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남악신도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남악신도시는 전라남도청의 이전으로 건설된 신도시로, 무안군 삼향읍 남악리와 목포시 일대에 걸쳐 조성되었다. 1999년 전라남도청의 이전 결정 이후, 2005년 전라남도청이 이전하면서 본격적인 개발이 시작되었다. 옥암, 남악, 오룡, 임성, 망월 지구로 구성되어 있으며, 2008년부터 2016년까지 인구가 크게 증가하여 2016년 기준 약 6만 2천 명이 거주하고 있다. 서해안고속도로남해고속도로가 지나가며, 남악IC를 통해 접근이 용이하다. 남악신도시는 무안군과 목포시의 행정 구역 경계에 위치하여 행정 서비스의 차이로 인한 문제와 통합 논의가 진행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무안군 - 무안군의 행정 구역
    무안군의 행정 구역은 1895년 나주부 무안군으로 시작하여 전라남도 무안군이 되었고, 일제강점기 목포부 폐지와 지도군 통합을 거쳐 2005년 전라남도청 이전으로 삼향읍이 전라남도 행정 중심지가 되었다.
  • 목포시 - 목포극동방송
    목포극동방송은 1994년 아세아방송 호남본부로 개설되어 1999년 설립된 전남 목포 지역의 극동방송 방송국으로, FM 100.5㎒ 주파수로 목포시와 인근 지역에 방송을 송출하며, 2020년대에는 다양한 행사와 지역 사회 봉사 활동을 진행했고, 2024년 1월 1일에는 제15대 지사장이 부임했다.
  • 목포시 - KBS목포방송국
    KBS목포방송국은 1942년 개국한 한국방송공사의 지역 방송국으로, TV, 라디오, DMB 방송을 송출하며 목포 및 전남 서남부 지역에 뉴스와 다양한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 대한민국의 신도시 - 광교신도시
    광교신도시는 경기도 수원시, 용인시에 걸쳐 개발되었으며, 광교산 남쪽 원천리천 일대에서 이름을 따왔고, 높은 녹지율과 편리한 교통, 다양한 교육 및 첨단 시설을 갖춘 신도시이다.
  • 대한민국의 신도시 - 마린시티
    마린시티는 부산 해운대구 수영만 매립지에 조성된 고급 주거 단지이며, 초고층 주상복합 아파트와 호텔 등이 건설되었고, 대중문화 콘텐츠의 배경으로 활용되기도 한다.
남악신도시
일반 정보
이름남악신도시
면적14.5
세대19,429 (2016년 11월 기준)
총인구61,951 (2016년 11월 기준)
인구 밀도9,931
행정 구역전라남도 목포시·무안군
삼향읍·일로읍(이상 무안군)
행정동부주동·옥암동·삼향동(이상 목포시)
임성리· 남악리·망월리(이상 무안군 삼향읍)
죽산리·청호리(이상 무안군 일로읍)
베아채에서 바라본 남악신도시
베아채에서 바라본 남악신도시

2. 역사

전라남도청광주광역시에서 이전해오면서 세워진 신도시이다. 면적은 14.5km2이다. 계획인구는 15만 명(4만 5천 세대)이고 시공업체는 동광건설 외 34개사이다. 목포시전남개발공사가 개발을 담당하고 있다. 일부 부지는 영산호 일부를 매립하여 이루어졌다. 2001년 10월 전라남도청 새 청사가 착공되었고, 2002년 10월부터 택지지구 조성공사가 시작되었다.[9] 2005년에 전라남도청이 이전하면서 아파트 분양이 이루어졌지만, 착공 지연으로 입주가 늦어졌다.

