다.[36]

스페인인들이 정치적 지배력을 확장하려 하자, 나우아족은 그들을 보조 군대로 따라갔다. 나우아 군대는 마야족 등을 정복한 스페인 군사 원정대의 주력을 형성하는 경우가 많았다. 기독교 선교사들이 도착하면서 식민 당국은 원주민 종교 관행을 근절하려 했다. 나우아족은 스페인 이름으로 세례를 받았고, 종교 관행을 포기하지 않은 나우아족은 심하게 처벌받거나 처형되었다. 그러나 나우아족은 종종 기독교 종교에 기독교 이전의 관습과 신념을 통합했다.[37]

나우아족은 라틴 알파벳 문자를 빠르게 자신들의 것으로 받아들였다. 1536년에는 아메리카 최초의 대학교인 ''틀라텔롤코의 산타 크루스 대학''이 개교했다.[37]

중간 시기 동안 나와족에 관한 텍스트가 다수 존재하며, 이 시기 동안 나우아틀어는 스페인어에서 많은 차용어를 흡수했다.[38] 16세기 중반, 지역 수준에서의 문화적 변화는 나우아틀어 알파벳 텍스트의 생산을 통해 추적할 수 있다. 제도적으로, 원주민 마을 정부는 스페인식 마을 의회(''카빌도'')의 설립으로 전환되었다.[39][40]

종교와 관련하여, 16세기 중후반에 이르러 나와족 남자가 기독교 사제가 될 수 있는지 의문을 품었고, 1555년에는 인디언들의 사제 서품이 금지되었다. 그러나 지역 사회에서는 혼합된 원주민-스페인 형식의 벽화가 있는 석조 교회 단지가 계속 건설되고 정교해졌다.[41] 형제회(''코프라디아스'')는 특정 기독교 성인의 축하를 지원하기 위해 설립되었으며 회원들을 위한 장례 협회로 기능했다.[42]

개별 나와족 남성과 여성이 지역 나와족 공증인(''에스크리바노'')에게 유언장을 받아 적는 것은 표준이 되었다. 이러한 유언장은 개인의 거주지, 친족 관계, 재산 소유에 대한 상당한 정보를 제공한다.[43][44][45]

17세기 중반부터 1821년 독립 달성까지 나우아틀어는 유럽권의 상당한 영향과 광범위한 이중 언어 구사 현상을 보였다.[46] 18세기 후반에는 나우아인들이 자신들의 스페인어 형태로 소통하면서 작성한 "나우아틀화된 스페인어"로 쓰인 텍스트가 있다는 증거가 있다.[48]

나우아인들은 "원시 칭호"(''títulos'')라고 알려진 완전히 새로운 유형의 텍스트를 제작하기 시작했는데, 이는 특정 지역에 대한 원주민 공동체의 권리를 주장하며, 종종 지역 지식을 비시간적 방식으로 기록했다. 이 텍스트 형식에 대한 전(前)스페인 시대의 선례는 알려진 바 없으며, 1650년 이전에는 나타나지 않았다.[52]

나우아인과 스페인인 사이의 노동 계약은 주로 비공식적이었으며, 주로 폐지된 엔코미엔다와 제대로 기능하지 않는 레파르티미엔토를 통해 조직되지 않았다. 스페인 토지 소유자들은 안정적인 노동력을 필요로 했으며, 이는 소수의 영구 노동자와 인근 원주민 공동체에서 차출된 시간제 또는 계절별 노동자의 혼합 형태였다.[49]

1821년 멕시코 독립으로 카스타 제도가 폐지되고, 정부는 "인디언"(''indio'')이라는 용어를 더 이상 사용하지 않았지만 일상 대화에서는 계속 사용되었다.[56] 1824년 공화국 수립으로 모든 멕시코인은 왕실의 봉신이 아닌 시민이 되었으나, 원주민 언어로 된 문서 생산은 중단되었다. 원주민 마을과 고유 언어 사용자는 여전히 존재했지만, 식민 시대보다 더 소외되었다. 식민 시대에는 왕실이 원주민에게 특별한 권리인 푸에로를 부여하고 원주민 마을 구조를 지원하며, 일반 인디언 법원을 통해 비원주민으로부터 보호했지만,[57] 이러한 보호는 국가 시대에 사라졌다. 이 시기는 "문화적 집단 학살의 시작과 고유 언어의 점증하는 상실"로 특징지어지며, 공식적인 인정 부재와 경제적, 문화적 압력으로 인해 중앙 멕시코의 대부분 원주민은 유럽화되었고 많은 이들이 스페인어를 사용하게 되었다.[58]

