난징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난징어는 중국 장쑤성 난징에서 사용되는 장화이 관화 방언이다. 음운적으로 성문 파열음 종성과 입성을 유지하며, 음절 초두 /n/이 /l/로 변하는 특징을 보인다. 옛 난징 방언과 새 난징 방언의 음운 체계는 차이를 보이며, 새 난징 방언은 베이징 방언의 영향을 받았다. 난징어는 과거 관화(표준어)의 기반이 되었으며, 19세기에는 서구 외교관과 번역가들 사이에서 표준으로 삼을지를 두고 논쟁이 벌어지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난징시 - 난징 방송 그룹
난징 방송 그룹은 1970년 난징 텔레비전 방송국으로 시작하여 2004년 여러 매체를 통합하여 설립된 난징시의 대규모 미디어 그룹으로, 다양한 텔레비전 및 라디오 채널을 통해 난징 시민들에게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며 젠예구에 본사를 두고 있다. - 관화 - 쓰촨어
쓰촨어는 쓰촨성과 충칭시를 중심으로 쓰촨분지 일대에서 약 1.2억 명이 사용하는 중국어 방언으로, 고대 파촉어에서 기원하여 이민의 영향을 받아 형성되었으며 고유한 특징을 지니고 보통화 보급 정책 속에서도 생존하고 있다. - 관화 - 동북관화
동북 관화는 중화인민공화국 북동부 지역에서 사용되는 중국어 방언으로, 만주어와 몽골어의 영향을 받아 베이징어와 차이를 보이며, 권설음 부재, 낮은 음평성, 얼화 현상 등의 특징을 가진다.
난징어 | |
---|---|
개요 | |
![]() | |
언어 유형 | 강회관화 |
사용 지역 | 난징시 |
사용자 | 난징 시민 (한족) |
언어 계통 | 중국티베트어족 중국어파 중국어 관화 강회관화 |
언어 코드 | |
글롯토로그 | nanj1234 |
글롯토로그 명칭 | 난징 관화 |
음운 체계 | |
성조 | 5개 |
특징 | 입성 보존 |
2. 음운
난징어는 중국어 방언 중에서도 독특한 음운 체계를 보인다. 성문 파열음 종성과 입성을 유지하고 있다는 점이 특징인데, 이는 북경 관화나 서남 관화에서도 최근까지 유지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북경 관화와 마찬가지로 중고음의 권설음을 보존하고 있다. 다른 강회 관화 방언처럼 음절 초두 /n/|/n/중국어을 잃고 자음 동화를 거쳐 모두 /l/|/l/중국어로 변했다. 반면 서남 관화에서는 /l/|/l/중국어이 /n/|/n/중국어으로 바뀌었고, 북경 관화는 /l/|/l/중국어과 /n/|/n/중국어 초두음을 모두 유지한다.
일반적으로 관화 방언은 두 개의 비음 종성 (/n/|/n/중국어 및 /ŋ/|/ŋ/중국어)을 가지지만, 강회 관화 방언에서는 이음으로 병합되었다.[1]
2. 1. 특징
난징어는 다른 중국어 방언과 구별되는 여러 특징을 가지고 있다. 이 방언은 성문 파열음 종성과 입성을 유지하고 있는데, 이는 북경 관화나 서남 관화에서도 최근까지 유지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북경 관화와 마찬가지로, 중고음의 권설음을 보존하고 있다. 다른 강회 관화 방언과 마찬가지로, 난징어는 음절 초두 /n/|/n/중국어을 잃어 자음 동화를 거쳐 모두 /l/|/l/중국어로 변했다. 이와 반대로 서남 관화에서는 /l/|/l/중국어이 /n/|/n/중국어으로 바뀌었다. 반면에 북경 관화는 별개의 /l/|/l/중국어과 /n/|/n/중국어 초두음을 유지한다.일반적으로 관화 방언은 두 개의 비음 종성 (/n/|/n/중국어 및 /ŋ/|/ŋ/중국어)을 특징으로 하지만, 강회 관화 방언에서는 이음으로 병합되었다.[1]