2. 1. 개발 배경

전라남도청이 2005년 11월 11일 무안군 삼향읍 남악리로 이전하면서 신도시 건설이 계획되었다.[1] 원래 목포시 옥암동에 미개발지구인 옥암지구 개발 계획이 있었으나, 전라남도청이 무안군 삼향읍 남악리로 이전하면서[1] 옥암지구를 편입하고 확대한 계획도시이다.[2]

2. 2. 연혁


  • 1999년: 전라남도청무안군 삼향면 남악리로 이전 결정[8]
  • 2001년: 전라남도청 새 청사 착공[9]
  • 2002년: 남악신도시 개발 계획 확정[9]
  • 2005년 11월 11일: 전라남도청 새 청사 개청식
  • 2006년: 남악신도시 아파트 첫 입주 시작, 서해해경청 개청
  • 2007년: 무안군 삼향면의 남악출장소 설치, 애향초등학교, 남악초등학교 개교, 옥암중학교 개교.
  • 2008년: 남악중학교, 남악고등학교 개교, 옥암초등학교 개교
  • 2009년: 전라남도교육청 이전
  • 2010년: 애향중학교 개교
  • 2011년: 무안군 삼향면이 삼향읍으로 승격[10], 전라남도경찰청 이전, 광주지방검찰정 목포지청, 광주지방법원 목포지원 이전, 전남도립도서관 개관, 영산초등학교 개교
  • 2012년: 옥암지구가 목포시 부주동에 신설편입, 오룡초등학교 개교, 국도 제2호선 무영로(서해안 - 남해고속도로) 개통으로 인한 남악IC 개통, 전남농협본부 이전

3. 지리적 위치 및 구성

남악신도시는 목포시무안군에 걸쳐 조성되었으며, 행정구역에 따라 여러 지구로 구성되어 있다.

3. 1. 옥암지구

옥암지구는 목포시 부주동에 해당되는 지역이며, 목포시민문화체육센터, 광주지방법원 목포지원, 광주지방검찰청 목포지청이 위치해 있고, 개발은 목포시가 담당하고 있다. 녹색로를 경계로 하당신도심과, 남악2로를 경계로 남악지구와 마주보고 있다. 옥암지구는 당가두 마을, 부주두 마을, 초당산 마을 일부를 포함한다.

단지명건설사시행사주소입주비고
옥암 주공혜림건설㈜대한주택공사당가두로38번길 112007년 8월국민임대
옥암 휴먼시아송촌종합건설㈜대한주택공사남악1로52번길 35-82008년 12월
옥암애시앙 부영 1차㈜동광주택산업㈜부영2007년 3월
옥암애시앙 부영 2차2007년 4월
옥암 한국아델리움한국건설㈜남선레미콘㈜
한국종합건설㈜
2008년 9월
옥암 코아루신영종합건설㈜한국토지신탁2007년 3월
옥암 푸르지오대우건설㈜피데스개발남악1로 512007년 3월
옥암 한라비발디HL디앤아이한라㈜피데스개발남악2로22번길 102008년 7월
옥암 우미 파렌하이트우미토건㈜
우심산업개발㈜
피데스피엠씨㈜
피데스개발㈜
아시아신탁㈜
남악2로22번길 152013년 9월
옥암 골드클래스보광건설㈜
골드디움㈜
골드클래스㈜2009년 5월
옥암 골드클래스 3차보광건설㈜골드디움㈜남악1로52번길 822013년 5월
옥암 베아채우남건설㈜근화건설㈜남악1로52번길 832014년 6월


3. 2. 남악지구

무안군 삼향읍 남악리에 위치한 남악지구는 남악신도시의 중심지구이며, 전라남도청, 전라남도교육청, 전남지방경찰청이 위치해 있다. 각종 중심상업지구와 중앙공원 및 사무업지구가 밀집해 있다. 남악2로와 남창천을 경계로 옥암지구, 오룡지구와 접해있다.

남악지구에 속하는 마을은 '''남악마을''', '''신흥마을''', '''회룡마을''', '''오룡마을'''이다.

남악지구에 있는 아파트 단지는 다음과 같다.