19세기 멕시코에서 "인디언 문제"는 정치인과 지식인들에게 영향을 미쳤는데, 이들은 원주민을 뒤떨어지고 멕시코 국가에 동화되지 못한 존재로 보았고, 토지의 공동 소유 관습이 경제 발전을 저해한다고 생각했다.[59] 자유주의 이데올로기는 사유 재산을 강조하며 공동체적 보호를 종식시키려 했다.[60] 토지 소유권은 자유주의 개혁가들에게 핵심적인 문제였으며, 레포르마는 1857년 헌법에 법인 소유 재산의 분할을 명시하여 원주민 공동체와 로마 가톨릭 교회를 표적으로 삼았다. 멕시코 대통령이 된 사포텍족 출신 자유주의자 베니토 후아레스는 법인 토지 소유를 종식시키는 법률을 지지했다. 모렐로스에서 멕시코 혁명이 발발한 것은 사탕 농장 확장에 대한 농민들의 저항으로 촉발되었으며, 19세기에는 레포르마 내전, 외세 개입, 1867년 프랑스 철수 이후 약화된 국가로 인해 더 작은 규모의 원주민 반란이 발생했다.[61]

독립 이후 멕시코에서 여러 원주민 남성이 자리를 잡았는데, 가장 두드러진 인물은 베니토 후아레스였다. 19세기의 중요한 나와족 인물은 이그나시오 마누엘 알타미라노 (1834–1893)로, 자유주의 지식인, 문필가, 정치인, 외교관이었다. 알타미라노는 열렬한 반성직자 정치인이었고, "급진파의 장폴 마라"이자 프랑스 혁명의 숭배자로 알려졌다.[62] 알타미라노는 보편적인 초등 공립 교육을 멕시코를 변화시키는 핵심적인 방법으로 보고 상향 이동을 장려했으며, 그의 수제자는 후스토 시에라였다.[63] 이 시대의 또 다른 저명한 나와족 인물은 1885년부터 1911년까지 트라칼라 주지사를 역임한 프로스페로 카우안치였다.[64] 카우안치는 멕시코 정부 정책이 억압적인 시기에 원주민 문화와 유물을 보존하는 데 적극적으로 참여했다.[66]

멕시코 혁명가 에밀리아노 사파타 (1879–1919)는 나와-스페인 혼혈이었을 가능성이 높으며, 모렐로스주의 나와족 도시인 마파스틀란으로 거슬러 올라가는 조상을 가지고 있었다.[67] 사파타는 나와틀어를 유창하게 구사했으며, 나와족 농민들에게 연설을 하여 대의에 참여하도록 고취했다.[68]

4. 1. 정복 이전 시기 (Pre-conquest period)



고고학, 역사, 언어학적 증거에 따르면 나우아족은 본래 멕시코 북부 사막 (아리도아메리카) 출신으로, 여러 차례에 걸쳐 멕시코 중부로 이주했다.[20] 오늘날까지 이 지역에 멕시카네로족 (나우아틀 방언을 사용하는)이 존재한다는 사실이 이를 뒷받침한다.

나우아족은 메소아메리카에 들어가기 전, 코라족, 위촐족과 함께 멕시코 북서부에서 잠시 살았던 것으로 추정된다.[21] 나우아족에서 갈라져 나온 첫 번째 집단은 포추텍족으로, 기원후 400년경 오아하카 태평양 연안에 정착했다.[22] 600년경부터 나우아족은 멕시코 중부에서 빠르게 세력을 확장하여 오토망게어족, 토토나카어족, 와스테카어 사용 민족들의 지역으로 뻗어나갔다.[23] 메소아메리카 문화에 통합되면서 옥수수 농업, 도시화, 아즈텍 종교, 260일 의례 달력, 인신공양, 기념비적 건축, 표어 문자 사용 등 여러 문화적 특징을 받아들였다.

아틀란티스 조각상은 톨텍의 나우아 문화에서 가져온 것으로, 툴라에서 발견되었다

기원후 1000년경, 나우아족으로 여겨지는 톨텍은 톨란 시코코티틀란을 중심으로 멕시코 중부 대부분을 지배했다.[24]

이 시기부터 나우아족은 멕시코 계곡과 그 너머까지 지배적인 민족이 되었고, 북쪽에서 이주가 계속되었다. 톨텍 몰락 후 대규모 인구 이동이 있었고, 피필족, 니카라오족 등 일부 나우아족은 코스타리카 북서부까지 남쪽으로 이동했다.[25][26][27][28] 멕시코 중부에서는 "알테페틀" 도시 국가에 기반을 둔 다양한 나우아족 집단이 정치적 지배를 위해 싸웠다. 소치밀코에 기반을 둔 소치밀카는 테스코코 호 남쪽 지역을 지배했고, 테파네크는 서쪽, 아콜후아는 계곡 동쪽을 지배했다. 테스코코 호의 한 섬에 정착하여 주변 부족을 정복한 멕시카족은 마지막 나우아족 이주민 중 하나였다. 이들은 300년 동안 테노치티틀란을 수도로 삼아 메소아메리카의 지배 민족이 되었다. 테파네크, 테스코코의 아콜후아족과 동맹을 맺고 아즈텍 제국을 형성하여 나우아족의 정치, 언어적 영향력을 중앙 아메리카까지 널리 퍼뜨렸다.

