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부내륙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남부내륙선은 경상북도 김천시의 김천역에서 경상남도 거제시의 거제역을 연결하는 총 172.38km의 철도 노선이다. 1940년대부터 대전-삼천포, 김천-삼천포를 잇는 철도 건설이 추진되었으나 중단되었고, 1990년대 말부터 김천-진주 노선 건설 타당성 조사가 이루어졌다. 2019년 예비타당성조사 면제를 통해 사업 추진이 확정되었으며, 2022년 착공하여 2027년 하반기 또는 2028년 상반기 개통을 목표로 건설 중이다. 김천, 성주, 합천, 산청, 진주, 고성, 통영, 거제 등 7개 역이 예정되어 있으며, 역 위치 선정 및 김천역 이전 등을 둘러싸고 논란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경상남도의 교통 - 남일로
남일로는 경상남도 사천시 동서금동에서 시작하여 고성군 하이면을 잇는 도로이며, 사천시와 고성군에서 다른 도로들과 연결된다. - 경상남도의 교통 - 쌀재터널
쌀재터널은 대한민국 창원시에 위치하며, 창원시의 주요 간선도로에 속하는 터널이다. - 계획 중인 철도 노선 - 대경선
대경선은 구미역과 경산역을 잇는 광역철도 노선으로, 2024년 1단계 구간이 개통되었으며 한국형 열차 제어 시스템을 적용하고 2량 대형 전동차를 운행하며, 현재 2단계 구간 사전타당성조사가 진행 중이고 일부 교통카드는 호환되지 않는다. - 계획 중인 철도 노선 - 부산 도시철도 5호선
부산 도시철도 5호선은 녹산국가산업단지와 부산 도심을 연결하는 노선으로 계획되었으나 경제 위기로 인해 사상-하단 구간을 우선 추진하며, 2026년 개통을 목표로 총 6.9km, 7개의 역에 무인 자동 운전 방식으로 운행될 예정이다. - 대한민국의 철도 노선 - 경원선
경원선은 일제강점기에 개통된 서울과 원산을 잇는 철도 간선으로, 광복 후 남북 분단으로 인해 현재는 남한 구간만 운행 중이며, 남북 관계 개선에 따라 북한 구간 운행 재개 가능성이 논의되고 있다. - 대한민국의 철도 노선 - 병점기지선
병점기지선은 경기도 화성시 병점역과 오산시 서동탄역을 잇는 2.2km의 한국철도공사 노선으로, 수도권 전철 1호선이 운행되며, 향후 동탄인덕원선 및 수도권고속철도와의 연결이 추진 중이다.
남부내륙선 - [철도 노선]에 관한 문서 | |
---|---|
노선 정보 | |
노선 이름 (한국어) | 남부내륙선 |
노선 이름 (한자) | 南部內陸線 |
로마자 표기 | Nambunaeryukseon |
번역 | 남부 내륙선 |
국가 | 대한민국 |
노선 종류 | 고속철도 |
노선 상태 | 구상 중 |
노선 정보 | |
기점 | 김천역 (경상북도 김천시) |
종점 | 거제역 (경상남도 거제시) |
역 수 | 7 |
개통 예정일 | 2030년 |
소유자 | 대한민국의 정부 |
운영자 | 미정 |
총 연장 | 177.9 km |
궤간 | 1,435mm |
궤도 | 표준궤 |
선로 | 단선 |
전철화 | 가공전차선, 교류 25,000 V, 60 Hz |
신호 방식 | ATP |
영업 최고 속도 | 250km/h |
설계 최고 속도 | 250km/h |
기타 정보 | |
관련 뉴스 기사 | 철도공단, 중부내륙철도 이천~충주구간 본격 착공 |
2. 노선 정보
항목 | 내용 |