단지명건설사시행사블록주소입주비고
남악 상록롯데건설공무원연금공단152009년 2월
남악 경남아너스빌경남기업대아레저산업㈜26삼향읍 남악5로22번길 602008년 11월
남악 아이파크현대산업개발16-1삼향읍 남악2로74번길 142007년 10월
남악 리젠시빌리젠시빌건설㈜
㈜문장건설
㈜지음건설삼향읍 남악4로60번길 142006년 9월
남악 파밀리에㈜신동아건설25삼향읍 남악영산길 392008년 2월
남악 베아채(유)근화종합건설근화건설㈜18삼향읍 남악4로82번길 312008년 12월
남악 베아채비올레우남건설㈜27-1삼향읍 남악5로22번길 102014년 2월
남악 베아채스위트근화종합건설㈜27-2삼향읍 남악5로22번길 202013년 4월
남악 골드디움보광건설㈜골드클래스㈜삼향읍 남악5로72번길 81-212013년 4월
남악 부영㈜동광주택산업㈜부영24삼향읍 남악5로72번길 72007년 9월
남악 회룡마을 주공제일건설㈜
삼능건설㈜
대한주택공사16-2삼향읍 남악2로74번길 422007년 10월국민임대
남악 오룡마을 휴먼시아송촌건설㈜
금강주택㈜
17삼향읍 남악2로74번길 132009년 8월


3. 3. 오룡지구

'''오룡지구'''는 무안군 일로읍 망월리와 죽산리에 속해 있으며, 옥암, 남악지구를 개발할 때에 경제 침체기 등의 이유로 미루었다가 2013년 6월부터 토지 정리 등을 통하여 개발을 시작할 예정이었다.[3] 그러나 전남도와 전남개발공사, 무안군의 갈등으로 전면 무기한으로 연기되었다가[4] 전남개발공사와 무안군의 조정안과 전남도의 수용에 따라 2013년 내로 착공하기로 결정하였다.[5] 2013년 11월에 국토교통부로부터 애초 계획보다 8백 세대를 줄여서 남악신도시 오룡지구 개발 계획을 승인받아 이르면 12월에 발주를 해서 2014년 초에는 공사에 착공할 계획이었지만, 무안군과 이견을 보이고 있는 하수종말처리장 신설 문제는 이번 개발 계획 변경 승인 때 반영되지 않았다. 또한, 남악신도시 2단계 지구인 임성지구 개발도 오룡지구 개발에 부담을 줄 것으로 보인다. 두 지역의 최종 완공 연도가 2020년 초로 비슷하여 두 지구를 합치면 1만 4천여 세대나 되기 때문에, 개발할 경우 공급 과잉과 출혈 경쟁으로 전남개발공사와 목포시 양쪽 모두 적지 않은 재정 부담을 떠안을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오고 있다.[6]

단지명건설사시행사블록주소입주
오룡 푸르지오 에듀포레대우건설㈜오룡피에프브이34일로읍 오룡중앙동로 372020년 7월
35일로읍 오룡중앙동로 65
오룡 푸르지오 파르세나㈜디씨에이엠피에프브이39일로읍 오룡번영1로 102024년 7월
40일로읍 오룡번영1로 26
힐스테이트 오룡현대엔지니어링㈜남악오룡42피에프브이42일로읍 오룡번영1로 952024년 5월
㈜남악오룡피에프브이45일로읍 오룡동로 45
오룡 중흥S-클래스 에듀파크중흥토건㈜㈜세종건설산업41일로읍 오룡중앙남로 202024년 8월
오룡 시티프라디움시티건설㈜
시티종합건설㈜
시티오건설㈜362025년 3월
오룡 한국아델리움 위너스㈜한국건설33일로읍 오남로 432020년 12월
오룡 우미린우미건설42
43


3. 4. 임성지구

목포시 옥암동, 삼향동무안군 삼향읍 임성리에 해당되는 남악신도시 2단계 개발지역이다. 개발 기간은 2011~2014년(계획상)이며, 면적은 2900000m2이다.[7]

전남개발공사가 목포시무안군의 개발을 위임받아 공동 개발하기로 되어 있었으나, 전남개발공사 측에서는 오룡지구 등 다른 사업 개발로 인해 개발 여력이 없어 임성지구 개발을 유보하였다. 결국 목포시 측에서는 임성지구를 쪼개서 행정구역이 목포인 구역만 독자적으로 개발하기로 하였다. 무안군과 공동개발 방식도 무산됨에 따라 전체 임성지구의 70%를 차지하고 있는 목포시 지역만 독자 개발 방식을 추진하고 있다.[7]