4. 2. 정복 시기 (Conquest period, 1519-1523)

1519년, 에르난 코르테스의 지휘 아래 쿠바에서 출발한 스페인 탐험대가 멕시코 걸프 해안의 토토나크 도시 키야위스트란 근처에 도착했다. 토토나크는 아즈텍에 정치적으로 복속된 민족 중 하나였으며, 아즈텍 황제(틀라토아니)인 모테쿠소마 2세에게 즉시 소식이 전해졌다.[29] 내륙으로 진입한 스페인군은 토토나크 군대와 독립적인 알테페틀인 틀락스칼란의 나우아 군대와 조우하여 전투를 벌였다. 틀락스칼텍은 아즈텍에 복속되는 것을 피한 나우아 집단이었다. 스페인과의 전투에서 패배한 후, 틀락스칼란은 아즈텍과의 투쟁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할 코르테스와 동맹을 맺었다.[29] 스페인군과 틀락스칼텍 군대는 아즈텍 지배 하에 있던 여러 도시를 행진하며 "해방"시켰고, 아즈텍 수도 테노치티틀란에 도착했다. 그곳에서 그들은 모테쿠소마 2세에 의해 손님으로 환영받았지만, 얼마 지나지 않아 통치자를 포로로 잡았다. 아즈텍 귀족들은 그들의 통치자가 스페인의 꼭두각시가 된 것을 깨닫고 스페인군을 공격하여 도시에서 몰아냈다. 스페인군은 틀락스칼라로 피신하여 재정비하고 증원을 기다렸다. 다음 해 동안 그들은 대규모 틀락스칼텍 군대와 협력하여 테노치티틀란의 최종 함락을 초래하는 포위 공격 작전을 수행했다. 테노치티틀란 함락 이후, 스페인군은 이전의 모든 아즈텍 지방을 누에바에스파냐 영토로 편입시키기 위해 아즈텍과 동맹을 맺었다. 누에바에스파냐는 스페인 통치 하에 국가로 설립되었지만, 나우아 민족은 통치자의 동맹으로 인정받아 다른 지역 원주민들이 누리지 못했던 특권과 어느 정도의 독립을 누렸다.[30] 최근 스테파니 우드와 매튜 레스톨과 같은 역사가들은 나우아가 정복을 그들이 익숙했던 종류의 민족 갈등과 실질적으로 다른 것으로 경험하지 않았으며, 실제로 처음에는 이를 다른 나우아 집단에 의한 한 나우아 집단의 패배로 해석했을 수도 있다고 주장해 왔다.[30]

4. 3. 식민 시대 (Colonial period, 1521-1821)

스페인이 메소아메리카에 도착하면서 새로운 정치적 상황이 벌어졌다. 이 시기는 역사가들에 의해 광범위하게 연구되었으며,[31] 역사학자 제임스 록하트는 1992년에 "정복 이후의 나우아인"을 출판하여 식민지 시대의 나우아 역사를 현지 나우아틀 자료를 바탕으로 세 단계로 나누었다.[32]

초기 시대에는 수도사들이 토착 마을에 교회를 세우고, 고등 법원(''아우디엔시아'')을 통해 누에바에스파냐에 대한 왕실의 통제를 확립한 다음 부왕령을 설립했으며, 정복자가 엔코미엔다를 통해 원주민에 대한 권력을 누렸다.[34][35] 특정 마을의 원주민은 해당 마을의 노동력과 조공을 받은 스페인 ''엔코멘데로''에게 조공을 바쳤다.[34][35] 이 초기 시대에는 세습적인 원주민 통치자와 귀족들이 지역적으로 권력을 유지했으며, 엔코멘데로를 위해 조공과 노동력을 동원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했다.[36]

스페인인들이 정치적 지배력을 확장하려 하자, 나우아족은 그들을 보조 군대로 따라갔다. 나우아 군대는 마야족 등을 정복한 스페인 군사 원정대의 주력을 형성하는 경우가 많았다. 기독교 선교사들이 도착하면서 식민 당국은 원주민 종교 관행을 근절하려 했다. 나우아족은 스페인 이름으로 세례를 받았고, 종교 관행을 포기하지 않은 나우아족은 심하게 처벌받거나 처형되었다. 그러나 나우아족은 종종 기독교 종교에 기독교 이전의 관습과 신념을 통합했다.[37]