---|---|
노선명 | 남부내륙선 |
노선 번호 | 미정 |
노선 거리 | 172.38km |
운영 기관 | 미정 |
궤간 | 1435mm (표준궤) |
통행 방식 | 좌측 통행 |
역 수 | 7개 |
보안 장치 | 미정 |
운행 열차 | 미정 |
1940년대 대삼선과 1960년대 김삼선이 착공되었으나, 모두 완공되지 못하고 사업이 중단되었다. 1998년 철도청은 김천과 진주를 연결하는 철도 건설 사업에 대한 타당성 조사를 실시했고,[8] 1999년 하반기 철도 건설 계획에 4단계 장기 계획(2013-2020년) 중 하나로 포함되었다.[9] 그러나 사업 진행이 지지부진하자, 지자체를 중심으로 조속히 추진하라는 요구가 이어졌다. 2007년 7월 합천군 의회는 철도의 조기 착공을 촉구하였고,[10] 2008년에는 합천, 의령, 성주, 고령 등 네 개 지자체에서 사전조사용역을 실시하였다.[11]
3. 역사
이후 2011년 4월 제2차 국가철도망구축계획에 후반기 착수사업으로 포함되었으며,[12] 박근혜 대통령 후보의 경북 지역 공약에도 포함되었다.[13] 2016년 제3차 국가철도망구축계획에도 준고속철도로 포함되었으나,[14] 2017년 5월 한국개발연구원(KDI)의 예비타당성조사 결과 경제적 타당성이 미달한다고 보고하였다.[19]
문재인 대통령 후보의 경북 지역 공약에 포함된 후, 원주강릉선처럼 경제성은 낮았지만 예비타당성조사가 면제되었던 사례를 들며 조기 건설을 요구하였다.[15] 결국 2019년 1월 지역균형발전을 이유로 예비타당성조사가 면제되어 재정사업 추진이 확정되었고,[16] 11월 기본계획 수립이 시작되었다.[17]
2021년 10월 초안과는 달리 거제역(예정) 부지가 상문동에서 사등면으로 수정됐으며, 통영-거제를 잇는 견내량 해역에서 다리가 아닌 해저터널로 공사를 진행하기로 확정됐다. 또한 통영역(예정) 부지 역시 용남면 원문마을로 위치가 수정됐다. 성주역, 합천역, 고성역, 통영역, 거제역 등 5개 역이 신설될 예정이다.[18] 2022년 착공, 2027년 하반기 또는 2028년 상반기 개업 예정이다.
3. 1. 초기 계획 (1940년대 ~ 1960년대)
1940년대에 대전과 삼천포를 연결하는 대삼선과 1960년대에 김천과 삼천포를 연결하는 김삼선이 착공되었으나, 모두 완공되지 못하고 사업이 중단되었다.
3. 2. 타당성 조사 및 추진 (1998년 ~ 2010년)
1998년, 철도청은 성남여주선 등과 함께 김천과 진주를 연결하는 철도 건설 사업에 대한 타당성 조사를 실시하였다.[8] 1999년 하반기에 수립된 철도 건설 계획에는 4단계 장기 계획(2013-2020년) 중 하나로 본 노선이 포함되었다.[9] 그러나 사업 진행이 지지부진하자, 지자체를 중심으로 본 사업을 조속히 추진하라는 요구가 이어졌다. 2007년 7월 합천군 의회는 철도의 조기 착공을 촉구하였고,[10] 2008년에는 합천, 의령, 성주, 고령 등 네 개 지자체에서 사전조사용역을 실시하였다.[11]
3. 3. 국가철도망 구축계획 반영 (2011년 ~ 2017년)
1998년 철도청은 성남여주선 등과 함께 김천과 진주를 연결하는 철도 건설 사업에 대한 타당성 조사를 실시했고[8], 1999년 하반기에 수립된 철도 건설 계획에 4단계 장기 계획(2013-2020년) 중 하나로 포함되었다.[9] 그러나 사업 진행이 지지부진하자, 지자체를 중심으로 조속히 추진하라는 요구가 이어졌다.