목포시가 개발에 서두르는 이유는 개발제한구역 지정이 2013년에 만료돼 더 이상 미룰 수가 없게 되어 2017년 이후 개통 예정인 호남고속철도 역세권 개발에 대비하겠다는 것이다. 하지만 문제는 무안군에 해당되는 지역이다. 개발제한구역이나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지정돼 있지 않아 이대로라면 나중에 추가 개발을 하려해도 지가 상승과 난개발이 불가피하다는 것이다. 목포시는 개발계획 승인까지 6개월에서 최대 2년의 기간이 있다며, 첫 삽을 뜨기전에 무안이 참여해줄 것을 기대하고 있다.[7]

목포시가 추진하고 있는 임성지구는 호남고속철도의 시종착역이 될 임성리역의 역세권을 중심으로 2016 ~ 2017년에 착공하여 2020년에 택지조성을 하여 완공한다는 계획이다.

3. 5. 망월지구

망월지구는 남악신도시 3단계 개발 지역으로 무안군 일로읍 망월리, 죽산리, 청호리에 위치해 있다. 남악신도시 전체 지도를 보면 옥암, 남악, 오룡 지구가 가운데에 있고, 서북쪽으로 임성지구, 동북쪽으로 망월지구가 있다. 망월지구 개발 기간은 2015년부터 2019년까지(계획상)이며, 면적은 270만m2이다.

4. 개발 단계

남악신도시 개발은 총 3단계로, 1단계는 옥암, 남악, 오룡지구, 2단계는 임성지구, 3단계는 망월지구이다. 남악신도시는 목포시무안군 경계에 있어 전남개발공사와 목포시가 공동으로 사업을 진행한다.[1] 2013년 11월 기준으로 옥암 및 남악지구는 완공되었고, 1-2단계 오룡지구와 2단계 임성지구는 국토부와 전라남도 승인을 받아 개발을 시작하고 있다.[1]

4. 1. 1단계 (옥암, 남악, 오룡지구)

1단계 옥암지구, 남악지구, 오룡지구의 개발 기간은 2003년부터 2011년까지(계획상)였다. 면적은 각각 2609000m2, 3629000m2, 2701000m2이다. 옥암지구와 남악지구는 완공되었으며, 오룡지구는 개발 중에 있다.

5. 행정 구역 문제 및 통합 논의

남악신도시는 무안목포의 경계에 걸쳐 형성되어 있어, 같은 생활권임에도 행정 서비스가 다른 문제점을 안고 있다. 옥암지구는 목포시, 남악지구는 무안군 행정구역으로 나뉘어 학군, 행정 서비스, 대중교통 등에서 여러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13][14][15][16]

임성지구와 오룡지구가 완공되면 통합 요구가 더욱 커질 것으로 예상되나, 남악신도시 주민들의 통합 찬성에도 불구하고[17] 무안군의 반대로 번번이 무산되고 있다.[18]

5. 1. 문제점

남악신도시는 무안목포와의 경계에 걸쳐 형성되고 있다. 그러다 보니 같은 생활권인데 행정서비스는 다르다. 옥암지구는 목포시 행정구역, 남악지구는 무안군 행정구역이다. 학군, 행정서비스, 대중교통 등이 대표적인 문제다.