나우아족은 라틴 알파벳 문자를 빠르게 자신들의 것으로 받아들였다. 1536년에는 아메리카 최초의 대학교인 ''틀라텔롤코의 산타 크루스 대학''이 개교했다.[37]

중간 시기 동안 나와족에 관한 텍스트가 다수 존재하며, 이 시기 동안 나우아틀어는 스페인어에서 많은 차용어를 흡수했다.[38] 16세기 중반, 지역 수준에서의 문화적 변화는 나우아틀어 알파벳 텍스트의 생산을 통해 추적할 수 있다. 제도적으로, 원주민 마을 정부는 스페인식 마을 의회(''카빌도'')의 설립으로 전환되었다.[39][40]

종교와 관련하여, 16세기 중후반에 이르러 나와족 남자가 기독교 사제가 될 수 있는지 의문을 품었고, 1555년에는 인디언들의 사제 서품이 금지되었다. 그러나 지역 사회에서는 혼합된 원주민-스페인 형식의 벽화가 있는 석조 교회 단지가 계속 건설되고 정교해졌다.[41] 형제회(''코프라디아스'')는 특정 기독교 성인의 축하를 지원하기 위해 설립되었으며 회원들을 위한 장례 협회로 기능했다.[42]

개별 나와족 남성과 여성이 지역 나와족 공증인(''에스크리바노'')에게 유언장을 받아 적는 것은 표준이 되었다. 이러한 유언장은 개인의 거주지, 친족 관계, 재산 소유에 대한 상당한 정보를 제공한다.[43][44][45]

17세기 중반부터 1821년 독립 달성까지 나우아틀어는 유럽권의 상당한 영향과 광범위한 이중 언어 구사 현상을 보였다.[46] 18세기 후반에는 나우아인들이 자신들의 스페인어 형태로 소통하면서 작성한 "나우아틀화된 스페인어"로 쓰인 텍스트가 있다는 증거가 있다.[48]

나우아인들은 "원시 칭호"(''títulos'')라고 알려진 완전히 새로운 유형의 텍스트를 제작하기 시작했는데, 이는 특정 지역에 대한 원주민 공동체의 권리를 주장하며, 종종 지역 지식을 비시간적 방식으로 기록했다. 이 텍스트 형식에 대한 전(前)스페인 시대의 선례는 알려진 바 없으며, 1650년 이전에는 나타나지 않았다.[52]

나우아인과 스페인인 사이의 노동 계약은 주로 비공식적이었으며, 주로 폐지된 엔코미엔다와 제대로 기능하지 않는 레파르티미엔토를 통해 조직되지 않았다. 스페인 토지 소유자들은 안정적인 노동력을 필요로 했으며, 이는 소수의 영구 노동자와 인근 원주민 공동체에서 차출된 시간제 또는 계절별 노동자의 혼합 형태였다.[49]

4. 4. 독립 이후 (National period, 1821-present)

1821년 멕시코 독립으로 카스타 제도가 폐지되고, 정부는 "인디언"(''indio'')이라는 용어를 더 이상 사용하지 않았지만 일상 대화에서는 계속 사용되었다.[56] 1824년 공화국 수립으로 모든 멕시코인은 왕실의 봉신이 아닌 시민이 되었으나, 원주민 언어로 된 문서 생산은 중단되었다. 원주민 마을과 고유 언어 사용자는 여전히 존재했지만, 식민 시대보다 더 소외되었다. 식민 시대에는 왕실이 원주민에게 특별한 권리인 푸에로를 부여하고 원주민 마을 구조를 지원하며, 일반 인디언 법원을 통해 비원주민으로부터 보호했지만,[57] 이러한 보호는 국가 시대에 사라졌다. 이 시기는 "문화적 집단 학살의 시작과 고유 언어의 점증하는 상실"로 특징지어지며, 공식적인 인정 부재와 경제적, 문화적 압력으로 인해 중앙 멕시코의 대부분 원주민은 유럽화되었고 많은 이들이 스페인어를 사용하게 되었다.[58]