2. 2. 새 난징 방언과 옛 난징 방언
난징어는 시대에 따라 음운 체계가 변화해 왔다. 옛 난징 방언은 1930년대까지 주로 사용되었으며, 새 난징 방언과 차이를 보인다.[1] 새 난징 방언은 오늘날 난징에서 가장 흔하게 사용되는 방언으로, 베이징 방언의 영향을 더 많이 받았다.옛 난징 방언은 /n/이 존재하지 않으며, /l/과 합쳐졌다.[1]
핵 | /ɒ/ | /o/ | /e/ | /aæ/ | /əi/ | /au/ | /əu/ | /ã/ | /ẽ/ | /əŋ/ | /oŋ/ | /əɹ/ | ||
---|---|---|---|---|---|---|---|---|---|---|---|---|---|---|
중설 | ɹ̩/ɻ̩ | ɒ̝ | o/ɔ̆ | e̽/ɛ̆ | aæ | ə̙i | a̙ʊ | ə̙ʊ | ã̙ | əŋ | o̝ŋ | eɹ | ||
/i/ | i | iɒ̝ | iɔ̆ | ie | iaæ | ia̙ʊ | iə̙ʊ | iã̙ | iẽ | iŋ | io̝ŋ | |||
/u/ | u̜ | uɒ̝ | uɛ̆ | uaæ | uə̙i | uã̙ | uən | |||||||
/y/ | y | ye̽/yɛ̆ | yẽ | yin |
핵 | /a/ | /ɛ/ | /e/ | /o/ | /ɔ/ | /əi/ | /əɯ/ | /ã/ | /ẽ/ | /õ/ | /ə̃/ | /ɚ/ | ||
---|---|---|---|---|---|---|---|---|---|---|---|---|---|---|
중간음 | ɹ̩/ɻ̩ | a | ɛ | e | o | ɔ | əi | əɯ | ã | ẽ | õ | ə̃ | ɚ | |
/i/ | i | ia | iɛ | ie | io | iɔ | iəɯ | iã | iẽ | iõ | ĩ | |||
/u/ | u̜ | ua | uɛ | uəi | uã | uə̃ | ||||||||
/y/ | y | ye | yẽ | yĩ |
난징의 초기 방언은 동진 시대의 고대 오어였다. 오호의 난 이후, 진 황제와 많은 북중국인들이 남쪽으로 도망쳐 현재의 난징에 해당하는 건강에 새로운 수도를 건설하면서 장화이 관화로 대체되었다.[1] 이후 후경의 후경의 난, 수나라의 진나라 침공으로 인한 건강의 파괴, 명 태조가 양쯔강 이남 사람들을 난징으로 이주, 태평천국의 난 동안 난징이 태평천국의 수도가 되어 도시 인구가 크게 감소하는 사건들이 난징 방언 형성에 영향을 미쳤다.[1]
3. 역사
3. 1. 오어의 영향과 장화이 관화로의 대체
동진 시대 난징의 초기 방언은 오어였다. 오호의 난 이후, 진나라 황제와 많은 북중국인들이 남쪽으로 이동하여 현재의 난징에 해당하는 건강에 새로운 수도를 건설하면서, 난징 지역의 언어가 장화이 관화로 대체되었다.[1] 이후 후경의 후경의 난, 수나라의 진나라 침공으로 인한 건강의 파괴, 명 태조가 양쯔강 이남 사람들을 새로 건설한 수도인 난징으로 이주, 태평천국의 난 동안 난징이 태평천국의 수도가 되어 도시 인구가 크게 감소하는 등의 사건들이 오늘날의 난징 방언 형성에 영향을 미쳤다.[1]
3. 2. 주요 변화 사건
동진 시대 난징의 초기 방언은 고대 오어였다. 오호의 난 이후, 진나라 황제와 북중국인들이 남쪽으로 이주하여 건강에 새로운 수도를 건설하면서 난징의 고대 오어가 장화이 관화로 대체되었다.[1] 이후 난징어에 큰 영향을 미친 주요 사건들은 다음과 같다.
4. 위상
난징어는 역사적으로 중요한 위치를 차지했다. 특히 관화 형성에 영향을 주었으며, 19세기에는 베이징 방언과의 표준어 경쟁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다.