이후 남부내륙선은 2011년 4월 고시된 제2차 국가철도망구축계획에 후반기 착수사업으로 포함되었으며[12], 박근혜 대통령 후보의 경북 지역 공약에도 포함되었다.[13] 2016년 고시된 제3차 국가철도망구축계획에도 이 노선은 준고속철도로 포함되었으나[14], 2017년 5월 한국개발연구원(KDI)의 2014년 착수 예비타당성조사 결과에서는 본 철도가 B/C=0.580 ~ 0.717로 경제적 타당성이 미달한다고 보고하였다.[19]
3. 4. 예비타당성조사 면제 및 사업 추진 (2019년 ~ 현재)
문재인 대통령 후보의 경북 지역 공약에 이 사업이 포함된 후, 지역 사회에서는 원주강릉선처럼 경제성은 낮았지만 예비타당성조사가 면제되었던 사례를 들며 조기 건설을 요구하였다.[15] 결국 2019년 1월 지역균형발전을 이유로 예비타당성조사가 면제되어 재정사업 추진이 확정되었고,[16] 같은 해 11월 기본계획 수립이 시작되었다.[17]
2021년 10월 초안과는 달리 거제역(예정) 부지가 시내인 상문동에서 사등면으로 수정됐으며, 통영-거제를 잇는 견내량 해역에서 다리가 아닌 해저터널로 공사를 진행하기로 확정됐다. 또한 통영역(예정) 부지 역시 용남면 원문마을로 위치가 수정됐다. 성주역, 합천역, 고성역, 통영역, 거제역 등 5개 역이 신설될 예정이다.[18]
3. 5. 연혁
4. 역 목록
역 개수는 예비타당성조사 안에 따르며[19], 김천역과 진주역을 제외한 나머지 역명은 모두 가칭이다.
역명 | 로마자 역명 | 한자 역명 | 환승 | 역간 거리 | 영업 거리 | 소재지 | |
---|---|---|---|---|---|---|---|
김천 | Gimcheon | 金泉 | 경부선 | 경상북도 | 김천시 | ||
성주 | Seongju | 星州 | 성주군 | ||||
합천 | Hapcheon | 陜川 | 경상남도 | 합천군 | |||
산청(신호장) | Sancheong | 山淸 | 산청군 | ||||
진주 | Jinju | 晉州 | 경전선 | 진주시 | |||
고성 | Goseong | 固城 | 고성군 | ||||
통영 | Tongyeong | 統營 | 통영시 | ||||
거제 | Geoje | 巨濟 | 거제시 |
대구광주선을 건설하는 경우 이와 연계하여 성주역과 합천역 사이에 해인사역(가칭)을 신설할 계획이다.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주요거점과 접근이 용이한 위치에 신규 역사 설치도 추진할 계획이다.[20] 산청군을 통과하여 적정성 재검토에서 이 지역에 신호장이 추가되었다. 김천역과 거제역만 남부내륙선의 종착역으로 확정되었다.