서로 다른 행정구역으로 인해 남악신도시 옥암지구 학생들이 목포시 구도심으로 배정당하기도 한다. 이에 목포교육지원청은 옥암지구 학생을 모두 근거리에 배정하면 구도심 중학교 학생 수가 부족해진다며 학생 수가 적은 원도심 학교를 위해 강제배정이 불가피하다는 입장이다.[13] 교통도 마찬가지다. 택시도 목포시 관할인 옥암지구에서 나와 무안군 관할인 남악지구까지 이용하면 시외할증요금이 20% 가산되었었다. 하지만 전라남도가 목포시와 무안군의 협의를 거쳐 단일화를 적용해 2008년 4월부터 남악신도시 전역에서 목포 시내요금으로 이용하게 되었다.[14] 버스도 마찬가지였다. 남악 주민들은 같은 동네에 살면서 버스 정거장 한두 곳 더 간다고 해서 더 많은 요금을 내는 게 말이 되냐면서 항의하여, 기존 목포 시내버스 요금은 1200KRW이었고 무안군 남악지구까지 이용하게 되면 1350KRW을 내야 했지만[15] 2014년 1월 1일부터 단일화가 되어 기존 요금으로도 남악지역을 이용할 수 있게 되었다. 그렇지만 다른 문제도 많다. 쓰레기 문제와 폭설 같은 재해 대비 능력 등도 무안군 행정력이 목포시 행정력과 같은 도시행정을 따라가지를 못하는 것이 현실이다.[16]

그리고 공사 진행 중에 있는 임성지구와 오룡지구가 완공될 경우에 더욱더 통합에 대한 주민들의 요구가 증가할 수밖에 없다. 남악신도시 주민은 통합을 원하는 편이지만[17] 무안군의 반대로 통합은 매번 실패하였다.[18]

5. 2. 통합 논의

남악신도시는 무안군목포시의 경계에 걸쳐 형성되고 있다. 그러다 보니 같은 생활권임에도 행정 서비스는 다르다. 옥암지구는 목포시 행정구역, 남악지구는 무안군 행정구역으로, 학군, 행정 서비스, 대중교통 등이 대표적인 문제이다.

서로 다른 행정구역으로 인해 남악신도시 옥암지구 학생들이 목포시 구도심으로 배정당하기도 한다. 이에 목포교육지원청은 옥암지구 학생을 모두 근거리에 배정하면 구도심 중학교 학생 수가 부족해진다며 학생 수가 적은 원도심 학교를 위해 강제 배정이 불가피하다는 입장이다.[13] 교통도 마찬가지다. 택시도 목포시 관할인 옥암지구에서 나와 무안군 관할인 남악지구까지 이용하면 시외 할증 요금 20%를 가산했었다. 하지만 전라남도가 목포시와 무안군의 협의를 거쳐 단일화를 적용해 2008년 4월부터 남악신도시 전역에서 목포 시내 요금으로 이용하게 되었다.[14] 버스도 마찬가지였다. 남악 주민들은 같은 동네에 살면서 버스 정거장 한두 곳 더 간다고 해서 더 많은 요금을 내는 게 말이 되냐면서 항의하여, 기존 목포 시내버스 요금은 1200KRW이었고 무안군 남악지구까지 이용하게 되면 1350KRW을 내야 했지만[15] 2014년 1월 1일부터 단일화가 되어 기존 요금으로도 남악 지역을 이용할 수 있게 되었다. 그렇지만 다른 문제도 많다. 쓰레기 문제와 폭설 같은 재해 대비 능력 등도 무안군 행정력이 목포시 행정력과 같은 도시 행정을 따라가지 못하는 것이 현실이다.[16]

그리고 공사 진행 중에 있는 임성지구와 오룡지구가 완공될 경우에 더욱더 통합에 대한 주민들의 요구가 증가할 수밖에 없다. 남악신도시 주민은 통합을 원하는 편이지만[17] 무안군의 반대로 통합은 매번 실패하였다.[18]

6. 인구

南岳新都市|남악신도시중국어2008년부터 2016년까지 많은 인구가 유입되었다. 2016년 11월 30일 기준으로 목포 옥암지구는 약 24,000명, 무안 남악지구는 약 37,000명으로, 총 62,000명이다.