4. 1. 관화(표준어) 기반
일부 언어학자들은 난징 장화이 관화가 관화 기반 코이네에 미친 영향에 대해 연구했다.[1] 난징 방언에 기반했지만, 중요한 차이점이 있었고 코이네는 장화이 방언이 아닌 특징을 보였다. 17세기 중국에 살았던 도미니크 수도사 프란시스코 바로는 난징을 관화가 엘리트들의 언어와 유사한 여러 장소 중 하나로 지목했다.[1]19세기 동안, 난징 방언과 베이징 방언 중 어느 것을 서구 외교관과 번역가가 선호해야 하는지에 대한 논쟁이 벌어졌는데, 이는 난징 방언의 위세가 쇠퇴하는 것처럼 보였기 때문이다. 베이징 방언이 우위를 점하게 되었음이 명확해졌을 때조차도, 많은 중국학자와 선교사들은 난징 방언에 대한 선호를 유지했다. 라이프치히에 기반을 둔 게오르크 폰 데어 가벨렌츠 교수는 심지어 난징 방언이 동음이의어가 더 적기 때문에 과학 텍스트에 더 적합하다고 주장했다.
원래 일본 서적이었던 ''관화 지남''(官話指南)은 난징 방언의 성조로 수정되어 장난에 기반을 둔 프랑스 선교사 앙리 부셰에 의해 프랑스어 해설과 함께 출판되었다. 캘빈 W. 마티어는 1892년에 출판된 그의 저서 ''만다린 수업 과정''에서 북부와 남부 관화 사이의 절충을 시도했다.
4. 2. 19세기 서구의 인식
19세기 동안, 서구 외교관과 번역가들은 난징 방언과 베이징 방언 중 어느 것을 표준으로 삼아야 할지에 대해 논쟁했다. 이는 난징 방언의 위세가 쇠퇴하고 있었기 때문이다.[1] 베이징 방언이 우위를 점했음이 명확해진 후에도, 많은 중국학자와 선교사들은 난징 방언을 선호했다. 라이프치히의 게오르크 폰 데어 가벨렌츠 교수는 난징 방언이 동음이의어가 더 적어 과학 텍스트에 더 적합하다고 주장하기도 했다.원래 일본 서적이었던 ''관화 지남''(官話指南)은 난징 방언의 성조로 수정되었고, 장난을 기반으로 한 프랑스 선교사 앙리 부셰에 의해 프랑스어 해설과 함께 출판되었다. 캘빈 W. 마티어는 1892년에 출판된 그의 저서 ''만다린 수업 과정''에서 북부와 남부 관화 사이의 절충을 시도했다.
5. 연구
난징 방언에 대한 연구는 프란츠 퀑네르트의 ''Syllabar des Nankingdialektes oder der correkten Aussprache sammt Vocabular''와 K. 헤멜링의 ''Die Nanking Kuanhua''와 같은 저서를 통해 이루어졌다.[1]
새뮤얼 웰스 윌리엄스가 저술한 ''English & Chinese vocabulary in the court dialect''는 베이징 방언이 아닌 난징 방언을 기반으로 했다. 윌리엄스는 이 책에서 베이징 관화와 난징 방언의 차이점을 설명하면서, 전설 모음 앞에서 연구개음의 구개음화와 같이 베이징 방언이 난징 방언과 다른 점을 언급했다. 또한 이러한 변화가 일관적이어서 발음을 바꾸는 것이 어렵지 않을 것이라고 언급했다.
5. 1. 로마자 표기
19세기와 20세기 초, 중국어 로마자 표기는 베이징과 난징 발음을 모두 포함했다. 《중국 기록 및 선교 저널(The Chinese Recorder and Missionary Journal)》은 베이징과 난징 방언을 모두 로마자로 표기하는 것이 유익하다고 제안했다. 예를 들어, 希|시중국어와 西|시중국어는 베이징에서는 같은 발음으로 발음되지만, 난징에서는 다르게 발음(후자는 ''si'')되기 때문에 표준 체계는 두 개의 철자를 유지한다고 설명했다. 마찬가지로 이 시스템은 官|관중국어과 光|광중국어 사이의 베이징에서의 대비와 같이 난징에서는 존재하지 않는 대비를 유지한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