5. 논란
해당 지역의 도시 지역 출신 국회의원 및 다른 공무원들은 역 위치를 두고 갈등을 겪고 있다.[2] 고령군 정부는 해당 지역의 역사를 근거로 역 건설을 장려했다.[3]
김천(구미)역에서 종착할 예정이었던 원래 노선은 이후 고속선이 현재 운행되지 않는 김천으로 변경되었다. 국민의힘 송언석 의원이 역 맞은편에 있는 자신의 가족 소유 상업 건물을 위해 이전을 옹호했다는 의혹이 제기되었다.[4][5]
5. 1. 역 위치 선정 논란
김천역과 진주역을 제외한 나머지 역명은 모두 가칭이며, 역 개수는 예비타당성조사 안에 따른다.[19] 대구광주선 건설 시 이와 연계하여 성주역과 합천역 사이에 해인사역(가칭)을 신설할 계획이다. 국토교통부는 주요 거점과 접근이 용이한 위치에 신규 역사 설치도 추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20] 산청군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적정성 재검토를 거쳐 이 지역에 산청 신호장이 추가되었다.해당 지역의 도시 지역 출신 국회의원 및 다른 공무원들은 역 위치를 두고 갈등을 겪고 있다.[2] 예를 들어, 고령군 정부는 해당 지역의 역사를 근거로 역 건설을 장려했다.[3]
원래 노선은 김천(구미)역에서 종착할 예정이었으나, 이후 고속선이 현재 운행되지 않는 김천으로 변경되었다. 국민의힘 송언석 의원이 역 맞은편에 있는 자신의 가족 소유 상업 건물을 위해 이전을 옹호했다는 의혹이 제기되었다.[4][5]
5. 2. 김천역 이전 논란
해당 지역의 도시 지역 출신 국회의원 및 다른 공무원들은 역 위치를 두고 갈등을 겪고 있다.[2] 원래 노선은 김천(구미)역에서 종착할 예정이었으나, 이후 고속선이 현재 운행되지 않는 김천으로 변경되었다. 국회 의원 송언석이 역 맞은편에 있는 자신의 가족 소유 상업 건물을 위해 이전을 옹호했다는 의혹이 있다.[4][5]참조
[1]
웹사이트
경남경제 살릴 대동맥 '서부경남KTX'
http://www.gnnews.co[...]
2018-10-11
[2]
웹사이트
"남부내륙선, 우리도 지나가게"…경북 지자체 간 '갈등'
https://news.sbs.co.[...]
2019-05-09
[3]
웹사이트
고령뉴스 : 고령군
http://www.goryeong.[...]
[4]
웹사이트
Conflict-of-interest cases involving lawmakers should be investigated
http://www.donga.com[...]
[5]
웹사이트
한국당 송언석, '김천역 앞 건물' 이해충돌 의혹에 "물타기" 반발
http://www.hani.co.k[...]
2019-01-28
[6]
문서
第3次国家鉄道網の概要 - 鉄道産業情報センター
http://www.kric.go.k[...]
[7]
뉴스
철도공단, 중부내륙철도 이천~충주구간 본격 착공
https://www.joongang[...]
머니투데이
2019-12-30
[8]
뉴스
철도청, 성남∼여주 등 3곳 철도신설 추진
https://news.v.daum.[...]
연합뉴스
2019-12-30
[9]
뉴스
"<철도 100주년 특집>-②전국 반나절권 철도망 구축"
https://news.v.daum.[...]
연합뉴스
2019-12-30
[10]
뉴스
합천군의회, 김천-진주 철도개설 촉구
https://news.v.daum.[...]
연합뉴스
2019-12-30
[11]
뉴스
"통영~김천 철도 조기건설 반드시 필요"
https://news.naver.c[...]
부산일보
2019-12-30
[12]
뉴스
“김천 ~ 진주 남부내륙철도 조기착공하라”
https://www.joongang[...]
중앙일보
2019-12-30
[13]
뉴스
서울~거제 내륙고속철 건설 '국회포럼' 발족
http://news1.kr/arti[...]
뉴스1
2019-12-30
[14]
뉴스
제3차 국가철도망구축계획 확정…창녕대합~서대구 노선
http://news1.kr/arti[...]
뉴스1
2019-12-30
[15]
뉴스
서부경남 발전 이끌 남부내륙철도 50년 만에 기적 울린다
https://www.yna.co.k[...]
연합뉴스
2019-12-30
[16]
뉴스
시도별 1곳이상 안배… 경제성 떨어져 ‘세금 먹는 하마’ 될수도
http://news.donga.co[...]
동아일보
2019-12-30
[17]
뉴스
"[속보] 예타 면제받은 남부내륙철도 등 본격 추진"
http://www.hani.co.k[...]
한겨레
2019-12-30
[18]
뉴스
남부내륙철도 거제 종착역 최적지, 사등면으로 급선회
https://news.naver.c[...]
부산일보사
2021-10-09
[19]
웹인용
남부내륙선 철도건설
https://www.kdi.re.k[...]
2019-12-30
[20]
문서
http://www.molit.go.[...]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