19세기 멕시코에서 "인디언 문제"는 정치인과 지식인들에게 영향을 미쳤는데, 이들은 원주민을 뒤떨어지고 멕시코 국가에 동화되지 못한 존재로 보았고, 토지의 공동 소유 관습이 경제 발전을 저해한다고 생각했다.[59] 자유주의 이데올로기는 사유 재산을 강조하며 공동체적 보호를 종식시키려 했다.[60] 토지 소유권은 자유주의 개혁가들에게 핵심적인 문제였으며, 레포르마는 1857년 헌법에 법인 소유 재산의 분할을 명시하여 원주민 공동체와 로마 가톨릭 교회를 표적으로 삼았다. 멕시코 대통령이 된 사포텍족 출신 자유주의자 베니토 후아레스는 법인 토지 소유를 종식시키는 법률을 지지했다. 모렐로스에서 멕시코 혁명이 발발한 것은 사탕 농장 확장에 대한 농민들의 저항으로 촉발되었으며, 19세기에는 레포르마 내전, 외세 개입, 1867년 프랑스 철수 이후 약화된 국가로 인해 더 작은 규모의 원주민 반란이 발생했다.[61]

독립 이후 멕시코에서 여러 원주민 남성이 자리를 잡았는데, 가장 두드러진 인물은 베니토 후아레스였다. 19세기의 중요한 나와족 인물은 이그나시오 마누엘 알타미라노 (1834–1893)로, 자유주의 지식인, 문필가, 정치인, 외교관이었다. 알타미라노는 열렬한 반성직자 정치인이었고, "급진파의 장폴 마라"이자 프랑스 혁명의 숭배자로 알려졌다.[62] 알타미라노는 보편적인 초등 공립 교육을 멕시코를 변화시키는 핵심적인 방법으로 보고 상향 이동을 장려했으며, 그의 수제자는 후스토 시에라였다.[63] 이 시대의 또 다른 저명한 나와족 인물은 1885년부터 1911년까지 트라칼라 주지사를 역임한 프로스페로 카우안치였다.[64] 카우안치는 멕시코 정부 정책이 억압적인 시기에 원주민 문화와 유물을 보존하는 데 적극적으로 참여했다.[66]

멕시코 혁명가 에밀리아노 사파타 (1879–1919)는 나와-스페인 혼혈이었을 가능성이 높으며, 모렐로스주의 나와족 도시인 마파스틀란으로 거슬러 올라가는 조상을 가지고 있었다.[67] 사파타는 나와틀어를 유창하게 구사했으며, 나와족 농민들에게 연설을 하여 대의에 참여하도록 고취했다.[68]

5. 인구 통계

5. 1. 멕시코



멕시코 정부는 시민을 민족별로 분류하지 않고 언어별로만 분류한다. 나와족에 대한 통계 정보는 나와틀어 화자에 대해서만 기록되며, 나와족 민족이지만 언어를 포기하고 현재 스페인어만 사용하는 사람의 수는 알려져 있지 않다.[71] 다른 나와족은 나와틀어와 스페인어를 구사하지만, INEGI의 10년마다 시행되는 인구 조사에서 토착 민족이라는 것을 밝히지 않음으로써 광범위한 반토착적 차별을 피하려고 한다.[71] 또한 인구 조사는 5세 미만의 아동(토착 인구의 11–12%로 추정됨[72])을 토착 인구로 간주하지 않는다. 국립 토착 연구소(INI)-Conepo 보고서에 따르면 멕시코 토착 인구는 INEGI가 보고한 것보다 거의 250% 더 많다.[73]

2020년 현재, 나와틀어는 멕시코 전역에서 약 160만 명이 사용하며, 여기에는 111,797명의 단일 언어 사용 화자가 포함된다.[74] 이는 전체 화자 140만 명에서 증가한 것이지만, 2000년의 단일 언어 화자 19만 명에서 감소한 것이다.[75] 2000년 인구 조사 수치를 기준으로 게레로주는 단일 언어 나와틀어 화자 비율이 24.8%로 가장 높았다. 다른 대부분의 주의 단일 언어 사용자의 비율은 5% 미만이다.[76]

'''2020년 멕시코 인구 조사에서 나와틀어 화자 수'''[69]
언어토착 언어를 사용하는 3세 이상 인구3세 이상 토착어 화자의 비율스페인어를 사용하지 않는 3세 이상 토착어 화자단일 언어 사용 비율(%)
나와틀어1,651,95822.4%111,7976.8%



가장 많은 화자를 가진 10개 주의 5세 이상 화자 수 (2000년 인구 조사). 절대 수 및 상대 수.[70]
지역총계비율
멕시코 연방구37,4500.44%
게레로주136,6814.44%
이달고주221,6849.92%
멕시코주55,8020.43%
모렐로스주18,6561.20%
오아하카주10,9790.32%
푸에블라주416,9688.21%
산루이스포토시주138,5236.02%
틀락스칼라주23,7372.47%
베라크루스주338,3244.90%
멕시코 나머지 지역50,1320.10%
'총계:'1,448,9371.49%