연도옥암지구남악지구총인구(명)가구(세대)인구밀도(명/km2)세대당 인구(명)
2005년12,497명[11]12,4973,8214,7893.27
2008년14,780명[12]8,34720,1877,9743,2362.53
2010년16,06618,26534,33112,1555,5032.82
2012년18,72320,61138,52313,2886,1752.89
2015년24,59630,71955,31518,9348,8672.92
2016년24,70837,24361,95119,4299,9313.10


7. 교통

남악신도시로 가는 시내버스는 1번(10분 간격), 20번(25분 간격), 60번(30분 간격)이 있다. 이 중 하당과 연결하는 1번 버스가 배차 간격이 짧고, 남악신도시 구석구석을 다니기 때문에 시민들이 많이 이용한다. 그 다음으로 석현동과 연결하는 60번, 평화광장과 연결하는 20번 버스가 있다. 무안교통 버스도 있으나, 운행 횟수가 거의 없고 행선지가 무안행이어서 남악신도시 주민들은 이용하지 않는다. 주소지는 무안군이나 사실상 목포와 동일 생활권이다.

7. 1. 도로

남악신도시는 목포와 서울을 연결하는 서해안고속도로(자가용 약 4시간), 목포와 부산을 연결하는 남해고속도로(자가용 약 3시간 반)가 연결되어 있다. 국도 제2호선 무영로로 인해 서해안고속도로와 남해고속도로가 연결되어 남악신도시를 지나기 때문에 남악IC를 통해 곧바로 전국 각지로 갈 수 있다. 그리고 각각 서울과 부산을 연결하는 국도 제1호선국도 제2호선이 근처로 지난다.


7. 2. 철도

임성리역목포시 옥암동에 있으나, 남악신도시 외곽에 있어 연계 교통이 불편하다. 임성리역에는 하루 3편의 무궁화호가 정차하며, 2019년 이후 호남고속철도가 완공되면 목포역과 호남고속철도의 시·종착 기능을 분담할 계획이다. 임성리역과 보성역 사이 철도가 건설 중이다.

7. 3. 항공

근처에 목포공항이 있었지만 현재는 폐쇄되고 군 공항으로 사용 중이며, 무안국제공항이 있다.

8. 주요 시설


  • 롯데아울렛 남악점
  • 롯데마트 남악점
  • 농협 하나로클럽 남악점

참조

[1] 뉴스 전남도청 '무안시대' 열렸다 http://www.ohmynews.[...]
[2] 뉴스 전남도, 목포시 남악신도시 협약 체결 https://news.naver.c[...]
[3] 뉴스 오룡지구 6월 착공 https://news.naver.c[...]
[4] 뉴스 남악신도시 오룡지구 좌초 위기 http://www.hankyung.[...]
[5] 뉴스 '지지부진' 무안 오룡지구 개발사업 연내 착공 https://news.naver.c[...]
[6] 뉴스 오룡지구 개발계획 승인...험로 예고 http://mokpo.kbs.co.[...]
[7] 웹인용 목포시 우선 개발..과제와 전망은? http://www.mokpombc.[...] 2013-11-16
[8] 뉴스 전남도청 이전 예정대로 추진 https://news.naver.c[...]
[9] 뉴스 남악 신도시 조성 본격 착수…2005년 입주 https://news.naver.c[...]
[10] 뉴스 "'남악지구 인구 급증' 무안군 삼향면, 읍으로 승격" https://news.naver.c[...]
[11] 문서 옥암동 인구만 계산. 실제로는 하당신도심 인구와 부흥동 인구도 참고해야한다.
[12] 문서 옥암동 인구만 계산. 실제로는 하당신도심 인구와 부흥동 인구도 참고해야한다.
[13] 뉴스 무안 남악지구 무더기 전학 신청 '논란' https://news.naver.c[...]
[14] 뉴스 목포-남악신도시 택시요금 단일화 https://news.naver.c[...]
[15] 뉴스 "길 하나 사이로 버스요금 달라도 되나요" http://www.jnilbo.co[...]
[16] 웹인용 무안남악주민들. “목포옥암동주민이 부럽다” http://www.gwangnam.[...] 2013-11-19
[17] 문서 삼향읍, 일로읍, 청계면을 비롯한 군 남부지역 면들은 찬성지역이다.
[18] 문서 무안군과 무안읍을 비롯한 군 북부지역 면들은 반대지역이다.
[19] 간행물 국토교통부 정책자료 - 신도시 개념 및 건설현황 http://www.molit.go.[...]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