산루이스포토시주, 이달고주, 푸에블라주, 게레로주, 베라크루스주에 많이 거주하고 있다. 나와틀어 화자가 가장 많이 밀집된 곳은 푸에블라 주, 베라크루스 주, 이달고 주, 산루이스포토시 주, 게레로 주이다. 또한 멕시코 주, 모렐로스 주, 멕시코 연방구에도 상당한 인구가 있으며, 미초아칸주와 두랑고주에도 소규모 공동체가 있다. 나와틀어는 과거 할리스코주와 콜리마주에서도 사용되었지만, 20세기에 소멸되었다. 멕시코 내의 내부 이주로 인해, 오늘날 모든 멕시코 주에는 일부 고립된 나와틀어 화자 집단이 존재한다. 멕시코 노동자와 가족이 미국으로 이주하면서, 특히 텍사스주, 뉴욕주, 캘리포니아주에 몇몇 소규모 나와틀어 사용 공동체가 형성되었다.[77]

스페인어에 문맹인 나와틀어 화자는 64.3%로, 스페인어 문맹률의 전국 평균인 97.5%에 비해 낮다. 남성 나와틀어 화자는 평균 9.8년, 여성은 10.1년의 교육을 받았는데, 이는 남성과 여성의 전국 평균인 13.6년과 14.1년에 비해 낮다.[78]

5. 2. 중앙 아메리카

엘살바도르에는 12,000명의 나와족/피필족이 있는 것으로 추정되지만,[79] 일부 원주민 단체는 실제 인구가 훨씬 더 많다고 주장한다. 그들의 나와트어는 멸종 위기에 처해 있지만 부흥을 겪고 있다.

온두라스에서는 나와족의 인구 추정치가 6,339명[80]과 19,800명[81]으로 다르게 나타난다. 이들은 올란초 주의 카타카마스, 과라코, 과타, 하노 및 에스키풀라스 델 노르테에 집중되어 있다. 나와트어는 여기에서 사멸되었다.

니카라과에서는 2005년 인구 조사에서 11,113명의 니카라오족을 세었다.[82] 국제 노동 기구는 2006년 인구를 20,000명으로 추산했다.[83] 하지만 DNA 분석을 통해 현대 니카라과 유전자 풀에서 나우아족의 혼합 정도가 예상보다 훨씬 높다는 것이 입증되었으며, 특히 니카라과 메스티소 사이에서 더욱 그러하다.[82][83] 완전한 원주민 나우아족은 주로 리바스 주, 히노테가 주 및 세바코에 위치해 있지만, 메스티소 후손을 통해 니카라과 서부 전역에서도 발견될 수 있다.[84] 나와트어는 여기에서 사멸되었다.

6. 문화

wikitext

많은 나와족은 농업에 종사한다. 그들은 말 또는 노새를 사용하여 쟁기질을 하거나 화전 농업을 포함한 다양한 형태의 경작을 한다.[85] 일반적인 작물로는 옥수수, 밀, 콩, 보리, 고추, 양파, 토마토, 호박 등이 있다. 일부 나와족은 양과 소도 기른다.[85] 밭일은 대개 가족끼리 해결하지만, 몇 명의 사람을 고용하여 경작하게 하는 부유한 가정도 있다. 주식은 옥수수, 고추, 콩류이다.

직물 제작에 특히 뛰어나다.

나와족이 전통적으로 사용하는 언어는 나우아어군으로, 여기에는 나우아틀어의 다양한 방언과 피필어가 포함된다.[86]

네토틸리스틀리는 나와족의 춤을 의미한다.

나와족 여자들은 옛날부터 전해져 내려오는 검은색 양모로 만든 치마를 입고, 머리를 두 갈래로 나누어 땋아 뒤에서 묶는다. 남자들은 머리를 푸딩 접시 모양으로 자르고, 가죽 끈 샌들을 신는다.

6. 1. 경제

많은 나와족은 농업에 종사한다. 그들은 말 또는 노새를 사용하여 쟁기질을 하거나 화전 농업을 포함한 다양한 형태의 경작을 한다.[85] 일반적인 작물로는 옥수수, 밀, 콩, 보리, 고추, 양파, 토마토, 호박 등이 있다. 일부 나와족은 양과 소도 기른다.[85] 밭일은 대개 가족끼리 해결하지만, 몇 명의 사람을 고용하여 경작하게 하는 부유한 가정도 있다. 주식은 옥수수, 고추, 콩류이다.

직물 제작에 특히 뛰어나다.

6. 2. 언어

나와족이 전통적으로 사용하는 언어는 나우아어군으로, 여기에는 나우아틀어의 다양한 방언과 피필어가 포함된다.[86]

6. 3. 종교


6. 4. 춤

네토틸리스틀리는 나와족의 춤을 의미한다.

6. 5. 의복 (일본어 위키백과 문서 기반)

나와족 여자들은 옛날부터 전해져 내려오는 검은색 양모로 만든 치마를 입고, 머리를 두 갈래로 나누어 땋아 뒤에서 묶는다. 남자들은 머리를 푸딩 접시 모양으로 자르고, 가죽 끈 샌들을 신는다.

참조

[1] 웹사이트 Nahua http://dictionary.re[...] 2012-09-07
[2] 웹사이트 Pueblos Indígenas de Honduras | Territorio Indígena y Gobernanza https://www.territor[...] 2021-12-14
[3] 웹사이트 9. Nahoas | Territorio Indígena y Gobernanza https://www.territor[...] 2021-05-06
[4] 웹사이트 Nicarao https://www.encyclop[...]
[5] 웹사이트 2 Ways Nahuatl Helped Shape Nicaraguan Spanish https://www.speaking[...]
[6] 웹사이트 Do you know the origin of the word Guanacaste https://amprensa.com[...] 2018-07-25
[7] 웹사이트 Guanacaste is a practically autonomous ethnolinguistic area and different from the rest of the country https://mcj.go.cr/sa[...] 2020-07-22
[8] 웹사이트 Refworld | World Directory of Minorities and Indigenous Peoples - El Salvador https://www.refworld[...] 2019-05-06
[9] 웹사이트 Nahua Peoples | Encyclopedia.com https://www.encyclop[...] 2019-05-06
[10] 웹사이트 Did you know Pipil is critically endangered? http://www.endangere[...] 2015-04-19
[11] 서적 An analytical dictionary of Nahuatl University of Oklahoma Press 1992
[12] 서적 An analytical dictionary of Nahuatl 1992
[13] 서적 An analytical dictionary of Nahuatl 1992
[14] 서적 An analytical dictionary of Nahuatl 1992
[15] 서적 1985
[16] 웹사이트 Nicarao https://www.encyclop[...]
[17]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the Native Peoples of the Americas, Mesoamerica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0
[18] 웹사이트 Nahoas. Territorio indígena y gobernanza http://territorioind[...]
[19] 서적 2002
[20] 서적 1980
[21] 서적 2001
[22] 서적 1983
[23] 서적 2001
[24] 서적 1993
[25] 서적 Las culturas indígenas y su medioambiente https://www.jstor.or[...] Uol Insti for the Study of the Americas 2021
[26] 웹사이트 Central American Nahua https://www.research[...]
[27] 웹사이트 The Kingdom of this world https://www.buenasta[...]
[28] 학술지 The Aboriginals of Costa Rica https://www.persee.f[...] 1901
[29] 서적 Victors and Vanquished: Spanish and Nahua Views of the Conquest of Mexico Bedford/ St. Martin's 2000
[30] 서적 2003
[31] 서적 The Aztecs Under Spanish Rule: A History of the Indians of the Valley of Mexico, 1519-1810 Stanford University Press 1964
[32] 서적 The Nahuas After the Conquest: A Social and Cultural History of the Indians of Central Mexico, Sixteenth Through Eighteenth Centuries Stanford University Press 1992
[33] 서적 Cambridge History of the Native Peoples of the Americas 2000
[34] 학술지 Encomienda and Hacienda: The Evolution of the Great Estate in the Spanish Indies 1969
[35] 서적 The Encomenderos of New Spain University of Texas Press 1991
[36] 서적 The Book of Tributes: Sixteenth-Century Nahuatl Censuses from Morelos UCLA Latin American Center 1993
[37] 서적 The Americas' first academic library Santa Cruz de Tlatelolco California State Library 1985
[38] 서적 The Nahuas After the Conquest Stanford University Press 1992
[39] 서적 Tlaxcala in the Sixteenth Century Yale University Press 1952
[40] 서적 The Tlaxcalan Actas: A Compendium of the Records of the Records of the Cabildo of Tlaxcala, 1545-1627 University of Utah Press 1986
[41] 서적 The Paradise Garden Murals of Malinalco: Utopia and Empire in Sixteenth-Century Mexico University of Texas Press 1993
[42] 논문 Nahuatl Literacy Academic Press null
[43] 서적 The Testaments of Culhuacan UCLA Latin American Center 1984
[44] 서적 Colonial Culhuacan, 1580-1600: The Social History of an Aztec Town University of New Mexico Press 1986
[45] 박사학위논문 Social Organization in Early Colonial Tenochtitlan-Tlatelolco: An Ethnohistorical Study University of Rochester null
[46] 서적 The Nahuas After the Conquest Stanford University Press 1992
[47] 서적 The Nahuas After the Conquest Stanford University Press 1992
[48] 서적 Nahuas After the Conquest null null
[49] 서적 The Nahuas After the Conquest Stanford University Press 1992
[50] 서적 Testaments of Toluca Stanford University Press and UCLA Latin American Center Publications 2007
[51] 서적 The Life Within: Local Indigenous Society in Mexico's Toluca Valley, 1650-1800 Stanford University Press 2012
[52] 서적 The Nahuas After the Conquest Stanford University Press 1992
[53] 서적 The Aztecs Under Spanish Rule Stanford University Press 1964
[54] 서적 The Aztecs Under Spanish Rule Stanford University Press 1964
[55] 서적 The Aztecs Under Spanish Rule Stanford University Press 1964
[56] 논문 Native Peoples of Central Mexico Since Independence 2000
[57] 논문 Native Peoples of Colonial Central Mexico null
[58] 논문 Native Peoples of Central Mexico Since Independence null
[59] 서적 Mexican Liberalism in the Age of Mora Yale University Press 1968
[60] 서적 Mexican Liberalism Yale University Press 1968
[61] 논문 Native Peoples of Central Mexico Since Independence null
[62] 서적 The First America: The Spanish Monarchy, Creole Patriots, and the Liberal State 1492-1867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1
[63] 서적 The First America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1
[64] 학술지 The Indigenous Governor of Tlaxcala and Acceptable Indigenousness in the Porfirian Regime https://www.jstor.or[...] 2019
[65] 웹사이트 The Indigenous Governor of Tlaxcala and Acceptable Indigenousness in the Porfirian Regime https://online.ucpre[...] 2024-04-02
[66] 웹사이트 Modern-Day Conquistadors: The Decline of Nahuatl, and the Status of Mexican Bilingual Education https://hir.harvard.[...] 2024-04-02
[67] 웹사이트 Los primeros pasos de Emiliano Zapata https://gatopardo.co[...] 2024-04-01
[68] 웹사이트 Zapata of Mexico: Los manifiestos en Nahuatl de https://read.dukeupr[...] 2024-04-01
[69] 웹사이트 Ethnic Identity in the 2020 Mexican Census https://www.indigeno[...] 2024-04-17
[70] 문서 Source: INEGI (2000). Percentages given are in comparison to the total population of the corresponding state. null
[71] 서적 Pobreza, desigualdad y exclusión social en la ciudad del siglo XXI Siglo XXI Editores
[72] 학술지 Una propuesta para estimar la población indígena en México a partir de los datos censales https://www.redalyc.[...] El Colegio de México, A.C. 2020-04-22
[73] 웹사이트 Indicadores socioeconómicos de los pueblos indígenas de México, 2002 http://www.cdi.gob.m[...] Comisión Nacional para el Desarrollo de los Pueblos Indígenas 2012-12-22
[74] 웹사이트 Ethnic Identity in the 2020 Mexican Census https://www.indigeno[...] 2024-03-29
[75] 웹사이트 Perfil Sociodemografica de la Populacion Hablante de Nahuatl http://www.inegi.gob[...] INEGI 2000-00-00
[76] 문서 INEGI (2000), p. 43 참조
[77] 서적 Flores Farfán (2002), p. 229
[78] 웹사이트 Perfil Sociodemografica de la Populacion Hablante de Nahuatl http://www.inegi.gob[...] INEGI
[79] 웹사이트 Pipil in El Salvador https://joshuaprojec[...]
[80] 웹사이트 NAHUA – Exposiciones https://exposiciones[...]
[81] 웹사이트 Pueblos Indígenas de Honduras | Territorio Indígena y Gobernanza https://www.territor[...]
[82] 웹사이트 Reconstructing the population history of Nicaragua by means of mtDNA, Y-chromosome STRs, and autosomal STR markers https://pubmed.ncbi.[...]
[83] 웹사이트 Reconstructing the Population History of Nicaragua by Means of mtDNA, Y-Chromosome STRs, and Autosomal STR Markers https://antharky.uca[...]
[84] 웹사이트 9. Nahoas | Territorio Indígena y Gobernanza https://www.territor[...]
[85] 서적 Human: The Definitive Visual Guide Dorling Kindersley
[86] 웹사이트 Lenguas indígenas nacionales en riesgo de desaparición: Variantes lingüísticas por grado de riesgo https://site.inali.g[...] 2024-08-03
[87] 서적 Smith (1996) pp.38-41
[88] 웹인용 9. Nahoas | Territorio Indígena y Gobernanza https://www.territor[...]
[89] 웹인용 Refworld {{!}} World Directory of Minorities and Indigenous Peoples - El Salvador https://www.refworld[...] 2019-05-06
[90] 웹인용 Nahua Peoples {{!}} Encyclopedia.com https://www.encyclop[...] 2019-05-06
[91] 웹인용 Did you know Pipil is critically endangered? http://www.endanger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